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892A - 버튼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버튼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892A
KR20220075892A KR1020200164486A KR20200164486A KR20220075892A KR 20220075892 A KR20220075892 A KR 20220075892A KR 1020200164486 A KR1020200164486 A KR 1020200164486A KR 20200164486 A KR20200164486 A KR 20200164486A KR 20220075892 A KR20220075892 A KR 20220075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ltraviolet lamp
ultraviolet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안상현
이원재
윤여찬
김남현
홍종민
오현도
고가령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892A/ko
Publication of KR2022007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의 다중 이용 시설에 마련된 버튼을 자동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튼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버튼의 동작시 자외선이 조사되어 소독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마련한 버튼 소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 소독 장치{Button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의 다중 이용 시설에 마련된 버튼을 자동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 연립주택, 빌라 등 공동 주택, 또는 각종 건물 등의 경우, 가장 오염이 심한 곳은 공동 주택단지 또는 건물의 모든 사람이 출입하는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출입문이 개폐식이긴 하지만, 모든 거주자가 출입하는 장소이고 승강 중에는 출입문이 닫힌 폐쇄 공간이므로, 병자나 세균 보유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내부공간이 오염될 수밖에 없다. 또한, 건강한 사람이 오염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옷이나 인체에 세균이 묻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간의 유해 세균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없애는 장치는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다중 이용 시설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면 일정 시간 동안 자동 소독하는 버튼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버튼의 주변에 마련되고, 상기 버튼의 동작시 자외선이 조사되어 소독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마련한 버튼 소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의 버튼을 자동 소독하여 각종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살균함으로써 항상 청정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을 접촉하더라도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묻지 않아 감염 또는 타인에게로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의 양 측면 또는 상하부에 지지대를 마련하고, 지지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구조로서, 평상시에는 자외선 램프가 발광하지 않고 사용자가 버튼을 사용하기 위해 누르면 자외선 램프가 소정의 시간동안 발광하면서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전기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고, 버튼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중 이용 시설의 버튼 접촉에 따른 세균, 바이러스 등의 오염원의 존재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대안에 자외선 램프를 마련한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 있고,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어서 필요에 따라 단위 길이로 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의 버튼 주변에 마련하여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독 장치가 버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독 장치의 구성으로서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는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독 장치(10)는 각 버튼(B)을 비추도록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부(100), 자외선 조사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0), 버튼(B)의 동작후 소정의 시간 동안 자외선 조사부(100)가 조사되도록 전원 공급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0)는 각 버튼(B)의 양측면 또는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지지대(110), 지지대(110)에 형성된 삽입홈(112)안에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2)의 일측면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20)는 자외선(UV)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자외선 LED 램프의 구성시, 기판에 복수의 자외선 LED 소자를 구비하고, 원하는 길이 및 폭으로 기판을 절단하여 지지대(110)안의 삽입홈(112)안에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지지대(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지지대(110)의 양쪽 끝단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0)는 소정의 단위 길이로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절개홈이 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절개홈을 통해 단수 또는 복수의 지지대(110)를 마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삽입홈(112)안으로 자외선 램프(12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각 버튼(B)의 양 측면 또는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수의 버튼(B)의 양 측면 또는 상하부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개별 버튼(B) 또는 복수의 버튼(B) 측면에 설치시, 버튼(B)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지지대(110)를 절단하고 자외선 램프(120)를 구비한 다음, 접착제 또는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버튼(B)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B)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측면 또는 상하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버튼(B)이 원형인 경우에는 지지대(110)를 곡선형으로 형성되게 구성하여 버튼(B)의 주변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B)을 누르면 접속되어서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자외선 램프(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접속하는 스위치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120)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타이머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타이머부(500)는 제어부(300)에서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전원 공급이 소정의 시간 동안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외선 램프(120)의 조사 시간이 설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부(500)에 의해 자외선 램프(120)는 발광하지 않고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부(400) 대신에,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13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 센서(130)는 자외선 조사부(100)의 지지대(1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버튼(B)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근접하면,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정보는 제어부(300)에 전달되어서 자외선 램프(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130)는 포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토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버튼(B)을 누르면 버튼(B)에 불빛이 켜지고, 이러한 불빛을 포토 센서에서 감지하고, 포토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00)에서 인식하며, 이때 제어부(300)는 자외선 램프(120)를 작동시켜서 불이 켜진 버튼(B)에 자동적으로 자외선을 조사되게 할 수 있다.
버튼(B)을 누르면 자외선 램프(120)가 작동하는 시기는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른후 소정의 시간 경과후 작동되는 딜레이 타임 기능이 있게 할 수 있다.
자외선은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가급적 노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른 후 떼면 그 다음에 자외선 램프(12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30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의 버튼(B) 마다 지지대(11) 및 자외선 램프(120)로 이루어진 자외선 조사부(100)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된 모든 자외선 조사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파트,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내부의 각 층마다 세우기 위한 버튼(B)에 마련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원하는 층수의 버튼(B)을 누르면, 스위치부(400)가 스위칭 온 상태가 되고, 그러면 전원 공급부(200)에서 자외선 램프(12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시간은 미리 타이머부(500)를 통해 설정한 시간(예를 들어 1분 등) 만큼 조사된 후 자동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
버튼(B)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인체 일부와 접촉하는 즉시, 자외선 램프(120)에 의한 발광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령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버튼(B)에 묻더라도 바로 살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B)을 사용하는 모든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항상 청결한 상태로 버튼(B) 표면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각종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의 전염을 차단할 수 있다.
10... 소독 장치
100... 자외선 조사부 110... 지지대
112... 삽입홈 114... 관통공
120... 자외선 램프 130... 감지 센서
200... 전원 공급부
300... 제어부 400... 스위치부
500... 타이머부

Claims (6)

  1. 버튼의 주변에 마련되고,
    상기 버튼의 동작시 자외선이 조사되어 소독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마련한 버튼 소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각 버튼의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버튼 소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단수 또는 복수의 버튼의 측면 또는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버튼의 양 측면 또는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버튼 소독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접속되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
    상기 자외선 램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타이머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자외선 램프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튼 소독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인체 일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자외선 램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타이머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자외선 램프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튼 소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버튼을 누른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후 자외선 램프로부터 자외선이 버튼쪽으로 조사되게 하는 버튼 소독 장치.
KR1020200164486A 2020-11-30 2020-11-30 버튼 소독 장치 KR20220075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486A KR20220075892A (ko) 2020-11-30 2020-11-30 버튼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486A KR20220075892A (ko) 2020-11-30 2020-11-30 버튼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92A true KR20220075892A (ko) 2022-06-08

Family

ID=8198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486A KR20220075892A (ko) 2020-11-30 2020-11-30 버튼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8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620U (ja) エレベーターボタンの殺菌装置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JP4072538B2 (ja) 自動ドア連動型乾燥殺菌装置
KR102167155B1 (ko) 도어의 손잡이 소독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2022314B1 (ko)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KR20190031005A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101428459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변기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변기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101071458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장치
KR20220075892A (ko) 버튼 소독 장치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CN215228682U (zh) 一种冲牙装置
KR102634765B1 (ko) 승강기용 입력버튼
KR102294073B1 (ko)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JP7096607B2 (ja) ポータブル殺菌装置
KR20120133286A (ko) 벽걸이형 공기 살균기
KR102228016B1 (ko)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20220044628A (ko) 유브이엘이디(uvled)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용 살균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KR20220051446A (ko)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소독장치
KR20200091133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102602560B1 (ko) 접촉식 조작 패널용 자외선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