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858A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858A
KR20220077858A KR1020210155627A KR20210155627A KR20220077858A KR 20220077858 A KR20220077858 A KR 20220077858A KR 1020210155627 A KR1020210155627 A KR 1020210155627A KR 20210155627 A KR20210155627 A KR 20210155627A KR 20220077858 A KR20220077858 A KR 2022007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se
pattern
adapter
po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준
김현수
이준규
김필주
지상근
유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21015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858A/ko
Publication of KR2022007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63Filling compound, e.g. potted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제조 방법은 케이스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발열부품과 상관없는 공간에 유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기기의 전체적인 무게를 축소하고, 전기기기를 소형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 연통된 공간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제1 부품,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제2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는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댑터{Adapter}
본 발명은 전기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부품의 방열 및 열 분산을 위해 제공되는 유체가 일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전기기기 및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기는 날이 갈수록 소형화, 경량화 및 대용량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소형화, 경량화 및 대용량화 요구가 높다. 이하에서 전기기기의 대표로서 충전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는 충전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용량화 및 소모 전력 증가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력원인 배터리의 용량 증대 및 충전시간 단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충전기의 출력용량을 증가시키면 최대 발열 온도가 증가한다. 일반적인 전기기기는 케이스를 히트싱크로 사용하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여, 내부 부품의 온도를 낮춘다. 그러나 충전기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를 접촉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경우, 사용자의 저온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는 케이스의 표면의 온도를 낮추어 일정 수준(예를 들어, 50도) 이하로 유지할 것이 요구되는 점에서 케이스를 히트싱크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종래의 충전기는 사이즈를 충분히 크게 하여 내부의 자연대류 현상을 이용해 열을 분산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충전기는 충전기 내부 부품이 과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과온에 장시간 지속적으로 노출된 부품은 수명 단축, 오동작 또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충전기 용량을 더욱 증대시키고 충전기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경우, 내부 부품의 발열량이 늘어나고, 내부 부품 간 간격 및 내부 부품과 케이스 간 공간이 줄어들어,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므로, 충전기의 용량 증대 및 소형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형화된 충전기에 열전도성이 높은 유체를 케이스 내에 충진하여 열을 분산시키는 경우, 부품 및 기판과 케이스 간 이격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유체 주입 노즐 삽입이 어려워, 상기 유체를 골고루 주입하기 어렵고, 부품 및 기판과 유체 사이에 에어포켓이 발생하기 쉬워서 방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품 및 기판을 조립하지 않은 케이스 내부에 열전도성이 높은 유체를 먼저 주입한 후, 부품 및 기판을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경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전기적 터미널과 상기 부품 및 기판의 접촉부위가 상기 유체에 잠겨있거나, 상기 유체가 묻어 있는 상태에서 조립되므로, 상기 부품 및 기판과 상기 터미널 간 접촉 부위가 유체에 의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이 높은 유체를 충전기 내부에 가득 채우는 경우 열을 분산시키는 점에서 유리하나, 충전기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기 케이스가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충전기 내부에 부품 및 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상기 열전도성 유체의 충진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에도 유체가 충진되어 충전기의 경량화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기는, 소정의 높이에서 낙하되었을 때 고장이 없어야 하는 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충전기는 가벼워야하고, 낙하 충격에도 내부 부품 및 기판을 보호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부품 및 기판을 고정 및 보호하는 지지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충전기의 사이즈와 무게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기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서 내부에 구비된 부품 간 전기적 절연 확보를 위한 부품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제조 방법은 케이스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발열부품과 상관없는 공간에 유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기기의 전체적인 무게를 축소하고, 전기기기를 소형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 연통된 공간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제1 부품,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제2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는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분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상기 제2 공간 내에 상기 포팅 패턴보다 낮은 비중을 갖거나, 공기로 이루어지는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 패턴은 복수 개의 다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부품의 최대 발열 온도는 상기 제2 부품의 최대 발열 온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포팅 패턴의 점성은 50gf/10mm 이상 1000gf/10mm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공간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의 폭이 상기 제2 공간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의 폭보다 더 커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단차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의 일면의 중앙부 상을 가로지르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단차부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중심부가 볼록한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중심부가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격벽과 맞닿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팅 패턴의 충진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찰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공간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팅 패턴의 적정 수위를 표시하는 눈금 형태의 수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공간에는 발열 부품이 제공되고,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고,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포팅 패턴은 상기 격벽의 일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상기 제2 공간은 공기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상기 제2 공간에 제공되고, 발포제로 구성된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유체가 제공되는 제1 공간과 유체가 충진되지 않아도 되는 제2 공간을 격벽으로 분리하여, 필요 이상의 유체가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거나, 제2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스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케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2) 또한, 케이스 자체가 격벽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서,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각각 구비된 부품들을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버스바)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포팅 패턴의 누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케이스의 전체 무게 중심이 제1 공간에 위치하도록 유지하여, 낙하 시 플러그가 형성되는 제2 공간이 지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격벽에 보강부가 형성되거나, 격벽의 중심부가 제1 공간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팅 패턴의 무게에 의해 격벽이 탈락되거나,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격벽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케이스 내면과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어 격벽이 정해진 위치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기기 X-Z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기기 Y-Z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제1 내지 제2 실시 예 정면도 및 제 3 내지 제 4 실시 예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기기기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기기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전기기기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길이방향 z 방향으로, z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x 방향으로, z 방향과 x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y 방향으로 정의하며, z 방향을 기판의 길이 방향, x 방향을 폭 방향, y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z 방향의 양의 방향을 길이 방향 상측으로, z 방향의 음의 방향을 하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 연통된 공간인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을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제1 공간(101) 및 상기 제2 공간(102)을 분리하는 시트(sheet)인 격벽(200), 상기 제1 공간(101)에 구비되는 제1 부품(110), 상기 제2 공간(102)에 구비되는 제2 부품(120), 상기 제1 부품(110)과 상기 제2 부품(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00) 및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되고, 물보다 큰 점성을 갖는 포팅 패턴(400)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200)은 상기 제1 공간(101)이 상기 제2 공간(102)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1 공간(101)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사이에 배치되는 착탈식 시트(shee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부품(110)이 구비되는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부품(120)이 구비되는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200)은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을 분리시켜, 상기 제1 공간(101)에 제공되는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화 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열차폐 수단이 구비되어, 외부 케이스의 표면 온도를 낮추어 사용자의 저온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품(110)은 스위치 및 트랜스 등의 발열 소자가 실장된 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부품(120)은 플러그 및 플러그와 연결된 부스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부품(110)과 상기 제2 부품(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격벽(200)을 관통하거나 상기 격벽(200)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1 부품(110)과 상기 제2 부품(120)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300)는 일예로 커넥터 또는 부스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팅 패턴(400)은 상기 제1 공간(101)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부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 및 방열 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 부품(1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팅 패턴(400)에 잠겨 상기 케이스(100)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팅 패턴은 열전도성 수지로서, 열전도도가 약 1.5 W/mK 이상, 약 2 W/mK 이상, 2.5 W/mK 이상, 3 W/mK 이상, 3.5 W/mK 이상 또는 4 W/mK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팅 패턴은 열전도성이 우수한(1W/mK이상) 필러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러는 세라믹 필러, 알루미나, AlN, BN, 질화 규소, ZnO, SiC 또는 BeO일 수 있다.
상기 포팅 패턴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EVA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변성 부여제, 희석제 분산제, 표면 처리제, 난연제 또는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팅 패턴은 내충격성과 내진동성을 고려하여 약 1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팅 패턴은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TGA)에서의 5% 중량 손실 온도가 400도씨 이상이거나, 800도씨 잔량이 7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포팅 패턴은 상기 기판 및/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부품과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력이 100gf/10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제1 공간(101)에 포팅 패턴(400)을 충진함으로써 제1 공간(101)에 장착되는 제1 부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및 분산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101)에서 상기 포팅 패턴(400)이 제공되지 않는 부분을 제 3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 3 공간은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격벽(200) 구성을 통해 포팅 패턴(400)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1 공간(101)으로 한정하여 제2 공간(102)을 비워진 상태로 유지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며, 무게 중심을 제1 공간(101)으로 유지하여 제품이 낙하되는 경우에도, 제2 공간(102)과 연결된 플러그 등의 부품의 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품(110)의 최대 발열 온도는 상기 제2 부품(120)의 최대 발열 온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품(110)과 상기 제2 부품(120)이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부품(110)의 최대 발열 온도는 상기 제2 부품(120)의 최대 발열 온도보다 더 높고, 상기 제1 부품(110)의 발열 면적이 상기 제2 부품(120)의 발열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품(120)은 상기 제1 부품(11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발열되어 방열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포팅 패턴(400)은 상기 제1 공간(101)에만 충진되어 상기 제1 부품(110)에서 생성되는 열을 방열 및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포팅 패턴(400)은 경화되면 포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팅 패턴(400)은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되기 전 액체 또는 점성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되면 경화되어 일정 강도 및 탄성을 갖는 포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경화되기 전 상기 포팅 패턴(400)이 의 점성은 50gf/10mm 이상 1000gf/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공간(102)은 상기 제2 공간(102)의 단면적이 상기 제1 공간(101)의 단면적에 비해 더 작아서 상기 제1 공간(101)과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는 단차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200)은 상기 제1 공간(101) 방향의 상기 단차부(13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연장방향(Z축)에 수직된 방향(X축 또는 Y축)으로 상기 제1 공간(101) 및 상기 제2 공간(102)을 자른 단면적을 비교하면, 상기 제1 공간(10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간(102)의 단면적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의 단면적 차이로 인해서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의 경계선상에는 상기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간(101)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부품(110)은 상기 제2 공간(102)에 설치되는 상기 제2 부품(120)보다 크기가 더 클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의 단면적을 다르게 형성시켜, 전체적인 상기 케이스(100)의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켰다.
이때, 상기 격벽(200)은 상기 단차부(130)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공간(102)의 최대 단면적은 상기 제1 공간(101)의 최소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200)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공간(101)의 최소 단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공간(102)의 최대 단면적보다 더 크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0)은 두께가 상기 케이스(100)의 최소 두께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공간(101) 및 상기 제2 공간(102)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부품(110) 및 상기 제2 부품(120)을 보호하고, 사용자의 파지 압력을 견뎌야하기 때문에 일정 강도 및 내충격성이 필요한 반면에, 상기 격벽(200)은 포팅 패턴(400)의 무게 또는 상기 포팅 패턴(400)이 경화되기 전까지만 유지되면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위해서 상기 격벽(200)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100)의 최소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벽(2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비해서 비중이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0)은 두께가 상기 케이스(100)의 최소 두께보다 더 얇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비중이 상기 케이스(100)에 비해서 더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비해서 굴곡성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0)은 두께가 상기 케이스(100)의 최소 두께보다 더 얇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굴곡성을 갖고 있어, 상기 포팅 패턴(400)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격벽(200)이 상기 제2 공간(102) 방향을 향해 휘어져 상기 격벽(200)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상기 격벽(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높은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은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보강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일정한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이 상기 포팅 패턴(4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 공간(102) 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는데, 이때, 격벽(200)이 휘어짐으로써 상기 단차부(13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200)이 상기 단차부(130)와 맞닿는 면에 'X'자 형상의 상기 보강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높은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은 상기 단차부(130)에 접착되는 접착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일정한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이 상기 포팅 패턴(4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 공간(102) 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는데, 이때, 격벽(200)이 휘어짐으로써 상기 단차부(13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차부(130)와 맞닿는 면의 테두리에 상기 접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200)과 상기 단차부(130)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c) 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높은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은 상기 제1 공간(101) 방향을 향해 중심부가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일정한 굴곡성을 갖는 경우, 상기 격벽(200)이 상기 포팅 패턴(4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 공간(102) 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는데, 상기 격벽(200)의 중심부가 상기 제1 공간(101)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격벽(200)이 상기 제2 공간(102) 방향을 향해 휘어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00)은 중심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상측(z축 양의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0)은 두께가 0.05mm 이상 3.0mm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0)은 열 변형온도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단차부(130)는 상기 격벽(200)과 맞닿는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00)가 통과하는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단차부(130)에 안착되는 상기 격벽(200)과 상기 단차부(130) 사이의 일정 영역이 패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140)를 통해 상기 제1 부품(110)과 연결된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격벽(200)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간(102)으로 넘어와 상기 제2 부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0)와 상기 가이드부(140)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경우, 틈 사이로 가스켓 등의 패킹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가이드부(140)를 통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팅 패턴(400)에는 도 5(a)에 도시화된 것과 같이, 기포(400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00)은 상기 연결부(300)가 관통하는 홈(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홈(230)은 상기 연결부(300)와 상기 제1 부품(110)이 연결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부품(110)과 연결되고 상기 격벽(200)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부품(120)에도 연결된다. 이때, 상기 홈(230)과 상기 홈(230)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300)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경우, 틈 사이로 가스켓 등의 패킹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가이드부(140)를 통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0)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격벽(200)이 상기 케이스(100)에 삽입된 이후, 상기 포팅 패턴(400)이 제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1 유체가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격벽(200)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조립 과정 중 상기 포팅 패턴(400)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어, 불량 및 저품질의 제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포팅 패턴(400)의 충진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101)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찰창(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찰창(150)은 상기 제1 공간(101)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정 지점의 내면 및 외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외부에서 상기 제1 공간(101)을 가식적으로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된 상기 포팅 패턴(400)의 형성 높이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찰창(150)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시트가 장착되어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케이스(10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포팅 패턴(400)의 형성 높이 및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유입되었는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 또는 저품질의 제품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공간(10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팅 패턴(400)의 적정 수위를 표시하는 눈금 형태의 수위 표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위 표시부(160)는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되어야 하는 상기 포팅 패턴(400)의 적정량 및 최대량을 표기함으로써, 상기 제1 공간(101)에 필요 이상의 상기 포팅 패턴(400)이 충진되거나, 필요치보다 낮은 양의 상기 포팅 패턴(400)이 제공되는 것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제조 과정 중 불량 또는 저품질의 제품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상기 제2 공간(102)내에 상기 포팅 패턴(400)보다 낮은 비중을 갖거나, 공기로 이루어지는 충진 패턴(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 패턴(500)은 공기 또는 발포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200)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상기 격벽(200)이 정위치에서 탈락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간(101)에 충진된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넘어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공간(102)에 상기 충진 패턴(500)이 충진됨으로써, 상기 포팅 패턴(400)이 상기 제2 공간(102)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 패턴(500)의 비중은 상기 충진 패턴(500)의 비중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공간(102)의 무게가 상기 충진 패턴(500)의 충진으로 인하여 필요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 패턴(500)은 상기 포팅 패턴(400)과 동일하지 않은 비중을 갖는 유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 패턴(500)의 양은 포팅 패턴(400)의 양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 패턴(500)은 충진된 후 버블형태로 확산되는 발포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공간(102)상에 확산된 후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 패턴(500)은 복수 개의 다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진 패턴(500)은 복수개의 기포(40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을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제1 공간(101)에는 발열 부품이 제공되고, 상기 제2 공간(102)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을 분리하는 격벽(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공간(101)에 제공되고,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포팅 패턴(400)은 상기 격벽(200)의 일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 제조 방법은 (a) 제1 공간(101) 및 제2 부품(120)이 연결된 제2 공간(102)을 포함하는 케이스(10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부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00)를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공간(101)과 상기 제2 공간(102)을 분리하는 시트인 격벽(200)을 조립하는 단계, (d) 상기 제1 공간(101)에 물보다 큰 점성을 갖는 포팅 패턴(400)을 충진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공간(101)에 제1 부품(11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포팅 패턴(400)을 주입하기 전에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제1 부품(110)을 조립하면, 제1 부품(110)과 케이스(10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포팅 패턴(400)을 주입하는 노즐을 삽입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포팅 패턴(400)을 상기 제1 공간(101)상에 골고루 주입하기 어려우며, 에어포켓이 발생하기 쉬워, 방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 부품(110)이 삽입되지 않는 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포팅 패턴(400)을 주입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b)에서, (b-1) 상기 연결부(300)를 상기 제2 부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이후 충진 패턴(500)을 상기 제2 공간(102)에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케이스
101 : 제1 공간 102 : 제2 공간
110 : 제1 부품 120 : 제2 부품
130 : 단차부 140 : 가이드부
150 : 관찰창 160 : 수위 표시부
200 : 격벽 210 : 보강부
220 : 접착부 230 : 홈
300 : 연결부
400 : 포팅 패턴 400a : 기포
500 : 충진 패턴

Claims (16)

  1. 내부에 연통된 공간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제1 부품;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제2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제1 공간에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 및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분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공간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의 폭이 상기 제2 공간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의 폭과 달라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는 단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단차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차부와 상기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단차부의 일면이 패어져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격벽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포팅 패턴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충진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패턴은 복수 개의 기포를 포함하는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패턴의 점성은 50gf/10mm 이상 1000gf/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포팅 패턴의 충진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일정 위치에 관찰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포팅 패턴의 적정 수위를 표시하는 눈금 형태의 수위 표시부가 상기 제1 공간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최대 발열 온도는 상기 제2 부품의 최대 발열 온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단차부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의 일면의 중앙부 상을 가로지르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중심부가 볼록한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중심부가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3.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는 발열 부품;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분리하며, 홈을 갖는 격벽;
    상기 제1 공간 내에 제공되며 수지물질로 구성된 포팅 패턴;
    상기 제2 공간에 상기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 연장하여 상기 발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패턴은 상기 격벽의 일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공기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는 발포제로 구성된 충진 패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KR1020210155627A 2020-12-02 2021-11-12 어댑터 KR20220077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27A KR20220077858A (ko) 2020-12-02 2021-11-12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51 2020-12-02
KR1020210155627A KR20220077858A (ko) 2020-12-02 2021-11-12 어댑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51 Division 2020-12-02 2020-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858A true KR20220077858A (ko) 2022-06-09

Family

ID=7882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27A KR20220077858A (ko) 2020-12-02 2021-11-12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955755B2 (ko)
EP (1) EP4009756A1 (ko)
KR (1) KR20220077858A (ko)
CN (1) CN1145839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086U (ja) 2020-03-18 2022-06-29 広東高普達集団股▲ふん▼有限公司 電源アダプタ
US11605925B2 (en) * 2020-03-18 2023-03-14 Guangdong Gopod Group Holding Co., Ltd. Powe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34919A1 (de) * 1976-08-03 1978-02-09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orrichtung zur anzeige des fluessigkeitsstandes in einem behaelter
JPH0955585A (ja) 1995-08-11 1997-0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部品収納装置
JP2000209474A (ja) 1999-01-20 2000-07-28 Fujitsu General Ltd Ccdカメラ
EP1076479A1 (en) * 1999-07-23 2001-02-14 Ford Motor Company Integrated sensor/controll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3249780A (ja) 2002-02-25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部品実装構造
JP3815733B2 (ja) * 2003-03-03 2006-08-3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ケースの防水方法
JP4291215B2 (ja) 2004-05-31 2009-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密閉筐体
US7885076B2 (en) 2004-09-07 2011-02-08 Flextronics Ap, Ll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oling molded electronic circuits
KR100677620B1 (ko) 2005-11-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냉각 방법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자기기
US7978489B1 (en) 2007-08-03 2011-07-12 Flextronics Ap, Llc Integrated power converters
CN102196693B (zh) * 2010-03-17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防水护套
JP2015018971A (ja) * 2013-07-11 2015-01-29 富士通株式会社 放熱板、及び海中機器
DE102016204811A1 (de) * 2016-03-23 2017-09-28 Robert Bosch Gmbh Steuermodul zur Ansteuerung wenigstens eines elektrisch betätigbaren Aktuators
DE102018106003A1 (de) * 2018-03-15 2019-09-19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KR102409025B1 (ko) * 2019-08-19 2022-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9756A1 (en) 2022-06-08
CN114583978A (zh) 2022-06-03
US11955755B2 (en) 2024-04-09
US20220173560A1 (en) 2022-06-02
US20240213730A1 (en) 2024-06-27
US20220173561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7858A (ko) 어댑터
KR101065543B1 (ko) 전장품 유닛
ES2787702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placa de circuito impreso con microrradiadores
CN105909994B (zh) 照明器件
KR100677620B1 (ko) 전자기기의 냉각 방법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자기기
US9851518B2 (en) Low cost, connectorless, ruggedized small form factor optical sub-assembly (OSA) and data bus-in-a-box (BiB)
US10731843B2 (en) Underwater lighting device
CN106537031B (zh) 灯具组件
US9981476B2 (en) Liquid discharge head
KR20150032623A (ko) 광 전송 모듈
CN105572814A (zh) 低成本、无连接器、加固小型光学子组件及数据盒中总线
JP2015018971A (ja) 放熱板、及び海中機器
CN106548990B (zh) 半导体装置及电气装置
TWI669862B (zh) 浮動式連接模組及具有該模組的浮動式對接裝置
CN108231696A (zh) 半导体装置封装及其制造方法
CN114846915A (zh) 冷却模块
CN220711702U (zh) 保护机构及电气装置
US11825599B2 (en) Air-pocket prevention PCB, air-pocket prevention PCB module, electr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77405A (ko) 양면 접점 터미널 및 전기기기
CN219371008U (zh) 一种多层结构陶瓷管壳
JP2017212344A (ja) 半導体装置
CN220065069U (zh) 屏幕模组和具有其的电子设备
KR20150040046A (ko) 조명 장치
US20120287580A1 (en) Heat sinking device, notably for vertical components and/or components of complex form
KR20140145331A (ko) 조명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