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06A -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 Google Patents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06A
KR20220077606A KR1020200166714A KR20200166714A KR20220077606A KR 20220077606 A KR20220077606 A KR 20220077606A KR 1020200166714 A KR1020200166714 A KR 1020200166714A KR 20200166714 A KR20200166714 A KR 20200166714A KR 20220077606 A KR20220077606 A KR 2022007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roove
file holder
document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294B1 (ko
Inventor
민서준
Original Assignee
민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서준 filed Critical 민서준
Priority to KR102020016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2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42F15/0052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suspending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42F15/0064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suspending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with movable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6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hanging large drawings or the like
    • B42F15/063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hanging large drawings or the like with two sets of r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 레일홈이 형성된 외관과 레일홈에 끼워지며 상하로 이동되는 버튼부가 조립된 내관으로 구성되어, 외관으로부터 내관이 삽입 또는 배출되어 전체의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특정 크기의 서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과, 그 조작에 있어 사용자가 쉽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은 편의성을 모두 갖춘 구조의 파일 홀더이다.

Description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VARIABLE LENGTH FILE HOLDER}
종이로된 서류나 플라스틱 파일 등 각종 문서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파일 홀더에 관한 것이다.
파일 홀더는 일반적으로 개방된 일측으로 서류를 집어 넣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서류의 일측을 잡아 고정시키는 사무용 문구로써, 파일 쫄대나 파일 바인더로 명명되기도 한다. 통상 팬시점이나 문구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데, 단일한 길이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파일 홀더는 대부분 가장 흔한 A4의 긴 길이모서리를 기준으로 제작되는데, 다양한 크기의 서류가 사용되는 업무환경을 고려하면 각각의 서류에 맞게 파일 홀더를 사용하기 힘들었고, 실제 사무환경에서는 보관하려는 종이의 길이에 맞추어 파일 쫄대를 자르거나 이어붙이는 실정이었다.
종래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5876호의 “다양한 굴기 및 길이 접목 파일 홀더”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홀더의 길이가 고정된 채 파일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보관하고자 하는 종이의 길이에 맞게 다양한 홀더를 구비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갖 궁리와 노력을 다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58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크기의 서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과, 그 조작에 있어 사용자가 쉽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은 편의성을 모두 갖춘 신규한 구조의 파일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파일 홀더는,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서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복수개의 요부와 복수개의 홈부가 각각 번갈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이 형성된 외관;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서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관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상기 외관의 내경 이하이며, 상부에 버튼홈이 형성되어 있는 내관; 및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측면에 복수개의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관의 버튼홈에 안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의 걸림부가 상기 레일홈의 요부보다 내려가도록 눌려 상기 버튼홈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삽입됨으로써 전체의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버튼부의 양 측면사이 폭은 상기 레일홈의 마주하는 요부끼리 간극만큼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서류홈과 상기 내관의 서류홈이 서로 통공된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버튼홈은 적어도 상기 버튼부의 바닥부터 상기 걸림부의 최상단까지 높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의 걸림부는 끝단이 내려가도록 상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튼부의 바닥면에 제 1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홈의 바닥면에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하는 면에 같은 극성을 갖는 제 2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의 바닥면과 상기 버튼홈의 바닥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의 바닥면과 상기 버튼홈의 바닥면 사이에 코일 또는 판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홈이 형성된 외관에 버튼홈이 형성된 내관을 삽입하고, 버튼홈에 버튼부가 끼워져 레일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파일 홀더의 전체길이를 가변시켜 특정 크기의 서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과, 그 조작에 있어 사용자가 쉽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은 편의성을 모두 갖출 수 있다.
버튼부의 양 측면사이 폭은 레일홈의 마주하는 요부끼리 간극만큼 형성됨으로써 내관이 외관과 서로 독립적으로 회동되지 않아, 내관이 외관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외관의 서류홈과 내관의 서류홈이 통공된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버튼홈은 적어도 버튼부의 바닥부터 걸림부의 최상단까지 높이보다 깊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의 걸림부가 레일홈의 요부의 바닥면 높이 이하로 내려간 뒤 레일홈을 따라 버튼부가 이동된다.
버튼부의 걸림부는 끝단이 내려가도록 상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버튼부를 걸림부의 말단 부분이 레일홈의 요부에 걸리지 않을 정도만 누르면 버튼부를 이동시킬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조작의 편의성이 있다.
버튼부의 바닥면에 제 1 자석이 배치되고 ㅋㅋ버튼홈의 바닥면에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하는 면에 같은 극성을 갖는 제 2 자석이 배치됨으로써, 제 1 자석과 제 2 자석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버튼부가 버튼홈으로부터 이탈하려는 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받아 버튼부의 걸림부가 레일홈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버튼부의 바닥면과 버튼홈의 바닥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판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부를 가압하는 경우 고무판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버튼부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로 복원되어 버튼부의 걸림부가 레일홈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버튼부의 바닥면과 버튼홈의 바닥면 사이에 코일 또는 판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이 배치됨으로써, 버튼부를 가압하는 경우 스프링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버튼부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로 복원되어 버튼부의 걸림부가 레일홈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일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관(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관(2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버튼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일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홀더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양한 길이의 서류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에 대한 것으로, 간략하게 '파일 홀더'라 약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파일 홀더를 기준으로, 버튼부가 있는 방향을 ‘상방향’, 개구된 측면을 ‘일측’으로 규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일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크게 외관(100), 내관(200), 버튼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내관(200)은 외관(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며, 버튼부(300)는 내관(200)의 몸체 안쪽으로 눌려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다. 내관(200)이 외관으로부터 삽입 또는 배출되어 파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특정 크기의 서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으며 그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관(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관(100)은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외관서류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복수개의 요부(121)와 복수개의 홈부(122)가 각각 번갈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내관(200)이 외관(100) 내부로 삽입되는 절첩식 구조로써, 외관(100)의 내경이 내관(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외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태인 관 형태일 수 있으나, 제조공정이나 마케팅 등의 수요에 따라 단면이 사각 또는 육각인 다각형의 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외관(100)과 내관(200) 모두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금속재 또는 나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외관(100)의 상부는 버튼부(300)가 이동하는 레일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외관(100)의 레일홈(120)은 그 길이방향의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요부(121)와 홈부(122)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300)의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부(320)가 요부(121)에 삽입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이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121)와 홈부(122) 각각이 레일홈(120)의 길이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관(2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관(200)은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내관서류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외관(100)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외관(100)의 내경 이하이며, 상부에 버튼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200)은 외관(100)에 삽입되도록 그 단면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내관(200)의 외경은 외관(1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절첩식으로 내관(200)이 외관(100)에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내관(200)은 상부 일부분에 버튼부(300)가 안치되는 버튼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홈(220)의 깊이는 버튼부(300) 전체가 삽입되도록 버튼부(300)의 높이만큼 형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버튼부(300)의 양 걸림부가 외관(100)의 요부(121)에 걸리지 않도록 버튼부(300)의 바닥면부터 버튼부(300)의 걸림부(320)의 상면까지 높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버튼홈(220)은 적어도 버튼부(300)의 바닥부터 걸림부(320)의 최상단까지 높이보다 깊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상기 레일홈(120)의 요부(121)의 바닥면 높이 이하로 내려간 뒤 레일홈(120)을 따라 버튼부(300)가 이동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버튼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부(300)는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310)와, 몸체(310)의 좌우 측면에 복수개의 돌출형성된 걸림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300)는 내관(200)의 버튼홈(220)에 안치되는 구성으로, 몸체(310)의 상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이며, 몸체(310)의 바닥면은 내관(200)의 버튼홈(22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여기서 버튼부(300)의 하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이 상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 형태의 버튼부(300) 하부 상으로 걸림부(320)가 돌출형성됨으로써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요부(121)에 걸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단하중을 최대한 분산시켜 버튼부(300)의 걸림부(320)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부(300)의 양 측면사이 폭은 레일홈(120)의 마주하는 요부(121)끼리 간극만큼 형성됨으로써 내관(200)과 외관(100)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내관(200)이 외관(100)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외관서류홈(110)과 내관서류홈(210)이 서로 통공된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하여, 버튼부(300)의 걸림부(320)는 끝단이 내려가도록 그 상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하향지게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레일홈(120)의 요부(121)와 걸리는 부분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 끝단부분인 점을 고려한 설계이다. 만일 걸림부(320)의 상면이 경사를 이루지 않고 수평하게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요부(121)에 조금이라도 걸리지 않도록 버튼부(300)를 내관(200)의 버튼홈(220)에 완전히 눌러야한다. 하지만, 도 5와 같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 상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는 버튼부(300)를 걸림부(320)의 말단 부분이 레일홈(120)의 요부(121)에 걸리지 않을 정도만 누르면 버튼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조작의 편의성이 있다.
버튼부(300)의 바닥면에 제 1 자석(330)이 배치되고 버튼홈(220)의 바닥면에 제 1 자석(330)과 마주하는 면에 같은 극성을 갖는 제 2 자석(240)이 배치되어, 제 1 자석(330)과 제 2 자석(24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버튼부(300)가 버튼홈(220)으로부터 이탈하려는 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받음으로써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홈부(122)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버튼홈(220)의 바닥면에 추가적인 자석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일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버튼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요부(121)보다 내려가도록 눌려 버튼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홈(120)을 따라 이동하여 내관(200)이 외관(1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삽입됨으로써 파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가변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서류를 파일 홀더에 끼우고자 함에 있어 사용자는 서류의 길이에 맞게 버튼부(300)를 눌러 레일홈을 따라 내관(200)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일 홀더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서류에 맞게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내관(200)의 버튼홈(220)에 삽입된 버튼부(300)가 외관(100)의 레일홈(120)에 조립된 구조인 점에서 버튼부(300)가 내관(200)과 외관(100)이 서로 독립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류를 내관(200)과 외관(100)의 측면에 모두 공통되게 개구된 삽입홈들(110, 210)로 서류를 끼울 수 있으며, 내관(200)과 외관(100) 자체가 가지는 탄성구조상 서류의 일측을 고정시켜 파일 홀더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홀더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바닥면과 버튼홈(220)의 바닥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판(400)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고무판(400)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로 복원되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홈부(122)에 끼워진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바닥면과 버튼홈(220)의 바닥면 사이에 코일 또는 판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500)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가압하는 경우 스프링(500)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로 복원되어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홈부(122)에 끼워진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고무판(400)이나 스프링(500)은 충분히 압축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누름에도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레일홈(120)의 홈부(122)를 이탈하지 않아 내관(200)의 이동이 불가할 수 있기에 압축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됨이 적절하다.
본 실시예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달리, 버튼부(300)에 자석을 삽입하기 위한 설계, 버튼홈(220)의 바닥면에 자석을 삽입하기 위한 설계, 자석의 양극이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배치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자석이 이탈될 가능성 등을 모두 고려하지 않아 설계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서류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과, 그 조작에 있어 사용자가 쉽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높은 편의성을 모두 갖춘 신규한 구조의 파일 홀더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관
110 : 외관서류홈
120 : 레일홈
121 : 요부
122 : 홈부
200 : 내관
210 : 내관서류홈
220 : 버튼홈
230 : 자석홈
240 : 제 2 자석
300 : 버튼부
310 : 몸체
320 : 걸림부
330 : 제 1 자석
400 : 고무판
500 : 스프링

Claims (7)

  1.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외관서류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복수개의 요부(121)와 복수개의 홈부(122)가 각각 번갈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120)이 형성된 외관(100);
    전후면이 통공된 관 형태로써, 일측으로 서류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내관서류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관(100)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상기 외관(100)의 내경 이하이며, 상부에 버튼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내관(200); 및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좌우 측면에 복수개의 돌출형성된 걸림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관(200)의 버튼홈(220)에 안치되는 버튼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300)의 걸림부(320)가 상기 레일홈(120)의 요부(121)보다 내려가도록 눌려 상기 버튼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홈(12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관(200)이 상기 외관(1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삽입됨으로써 전체의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의 양 측면사이 폭은 상기 레일홈(120)의 마주하는 요부(121)끼리 간극만큼 형성되어, 상기 외관서류홈(110)과 상기 내관서류홈(210)이 서로 통공된 개구 상태를 유지하는 파일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홈(220)은 적어도 상기 버튼부(300)의 바닥부터 상기 걸림부(320)의 최상단까지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파일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의 걸림부(320)는 끝단이 내려가도록 상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파일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의 바닥면에 제 1 자석(330)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홈(220)의 바닥면에 상기 제 1 자석(330)과 마주하는 면에 같은 극성을 갖는 제 2 자석(240)이 배치되는 파일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의 바닥면과 상기 버튼홈(220)의 바닥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판(400)이 배치되는 파일 홀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의 바닥면과 상기 버튼홈(220)의 바닥면 사이에 코일 또는 판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500)이 배치되는 파일 홀더.
KR1020200166714A 2020-12-02 2020-12-02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KR10245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14A KR102458294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14A KR102458294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06A true KR20220077606A (ko) 2022-06-09
KR102458294B1 KR102458294B1 (ko) 2022-10-21

Family

ID=8198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14A KR102458294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506B1 (ko) * 2022-12-13 2023-11-29 (주)비케이방수기술연구소 자착식 시트방수재 현장 부착강도 측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66Y1 (ko) * 2006-04-03 2006-06-16 조영준 자석을 이용한 키 스위치
JP4937328B2 (ja) * 2009-10-16 2012-05-23 宏光 中西 書類用綴り具
KR20170055876A (ko) 2015-11-12 2017-05-22 노지혜 다양한 굵기 및 길이 접목 파일 홀더
JP2019080625A (ja) * 2017-10-27 2019-05-30 花王株式会社 石鹸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66Y1 (ko) * 2006-04-03 2006-06-16 조영준 자석을 이용한 키 스위치
JP4937328B2 (ja) * 2009-10-16 2012-05-23 宏光 中西 書類用綴り具
KR20170055876A (ko) 2015-11-12 2017-05-22 노지혜 다양한 굵기 및 길이 접목 파일 홀더
JP2019080625A (ja) * 2017-10-27 2019-05-30 花王株式会社 石鹸ホル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506B1 (ko) * 2022-12-13 2023-11-29 (주)비케이방수기술연구소 자착식 시트방수재 현장 부착강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294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4825A (en) Paper clip with multiple panels
KR102458294B1 (ko)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CN102821638A (zh) 具有可压缩空隙的钥匙环
CN107696741B (zh) 尾柄插入式长尾夹
US7238907B2 (en) Keyboard with key supporting structure
JP6054653B2 (ja) 綴じ具
JP4729313B2 (ja) シート状物収納容器
KR20210015935A (ko) 철구
JP2017105099A (ja) クリップファイル
JP2004330437A (ja) クリップ
JP4687319B2 (ja) 綴じ具、ファイル
JP6830809B2 (ja) 長尺物繰り出し装置
KR200485704Y1 (ko) 문서철용 접힘홈 생성장치
JP2002225477A (ja) ファイリング用具
JP4986427B2 (ja) 収納具
KR101617195B1 (ko) 문서 고정용 클립
CN218430666U (zh) 一种装订结构牢固的活页夹
CN109397918B (zh) 部件的固定构造
WO2010053527A2 (en) Parallel motion stapler
JP4010984B2 (ja) 給紙トレイ
JP5194236B1 (ja) 背幅調整可能なファイリング用具に設置される背表紙収納部
KR200298086Y1 (ko) 결합구조를 갖는 이동서랍
JP2008006152A (ja) 収納シート
JP2005119389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リテーナ構造
GB2153285A (en) A sta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