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16B1 -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16B1
KR102228016B1 KR1020200122842A KR20200122842A KR102228016B1 KR 102228016 B1 KR102228016 B1 KR 102228016B1 KR 1020200122842 A KR1020200122842 A KR 1020200122842A KR 20200122842 A KR20200122842 A KR 20200122842A KR 102228016 B1 KR102228016 B1 KR 10222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user
lamp
steriliz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규
Original Assignee
박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규 filed Critical 박윤규
Priority to KR102020014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하여 바이러스 또는 세균 증식을 방지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에 증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없애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ELEVATOR BUTTON STERILIZATION DEVICE USING ULTRAVIOLET LIGHT}
본 발명은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하여 바이러스 또는 세균 증식을 방지해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매개로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하는 버튼 살균 장치의 선행기술을 일예로 들면, 특허문헌 1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버튼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버튼 누름 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버튼을 살균한다.
특허문헌 2 버튼살균장치는 외부 접촉을 인지하여 접촉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만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자외선을 상기 버튼으로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구비하여, 공공장소에서 노출빈도가 높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와 같은 장치를 저전력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살균한다.
그러나 종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의 버튼 살균장치들은 살균장치가 버튼 내부에 매립된 형태이므로 기존의 엘리베이터 버튼에 설치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의 버튼 살균장치들은 사용자가 버튼을 작동하는 경우나 버튼에 근접한 경우에 작동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082호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157호 버튼 살균 장치
본 발명은 버튼 살균 장치를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하기가 용이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하여 바이러스 또는 세균 증식을 방지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시간 대비 엘리베이터에 사용자의 근접 시간 비중을 고려하여 UV램프의 동작 시간 또는 자외선 세기를 조절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UV램프의 조사 각도 또는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해서 엘리베이터 버튼(60)에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0); 및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0)로 감지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면 UV램프(50)를 오프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근접 감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UV램프(50)를 구동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감지 판단 단계; 판단된 사용자 근접 감지에 대응하여 UV램프(50)의 발광 시간을 설정하는 발광 시간 설정 단계; 및 상기 UV램프(5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40)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구동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0); 및 측정된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S20);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타이머 설정 시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S30);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 살균 장치는 버튼 눌린 위치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70)로부터 상기 버튼 눌린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버튼의 눌린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40); 및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UV램프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50);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UV램프(50)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S60);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V램프(50)는, 자외선 광선 180~410nm 파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튼 살균 장치가 엘리베이터 버튼(60) 내부가 아니라 엘리베이터 버튼(60) 외부 상단에 설치되므로 다양한 버튼 형태를 가지는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설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함으로써 사용자가 유해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시간 대비 엘리베이터에 사용자의 근접 시간 비중을 고려하여 UV램프의 동작 시간 또는 자외선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사용이 빈번할 때에도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효과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UV램프의 조사 각도 또는 조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된 엘리베이터 버튼을 선택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버튼 살균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버튼 살균 장치의 외관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버튼 살균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제어부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엘리베이터는 사용자 이용이 잦고 불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므로 감염병이 있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버튼(60)을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버튼(60)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오염원이 될 우려가 매우 크다.
자외선 광선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엘리베이터 버튼(60)의 살균 및 소독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자외선을 직접 쬐거나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손상 등의 위험성이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버튼 살균 장치가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만 작동하여 사용자의 유해한 효과를 방지하면서도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여 감염 우려가 큰 엘리베이터 버튼(60)을 살균하여 세균 또는 바이러스 증식을 방지한다.
버튼 살균 장치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근접하지 않을 때 180~410nm 파장의 자외선 광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60)을 살균한다. 버튼 살균 장치가 엘리베이터 버튼(60)을 살균하여 손 접촉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버튼(60) 세균 오염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버튼 살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버튼부(60) 상단에 위치하고, 버튼 살균 장치의 하부에 매립된 UV램프(50)를 포함하며, UV램프(50)가 180~410nm 파장의 자외선 광선을 출력하여 외부로 노출된 버튼 표면에 조사한다.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 버튼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 동작 전원으로 사용한다. UV램프(50)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버튼 살균 장치의 전체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0); 자외선 광선을 출력하는 UV램프(50); UV램프(5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30); UV램프(5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40); 및 사용자 근접 여부에 따라 타이머(30)를 이용하여 UV램프(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 센서(10)는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거리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사용자 근접이 없을 때 기설정된 시간 동안 UV램프(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살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은 3분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감지 판단 단계; 판단된 사용자 근접 감지에 대응하여 UV램프(50)의 발광 시간을 설정하는 발광 시간 설정 단계; 및 상기 UV램프(5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40)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구동 단계;를 실행시킨다. 제어부(20)는 사용자 감지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판단하고, 발광 시간 설정 단계에서 판단된 사용자 근접 감지에 대응하여 UV램프(50)의 발광 시간을 설정하고, 드라이버 구동 단계에서 UV램프(5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40)를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0); 및 측정된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S20);를 실행시킨다. 제어부(20)는 사용자 감지 센서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여 전체 시간에서 사용자 근접 시간의 비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 근접 시간의 비중에 따라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설정 시간을 변경한다. 여기서,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동작 시간은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동작 주기의 온/오프 설정에 따라 달라지고, 온 시간의 간격, 주기가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동작 시간을 결정하고, 사용자 감지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온 시간 동안 사용자 감지 센서(10)가 동작하고, 사용자 근접을 감지한다. 사용자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감지 센서(10)는 사용자 근접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사용자 근접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감지 센서(10)의 전체 동작 시간 중 사용자 근접이 발생한 시간 비중을 계산하고, 사용자 근접 시간의 비중에 따라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타이머 설정 시간의 변경에 대응하여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S30);를 더 실행시킨다. 타이머 설정 시간이 줄어들면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를 증가시켜 타이머 설정 시간과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의 곱을 기설정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 전력이 균등해진다.
타이머 설정 시간과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의 곱이 기설정된 레벨로 유지될 때 타이머 설정 시간 또는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는 서로 반비례 관계에 놓인다. 예를 들어, 타이머 설정 시간이 감소하면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가 증가해서 자외선 강도가 세진다. 이는 사용자 근접을 감지한 시간 비중이 증가할 때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설정 시간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를 증가시켜 전체 버튼 살균 장치의 버튼에 대한 살균 효과를 유지시킨다.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접근하더라도 버튼 살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로 유지될 수 있고 소비 전력도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엘리베이터 버튼(60)이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 경우에 버튼 살균 장치도 엘리베이터 버튼(60)과 동일한 복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UV램프(50)를 구비하여, 각 UV램프(50)가 대응되는 하나의 엘리베이터 버튼(60)만을 조사하도록 UV램프(50)의 조사 각도 및 조사 위치를 조절해서 버튼을 선택적으로 살균함으로써 전체 버튼을 살균하는 것에 비해 소비 전력을 줄이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버튼 살균 장치는 버튼 눌린 위치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제어부(70)로부터 버튼 눌린 위치를 수신하여 버튼의 눌린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40); 및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UV램프(5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50);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UV램프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S60);를 실행시킨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어부(20)가 엘리베이터 버튼(60)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UV램프(50)를 구동시켜 눌린 엘리베이터 버튼(60)만을 조사하도록 UV램프(50)의 조사 각도 및 조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사 각도는 엘리베이터 버튼이 행으로 배열된 것에 상응하고, 제어부(20)가 UV램프(5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UV램프(50)는 도 7의 (a)와 같이, 엘리베이터 버튼(6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열되며, 각각의 UV램프(50)의 설치각도는 엘리베이터 버튼(60)의 지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자외선 조사각도가 변경되게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20)가 엘리베이터 버튼(60)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조사 각도의 UV램프(50)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 조사 위치는 엘리베이터 버튼이 열로 배열된 것에 상응하고, 버튼 위치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UV램프(50)가 구성되고, 제어부(20)는 도 7의 (b)와 같이,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UV램프(50)의 조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행으로 배열된 엘리베이터 버튼은 버튼 살균 장치와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행에 따라 다르므로 조사 각도를 달리해서 해당 거리를 맞출 수 있고, 열로 배열된 엘리베이터 버튼은 버튼 살균 장치와 이격된 거리가 일정하지만 수평 이격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이에 조사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사용자 감지 센서
20: 제어부
30: 타이머
40: 드라이버
50: UV램프
60: 엘리베이터 버튼
70: 엘리베이터 제어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해서 엘리베이터 버튼(60)에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0); 및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0)로 감지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면 UV램프(50)를 오프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근접 감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UV램프(50)를 구동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0); 및
    측정된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UV램프(5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S20);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타이머 설정 시간의 변경에 대응하여 드라이버(40)의 구동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S30);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5.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해서 엘리베이터 버튼(60)에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 버튼(60) 상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근접 감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0); 및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0)로 감지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면 UV램프(50)를 오프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근접 감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UV램프(50)를 구동하는 제어부(20); 및
    버튼 눌린 위치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70)로부터 상기 버튼 눌린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버튼의 눌린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40); 및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UV램프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50);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된 버튼의 눌린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UV램프(50)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S60);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램프(50)는,
    자외선 광선 180~410nm 파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1020200122842A 2020-05-19 2020-09-23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102228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80A KR20210143094A (ko) 2020-05-19 2020-11-10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9631 2020-05-19
KR1020200059631 2020-05-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180A Division KR20210143094A (ko) 2020-05-19 2020-11-10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016B1 true KR102228016B1 (ko) 2021-03-15

Family

ID=75134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842A KR102228016B1 (ko) 2020-05-19 2020-09-23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1020200149180A KR20210143094A (ko) 2020-05-19 2020-11-10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180A KR20210143094A (ko) 2020-05-19 2020-11-10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8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073A (ko) 2021-12-02 2023-06-09 조부연 스위치 소독기
KR20240006160A (ko) 2022-07-06 2024-01-1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살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157U (ko) 2007-05-02 2008-11-06 이찬봉 버튼 살균 장치
KR20160015082A (ko) 2014-07-30 2016-02-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장치
KR101618251B1 (ko) * 2015-11-25 2016-05-09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157U (ko) 2007-05-02 2008-11-06 이찬봉 버튼 살균 장치
KR20160015082A (ko) 2014-07-30 2016-02-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장치
KR101618251B1 (ko) * 2015-11-25 2016-05-09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073A (ko) 2021-12-02 2023-06-09 조부연 스위치 소독기
KR20240006160A (ko) 2022-07-06 2024-01-1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94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96924A (ja) 殺菌装置
KR20160088053A (ko)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
CN111150862A (zh) 一种基于紫外光线的智能杀菌装置及其杀菌控制方法
CA3071955C (en) Sterilization device for incision and wound sites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2167793B1 (ko) 살균소독장치
US11638836B2 (en) Sterilization device utilizing low intensity UV-C radiation and ozone
KR102228016B1 (ko)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20200073830A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KR20180053187A (ko)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KR20200100386A (ko) Uv led 청정 시스템을 구비한 항균 조명 장치
KR20150122019A (ko)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살균등 장치
KR101803197B1 (ko) 손잡이 살균장치
CN113876972A (zh) 深紫外led消杀装置及消杀新冠病毒的方法
KR200494735Y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센서등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20060110025A (ko) 자외선 방사 살균을 위한 조명기구 및 컨트롤러시스템
KR102337302B1 (ko) 자동 살균 장치
GB2387542A (en) Self sterilising handles and switches
KR20200001720A (ko) 휴대용 uv 램프
CN115089737A (zh) 大面积区域式智能联动二合一消毒照明灯系统
KR20190130258A (ko) 살균 및 해충퇴치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2294073B1 (ko)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KR20180131247A (ko) 살균 장치
KR20050029482A (ko) 살균효과 검출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