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022A - 압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022A
KR20220077022A KR1020200166106A KR20200166106A KR20220077022A KR 20220077022 A KR20220077022 A KR 20220077022A KR 1020200166106 A KR1020200166106 A KR 1020200166106A KR 20200166106 A KR20200166106 A KR 20200166106A KR 20220077022 A KR20220077022 A KR 2022007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pressure
fluid
regulating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355B1 (ko
Inventor
노상수
이응안
김성결
김정주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3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5Housing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는, 압력 센서가 구비된 압력 조절 장치로서, 가압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어 유출되는 출구포트 및 압력 센서가 장착되는 압력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구포트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출구포트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 내에 마련된 유체측정홀에 결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조절 장치{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센서가 본체부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는 압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력조절 장치(레귤레이터), 유체 저장 탱크 또는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는, 레귤레이터, 유제 저장 탱크 또는 배관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압력 센서가,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 압력 센서 본체, 센서 장착부와 나사결합을 위해 압력 센서 본체의 주위에 마련된 나사 결합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의 가격이 증대하고 조립 공수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력 센서가 장착되는 대상물과 별도로 마련되는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압력 센서가 외부 충격으로 파손되거나, 압력 센서의 결합부위가 크랙 등이 발생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에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가 레귤레이터와 별도로 준비되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압력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레귤레이터 본체부와 압력 센서가 나사 결합을 함에 따라, 압력 센서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 역시 그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83711(2016.01.0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력 조절 장치 내부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압력 센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압력 조절 장치와 결합 시, 정밀 나사 가공이 필요 없는 강제끼움 구조를 적용하여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술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가 구비된 압력 조절 장치는, 가압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어 유출되는 출구포트 및 압력 센서가 장착되는 압력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구포트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출구포트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 내에 마련된 유체측정홀에 결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유체 측정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력 센서를 밀폐하고,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측정홀과 상기 압력 센서는 강제끼움(forced-insertion) 방식으로 밀봉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센서 장착부는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의 일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유체가 도입되는 포트부가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유체 측정홀과 강제끼움하도록 외부에 그루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유체 측정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를 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와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실링물질이 마련되거나 오-링(O-ring)이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 수용부와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유체 측정홀은 경도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의 경도가 상기 유체 측정홀의 경도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PCB 기판; 및 상기 PCB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PCB 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측정홀과 상기 압력 센서를 유체연통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은,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압력 센서와 끼움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연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체 측정홀과 나사결합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제2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부와 상기 압력 센서는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상기 유체 측정홀과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는, 압력 조절 장치 내부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압력 센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압력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압력 조절 장치와 결합 시, 정밀 나사 가공이 필요 없는 강제끼움 구조를 적용하여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조절 장치를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조절 장치를 선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압력 센서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 조절 장치를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압력 조절 장치를 선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압력 센서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10)는 고압의 유체를 중압 또는 저압으로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통합된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출구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일례로, 압력 조절 장치(10)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서, 700bar 내지 900 bar 또는 그 이상의 고압의 수소가 저장된 수소저장탱크에 연결되어, 고압의 수소를 10bar 내지 20bar로 감압하여 요구하는 유량을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할 수 있다. 종래의 압력 조절 장치는 별도의 압력 센서가 압력 조절 장치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10)는, 본체부(20), 압력 조절부(30), 및 압력 센서 모듈(100)을 포함한다.
본체부(20)는 고압으로 저장된, 즉 가압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포트(23)와, 고압의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어 유출되는 출구포트(26)와, 압력 센서 모듈(100) 장착되는 압력 센서 장착부(21)를 포함한다. 입구포트(23)로 유입된 고압의 유체(예컨대, 수소)는 고압 영역(38)에서, 피스톤(34)에 연결된 밸브(35)의 개폐량에 따라 중압 영역(36)으로 이동한 후, 출구포트(36)로 배출될 수 있다. 밸브(35)는 피스톤(34)에 연결된 스프링(3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며, 스프링(32)에 연결된 압력 조절 노브(미도시)에 의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밸브(35)의 개폐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조절 장치(10)가 연료전지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 입구포트(23)는 상기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고, 압력 조절부(30)는 상기 수소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수소를 감압하여 출구포트(26)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20)의 압력 센서 장착부(21)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체 측정홀(24)이 마련되고, 유체 측정홀(24)에 압력 센서(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측정홀(24)은 본체부(20) 내의 중압 영역(36)과 유체 연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압력이 조절되어 출구포트(26)로 배출되는 유체, 즉 수소의 압력을 압력 센서(110)가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 장착부(21)는 압력 센서(110)가 장착되도록 본체부(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압력 센서(110)를 수용하는 공간인 센서 수용부(22)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 모듈(100)은, 유체 측정홀(24)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110)와, 압력 센서 장착부(21)에 장착되어 압력 센서(110)를 밀폐하고, 압력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110)는 압력 센서 장착부(21) 내에 마련되는 공간인 센서 수용부(22) 내에 배치되는 기다란 원통형 형상의 하우징(116)과, 하우징(116) 내부에 마련되되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1 PCB 기판(111)과, 제1 PCB 기판(111)이 저면에서 개방되어 삽입되고, 제1 PCB 기판(111)과 접촉하는 스프링(118)의 이탈을 방지하는 비전도성의 가이드 몰드(116)와, 스프링(118)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커넥터(140)로 전달하는 제2 PCB(147)를 포함한다.
커넥터(140)는 압력 센서 장착부(21)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압력 센서(110)를 덮어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고, 압력 센서(110)를 외부로부터 밀봉하고 보호하며, 압력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한다. 커넥터(140)는 적어도 3개의 단자인, Vcc, GND, 시그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40)에는 압력 센서 장착부(21)와의 결합 시, 방향성을 갖게 하기 위한 방향 안내핀(146)이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측정홀(24)과 압력 센서(110)는 강제끼움(forced-insertion) 방식으로 밀봉결합되고, 커넥터(140)와 압력 센서 장착부(21)는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10)와 유체 측정홀(24)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를 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와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강제끼움 방식은 두 금속 물질의 경도 차이로 인해 강한 경도의 제1 금속 물질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약한 제2 금속 물질에 삽입되면서, 경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제2 금속 물질의 접촉면을 강제적으로 깎아 공간을 메우는 원리로 실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압력 센서 장착부(21)와 결합되는 커넥터(140)의 외주면에는 실링물질이 마련되거나, 오-링(O-ring; 144)이 마련되고, 커넥터(140)는 압력 센서 장착부(21)의 내주에 마련된 홈과 후크(hook; 14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40)의 외주면에 오-링(144)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10)의 돌출부의 경도가 유체 측정홀(24)의 결합홈의 경도보다 커서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110)와 본체부(20)는 경도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압력 센서(110)의 경도가 본체부(20)의 경도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110)의 일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가 도입되는 포트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포트부(112)에는 유체 측정홀(24)과 강제끼움하도록 외부에 복수의 돌출부인, 그루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조절 장치(10)에 장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 모듈(100)은, 압력 센서(110), 커넥터(140),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을 포함한다. 압력 센서(110)와 커넥터(1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은, 유체 측정홀(24)과 압력 센서(110) 사이에서 연결되어 이들을 유체연통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은,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된 본체부(160)와, 본체부(160)의 제1 단부에 마련되며, 압력 센서와 끼움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연통부(161)와, 본체부(160)의 제2 단부에 마련되며, 유체 측정홀(24)과 나사결합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제2 연통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통부(161)와 압력 센서(110)는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하고, 제2 연통부(164)는 유체 측정홀(24)과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통부(161)는, 본체부(160)의 상측 내부에 마련되고, 압력 센서(110)는 외주면에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제1 연통부(161)의 결합홀은 돌출부(114)가 압입되어 끼워지면서 결합홀의 표면이 강제적으로 깎아져 돌출부(114)와 제1 연통부(161)의 결합홀 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되어 밀봉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통부(164)는 본체부(16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나사부는 제2 연통부(164)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유체 측정홀(24)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나사부의 주변에는 실링물질이 마련되거나, 오-링(16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10)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연통부(161)에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반대로 제1 연통부(161)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압력 센서(110)에 결합홀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2단 구조 커플링(160)은 압력 센서(110)의 하단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될 수 있다.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은, 일례로 금속재인 압력 센서(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110)와는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 될 수 있고, 유체 측정홀(24)과는 일반 나사 구조와 같은 일반 실링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유체 측정홀(24)과의 결합은 일반적인 밀봉결합구조로서, 오-링 등을 이용하거나 나사의 표면에 실링을 위한 밀봉물질(예컨대, 테프론 테이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의 결합순서는, 일례로 유체 측정홀(24)과 먼저 밀봉결합하고, 다음으로 압력 센서(110)와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유체 측정홀(24)은 제품의 본체, 즉 압력 조절 장치(10)의 본체(20)와 같이 부피가 크고 고가의 대상물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압력 센서(110)가 유체 측정홀(24)과 곧바로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을 하게 되면, 이후 제품 교환 및 변경 시, 강제끼움으로 인한 제품 파손으로 인해 강제끼움 방식이 적용된 모든 구조물을 폐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을 적용하게 되면 제품 교체 시, 2단 실링 구조 커플링(160)까지만 교체를 하면 되므로, 고가의 상기 본체는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는, 압력 조절 장치 내부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압력 센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압력 조절 장치의 본체부가 압력 센서를 보호하여 압력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압력 조절 장치와 결합 시, 정밀 나사 가공이 필요 없는 강제끼움 구조를 적용하여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직의 PCB를 배치할 수 있는 소형의 압력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압력 조절 장치의 본체부의 장착부 내에 압력 센서를 수용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압력 센서 모듈과 압력 조절 장치를 하나의 통합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 절감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무게 및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압력 조절 장치 20: 본체부
21: 압력 센서 장착부 22: 센서 수용부
23: 입구포트 24: 유체 측정홀
26: 출구포트 100: 압력 센서 모듈
110: 압력센서 111: 제1 PCB 기판
112: 포트부 114: 돌출부
116: 가이드 몰드 118: 스프링
140: 커넥터 142: 후크
144: 오-링 147: 제2 PCB 기판
160: 2단 실링 구조 커플링(본체부) 161: 제1 연통부
162: 오-링 164: 제2 연통부

Claims (10)

  1. 압력 센서가 구비된 압력 조절 장치로서,
    가압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어 유출되는 출구포트 및 압력 센서가 장착되는 압력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구포트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출구포트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 내에 마련된 유체측정홀에 결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유체 측정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력 센서를 밀폐하고,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측정홀과 상기 압력 센서는 강제끼움(forced-insertion) 방식으로 밀봉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는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의 일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유체가 도입되는 포트부가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유체 측정홀과 강제끼움하도록 외부에 그루부가 마련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유체 측정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를 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와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실링물질이 마련되거나 오-링(O-ring)이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 수용부와 후크(hook) 결합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유체 측정홀은 경도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의 경도가 상기 유체 측정홀의 경도보다 큰 것인 압력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PCB 기판; 및
    상기 PCB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PCB 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측정홀과 상기 압력 센서를 유체연통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2단 실링 구조 커플링은,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압력 센서와 끼움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연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체 측정홀과 나사결합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제2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부와 상기 압력 센서는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봉결합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상기 유체 측정홀과 일반실링 방식으로 밀봉결합되는 것인 압력 조절 장치.
KR1020200166106A 2020-12-01 2020-12-01 압력 조절 장치 KR10243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6A KR102434355B1 (ko) 2020-12-01 2020-12-01 압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6A KR102434355B1 (ko) 2020-12-01 2020-12-01 압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22A true KR20220077022A (ko) 2022-06-08
KR102434355B1 KR102434355B1 (ko) 2022-08-19

Family

ID=819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06A KR102434355B1 (ko) 2020-12-01 2020-12-01 압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3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56B1 (ko) * 2009-04-22 2011-06-01 세종공업 주식회사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KR101583711B1 (ko) 2014-07-30 2016-01-11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KR101824620B1 (ko) * 2016-03-28 2018-02-0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의 조립방법
KR102157562B1 (ko) * 2019-05-29 2020-09-1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2단 실링 구조 커플링
KR102165549B1 (ko) * 2019-01-30 2020-10-15 (주)모토닉 차량용 수소 압력 조정 레귤레이터의 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56B1 (ko) * 2009-04-22 2011-06-01 세종공업 주식회사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KR101583711B1 (ko) 2014-07-30 2016-01-11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KR101824620B1 (ko) * 2016-03-28 2018-02-0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의 조립방법
KR102165549B1 (ko) * 2019-01-30 2020-10-15 (주)모토닉 차량용 수소 압력 조정 레귤레이터의 필터
KR102157562B1 (ko) * 2019-05-29 2020-09-1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2단 실링 구조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355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602A (en) Gas control and dispensing assembly and gas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such an assembly
EP2177444A1 (en) Coupler
KR100725786B1 (ko) 가스 유량 조절 시스템
US5438877A (en) Pressure sensor package for reducing stress-induced measurement error
EP1103722B1 (en) Plunger type pump
US20090165424A1 (en) Self-crimping fill tube assembly
CN106546377B (zh) 具有过载保护的压差换能器组件
CN213575764U (zh) 一种防爆阀及电池包
KR102434355B1 (ko) 압력 조절 장치
US5176169A (en) Pressure regulator for underwater breathing system
US7665365B2 (en) Pressure sensor and attachment structure of pressure sensor
US4660601A (en) Valve arrangement
US20090151797A1 (en) Pressure regulator
KR102256806B1 (ko) 압력 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 매니폴드
US20060243751A1 (en) Tank structure
US4932841A (en) Combination oil pressure regulator and low oil pressure detector for refrigerant compressor
US20190024782A1 (en) Sensor mounting structure
CN214066405U (zh) 传感器装置
US20190242342A1 (en) Fuel Pressure Regulator And Fuel Filter Assembly
KR20210156770A (ko) 압력 및 온도 측정 장치
US20030056596A1 (en) Pressure sensor module
CN114764039A (zh) 传感器装置
KR102485905B1 (ko) 압력 센서 유닛
CN216815511U (zh) 一种传感器
CN212242647U (zh) 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