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915A -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 Google Patents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915A
KR20220077915A KR1020227012465A KR20227012465A KR20220077915A KR 20220077915 A KR20220077915 A KR 20220077915A KR 1020227012465 A KR1020227012465 A KR 1020227012465A KR 20227012465 A KR20227012465 A KR 20227012465A KR 20220077915 A KR20220077915 A KR 20220077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ntilation
window
cartridg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클라이너
아르투르 호헨베르그
옌스 토르겐 베데마이어
Original Assignee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filed Critical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07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적어도 이하의 특징을 포함하는 윈도우: -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1')로 이루어진 윈도우 프레임(1), -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2')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창(pane) 요소를 갖고 적어도 폐쇄 위치와 환기 위치 사이에서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새시 프레임(2), - 윈도우 프레임(1)의 프레임 프로파일(1')과 새시 프레임(2)의 프레임 프로파일(2')의 사이에 형성된 주변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 - 윈도우 프레임(1)의 프레임 프로파일(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새시 프레임(2)의 프레임 프로파일(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제1 환기 덕트 개구부(9)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부(1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8), - 새시 프레임(2)과 윈도우 프레임(1)은 제1 폐쇄 위치에서 환기 덕트 개구부(9, 10)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설계되고, 제2 위치 - 환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8)의 환기 덕트 개구부(9, 10) 모두를 개방하도록 설계되고,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8)는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새시 프레임 내 또는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 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환기 카트리지(14) 또는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에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기울어지거나 회전된 새시 위치에서 방음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윈도우는 예를 들어 DE 10 2016 115 422에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와 관련하여, 그리고 변형에 따라 다양한 추가 속성과 관련하여 더욱 최적화되어야 한다. 윈도우 프레임에 형성된 환기 덕트는 청소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알려진 디자인은 새시를 닫을 때 상대적으로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윈도우 프레임의 중간 실(middle seal)이 새시 프레임의 단열 웹(web) 상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기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부 폭은 불리한 것으로 언급되어야 한다. 여기서 개구부 너비는 특히 슬라이딩 표면과 같은 새시 프레임의 (짧은) 단열 웹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경로를 취하고 환기 덕트를 갖는 최적화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4의 청구 대상을 통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이러한 윈도우를 위한 유리한 환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이하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윈도우: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로 구성된 윈도우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창(pane) 요소를 갖는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적어도 폐쇄 위치와 환기 위치 사이에서 윈도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새시 프레임, 주변 프레임 리베이트(rebate) 공간이 윈도우 프레임의 프레임 프로파일과 새시 프레임의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는 윈도우 프레임의 프레임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새시 프레임의 프레임 프로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제1 환기 덕트 개구부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부를 가지며, 여기서 새시 프레임 및 윈도우 프레임은 제1 폐쇄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환기 덕트 개구부 중 하나 이상을 폐쇄하고 제2 위치 - 환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의 양 환기 덕트 개구부를 개방한다. 이 윈도우 -이하 환기 윈도우라고도 함- 는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가, 적어도 하나의 환기 카트리지 또는,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새시 프레임에 삽입되거나,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에 각각 형성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더욱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덕트의 형성은 번거로운 방식으로 중공 챔버 프로파일에 직접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저히 단순화 된다. 더욱이 거기에 리세스를 제공하거나 형성한 다음, 미리 조립된 환기 카트리지를 리세스(recess)에 삽입, 예를 들어 잠그거나 고정하기에 충분하다. 이를 통해 환기 윈도우에 환기 덕트를 쉽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는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에 닫힌 위치에서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쉽고 바람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기 카트리지는 환기 카트리지의 특히 트로프형(trough-like) 베이스 요소에 삽입되는 인서트(insert)를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에 설치된 환기 카트리지의 인서트는 특히 바람직하게 교체 가능하며, 이는 환기 윈도우의 유지 보수를 단순화한다.
다음,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따른 윈도우 제공하며, 전제부는 청구항 1의 환기 윈도우의 특징을 포함하고, 특징부는 이하의 특징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는,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새시 프레임에 삽입되거나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카트리지 또는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에 형성되고,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는 환기 카트리지의 트로프형 베이스 요소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갖고, 윈도우에 설치된 환기 카트리지의 인서트는 베이스 요소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교체 가능하다. 특히 복잡하지 않은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보수 시 인서트만 교체된다.
윈도우의 개념을 좁게 해석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윈도우 프레임과 그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새시 프레임을 갖는 요소를 포함한다. 윈도우 프레임은 도어의 경우와 같이 주변에 형성되거나 주변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는 이 문서의 의미에서 윈도우이기도 하다. 윈도우는 벽돌의 벽 개구부나 건물의 벽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파사드(facade)의 일부로 설계하거나 그 안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윈도우 프레임 자체가 파사드 구조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간단한 유지 보수를 위해, 환기 카트리지에는 베이스 요소 및 가능하게는 인서트를 덮기 위한 커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는 분리 가능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베이스 요소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실 그루브(seal groove)가 환기 카트리지, 특히 커버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인서트와 커버가 모듈식 교체 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 특히 쉽다.
각각의 인서트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는 필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가 필름, 특히 견고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서트는 공기 흐름의 하나 이상의 편향 및/또는 공기 흐름을 다중 부분의 공기 흐름으로 세분화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방음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는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각각의 리세스에 삽입되는 것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여기서 특히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가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에 삽입되는 것이 또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컴팩트한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간단하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환기 카트리지는 설치된 상태에서 윈도우 프레임의 위쪽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윈도우 카트리지를 위한 환기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환기 카트리지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가 형성되고, 환기 카트리지는 환기 카트리지의 베이스 요소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가지며, 윈도우에 설치된 환기 카트리지의 인서트는 베이스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교체 가능하다. 이 환기 카트리지를 사용하면 환기 윈도우의 유지 관리가 특히 간단해진다.
또한,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가 각각의 경우에 환기 덕트 개구부를 갖고, 이러한 개구부는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해 배향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환기 덕트 개구부가 닫힌 상태에서 정지 실(stop seal) 사이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에 완전히 위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의 외관은 이러한 방식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선호하는 디자인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카트리지를 매우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는 청결 요건(먼지, 곤충 등)을 충족하기 위해 대략 매년 필요하다. 교체에는 기술자가 필요하지 않다.
중간 실이 환기 카트리지, 특히 환기 카트리지의 그루브에 배열되는 경우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간단하다.
또한 새시는 폐쇄 위치에서 환기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한 지점에서 윈도우 프레임에 대해 50 내지 80mm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유리하게 높은 차음값(sound insulating value)을 얻을 수 있다. 2PA(파스칼 기압)에서의 공기 교환은 12m³/h(바람직하게는 >14)일 수 있고 10PA에서는 >25m³/h(바람직하게는 >28)일 수 있다(예를 들어, 풍압이나 정압차로 인한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 꽃가루를 필터링할 수 있는 환기 카트리지에는 합성 극세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 카트리지는 윈도우를 연 후, 예를 들어 1년 이상 후에 쉽게 청소 및/또는 교체할 수 있다. 환기 카트리지는 윈도우 프레임에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클램핑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한다. 환기 카트리지에 이러한 재료가 제공되는 경우 환기 카트리지의 필터 재료를 교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환기 카트리지는 환기 윈도우와 관련된 상기 청구항의 환기 카트리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이 제공되고, 다음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가 환기 덕트가 형성되는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형성되고, 환기 카트리지가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이 리세스에 삽입되며 카트리지가 교체 가능한 인서트를 갖는 이전 청구항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윈도우에 환기 덕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의 영역에서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실 평면(seal plane)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 실 평면은 하나 이상의 실(seal)에 의해 형성되며,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새시 프레임에 대한 접촉 슬라이딩 섹션으로 적어도 환기 위치에서 가압한다.
추가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슬라이딩 섹션이 환기 위치에서 새시 프레임 또는 윈도우 프레임의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에 대해 가압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스트립은 새시 프레임 또는 윈도우 프레임에 형성, 특히 고정되며, 리베이트 공간으로 자유단으로 돌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을 가압하는 구성요소가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최적의 슬라이딩 및/또는 롤링 프로세스가 달성될 수 있도록 모양, 표면 및 재료가 하나 이상의 실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윈도우에 작용하는 힘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대향하는 프레임 상에 배치된 (슬라이딩) 실의 접촉을 위해 배타적으로 의도되고 새시 프레임의 어떠한 추가 정적 기능도 가정하지 않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금속 쉘을 연결하는 단열 스트립의 경우와 같이 정적 기능에 현저히 기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새시 프레임 또는 윈도우 프레임의 일체형 스트립이 아니다. 접촉 슬라이딩 바는 새시를 닫고 열 때 닫는 힘 및 여는 힘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슬라이딩 실이 그 위로 가압될 수 있고 개방 및 폐쇄 운동 중에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다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스트립이나 프로파일과 달리 특히 적용할 수 있는 작업 중 하나이자 장점 중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섹션에서 이격되어, 특히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새시 프레임에 연장되고, 특히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새시 프레임의 2개의 금속 쉘을 서로 연결하고 리베이트 공간의 섹션을 형성하는 새시 프레임의 단열 웹을 향해 섹션에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유리하게는 개방 또는 환기 위치에서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윈도우의 폐쇄 위치에서 접촉하게 되는 실이 중간 실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중간 실은 유리하게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적어도 2개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 섹션으로 분할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공기는 본질적으로 환기 위치에서 2개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 섹션 사이의 환기 덕트를 통해서만 교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간 실은 실 베이스 및 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실 섹션을 가지며, 이는 실 베이스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실 섹션은 각각의 환기 덕트가 형성된 영역 또는 영역들에서 임의의 경우에, 환기 위치에서 그 자유단에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의 접촉 슬라이딩 섹션과 가압된다. 2개 이상의 그러한 중간 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의 영역에서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폐쇄 상태에서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의 실 평면이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1개 또는 2개의 실 평면은 또한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정지 실에 의해 여기 형성될 수 있다. 이 실 평면은 새시가 닫힌 상태에서만 존재한다. 새시를 열면 윈도우가 환기 위치에 놓이게 되어, 공기가 열린 실 평면과 설치된 상태의 윈도우의 공간 사이의 환기 덕트를 통해 교환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내부와 외부 사이에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중간 실이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되고 특히 환기 위치에서 새시 프레임과 접촉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중간 실이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되고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새시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각각의 대응하는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코너 영역 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단열 웹에 측 방향으로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금속 쉘 상의 단부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그루브 등과 같은 접촉 실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새시 프레임의 이 영역에 형성되고 잘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 옵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간 실이 환기 상태 및 폐쇄 상태 모두에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에 대해 가압되도록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중간 실이 제공되는 경우 2개의 중간 실 중 1개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다른 하나는 폐쇄 위치에서 접점 슬라이딩 스트립에 대해서만 누르도록 설계되되, 환기 덕트에 대한 접근이 해제되도록 환기 위치에서는 이격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중간 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가 각각 유연하게 설계된 하나 이상의 실 립(seal lip)을 갖는 립 실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실 립이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 상의 접촉에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새시의 개방 운동 또는 폐쇄 운동을 거의 방해하거나 전혀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 변형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윈도우 프레임 및/또는 새시 프레임의 모든 다중 챔버 프로파일이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금속 및 플라스틱과 같은 복수 개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 프레임 및 새시 프레임은 각각 하나 이상의 금속 쉘 및 하나의 금속 쉘 위 또는 두 금속 쉘 사이의 단열 웹 평면을 포함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금속 쉘 및 각각의 금속 쉘 사이에 2개의 단열 웹 구역을 갖는 새시 프레임 및/또는 윈도우 프레임과 같은 다른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추가 옵션에 따르면, 윈도우 프레임 및/또는 새시 프레임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변형예에 따라 본질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중 챔버 프로파일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 인레이(inray)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강 인레이는 금속 프로파일(예: 튜브)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튜브와 같은 강철 튜브를 PVC 프로파일에 간단히 삽입하고 보강 인레이로 제자리에 나사로 고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강화 보강재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과 함께 공압출(co-extrusion)에서 보강재로 제조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홀딩 그루브에 삽입되어 그 안에 유지되는 실은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정지 실 및/또는 중간 실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실은 비교적 저렴하고 무엇보다도 설치가 쉽다. 이들 실은 코너를 자르지 않고 사방에 놓을 수 있다. 홀딩 그루브의 배치로 인해 실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실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작고 얇은 벽의 실은 실 스톱에 대한 약간의 저항만 제공한다. 또한 내성에 취약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요소의 작동력은 유리하게 최소화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부 폭(작동 동안 거의 감지할 수 없음)은 폐쇄 수단, 단열 웹으로 인해 처음에 언급된 선행 기술을 초래한다. 이것은 길이가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서, 슬라이딩 실 립은 새시 프로파일의 외부 프로파일 가장자리까지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폐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큰 개구부 폭("W")이 달성된다. 프로파일 폭("B")에 따라 50~80mm가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실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실 립의 길이도 관련이 있다. 전반적으로 더 큰 너비도 가능하다. 55 내지 65mm의 폭이 특히 바람직하다. Wmax = B - 25mm는 차음 환기를 위한 최대 개구부 폭에 대한 공식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중간 실이 실 베이스와 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실 섹션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실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선회 가능한 실 립으로 형성된다. 실 섹션, 특히 실 립은 관절식으로 실 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나머지 종속항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다른 방식으로 그대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동등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a 및 b 각각에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윈도우는 a에서 폐쇄 또는 잠금 위치 및 b에서 환기 위치로 도시된다.
도 2는 a 및 b 각각에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윈도우는 a에서 폐쇄 위치 및 b에서 닫힌 위치로 도시된다.
도 3은 a에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3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윈도우는 b 및 c에서 폐쇄 위치로 도시되고, 예를 들어 a의 윈도우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4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을 통한 제1 단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윈도우는 b에서 폐쇄 위치 및 c에서 환기 카트리지의 영역 외측의 환기 위치로 도시되고, d 및 e에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4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다른 상부 섹션을 통한 제2 단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윈도우는 d에서 폐쇄 위치 및 e에서 환기 위치로 도시된다.
도 4는 a 및 b에서 추가 환기 윈도우용 윈도우 프레임의 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환기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삽입 가능한 인서트를 갖는 도 5의 제1 환기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인서트를 본질적으로 보여주는 도 6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환기 카트리지 단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추가 환기 윈도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환기 윈도우의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부착 프로파일을 배치하는 동안 도 9 및 도 10의 환기 윈도우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인서트를 삽입하는 동안 도 10 및 도 11의 환기 윈도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인서트 삽입 후의 도 11의 환기 윈도우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a)에서 h)까지 다양한 인서트가 있는 환기 카트리지의 단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의 다음 설명에서 설명된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별적인 특징은 유리하게 예시적인 실시예의 각각의 추가적인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또한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이 주요 청구항 및 종속항 중 하나 이상에 설명된 주제의 유리한 실시예로서 적합하다.
도 1은 윈도우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윈도우는 주변 윈도우 프레임(1)을 포함한다. 이것은 프레임 형상, 특히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로 구성된다.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새시는 윈도우 프레임(1)에 배치된다. 새시는 바람직하게는 주변이 폐쇄된 새시 프레임(2) 및 셀 프레임(2) 내로 삽입되고 그에 의해 수용되는 창유리(windowpane)와 같은 평면 요소(3)를 포함한다. 새시 프레임(2)은 새시 형상, 특히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사운드 프레임 프로파일(2')로 구성된다.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및/또는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은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프로파일은 플라스틱 프로파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소위 복합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3). 그런 다음 이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금속 프로파일(여기서는 금속 쉘이라고도 함)과 하나 이상의 단열 웹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열 웹 평면을 통해 두 개의 금속 프로파일 평면이 서로 연결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추가적인 구조적 형태도 생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하나의 금속 프로파일 평면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단열 프로파일 평면을 갖는 구조적 형태 및 3개의 금속 프로파일 평면과 두 개의 단열 프로파일 평면을 갖는 구조적 형태가 있다.
바람직하게 주변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은 윈도우 프레임(1)과 새시 프레임(2) 또는 이들의 프레임 프로파일(1', 2') 사이에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형성된다. 이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은 기본적으로 새시 프레임(2)의 외주와 윈도우 프레임(1)의 내주 사이에 연장된다.
도 1 또는 도 3의 각각의 윈도우는 건물의 공간 개구부(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음)를 닫고 열 수 있도록 사용되며, 여기서 공간(I)(예를 들어 건물의 주변 공간)은 공간(II)(예를 들어 건물의 내부 공간)에서 분리되어 있다.
용어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1" 및 "윈도우 프레임 1" 및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 2'" 및 "아웃 프레임 2"은 이하에서 이와 관련하여 각각 교환 가능한 것으로 사용된다. 이는 후술하는 수단 및 실시예 각각이 바람직하게 주변부로 형성되거나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 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새시 프레임(2)과 윈도우 프레임(1)의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중 하나(예를 들어, 관절 축에 반대되는 프레임 프로파일)에만 각각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새시 프레임(2) 및 윈도우 프레임(1)의 복수 개의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윈도우 프레임의 측면에도 상응하는 간극이 형성되지만, 이는 피봇 개구부의 경우 일정한 폭을 갖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기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유형의 환기 덕트(8)가 특히 이러한 측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새시 프레임(2)은 - 바람직하게는 일측 또는 인접 공간(II)를 향하여 - 접촉 웹(4)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사용하여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직접 또는 새시 프레임(2)에 부착된 정지 실(5)을 통해 가압한다. 유사하게 - 바람직하게는 다른 쪽을 향하거나 다른 인접 공간(I)을 향하여 - 윈도우 프레임(1)은 닫힌 위치에서 윈도우 프레임(1)을 직접 가압하거나 접촉 웹(6)에 부착된 정지 실(7)을 통해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와 공간(I) 또는(II) 사이의 갭(SII)와 갭(SI)는 긴밀하게 폐쇄된다.
여기에서는 적어도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에서 -여기에서는 윈도우 프레임(1)에서- 제1 환기 덕트 개구부(9)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부(9)를 갖는 환기 덕트(8)(점선으로 표시됨)가 형성된다. 환기 덕트 개구부(9, 10)는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으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 덕트(8)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환기 덕트(8)가 형성되는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의 적어도 중공 프로파일 또는 프로파일들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것이 도 1에 따라 제공된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이러한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공간 측면(I)과 공간(II) 사이에 3개 이상의 중공 챔버(H1, H2, ...)를 갖는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7개의 중공 챔버(H1 내지 H7)가 공간(I)과 공간(II) 사이에 제공된다("내부에서 외부로"). 특히(I)-II 방향에 수직인 접촉 웹의 영역에 추가의 중공 챔버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매우 우수한 단열 특성을 보장한다. 프로파일의 내부에 있는 중공 챔버 사이의 중간 벽은 특히 공간(I) 및 공간(II)를 향해 외벽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추가 중공 챔버(H8, H9, H10, H11)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추가 중공 챔버(H8, H9) 중 하나 이상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접촉 웹(4 또는 6)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다시 한 번 방음 및 단열을 개선한다.
유리하게는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의 모든 중공 프로파일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플라스틱이 재료로 적합하다. 플라스틱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PVC이다. 또한, 윈도우 프레임(1)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챔버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새시 프레임(2)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챔버 중공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강화 보강재(11)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강화 보강재(11, 12)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 다중 챔버 프로파일과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금속 프로파일, 예를 들어 금속 바 또는 금속 플레이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플라스틱, 예를 들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강화 보강재로도 설계될 수 있다.
다중 챔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제1 공간측(I)을 향해 연속 플라스틱 외벽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제2 공간측(II)을 향해 연속 플라스틱 외벽을 갖는다.
또한, 환기 덕트(8)는 리세스(13), 특히 밀링된 그루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링된 그루브는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에서 시작하여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환기 덕트(8)가 환기 카트리지(14)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는 리세스(13), 특히 밀링된 그루브(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환기 카트리지(14)는 또한 프레임 프로파일당 또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여러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덕트(8)는 각각의 경우에 주변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의 단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파일에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14)가 그루브진 또는 트로프형(trough-like) 베이스 요소(15)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14)가 커버(16)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커버(16)는 바람직하게 여기에서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향해 배향되어 위치된다.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 내로 연장되는 중간 실(18)은 바람직하게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형성된다. 중간 실(18)은 환기 카트리지(14), 특히 커버(16)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실(18)을 위한 고정 수단, 특히 언더컷 그루브(17)이 환기 카트리지(14), 특히 커버(16)에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중간 실(18)은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실 바텀(21)을 갖는 실 베이스(20)를 가질 수 있다. 실(18)은 또한 실 베이스(2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 실 섹션(22)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단일 실 립(도 1a 및 도 1b)으로 형성되거나 두 개 이상의 실 립(도 2a 및 2b)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 섹션(22)은 특히 그 자체로 만곡된 실 립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추가 조인트 섹션을 가질 수 있어,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더 긴 립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2개의 립 영역으로 분할된다.
실 섹션(22)이 실 베이스(21)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그것이 새시 프레임(2)과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다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섹션과 함께 거기에 적용된다. 이 단부 섹션은 구부릴 수 있다.
실 섹션(22)은 단부 섹션으로서 접촉 슬라이딩 섹션(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윈도우 프레임(1)과 새시 프레임(2)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경우에 상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여기서는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에 잘 안착 및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용된 실 표면에 의해 눈에 띄게 방해되지 않으면서 조화롭고 용이한 개방 운동이 발생한다.
접촉 슬라이딩 섹션(23)은 바람직하게는 환기 덕트(8)가 또한 각각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제공되는 중간 실에 제공된다. 이것은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의 한 면 또는 여러 면, 바람직하게는 3면에 있을 수 있다. 틸팅 윈도우인 경우에는 틸팅축이 위치하는 측에 환기 덕트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촉 슬라이딩 섹션(23)은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실 섹션(22)은, 그 사이에서 환기 덕트(8)를 통해서만 공기 교환이 본질적으로 일어나는 2개의 영역으로 환기 위치에서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나누도록, 소정의 개방 각도에 걸쳐 새시의 개방 시에 새시 프레임(2)과 초기에 접촉해 있거나, 또는 설명될 환기 위치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새시 프레임(2)과 접촉하거나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 실(18)은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FI, FII)(공간(I) 및 공간(II)를 향한 방향에 해당)으로 분할하며, 그 사이에서, 윈도우 프레임(1)에 형성된 환기 덕트(8)를 통해서만 공기 교환이 여전히 가능하다.
환기 덕트(8)가 윈도우 프레임(1)에 배치되는 경우, 대안적으로 중간 실이 새시 프레임(2)에 고정되고 윈도우 프레임(1)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 섹션(22)은, 그 사이에서 환기 덕트(8)를 통해서만 공기 교환이 본질적으로 일어나는 2개의 영역으로 환기 위치에서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나누도록, 소정의 개방 각도에 걸쳐 윈도우 프레임(1)과 초기에 접촉해 있거나, 또는 설명될 환기 위치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윈도우 프레임(1)과 접촉하거나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치가 "완전히" 반전될 수도 있다는 점에 다시 한 번 유의해야 하며, 그러면 환기 덕트는 새시 프레임(2)에 위치하게 된다. 중간 실(18)의 배치는 새시 프레임(2)에서 윈도우 프레임(1)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일어날 수 있다.
도 1b의 환기 위치(L)에서, 새시는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개방 위치, 특히 피봇 및/또는 변위된 위치로 이동되었다. 이 개방 위치는 환기 위치이다. 이것은 기울일 때나 회전할 때 등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위치에 해당할 수 있지만 필수 사항은 아니다.
정지 실(5, 7)이 더 이상 윈도우 프레임(1) 또는 새시 프레임(2)과 각각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갭(SI) 및 갭(SII)은 이 위치에서 개방된다. 중간 실(18)은 여전히 새시 프레임(2)과 접촉하고 있다. 새시는 여전히 부분적으로 윈도우 프레임 2에 의해 정의된 원주 내부에 있다. 중간 실(18)이 공간(FI) 및 공간(FII) 사이의 직접적인 전환을 차단하기 때문에, 공기 교환은 이러한 공간(FI)와 공간(FII) 사이에서만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공기 교환도 환기 덕트를 통해서만 공간(I) 및 공간(II)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환기 효과와 방음 효과의 매우 유리한 조합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공간(I)이 건물의 주변 공간이고 공간(II)가 건물의 내부 공간(II)인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SI),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 섹션(FI), 환기 덕트(8),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 섹션(FII) 및 내부 공간(I)로의 갭(SII)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다. 특히 소리는 환기 덕트의 방향 편파에 유리하게 감쇠된다.
통과하는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환기 덕트 내부에서 한 번 또는 여러 번 방향을 변경해야 한다. 이것은 차음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환기 덕트(8)는 제1 환기 덕트 개구(9)와 제2 환기 덕트 개구(10)를 갖는다. 이들 2개의 환기 덕트 개구(9, 10)는 환기 카트리지(14)에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환기 덕트 개구(9, 10)는 바람직하게는 커버(16)에 형성된다.
또한 유리하게는 하나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환기 덕트 개구(9, 10)가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환기 카트리지 내부 공간을 구획으로 나누는 적어도 하나의 벽(19)이 환기 카트리지(14)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벽(19)은 적어도 하나의 통로(19a)를 가질 수 있다. 환기 덕트 개구(9, 10) 중 하나는 각 섹션에 배치된다.
여기서 환기 덕트(8)는 환기 카트리지(14) 내부에서(또는 환기 카트리지 없이) 대략 U자 형태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장된다. 이는 평면 요소(3)에 대략 평행한 제1 환기 덕트 개구(9)로부터 환기 카트리지(14)로 연장되고, 그 다음 평면 요소(3)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시 환기 덕트 개구(10)까지 평면 요소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여러 번 바뀐다. 이것은 공간(I)에서 공간(II)로 또는 그 반대로 소리의 통과를 감쇠하거나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기를 위한 공기 흐름은 공간(I)에서 공간(II)으로 통과할 수 있다.
환기 카트리지(15)는 또한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예를 들어,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3b 내지 도 3d 참조)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과 유사하게 도 3에서 챔버, 특히 윈도우 프레임의 밀링된 그루브로 삽입될 수 있고/있거나 그 영역에서 달리 제공된 하나 이상의 단열 웹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환기 덕트는 윈도우 프레임에 덕트형 밀링 그루브로 직접 형성하거나 이러한 밀링 그루브에 삽입되는 덕트형 요소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이 새시 프레임(2) 또는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중간 실(18)이 환기 위치 L에서 그것들을 누를 수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대안적으로 또한 중간 실(18)이 폐쇄 위치에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이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의 코너 영역에서 및/또는 그로부터 비교적 멀리 측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코너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개방 및 환기 위치에서 대응하는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에 가장 가까운 코너 영역이다. 따라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예를 들어 단열 판유리의 내부 및 외부 가장자리 평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외부에 측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이다. 이것은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금속 프로파일 중 하나, 특히 이 디자인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 하나에 바람직하게 고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또한 리베이트 공간 내로 충분히 멀리 연장될 수 있지만, 중간 실(18)는 폐쇄 상태에서도 그 위로 가압된다.
비교적 큰 개구부 폭은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기는 본질적으로 환기 덕트(8)를 통해 공간(I)과 공간(II) 사이에서만 교환될 수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공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또한 유리하게는 각각의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 상의 체결, 예를 들어 텅(tongue) 및 그루브 연결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부착 스트립으로 설계될 수 있다.
프레임 프로파일, 특히 공간(I) 및(II)를 향한 외벽은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PVC로 형성된다. 내부 보강 프로파일 또는 보강 보강재를 제외하고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들은 특히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외벽은 바람직하게는 2-4mm의 두께를 갖는 반면, 중공 챔버(H1-H7)를 형성하는 격벽의 두께는 1-2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금속으로 만들어진 추가 강화 보강재(10, 11)는 정적 강화를 위해 중공 챔버에 선택적으로 배열되고 이들을 더 세분화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보강 프로파일이 내장된 강화 보강재가 프레임 프로파일(1', 2')로 사용되며, 여기서 강화 보강재는 알루미늄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공압출(co-extrusion)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정지 실(내측/외부)(5, 7) 및 중간 실(18)이 주변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4개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반면, 실 섹션은 프레임의 모든 측면에 제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서, 접촉 슬라이딩 섹션(23)은 새시 프레임(2)의 외측 프로파일 가장자리까지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 또는 갭을 닫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 기술에 비해 더 큰 개구부 폭("W")이 달성된다. 프로파일 폭(공간(I)와 공간(II) 사이의 "B")에 따라 50~80mm가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슬라이딩 실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실 립의 길이도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위치에서 비교적 큰 개구 폭을 구현할 수 있다. 55 내지 65mm의 폭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음 환기를 위한 최대 개구부 폭에 대한 공식으로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Wmax = B - 25mm.
알루미늄 복합 디자인과 비교하여 훨씬 더 많은 수의 중공 챔버는 차음과 관련하여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을 사용하여 새시 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딩 실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재료와 표면 구조가 서로 적응된다. 슬라이딩 실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측에서 조면화된 표면 구조를 갖는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마찰 코팅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에도 표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챔버(H7)는 바람직하게는 환기 덕트로 직접 사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방음 이유로 유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2개의 챔버가 환기 카트리지 벽과 외부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따르면, 도 1a 및 b의 설계에 추가로 실 베이스(20)에서 중간 실(18)에 형성되는 실 립(25)이 제공되며, 이는 폐쇄 상태에서 새시 프레임(2)을 압박하고, 유리하게는 4개의 실 평면이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의 섹션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그것이 가압되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실(들)에 적합한 구성요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최적의 슬라이딩 및/또는 롤링 프로세스가 달성되도록 형상, 표면 및 재료가 실에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윈도우에 작용하는 힘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실은 그들이 더 이상 프레임 프로파일과 접촉하지 않을 때까지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 상에서 "슬라이딩/롤링"한다.
약간 거친 표면에서 최상의 마찰 계수를 얻을 수 있다. 단열 웹은 일반적으로 매우 매끄럽기 때문에 실이 그 위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으로, 금속, 특히 알루미늄은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을 위한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거친 표면은 깊은 기공 양극산화에 의해 한 가지 유리한 변형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건조 후 약간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특수 래커(lacquer)는 또한 약간 거친 표면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라스틱을 적용하거나 압출 코팅할 수도 있으므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에 적합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압출 코팅은 예를 들어 압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실에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것은 시스템 단열 웹에서는 불가능하다.
실이 단열 웹에서 분리될 때까지 환기 윈도우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 점은 개구부 폭의 경계를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상당히 더 긴 실에 대한 접촉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 더 큰 개구부 폭이 달성될 수 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특히 유리하게는 프레임 프로파일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여 더 큰 개구부 폭을 가능하게 한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고정될 리베이트를 향한 프레임 프로파일의 측면에 연결된다. 나사, 리벳, 클립, 접착 본딩 등과 같은 알려진 연결 옵션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자체적으로 제안된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을 모서리에 가까운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102)의 리베이트 측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내부 공간 또는 외부 공간을 향해 위치한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위치에 상대적으로 큰 개구부 폭을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a 및 b 내지 e의 각 경우에,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과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102)로 구성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알루미늄 복합재 프로파일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 내지 도 3e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이 고정될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외측 가장자리는 따라서 외부 알루미늄 프로파일 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프레임 프로파일 시스템에서 필요한 경우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스트립은 수리 또는 마모 시에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은 이 변형예에서 제1 금속 쉘(101a) 및 제2 금속 쉘(10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금속 쉘(101a, 101b)은 단열 웹(101c)(또는 다중 단열 웹)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102)은 또한 제1 금속 쉘(102a) 및 제2 금속 쉘(10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금속 쉘(102a, 102b)은 단열 웹(102c)(또는 다중 단열 웹)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금속 쉘(101a, 102a)은 설치된 상태에서 건물의 외측(I)을 향하여 배향될 수 있고, 제2 금속 쉘은 건물의 내측(II)을 향하여 배향될 수 있다. 새시 프레임에는 단열 유리판(103)이 삽입된다.
중간 실(104) 및 슬라이딩 실(105)은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의 리베이트(F)에 배치된다. 이들은 윈도우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실(105)은 또한 기능적으로 일종의 중간 실을 형성하고 중간 실(104)은 일종의 접촉 실을 형성하며, 여기서 후자는 개방 시 새시에서 들어 올려지며, 이는 중간 실과 접촉 실 및 슬라이딩 실(105)의 경우가 아니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의 변형은 리베이트(F)의 실(104, 105) 반대편에 제공된다. 이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은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102)의 외측(I) 영역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것은 고정 단부(124a)(고정 베이스(124a) 또는 고정 바텀으로도 불릴 수 있음)를 갖는다. 체결 바텀은 그루브(102d)에 맞물리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 안에 클램핑 및/또는 잠길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베이스(124a)는 특히 제1 금속 쉘(102a)에서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그루브(102b)에(바람직하게는 외측(I) 쪽으로) 맞물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체결 단부(124a)는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거기에 체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단부(124a)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은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 방향으로 리베이트(F) 내로 다소 돌출한 다음, 새시 프레임(102)의 제2 금속 쉘(102b)의 방향으로 그에 인접한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단열 웹(102c)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나, 이와 접촉하지는 않는다.
도 3b 내지 도 3e의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그 단부에 케이블 리셉터클 리세스(134)을 가지며, 이 리세스에 케이블(135),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기 및/또는 광 전도체(들)를 갖는 케이블(135)이 유지, 예를 들어 잠길 수 있다.
케이블 리셉터클 리세스는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102)의 단열 웹(102c)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35)은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리셉터클 리세스(134)에 잘 유지되고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에 의해 리베이트를 향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은 여기에서 케이블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여 새시 프레임에 케이블을 놓는 것을 크게 단순화한다. 윈도우 프레임에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을 갖는 역설계에서, 윈도우 프레임에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은 그에 따라 단순화된다(도시되지 않음).
도 3a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2개의 실(104, 105), 즉 중간 실(104)과 슬라이딩 실(105)은 모두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은 새시 프레임의 단열 웹 너머로 리베이트에서 돌출하지만 열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단열 웹 위에 놓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갭(X)이 부분적으로 단열 웹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유리한 실시예로 인해,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은 특히 새시의 개방 및 폐쇄 동안 작용하는 힘을 회피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 새시를 열고 닫을 때 작동력을 감소시킨다. 복합 디자인의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124)은 단열 웹(102c)의 대략 중간까지 양호한 실시예에서 확실히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더 길게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실(104, 105)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슬라이딩 실(105)이 새시의 개방 위치에서 여전히 그 상부를 누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도 1b와 마찬가지로 또는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환기 카트리지(14)가 각각에 제공되는 추가적인 환기 윈도우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윈도우는 도 1, 도 2 또는 도 3a 또는 도 3b 내지 도 3e의 유형에 따라 그 자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또한 그로부터 세부적으로 벗어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 설명은 환기 카트리지(14) 또는 윈도우의 구조와 관련된 특히 바람직한 특징 및 변형에 관한 것이며, 이는 각각의 환기 윈도우의 구조에 환기 카트리지(14)의 통합에 관한 것이다. 후술하는 환기 카트리지(14)의 특징은 도 1 내지 도 3에 형성된 윈도우 또는 다르게 구성된 윈도우에 유리한 옵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및 조합하여 유리해질 수 있으며, 즉,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보호 범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이를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윈도우에서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부분적으로만 직접 삽입된 환기 덕트를 교체한다.
따라서, 도 4는 a 및 b에서 도 3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또는 그 이상)의 환기 카트리지를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추가 환기 윈도우의 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14)는 차례로 채널형 또는 트로프형 베이스 요소(15)를 갖는다. 이 베이스 요소(15)는 또한 여기에서 상자형으로 만들어진다. 베이스 요소(15)는 베이스 측면과 4개의 측면이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 리베이트를 향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14)가 특히 이러한 개방 측면에서 커버(16)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로(16a)가 이 커버(16)에 제공될 수 있다. 커버(16)와 함께, 베이스 요소(14)는 통로(16)를 제외하고 모든 주위가 폐쇄된 상자를 형성한다. 통로(16a, 16b) 중 적어도 2개는 바람직하게는 제공된다. 제1 통로(16a)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환기 덕트 개구(9)를 형성하고 다른 제2 통로(9b)는 제2 환기 덕트 개구(10)를 형성한다.
그러나, 복수 개의 제1 통로(16a)는 또한 제1 환기 덕트 개구(9)를 공동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통로(9b)는 제2 환기 덕트 개구(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환기 덕트 개구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는 각각 제1 및 제2 웹(16c, 16d)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15)는 그 다음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주변 플랜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6)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웹(161) 또는 앵글 또는 대응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커버(16)는 베이스 요소(15)의 가장자리 또는 플랜지(151) 상의 설치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베이스 요소(15) 상의 커버(16)의 정의된 위치는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베이스 요소(15)의 플랜지(151)는 베이스 요소(15)를 프레임 -여기서는 윈도우 프레임- 의 리세스(13)에 삽입할 때 유리한 삽입 한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에 리세스(14)에 올바르게 끼워질 수 있다(특히 도 6 및 도 13 참조).
환기 카트리지(14)의 내부 공간은 이들 제1 통로 및 제2 통로(16a, 16b)에 적합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환기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채워지지 않고 비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수한 환기 효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도 1a의 예를 통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환기 카트리지(14)의 내부 공간이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음향 보호를 더욱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을 정화하기 위해 선택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인서트(141)는 환기 카트리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이 세분을 달성할 수 있다. 인서트(141)는 교체 가능한 인서트로서 특히(반드시 그렇지는 않음) 유리하다. 따라서 인서트는 필터 재료(142)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자는 환기 카트리지(14)를 통해 흐를 때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축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 흐름은 환기 카트리지(14)를 통해 흐를 때 필터링에 의해 유리하게 정화된다(도 14 참조).
환기 덕트(8)가 환기 카트리지(14) 내부로 연장되는 한, 내부에 단일 덕트만 형성할 수 있거나 차례로 다중 서브 덕트(8a, 8b, 8c, …)로 세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환기 효과를 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방음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설치 위치의 현지 조건에 따라 외부 환경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건물의 조용한 쪽을 향한 윈도우보다 통행이 많은 도로에 있는 건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환기 윈도우의 우수한 방음 장치에 더 많은 가치를 둘 수 있다.
음향 보호를 최적화하기 위해, 인서트(141)는 단일 재료(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필터 재료(142))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추가 재료는 특히 음향 보호를 더욱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재료(141)가 필름(143), 예를 들어 소위 내구성이 강한 필름으로 한쪽 면에 코팅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커버(16)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향하여 배향된다.
커버가 환기 카트리지(1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우, 특히 교체 가능한 인서트(141)가 환기 카트리지에 삽입되는 경우 유리하다. 또한 인서트(141)와 함께 모듈식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커버(16)가 도구 없이 완전히 또는 거의 다시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커버(16)가 환기 카트리지(14)에 고정되도록 선택적으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고 베이스 요소(15) 등의 돌출부(144)의 가장자리 아래에 고정 및/또는 클램핑될 수 있는 잠금 레버(144)를 갖는 유형의 신속 폐쇄부(143)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141)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환기 카트리지(14)의 커버를 고정하는 나사를 풀기 위해 인서트를 교체하기 위해 도구가 사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실(18)는 커버(16)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리베이트를 향하는 측면에 이러한 목적을 위한 그루브(17)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대응하는 (여기서: 중간) 실(18)의 실 바텀(21)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그루브는 윈도우 프레임의 리베이트에 있는 해당 그루브와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윈도우 프레임의 이 그루브는 유리하게는 이 프레임 측에서 중단되지 않고, 상응하는 실은 또한 환기 카트리지(14)의 영역에 단단히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14)의 인서트(141)가 작동 중에 쉽게 교체될 수 있고, 따라서 최종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은 교체 가능한 인서트(141)를 갖는 환기 카트리지(14)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 인서트 교체는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교체와 같이 비교적 간단하다. 전반적으로, 환기 카트리지(14) 자체도 설치하기 쉽다. 환기 카트리지(14)는 특히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리베이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a는 또한 추가 프로파일(110)(도 4, 도 11)이 여기에서 상부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에 배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추가 프로파일(110)은 윈도우 프레임(1)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도 10의 방향 지정에 대응, 아래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더 높은 환기 카트리지(14)가 윈도우 프레임(1)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3, 특히 도 10에서 특히 보다 명백하다. 이는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과 설치된 위치에서 상부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의 외부에 배치된 추가 프로파일 모두가 각각의 환기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대응하는 리세스(13)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환기 카트리지(4)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프레임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단열 웹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웹으로 형성된 단열 웹 영역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열 웹에 대해서는 도 3a 참조, 카트리지(14)는 여기에 표시되지 않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이들만) 리세스(13)를 포함하는 단열 웹(101c)의 영역에 제공될 것이다).
도 3b 내지 도 3e에 따르면,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환기 덕트(8)는 또한 리세스(13), 특히 밀링된 그루브 내로 각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 카트리지(14)에 형성되며, 이는 윈도우 프레임(1)(또는 새시 프레임(2))의 내부에,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에서 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환기 카트리지(14)가 밀링된 그루브 내로 차례로 삽입된다.
리세스(13)는 바람직하게는 단열 웹(101c)이 이 영역에서 완전히 제거되도록 환기 카트리지(14)의 이 영역에 형성된다. 리셉터클 그루브(101d)의 일부는 또한 중공 챔버 또는 챔버들(101e)로 이루어진 중공 챔버 평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밀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된 그루브(13)를 가공하는 것은 쉽다. 환기 카트리지(14)는 단열 웹 대신 단열을 담당한다.
환기 덕트(8)가 형성되는 각 프레임 측면에서, 환기 덕트(8)는 또한 각 프레임 섹션/프레임 스파(spar)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 3b 내지 도 3e에 따라 연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도 3b 및 도 3c의 섹션이, 다른 한편으로는 도 3d 및 도 3e의 섹선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환기 카트리지가 예를 들어 일 프레임 측에 서로 이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다수의 리세스(103c)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기 카트리지(14)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요한 리세스(들)(13)(도 3b 내지 도 3e)에 따른 통로일 수 있는)가 금속 쉘 및/또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열 프로파일(101c)에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프로파일의 처리는 환기 카트리지(14)를 제공할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더 복잡하지 않다. 환기 카트리지(14)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및/또는 잠금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나사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거기에 고정된다.
매우 좁은 프레임 프로파일에도 환기 카트리지(14)를 삽입할 수 있도록 프레임 -여기서는 윈도우 프레임 1- 을 환기 카트리지(14) 영역에서 더 높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돌출된 카트리지(프로파일을 통해)는 주변 벽돌(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음)의 구멍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환기 카트리지(14) 중 3개는 윈도우 프레임(1)의 상부 스파(spar) 또는 상부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에 형성되거나 도 9의 예로서 그 안에 삽입된다. 이에 상응하여 여기에서 3개의 리세스(13)인 많은 리세스(13)가 이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에 형성될 수 있다. 왼쪽 및 오른쪽 환기 카트리지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 환기 카트리지(14) 중 중앙의 하나는 설치 전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 삽입되는 윈도우 프레임(1)의 리세스(13)에 가깝다.
카트리지는 수직 방향 윈도우의 설치 위치에서 상부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호하는 설치 방향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또는 여기에서는 리베이트에서 리세스로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이다. 그것들은 예를 들어 리세스(13)의 대응하는 캐치 가장자리 뒤의 캐치 가장자리를 사용하여 그 안에 잠길 수 있다(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
그러나 외부에서, 따라서 리베이트 면의 반대쪽에서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 카트리지(14)의 이러한 설치는 교체 가능한 인서트(141)가 제공되는 경우 초기 설치 동안 한 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환기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도 있다. 환기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추가 옵션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또한 측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교체 가능한 인서트(141)를 포함할 수 있거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는 시각적인 이유로 덜 바람직하다.
환기 카트리지(14)의 수와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방식에서 특히 유리하지만, 조건 및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되거나 적용될 수도 있다.
개별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요소(14), 커버(16) 및 인서트(141)로 구성되며, 여기서 두 개의 후자의 요소는 또한 교체 가능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 환기 카트리지(14)(도 10)의 폭(b)은 30 내지 70mm이다. 이것은 유리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해당 너비의 일반적인 단열 웹에 잘 통합될 수 있다. 길이는 그 자체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150mm 내지 250mm 길이(길이(I))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여, 인서트(141)의 설치 및 특히 교체가 수행하기 쉽게 유지되도록 한다. 길이(I) = 200mm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기 카트리지(14)(도 10 참조)의 깊이 또는 높이(h)는 그 자체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mm, 특히 60 내지 120mm이다. 90mm의 높이(h)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기 카트리지(14)는 프로필 리베이트와 같은 높이로 설치/설치될 수 있다. 공지된 고정 수단 및 고정 방법, 예를 들어 나사 조임, 클램핑, 클리핑 등이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 그루브 블록도 사용할 수 있다. 커버를 위한 고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자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1/4원(quarter-circle) 레버이다. 클립 레버도 가능하다.
커버(16)는 그루브(17) 또는 여기에서 대응하는 그루브 윤곽을 포함하여 중간 실을 수용한다. 프로파일의 리베이트 표면을 에뮬레이트(emulate)하는 추가 그루브 또는 윤곽이 가능하다.
박스(141)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공지된 생산 방법, 예를 들어, 여러 벽 부품으로부터 접착 결합 또는 용접이 가능하다.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그러나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이 선호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16)는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통로(16a, 16b)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길이가 대략 20mm, 너비가 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너비가 20mm인 웹(16c, 16d)으로 세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종방향 웹의 양쪽에 있는 빗살형 디자인은 예를 들어 여기에서 그루브(17)인 이러한 방식을 초래한다.
커버(16)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중간 실(18)을 위한 리셉터클 그루브(17)와 함께 리베이트 윤곽을 에뮬레이트하며, 여기서 또한 "슬라이딩 실"을 형성하며, 이는 새시가 부분적으로 개방될 때 윈도우 프레임과 새시 프레임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대안으로, 실은 이미 커버의 필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루브 또는 실은 덕트(8)의 입구 개구와 출구 개구 또는 통로(16a, 16b)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개구부가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지만, 차음 및 다량의 공기(차음 및 다량의 공기 - 요구 사항에 따라 다름)를 위해 카트리지당 다수의 개구부 및 별도의 환기 덕트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충분한 양의 공기/공기 처리량이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는 지나치게 작을 수 없다. 입구와 출구를 위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구멍이 최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단일 U자형 환기 덕트는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덕트(8a, 8b, 8c, …)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다른 주파수 범위는 덕트 단면을 변경하여 다소 잘 감쇠될 수 있다. 따라서 "풍력 터빈 소음"이나 "운동장 소음"을 감쇠하는 것과는 다른 "차음재가 있는 커버"를 거리 소음을 감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 시스템은 고객 요구 사항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시스템은 나중에 쉽게 변경할 수도 있다.
커버(16)는 박스에 설치하거나 나사, 클립, 레버 기구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지 보수 작업을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한다.
실용적인 취급을 위해 커버(16)와 인서트(14)는 함께 모듈식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유지보수 기간이 경과한 경우 유지보수 동안 공동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그 후에 필터 재료(141) 또는 전체 인서트(141)를 교체하는 것이 권장된다.
인서트(141)는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커버(16)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음재(142)는 공지된 발포재를 고려한다. 전술한 헤비 듀티(heavy-duty) 필름(143)이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EVA 및 역청(bitumen)과 같은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성능에 대한 주요 데이터는 방음 값(dB), 기압(PA) 및 공기 처리량(m³/h)이다.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한 변수를 개선하면 다른 변수가 악화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성능 데이터는 설계 조치 및 최적의 재료 선택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에 예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다음 값이 달성될 수 있다.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 2 PA에서 12.7 m3/h의 공기 처리량 및 10 PA에서 28.7 m3/h 및 기울어진 윈도우의 방음 = 32 dB (폐쇄 = 47 dB).
도 14는 베이스 요소(15) 및 커버(16)를 갖는 다르게는 동일하게 구성된 환기 카트리지에 삽입되는 다양한 인서트(141)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커버(16)는 개구(16a, 16b)의 위치와 관련된 인서트(141)에 맞춰질 수 있다.
U자형으로 연장된 환기 덕트 및 필터 재료(142) 및 선택적인 대형 필름(143)을 갖는 인서트가 각각의 경우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e) 내지 도 14h)의 환기 덕트(8)는 도 14a) 내지 도 14d)보다 얕다. 환기 덕트(8)는 인서트(141)의 벽과 베이스 요소(15) 및 커버(16)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1 새시 프레임 2
평면 요소 3 접촉 웹 4
정지 실 5 접촉 웹 6
정지 실 7 환기 덕트 8, 8a, 8b, …
제1 환기 덕트 개구부 9 제2 환기 덕트 개구부 10
강화 보강재 11, 12 리세스 13
환기 카트리지 14 베이스 요소 15
커버 16 통로 16a, 16b
웹 16c, 16d 그루브 17
중간 실 18 벽 19
통로 19a 실 베이스 20
실 바텀 21
실 섹션 22 접촉 슬라이딩 섹션 23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 24 실 립 25
슬라이딩 표면 26 고정 영역 27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101 제1 금속 쉘 101a
제2 금속 쉘 101b 단열 웹 101c
리셉터클 그루브 101d 중공 챔버 101e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 102 제1 금속 쉘 102a
제2 금속 쉘(102b) 단열 웹 102c
그루브 102d 단열 유리판 103
중간 실 104 슬라이딩 실 105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 124 영역 124', 124''
고정 단부 124a 슬라이딩 표면 126, 126'
그루브 127 중공 챔버 128
코너 피스 130 다리 131, 132
러그 133 케이블 리셉터클 리세스 134
케이블 135 인서트 141
필터 재료 141 헤비 듀티 필름 142
플랜지 151 웹 161
갭 X 중공 챔버 H1, H2, …
리베이트 공간 F 리베이트 공간 섹션 FI, FII
갭 SI, SII 개구부 폭 W

Claims (38)

  1. a)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1')로 이루어진 윈도우 프레임(1),
    b)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2')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창(pane) 요소(3)를 갖고, 적어도 폐쇄 위치와 환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새시 프레임(2),
    c)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2') 및 상기 새시 프레임(2)의 프레임 프로파일(1', 2') 사이에 형성된 주변 프레임 리베이트(rebate) 공간(F), 및
    d)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새시 프레임(2)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제1 환기 덕트 개구부(9)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부(10)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8)를 포함하고,
    e) 상기 새시 프레임(2) 및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환기 덕트 개구(9, 10)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환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환기 덕트(8)의 환기 덕트 개구(9, 10) 모두를 개방하고,
    f) 하나 이상의 상기 환기 덕트(8)는, 상기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상기 새시 프레임 내 또는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카트리지(14) 또는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적어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환기 카트리지의 특히 트로프형(trough-like) 베이스 요소(15)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베이스 요소(15)를 덮기 위한 커버(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4.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설치된 상기 환기 카트리지의 상기 인서트(141)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5. a)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1')로 이루어진 윈도우 프레임(1),
    b) 복수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2')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창(pane) 요소(3)를 가지며, 적어도 폐쇄 위치와 환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새시 프레임(2),
    c)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2')과 상기 새시 프레임(2)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2') 사이에 형성된 주변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 및
    d)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상기 새시 프레임(2)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2')에 형성되고, 제1 환기 덕트 개구(9) 및 제2 환기 덕트 개구(1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8)를 포함하고,
    e) 상기 새시 프레임(2) 및 상기 윈도우 프레임(1)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환기 덕트 개구(9, 10)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환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환기 덕트(8)의 환기 덕트 개구(9, 10) 모두를 개방하고,
    f) 하나 이상의 상기 환기 덕트(8)는 상기 윈도우 프레임 또는 상기 새시 프레임 내 또는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 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환기 카트리지(14) 또는 복수 개의 환기 카트리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환기 카트리지의 특히 트로프형 베이스 요소(15) 내에 삽입되고, 상기 윈도우에 설치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의 상기 인서트(141)는 상기 베이스 요소(15)를 제거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것을 적어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6.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베이스 요소(15) 및 가능하게는 상기 인서트(141)를 덮기 위한 커버(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7.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환기 카트리지(14)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의,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1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8. 이전 청구항 중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분리 가능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요소(1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9.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 그루브(17: seal groove)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0.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41) 및 상기 커버(16)는 모듈식 교체 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1.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41)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2.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41)는 필터 재료(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3.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41)는 필름, 특히 헤비 듀티(heavy-duty)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4.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서트(141)는 상기 베이스 요소(1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중 부분 공기 흐름으로의 공기 흐름의 하나 이상의 편향 및/또는 공기 흐름의 세분화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5.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환기 덕트(8)는 L자형 또는 U자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6.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의,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13) 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7.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의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13)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8.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밀링된 그루브로 형성된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의,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13)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19.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 및/또는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은 제1 금속 쉘(101a) 및 제2 금속 쉘(101b)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단열 웹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금속 쉘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중공 챔버 평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3)는 상기 환기 카트리지(14)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웹(101c)이 이 영역, 가능하게는 상기 금속 쉘(101a, 101b)의 상기 리셉터클 그루브(101d)의 바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완전히 제거되고, 상기 단열 웹의 단부를 위한 리셉터클 그루브(101d)의 일부도, 상기 금속 쉘의 각각의 상기 중공 챔버 평면으로 연장되는 밀링된 그루브 없이 밀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1.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의 상부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2.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의 상부 측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의 리세스(13)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3.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101)보다 더 높고, 추가 프로파일(110)이 상기 환기 카트리지(14)가 돌출되는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4.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는 하나 이상의 단열 웹(101c)의 리세스(13)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5.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15)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주변 플랜지(1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6.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 요소(15)의 하나 이상의 웹(161)과 함께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7.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삽입되는 상기 프로파일은 대응되는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8.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 카트리지(141) 내부에서 다수의 서브 덕트로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29.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과하는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 덕트 내부에서 방향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변경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0.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커버(16) 상의 환기 덕트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덕트 개구부는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F)을 향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1.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의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2)과 상기 새시 프레임(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실 평면(seal plan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2.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실이 상기 환기 상태 및 상기 폐쇄 상태 모두에서 상기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 124)에 대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3.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중간 실이 제공되고, 이들 중간 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환기 상태 및 상기 폐쇄 상태 모두에서 상기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 124)에 대해 가압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접촉 슬라이딩 스트립(24, 124)에 대해서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4.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는 각각 가요성인 하나 이상의 실 립(seal lip)을 갖는 립 실(lip seal)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5.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에 대한 이전 청구항에 따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36.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용 환기 카트리지로서, 하나 이상의 환기 덕트(8)가 제공되고, 상기 환기 카트리지는, 상기 환기 카트리지의 베이스 요소(15)로 삽입된 인서트(141)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에 설치된 상기 환기 카트리지(14)의 상기 인서트(141)는 상기 베이스 요소(15)를 제거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윈도우용 환기 카트리지.
  37.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기 카트리지로서, 상기 환기 카트리지에 대한 이전 청구항에 따른 특징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카트리지.
  38. 이전 청구항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윈도우에 환기 덕트(8)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이 제공되고, 다음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리세스가, 환기 덕트가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윈도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형성되고, 교체 가능한 인서트(141)를 포함하는 환기 카트리지가 각각의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1') 또는 각각의 상기 새시 프레임 프로파일(2')의 상기 프레임 리베이트 공간을 향하는 이 리세스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환기 덕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227012465A 2019-10-04 2020-10-01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KR202200779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6756.0 2019-10-04
DE102019126756 2019-10-04
DE102020106695 2020-03-11
DE102020106695.3 2020-03-11
DE102020120660.7 2020-08-05
DE102020120660.7A DE102020120660A1 (de) 2019-10-04 2020-08-05 Fenster mit einem Lüftungskanal
PCT/EP2020/077592 WO2021064140A1 (de) 2019-10-04 2020-10-01 Fenster mit einem lüftungska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915A true KR20220077915A (ko) 2022-06-09

Family

ID=7487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465A KR20220077915A (ko) 2019-10-04 2020-10-01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38255A1 (ko)
JP (1) JP2022550842A (ko)
KR (1) KR20220077915A (ko)
CN (1) CN114502814B (ko)
DE (1) DE102020120660A1 (ko)
WO (1) WO20210641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56B1 (ko) * 2003-06-12 2005-03-15 주식회사 라이다텍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DE202004000637U1 (de) * 2004-01-16 2005-05-25 Salamander Industrie-Produkte Gmbh Lüftungseinsatz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DE102005054602A1 (de) * 2004-11-18 2006-05-24 Schlüter, Heinrich Lüftungssystem mit Antrieb für Dreh-bzw. Drehkippfenster oder Tür
EP2811101A1 (de) * 2013-06-03 2014-12-10 profine GmbH Zwangsbelüftetes Fenster mit Lüftermodul und Lüftermodul hierfür
WO2015062612A1 (en) * 2013-10-30 2015-05-07 Vkr Holding A/S An operating and ventilation assembly, and a window comprising a frame, a sash and such an operating and ventilation assembly
AU2017227919A1 (en) * 2016-02-29 2018-07-26 SCHÜCO International KG Main-frame bar and/or wing-frame bar, and door, window, or facade element
DE202016008723U1 (de) * 2016-08-19 2019-03-22 HUECK System GmbH & Co. KG Fen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20660A1 (de) 2021-04-08
CN114502814B (zh) 2023-12-15
CN114502814A (zh) 2022-05-13
EP4038255A1 (de) 2022-08-10
WO2021064140A1 (de) 2021-04-08
JP2022550842A (ja)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445B2 (ja) ガラス壁
US8496720B2 (en) Building air filtration system
JPH023865B2 (ko)
CA3042569C (en) Replacement window panel with air conditioner coupling
JP6682187B2 (ja) 建具
KR20220077915A (ko) 환기 덕트를 갖는 윈도우
GB2194328A (en) Ventilator for door or window frames
FI93137C (fi) Ovenkarmi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4685505B2 (ja) シャッター装置
AU2006100650B4 (en) A Sliding Door or Window Sash Having Square Cut Members and Corner Connectors
JP53927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US5746654A (en) Ventilator
KR200230748Y1 (ko) 중간창짝용 중간막
KR102182522B1 (ko) 루버용 솔리드 단열 슬랫
JP3896545B2 (ja) 建築用形材
JP3933598B2 (ja) 換気装置付き窓
JP3227779U (ja) スライド式ガラス戸サッシ用換気フィルタ
JP5918105B2 (ja) 取付ベース及び屋外構造体
KR102241385B1 (ko) 루버용 허니컴 단열 슬랫
KR200288732Y1 (ko) 창문틀샤시
KR101148972B1 (ko) 건물의 환기장치
KR20210021934A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GB2301664A (en) A venti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