KR20220077992A -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992A
KR20220077992A KR1020200166789A KR20200166789A KR20220077992A KR 20220077992 A KR20220077992 A KR 20220077992A KR 1020200166789 A KR1020200166789 A KR 1020200166789A KR 20200166789 A KR20200166789 A KR 20200166789A KR 20220077992 A KR20220077992 A KR 2022007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liver function
composition
meal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헌
임현지
박인선
정승일
유강열
안희영
김정욱
박규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992A/ko
Publication of KR2022007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 억제 효과를 가지고,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므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fermented Tenebrio molitor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간 손상의 원인은 다양하며, 알코올, 흡연 외에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독물 또는 약제에 의한 중독, 영양장애 및 순환장애, 스트레스와 같은 원인에 의해서도 간 손상이 일어나며 간기능이 저하된다. 특히, 바이러스나 음주에 의해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간염 및 간암은 확실한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치유보다는 더이상 질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소극적 치료 조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인의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10만 명당 23.4명으로 세계 1위이고, 만성 간질환의 경우도 28.8명으로 3위로 조사되었으며, 최근 통계청에서 우리나라 40대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56.1명이 간질환을 앓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간 관련 질병의 발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치료제 시장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도 간기능 개선용 제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자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치료를 위한 합성 의약품은 그에 따른 부작용과 독성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간을 보호하고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약물이나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없는 간 기능 개선제와 이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성충은 보통 곡류 속에 알을 낳고, 부화한 유충을 밀웜(mealworm)이라고 부른다. 유충은 9~20번의 탈피를 통해 번데기가 된 후 성충이 된다. 갈색거저리 유충은 새, 고슴도치 등의 먹이로 대량 양식되고 있으며 청결하기 때문에 애완용으로 사육되기도 한다. 또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아 식품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어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4년에 갈색거저리 유충을 한시적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806474호에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2048309호에는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 활성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므로, 간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293T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Ctr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도 2는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성상세포(LX-2)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Ctr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DPI는 산화효소 억제제로 알려진 Diphenyleneiodonium chloride를 1uM의 농도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도 3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성상세포(LX-2)에서의 간섬유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이다. COL1α1은 Collagen type I alpha 1단백질이고, α-SMA는 alpha smooth muscle actin 단백질이고, Smad2/3는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2/3 단백질이며, p-Smad2 및 p-Smad3는 Smad2 및 Smad3의 인산화된 단백질이다.
도 4는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암세포(HepG2)에서의 ROS(Reactive Oxygen Species) 소거능을 DCF-DA 발색 강도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tr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도 5는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암세포(HepG2)에서의 GGT(Gamma glutamyltransferase)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Ctr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DPI는 산화효소 억제제로 알려진 Diphenyleneiodonium chloride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물인 것으로,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Sacharomyces cerevisiae M1(KACC 9302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는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접종하여 20~40℃에서 2~4일 동안 고상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에서 3일 동안 고상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C1~C4의 저급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발효물의 건조 분말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부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35~39℃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며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발효물의 건조 분말 중량 대비 10 중량부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37℃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을 억제할 수 있고,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 억제 효과가 있고,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Gamma glutamyltransferase) 활성 억제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 제조
발효에 사용한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이고, YMB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100 rpm으로 1일 동안 배양하여 OD660 값이 1.6 이상이 될 때까지 전배양하였다. 이후,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균체)만 획득하고, 멸균수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균체를 현탁하였다. 멸균한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 300 g에 상기 현탁한 균주 300 ㎖을 접종하고 촉촉해질 정도로 멸균수를 추가하여, 30℃에서 3일 동안 고상 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하였다. 발효 후, 50℃에서 5시간 동안 열풍건조하고 분말화하였으며 분말 1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의 95% 에탄올을 첨가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시간씩 교반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하여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dvenctec 110mm No.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Japan)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갈색거저리 추출물 제조
열풍건조한 후 멸균한 갈색거저리 시료 1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의 95% 에탄올을 첨가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시간씩 교반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Advenctec 110mm No.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Japan)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세포독성 분석
인간 신장상피세포주인 293T 세포에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293T 세포를 4×103 cells/웰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0, 100, 500, 1,000, 2,000 및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S(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용액 20 ㎕를 첨가하였다. 4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ultiskan Go,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계산식을 통해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세포생존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50, 100, 500, 1,000, 2,000 및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293T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개선능 분석
(1) TGF-β1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증식 억제능 측정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는 정상적인 간에서는 휴지기 상태로 존재하지만, 간이 손상되면 활성화되어 세포가 증식되고 간섬유화 및 간경변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간 간성상세포주(human hepatic stellate cell line)인 LX-2 세포에 TGF-β1을 처리하여 세포 증식을 촉진시킨 후,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USA)가 함유된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Kore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고,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수행하였다. LX-2 세포를 4×103 cells/웰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TGF-β1(15 ng/㎖) 및 50, 100, 500, 1,000, 2,000 또는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S 용액 20 ㎕를 첨가하였다. 4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ultiskan Go,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계산식을 통해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세포생존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TGF-β1 단독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TGF-β1과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은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 처리군은 산화효소 억제제로 알려진 DPI(Diphenyleneiodonium chloride)와 유사한 수준의 세포 증식 억제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갈색거저리의 추출물보다 우수한 세포 증식 억제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2) TGF-β1 처리에 의해 유도된 간섬유화 억제능 측정
간섬유화는 만성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파괴되어 섬유 조직의 증식 및 재생성 결절 형성과 같은 형태학적 특징을 보이고, TGF-β1 처리에 의해 간 성상세포가 간섬유화 상태로 전환되며, SMAD가 활성화되어 세포질에 존재하는 SMAD2 및 SMAD3의 인산화를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LX-2 세포를 1×106 cells/웰로 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TGF-β1(15 ng/㎖) 및 5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펠렛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이후, BCA(Bicinchoninic acid, Bio-rad, USA)를 이용하여 정량한 단백질의 동량을 10%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하고,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으로 옮기고 이를 블로킹 버퍼(5% skim milk in TBST)로 상온에서 1시간 블로킹시켰다. 블로킹이 끝난 후 COL1α1(Collagen type I alpha 1), α-SMA(alpha smooth muscle actin), Smad2/3(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2/3), p-Smad2, p-Smad3 및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에 대한 1차 항체를 3% BSA 버퍼에 1:1,000 비율로 희석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0.05% TBST로 1시간 세척 후 2차 항체를 1시간 반응시키고, 0.05% TBST로 1시간 세척하였으며, ECL 용액(GE healthcare, UK)을 처리한 뒤 Amersham Imager 600 (GE healthcare, UK)을 이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TGF-β1 단독 처리시, COL1α1 및 α-SMA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Smad2 및 Smad3의 인산화가 유도된 반면, TGF-β1과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시, COL1α1 및 α-SMA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인산화된 Smad2 및 Smad3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간섬유화 억제능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도 3).
실시예 3. 항산화 활성 분석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ROS(Reactive Oxygen Species) 소거능을 측정하여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USA)가 함유된 MEM(Modified Eagle Medium,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고,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수행하였다. HepG2 세포를 1×104 cells/웰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0, 250, 500, 1,000, 2,000 및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으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μM의 DCF-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용액을 3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웰 전체를 비우고 PBS에 녹인 100 μM의 H2O2 용액을 처리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고, 흡수 파장은 485 nm이고 발광 파장은 535 nm로 하는 조건으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을 통해 ROS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ROS 소거능(%)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H2O2에 의해 세포 내 ROS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 내 ROS가 감소하였다. 또한, 발효하지 않은 갈색거저리의 추출물은 ROS 소거능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4. 간기능 개선 효과 분석
GGT(Gamma glutamyltransferase)는 간담도성 손상지표로서, 간세포에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만성 음주자에서 활성이 증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GGT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간기능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HepG2 세포를 1×106 cells/웰로 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0, 250, 500, 1,000, 2,000 및 3,000 ㎍/㎖의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으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웰 전체를 비우고 PBS에 녹인 1 mM의 H2O2 용액을 처리하여 간 독성을 유발시키고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GGT 활성 측정 키트(Gamma glutamyl transfer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biovision, USA)를 이용하여 어세이를 진행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418 nm에서 kinetic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계산식을 통해 GGT 활성을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H2O2에 의해 GGT 활성이 증가하였고,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GGT 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발효하지 않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GGT 활성 억제능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Claims (6)

  1.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고상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0~40℃에서 2~4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C4의 저급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발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에서의 간섬유화 및 간경변 억제 효과가 있고, 간암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GGT(Gamma glutamyltransferase) 활성 억제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66789A 2020-12-02 2020-12-02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77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89A KR20220077992A (ko) 2020-12-02 2020-12-02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89A KR20220077992A (ko) 2020-12-02 2020-12-02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992A true KR20220077992A (ko) 2022-06-10

Family

ID=8198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89A KR20220077992A (ko) 2020-12-02 2020-12-02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9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61B1 (ko)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077992A (ko) 발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4239699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078693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556621B1 (ko)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9646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56940A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WO2024106846A1 (ko)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2292B1 (ko) 뽕잎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79816B1 (ko) 꽁치류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 예방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97096B1 (ko) 갈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 예방 또는개선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40072591A (ko)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5727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91771A (ko) 바다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37319A (ko) 노니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02149A (ko) 엉겅퀴, 개똥쑥 및 울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40A (ko) 고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