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905B1 - 압력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905B1
KR102485905B1 KR1020210009008A KR20210009008A KR102485905B1 KR 102485905 B1 KR102485905 B1 KR 102485905B1 KR 1020210009008 A KR1020210009008 A KR 1020210009008A KR 20210009008 A KR20210009008 A KR 20210009008A KR 102485905 B1 KR102485905 B1 KR 10248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fastening
housing
por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94A (ko
Inventor
노상수
이응안
김성결
김정주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72Leakage or rupture protec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체결 상대물과 결합하여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로 도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유닛은,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 유닛{PRESSURE SENSOR UNIT}
본 발명은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포트부가 체결 상대물과 선접촉을 통해 밀폐되어 압력 센서 유닛과 체결 상대물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압력 센서 유닛은 압력을 감지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센서로서, 가전 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의료기기, 환경 제어와 산업체의 시스템 제어 등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 중 자동차 또는 선박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 유닛은 기계식에서 반도체 및 MEMS형으로 전환되어왔다. MEMS형 압력 센서는 실리콘 멤브레인(membrane) 또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의 얇은 막이 외부 압력에 따라 휘는 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로 변환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또한, 자동차 또는 선박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 유닛은 가혹한 환경에서 높은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또는 선박은 주행 경로의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압력을 측정하여 출력해야 하는 높은 수준의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일례로, 압력 센서 유닛은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배관에 체결하고 유체를 도입한다. 이때, 체결 상대물과의 체결에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씰링을 위한 고무 씰링이 사용에 따라 마모되거나 낡아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KR 10-1201465 B1 (2102.11.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 상대물 내부면과 인입부와의 선접촉을 통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수밀이 가능하고, 부식이 쉬운 씰링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가능하여 압력 센서 유닛의 소형화가 가능한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으로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여 진동 및 외란에 내성이 있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접점 탄성체를 가이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점 탄성체의 이탈과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체결 상대물과 결합하여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로 도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유닛으로서,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부는, 일단이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과 선접촉을 통하여 상기 체결 상대물과 상기 포트부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상대물과 결합되는 상기 포트부의 인입부는, 외주를 따라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과 선접촉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는, 상기 체결 상대물의 경사각 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가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마련되고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부가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의 상기 인입부는 상기 체결 상대물과 동일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외부에 상기 체결 상대물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부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양단에서 지지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커넥터 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를 준비하는 단계; 중공의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포트부에 회로부를 배치하고 접합하는 단계;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와 외부에 체결 상대물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마련된 체결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회로부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포트부에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포트부와 상기 체결부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체결 상대물 내부면과 인입부와의 선접촉을 통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수밀이 가능하고, 부식이 쉬운 씰링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가능하여 압력 센서 유닛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수직으로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여 진동 및 외란에 내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점 탄성체를 가이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점 탄성체의 이탈과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과 체결 상대물이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과 체결 상대물이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100)은 체결 상대물(10)과 결합하여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로 도입되는 유체(F)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트부(110), 회로부(120), 하우징(130) 및 커넥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 유닛(100)은 일례로, 체결 상대물(10) 내의 고압의 수소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포트부(110)는 체결 상대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F)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트부(110)에는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F)가 인입되는 인입도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도관(111)의 일단은 유체(F)가 인입되도록 개방되며, 인입도관(111)의 타단에는 유체(F)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112)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112)의 일면에는 다이어프램(112)의 변형율을 감지하여 유체(F)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13)가 마련될 수 있다.
압력 센서 유닛(100)과 체결 상대물(10)이 결합하면, 포트부(110)는 일단이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면과 선접촉을 통하여 체결 상대물(10)과 포트부(11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를 통해 도입되는 유체(F)는 체결 상대물(10)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인입도관(111)에 전부 인입될 수 있다.
인입도관(111)의 입구는 포트부(110)의 인입부(114)에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114)는 인입도관(111)으로 유체(F)를 인입하고,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면과 선접촉을 통해 유체(F)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입도관(111)를 따라 포트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114)는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면과 선접촉하도록 외주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입부(114)와 체결 상대물(10)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120)는 압력 센서(113)가 측정한 유체(F)의 압력 신호를 압력 센서(113)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와 연결된 커넥터부(14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회로부(120)는, 지지부(121), 커넥터 몰드(122), 회로기판(124), 가이드연장부재(125) 및 접점 탄성체(126)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20)는 다이어프램(112)이 위치한 포트부(110)의 일면으로부터 회로부(120) 각각의 구성이 서로 적층되며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 탄성체(126)는 일례로 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회로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 형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 내부에는 회로부(12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일단은 포트부(110)와, 하우징(130)의 타단은 커넥터부(14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부(140)는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회로부(120)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40)는 하우징(130)의 일단과 결합되면, 하우징(130) 내부의 회로부(12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100)은 체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0)는 체결 상대물(10)과 압력 센서 유닛(10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우징(1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0)는 체결 상대물(10)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0)는 포트부(110)의 일면에 안착되며 포트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130)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12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회로기판(124)은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24)의 양단에는 회로기판(124)이 삽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몰드(122, 123)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몰드(122, 123)는 회로기판(124)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몰드(122)와 회로기판(124)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몰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몰드(122)는 지지부(121)에 안착되며 지지되고, 지지부(121)는 포트부(110)의 일면에 안착되며 지지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몰드(123)는 회로기판(124)에 삽입되며 지지되고 하우징(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분(123a)이 제1 커넥터 몰드(122)에 안착하며 지지될 수 있다.
접점 탄성체(126)는 제2 커넥터 몰드(123)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구(123b)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에는 회로기판(124)이 삽입되면 회로기판(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접부(123c)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접점 탄성체(126)는 접점부(123c)에 안착되며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는 접점 탄성체(126)가 좌굴되지 않고 삽입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체의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해 원통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접점 탄성체(126)가 스프링 삽입구(123b) 내부에 접촉되더라도 신호 누설이 되지 않도록 스프링 삽입구(123b) 부분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에 삽입된 접점 탄성체(126)에는 가이드연장부재(125)가 더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연장부재(125)는 접점 탄성체(126)의 길이보다 짧은 스프링 삽입구(123b) 길이로 인해 완전하지 않은 스프링 가이드 효과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삽입구(123b)와 동일한 형상인 가이드 연장구(125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장구(125a)는 제2 커넥터 몰드(123)와 가이드연장부재(125)가 결합되면 스프링 삽입구(123b)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삽입구(123b)의 탄성체의 가이드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 상대물(10)은 삽입구(11), 접촉구(12) 및 도입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11)는 체결부(150)가 결합하며 포트부(110)가 체결 상대물(10)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삽입구(11) 내면에는 나사산(11a)이 형성되어 체결부(15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접촉구(12)는 포트부(110)의 인입부(114)가 진입 되면서 인입부(114)가 접촉구(12)의 내면과 선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접촉구(12)는 소정의 경사각(α)을 가지며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입구(13)는 유체(F)가 도입되는 곳이다. 도입구(13), 접촉구(12), 및 삽입구(11)는 서로 유체 연통되어 있으므로 유체(F)가 도입되면 각각의 영역으로 흘러갈 수 있다. 그러나, 포트부(110)의 인입부(114)가 접촉구(12)로 삽입되면 인입부(114)가 접촉구(12) 내면과 선접촉되어, 도입구(13)와 삽입구(11)는 서로 격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입부(114)는 접촉구(12)의 내면과 선접촉되도록 접촉구(12)의 경사각(α)보다 작은 경사각(β)을 가지는 경사부(114-1a)가 마련된 제1 부분(114-1) 및 제1 부분(114-1)의 하부에 마련되고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부(114-2a)가 마련된 제2 부분(11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부(114-2a)가 경사각 접촉구(12)의 경사각(α)에 선접촉되어 맞닿아 기밀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구(12)의 경사각(α)은 경사부(114-1a)의 경사각(β)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114)는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114-1) 없이 제2 부분(114-2)만 형성될 수 있다. 접촉구(12)가 소정의 경사각(α)을 가지므로 제2 부분(114-2)의 곡선부(114-2a)는 접촉구(12)의 내면에 접촉되며 씰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114) 제2 부분(114-2)의 형상으로 인해, 인입부(114)는 접촉구(12)에 삽입되되, 인입부(114)의 제2 부분(114b)의 외면이 접촉구(12)의 내면에 선접촉이 되므로, 유체(F)가 삽입구(11)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114)와 접촉구(12)의 접촉하므로 씰링이 향상되고, 오링 및 이외 부품의 개입이 없으며, 기밀유지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체(F)의 압력에 따라 변형하는 다이어프램(112)과 다이어프램(112)의 변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13)가 마련된 포트부(110)를 준비하는 단계(S110), 중공의 하우징(130)과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부(140)를 준비하는 단계(S120), 포트부(110)에 회로부(120)를 배치하고 접합하는 단계(S130), 내부에 하우징(1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151)와 외면에 체결 상대물(10)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마련된 체결부(150)를 준비하는 단계(S140), 회로부(120)를 하우징(130) 내부에 삽입하고, 하우징(130)을 포트부(110)에 접합하는 단계(S150) 및 포트부(110)와 체결부(150)를 접합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합성수지 재질의 씰링부재 없이,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과 인입부의 선접촉을 통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상의 제작 효율과 부속 제거로 인한 제작 단가 인하가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내에 회로기판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씰링부재의 부식으로 인한 유체의 누출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압력 센서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일체형 커넥터의 사용으로 외부에서의 수분 침투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체결 상대물 100: 압력 센서 유닛
110: 포트부 120: 회로부
130: 하우징 140: 커넥터부
150: 체결부

Claims (8)

  1. 체결 상대물과 결합하여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로 도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유닛으로서,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 및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외부에 상기 체결 상대물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부는, 일단이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과 선접촉을 통하여 상기 체결 상대물과 상기 포트부 사이를 밀폐시키되,
    상기 체결 상대물과 결합되는 상기 포트부의 인입부는, 상기 체결 상대물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가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마련되고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부가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유닛은,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에 상기 포트부의 상기 인입부의 제2 부분이 먼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나사산과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포트부를 하방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상대물의 내부면과 상기 인입부의 제2 부분을 선접촉시키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의 상기 인입부는 상기 체결 상대물과 동일한 금속 재질인 것인 압력 센서 유닛.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부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양단에서 지지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커넥터 몰드;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8. 삭제
KR1020210009008A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KR10248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08A KR102485905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08A KR102485905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94A KR20220105994A (ko) 2022-07-28
KR102485905B1 true KR102485905B1 (ko) 2023-01-06

Family

ID=8260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08A KR102485905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9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0446A (ja) * 2015-11-13 2017-05-25 センサタ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力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310A (ja) * 2003-07-18 2005-02-10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KR101201465B1 (ko) 2010-11-30 2012-11-14 세종공업 주식회사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및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용 지그장치
KR102242428B1 (ko) * 2014-06-03 2021-04-19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0446A (ja) * 2015-11-13 2017-05-25 センサタ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力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94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4910B1 (en) Pressure sensor including a ventilation path
KR0159023B1 (ko) 압력 센서
CN109501708B (zh) 用于气囊的压力传感装置
CN107014557B (zh) 物理量测定装置
US8302484B2 (en) Pressure sensor system
KR102485905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169778B1 (ko) 측정 챔버 내 유체 매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장치
KR102471049B1 (ko) 압력 센서 유닛
US7143650B2 (en) Pressure sensor
KR102408569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678707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678706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623221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564528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압력 센서 유닛
EP3805722B1 (en) Pressure sensor module
EP3514517B1 (en) Pressure sensor media interface with integrated seal and diaphragm
KR102434354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434356B1 (ko) 압력 센서 유닛
US10928264B2 (en) Sensor assembly and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JP2017166872A (ja) 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KR20230168469A (ko) 압력 센서 유닛
EP3070451B1 (en) Pressure transducer
CN214893828U (zh) 压力传感器
CN218297193U (zh) 传感器
KR20230057644A (ko) 압력 센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