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51A -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51A
KR20220077651A KR1020200166796A KR20200166796A KR20220077651A KR 20220077651 A KR20220077651 A KR 20220077651A KR 1020200166796 A KR1020200166796 A KR 1020200166796A KR 20200166796 A KR20200166796 A KR 20200166796A KR 20220077651 A KR20220077651 A KR 2022007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commodating part
glove box
reinforc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429B1 (ko
Inventor
손동일
최동용
권오심
엄태용
김선경
박창복
Original Assignee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연결된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로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재에 마련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GLOVE BOX LOAD-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글로브 박스의 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방에 계기장치나 조작스위치, 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대쉬보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대쉬보드의 일측, 즉, 조수석 측에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소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에서 선회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이 넓어짐에 따라서 대쉬보드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선왕복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의 글로브 박스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상에서 수납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는, 수납부(2)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r)이 수납부(2)의 측부에 마련되는 관계로 인하여 수납부(2)의 내부 공간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부피(r)에 의하여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또한, 수납부(2)를 하우징(3)에서부터 이동시켜 개방하였을 때, 가이드 레일(r)이 수납부의 측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관계로 인하여, 차량 실내 인테리어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이드 레일을 수납부의 저면에 장착시키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가 개발되고 있다.
가이드 레일이 수납부의 저면에 장착된 형태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의 측부에 가이드 레일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납 공간을 넓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부를 개방하였을 때 가이드 레일이 외부로 비노출되기 때문에 차량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리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의 저부만 가이드 레일을 매개로 하여 하우징과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납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부의 자체 하중이 가볍기 때문에 차량 이동시에 수납부가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2171호의 '차량용 전동 슬라이딩 글로브박스의 작동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부가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은 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의 바닥부가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수납 공간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으로부터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연결된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로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재에 마련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납부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할 시에,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재를 형성하는 금형에 삽입된 후 상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수지와 함께 성형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몸체; 및상기 몸체의 측부에 마련되는 절곡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편에는 돌출편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절곡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와 상기 돌출편에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상단부위와 접촉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방향 유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는, 수납부의 바닥부재에 금속재의 보강부를 마련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수납부가 외력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수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시트에 앉은 사람의 신체와 부딪혀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는, 수납부의 바닥부재에 마련된 보강부가 하우징에 마련된 롤러와 접촉되는 가이드 레일 구조를 제공하므로, 수납부가 안정적인 자세로 직선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지지구조가 적용된 글로브 박스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저부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부의 바닥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하우징에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가 상세하게 설면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지지구조가 적용된 글로브 박스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저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부의 바닥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하우징에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100)의 하중 지지구조는,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20)과, 상기 가이드 레일(120)과 연결된 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글로브 박스(1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수납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120)는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120)는,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미도시) 및 상기 외측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된 슬릿바(131)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레일은, 전체적으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외측 레일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된 슬릿바(131)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내측 레일은 그 길이방향 일단부가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부까지만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내측 레일과 연결되는 상기 수납부(130)의 슬릿바(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30)의 전면 타측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수납부(130)가 인출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바(131) 및 내측 레일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슬릿바(131)가 배치되지 않은 수납부(13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개방되어도 레일부(120)가 외부로 비노출되기 때문에,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에 따른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 시트에 앉은 사람의 무릎 부위 및 다리 부위가 수납부(130)의 저부에서 노출된 금속재 레일에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글로브 박스(100)는, 차량 실내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유지하고, 시트에 앉은 사람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되어 인출되었을 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수납부(130)의 직선 왕복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인출되었을 때 수납부(130)의 길이방향 타측 저부를 지지하는 롤러(111 ,도2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111)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일측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도면이 복잡하게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면, 그 저부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마련된 롤러(111)와 접촉되기 때문에 수납부(130)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롤러(111)는,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인출되었을 때,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수납부(130)의 길이방향 타측 저면 부위를 지지하므로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꺼내어진 상태에서 발생되는 상하방향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110)의 바닥부 윗면은 수납부(130)의 저면과 비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100)의 하중 지지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에 마련되는 보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0)는, 수납부(130)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강도가 높고 변형률이 낮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부(200)는 스틸(steel)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부(200)는, 나사,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200)는,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200)는 바닥부재(132)의 저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보강부(20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보강부(200)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바닥부재(132)의 저면에 장착되면, 바닥부재(132)가 외력으로부터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수납부(130)의 무게 중심이 보강부(200)에 의해 바닥측에 형성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바닥부재(132)의 저면에 보강부(200)를 장착하는 방식은,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인출되었을 때, 보강부(200)가 수납부(130)의 저부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수납부(130)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보강부(200)에 의하여 차량 내부 인테리어에 따른 심미감이 떨어지고, 시트에 앉은 사람의 무릎 부위 또는 다리 부위가 찰과상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200)는, 수납부(13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수납부(130)의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삽입된 후 상기 수납부(130)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수지와 함께 성형되어 상기 바닥부재(132)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부(200)를 인서트 사출 성형방식에 의하여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에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수납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측부에 마련되는 절곡편(220); 및 상기 절곡편(220)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0)를 구성하는 몸체(210)와 절곡편(220) 및 돌출편(230)은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부(200)는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보강부(200)가 내장된 수납부(130)의 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몸체(210)는, 바닥부재(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바닥부재(132)의 변형 및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몸체(210)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롤러(111)와 접촉된 채 이동될 수 있다. 즉, 보강부(200)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롤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몸체(210)가 배치되도록, 수납부(13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절곡편(220)은 몸체(210)의 길이방향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210)의 측부 전체에 절곡편(22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절곡편(220)은, 몸체(2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소정의 곡률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편(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단면을 가진 채로 몸체(210)의 폭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절곡편(220)은, 수납부(13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부(221)를 제공한다. 즉, 절곡편(220)은 수납부(130)를 사출성형하기 위하여 금형으로 주입되는 플라스틱 수지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절곡편(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채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즉, 절곡편(220)의 'U'자형 돌출부위는 바닥부재(132)의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채 바닥부재(13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바닥부재(132)의 저면은 절곡편(220)에 의하여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절곡편(220)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절곡편(220)에 의하여 돌출된 바닥부재(132)의 돌출부위는 상기 바닥부재(132)가 롤러(111)와 접촉되면서 이동될 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00)가 수납부(13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삽입되어 플라스틱 수지와 성형되면, 바닥부재(132)의 저면은 보강부(200)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단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바닥부재(132)의 저면은 보강부(200)의 저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한 쌍의 절곡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부(250)가 바닥부재(132)의 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에 마련된 롤러(111)는, 상기 홈부(250)에 수용된 채 회전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직선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230)은, 절곡편(22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절곡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편(230)은, 수납부(130)를 제작하기 위하여 금형으로 주입되는 플라스틱 수지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보강부(200)가 바닥부재(132)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보강부(200)의 몸체(210) 및 절곡편(220)이 그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돌출편(230)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바닥부재(132)에 마련되는 보강부(200)의 몸체(210) 및 절곡편(220)이 바닥부재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플라스틱 수지가 다수개의 돌출편(230) 사이에 배치된 공간으로 투입되어 경화되므로. 돌출편(230)은 바닥부재(132)의 내측에서 몸체(210) 및 절곡편(22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210)와 상기 돌출편(230)에는 관통구(24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210)에 마련되는 관통구(240)는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230)에 마련되는 관통구(240)는 돌출편(230)이 형성하는 면적에 따라서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하나의 돌출편(230)상에 하나의 관통구(24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관통구(240)는 플라스틱 수지가 투입되어 경화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관통구(240)는, 보강부(210)가 수납부(130)의 바닥부재(132)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00)는,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300)는, 수납부(13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시에, 수납부(130)의 상층 테두리 부위가 하우징(110)의 천장면과 부딪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완충부재(300)는 수납부(130)의 상측 테두리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채 상기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300)는, 수납부(130)의 상측 테두리 전체와 접촉될 수 있는 크기 및 길이를 가진 채로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의 상측 테두리 중 일부 부위와 접촉될 수 있는 크기 및 길이를 가진 채로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300)에 의하여 수납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도 그 상측 테두리가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부딪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도, 그 상측 테두리가 하우징(110)의 천장면에 마련된 완충부재(300)에 접촉되어 충격이 완화되므로, 유동 접촉에 따른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완충부재(300)는 패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 실리콘,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00)는, 탄성 스프링이나, 그외 충격을 흡수하는 다양한 공지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글로브 박스
110 : 하우징 111 : 롤러
120 : 레일부 130 : 수납부
131 : 롤러 132 : 바닥부재
200 : 보강부 210 : 몸체
220 : 절곡편 230 : 돌출편
240 : 관통공 250 : 홈부
300 : 완충부재

Claims (7)

  1.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연결된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로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재에 마련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납부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할 시에,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재를 형성하는 금형에 삽입된 후 상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수지와 함께 성형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측부에 마련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에는 돌출편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절곡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돌출편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위와 접촉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방향 유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KR1020200166796A 2020-12-02 2020-12-02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KR10246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96A KR102462429B1 (ko) 2020-12-02 2020-12-02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96A KR102462429B1 (ko) 2020-12-02 2020-12-02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51A true KR20220077651A (ko) 2022-06-09
KR102462429B1 KR102462429B1 (ko) 2022-11-02

Family

ID=8198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96A KR102462429B1 (ko) 2020-12-02 2020-12-02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60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트레이의 유동방지구조
KR20080079103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바스켓
JP2011047494A (ja) * 2009-08-28 2011-03-10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装置
KR20140113417A (ko) * 2013-03-15 2014-09-24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60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트레이의 유동방지구조
KR20080079103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바스켓
JP2011047494A (ja) * 2009-08-28 2011-03-10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装置
KR20140113417A (ko) * 2013-03-15 2014-09-24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429B1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768B1 (ko) 글러브 컴파트먼트
US9039093B2 (en) Vehicle seat having frame member
CN102398535B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US7721926B2 (en) Vehicle storage structure
US7621597B2 (en) Plastic headrest frame
US8029041B2 (en) Door trim-integrated pelvic impact energy-absorbing construction for vehicle
US6497397B2 (en) Seat slide apparatus
US20070182145A1 (en) Vehicle glove box door incorporating variations in rib structure for adjusting impact deformation proximate to respective knee and hand hit areas
JP2007504037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ドアを含むダッシュボード副集成部品
KR20130089125A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JP6629357B2 (ja) ヘッドレスト本体及びヘッドレスト
KR102462429B1 (ko)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KR101457995B1 (ko) 범퍼 백빔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한 범퍼 백빔
CN114056240A (zh) 物品箱的活动防止结构
JP4440156B2 (ja) 摺動体構造
US10399464B2 (en) Cover for a rail pair of a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and rail pair
US9352937B2 (en) Escalator step and escalator having thereof
KR102530050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501242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390625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1981939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102019895B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JP2020075679A (ja) 車両用ドア
CN109094511A (zh) 具有二级噪音消除缓冲件的座椅安全带锁止板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