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187A -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187A
KR20180053187A KR1020160165898A KR20160165898A KR20180053187A KR 20180053187 A KR20180053187 A KR 20180053187A KR 1020160165898 A KR1020160165898 A KR 1020160165898A KR 20160165898 A KR20160165898 A KR 20160165898A KR 20180053187 A KR20180053187 A KR 2018005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sterilization
human body
sterilizing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하
Original Assignee
윤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하 filed Critical 윤덕하
Publication of KR2018005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결합에 의해 좌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및 외측으로 구성되는 좌변기 커버;좌변기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 주변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인식 장치;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 살균장치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및 타이머에 설정된 반복살균 주기에 따라서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가 개시된다.
개폐감지센서 및 인체인식 장치를 병용하고,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좌변기를 제어함으로써 좌변기를 지능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좌변기 및 좌변기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A toilet bowl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철역, 학교, 백화점과 같이 많은 대중이 이용하는 공용화장실의 경우 앞선 사람이 사용한 좌변기의 좌대에 다른 사람이 걸터앉아야 하므로 불쾌감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공용화장실의 좌변기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병원균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좌변기를 살균하는 변기에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514호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커버(이하, 선행기술)가 기재되어 있다.
위의 선행기술은 변기커버에 관한 것으로, 용변 후 커버가 자동으로 들어 올려지게 하여 용변과정에 있어 변기커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 기술과 같이 변기 커버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살균을 할 경우, 변기 주변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적외선이 조사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514호 (2002.02.04. 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가 닫히거나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없는 경우에만 살균동작을 수행하여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가 닫히고 인체가 좌변기 주변에 없는 경우에만 살균동작을 수행하여 인체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좌변기를 제어함으로써 좌변기를 지능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좌변기 및 좌변기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결합에 의해 좌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및 외측으로 구성되는 좌변기 커버;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변기 커버 주변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인식 장치;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 상기 살균장치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반복살균 주기에 따라서 상기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살균가부 판단단계; 상기 살균가부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살균장치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살균장치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커버가 닫힌 경우에만 일정시간 동안 살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장치에 의한 인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가 닫히고 인체가 좌변기 주변에 없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살균동작을 수행하여 인체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장치의 반복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좌변기 커버 주변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인식 장치를 병용함으로써, 좌변기 주변의 사람의 존재 유무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좌변기 및 좌변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에 장착되는 살균장치의 광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광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가부 판단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커버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는 좌변기 커버(10), 살균장치(20), 개폐감지센서(30), 인체인식 장치(40), 제어부(70), 타이머(90) 및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좌변기 커버(10)는 내측 및 외측으로 구성되며, 좌변기 이용 시 사람의 엉덩이 부분이 직접 닿는 좌대(50)의 상단 후측에 힌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좌변기 커버(10)는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좌대(5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좌변기를 덮는 역할을 한다.
개폐감지센서(30)는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개폐감지센서(30)가 좌대(50)의 상단에 닿게 되면 이를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 정보로 제어부(70)에게 제공하여 살균장치(20)를 온(ON)되게 하여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감지센서(30)는, 예를 들면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좌변기 커버(10)의 회동 개폐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는 단순한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개폐감지센서(30)는 좌변기 커버(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인지 열린 상태인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체인식 장치(40)는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10) 주변에 인체의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인체인식장치(40)가 좌변기 커버(10)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70)에게 제공하여 살균장치(20)를 온(ON)되게 하여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체인식 장치(40)는 좌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체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인체인식 센서(41), 카메라(43) 및 광센서(45)로 구현될 수 있다.
인체인식 센서(41)는 예를 들면, 인체에서 발생되는 소리(예를 들면 용변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소리센서, 인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인체를 인식 할 수 있는 압력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43)는 예를 들면, 좌변기 커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이 좌변기 커버(10)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인체를 촬상하여 인체의 움직임 또는 인체의 온도 등에 의해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43)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광센서(45)는 좌변기 주변의 광이 인식되는 경우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좌변기 주변의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소리센서, 압력센서, 카메라, 적외선 감지 센서는 인체인식 장치의 예에 불과하며, 인체인식 장치는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인체인식 장치(40)는 인체인식 센서(41), 카메라(43), 소리인식 센서 또는 광센서(45) 중 적어도 하나만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인체인식 센서(41)로만 구성되거나, 카메라(43), 소리인식 센서만으로 구성되거나, 광센서(45)만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살균장치(20)는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하, 전원 공급부)(60)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한다.
여기서 살균장치(20)에 의해 살균되는 좌변기는 좌대(50)와 좌변기 내부(S)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살균장치(20)에 의해 좌대(50)와 좌변기 내부(S)가 모두 살균될 수 있다.
살균장치(20)는, 예를 들면, 자외선, LED,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이용하여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기능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장치(20)는 광 증폭장치(80)와 연동할 수 있고, 광 증폭장치(80)가 살균장치(20)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의 출력을 높이는 기능을 함으로써 살균장치(20)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장치(20)를 외부 물질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본체(21, 121, 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121,122)는 상면, 하면, 측면 및 내부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는 살균장치(20)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21, 121, 122)의 상면은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원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과 창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21, 121, 122)는 방수가 가능하고,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원이 통과 가능한 투명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투과 창을 통과한 광원은, 좌변기 커버(10)가 닫히고, 좌변기 커버(10)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경우 좌변기 내부 공간(S) 및 좌대(50)를 살균할 수 있다.
본체(21, 121, 122)의 하면은 좌변기 커버(10) 내측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있다. 즉, 본체(21, 121, 122)는 좌변기 커버(10) 내측 어떤 위치에도 놓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하면, 측면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변기 커버(10) 내측 어떤 위치에도 놓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21)는 좌변기 커버(10)의 내측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21)의 내부에 살균장치(20)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21)의 상면을 통해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원이 통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21)는 상면, 하면, 측면을 포함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좌변기 커버(10)의 내측 중앙에 결합 될 수 있다. 본체(121)의 하면은 좌변기 커버(10)와 결합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21)의 내부에 살균장치(20)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21)의 상면을 통해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원이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22)는 상면, 하면, 측면을 포함하며 좌변기 커버(1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대략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22)의 내부에는 살균장치(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살균장치(20)는 본체(122)의 상면, 측면에 각각 구비되거나, 본체(122)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원기둥 형상의 본체(121)와 원호 형상의 본체(122)를 적어도 하나만 포함하도록 구현하거나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21, 121, 122)는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을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광이 방출할 수 있도록 광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도 5를 참조하여 광 가이드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1)는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을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 가이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가이드(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 내부를 가로지르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23)가 본체(21)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살균장치(20)에서 발생되는 광이 광 가이드(23)가 형성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살균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과 같은 광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외선이 좌대(10) 또는 좌변기 내부공간(S)에 집중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이 비추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광 가이드(23)를 포함함으로써 살균이 집중되기를 원하는 위치로 자외선을 집중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본체(21)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4의 본체(121, 122)에도 광 가이드(23)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 또는 폐쇄 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11a, 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수단(11a, 11b)은 좌변기 커버(10)와 좌대(50)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좌대(5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변기 커버(10)가 닫히는 경우 좌변기 커버(10)보다 완충수단(11a, 11b)이 좌대(50)에 먼저 닿게 되어 좌변기 커버(10)의 속도를 감속, 충돌 소음 저감 및 좌변기 커버(10)에 결합된 살균장치(2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입력부(미도시)에는 타이머(9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설정 스위치(미도시)와 살균장치(20)의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살균장치(20) 온 오프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90)는 타이머(90)에 의해 직접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에 포함된 타이머 설정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90)는 물리적인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어부(70)에서 반복살균 주기 등을 직접 코딩(coding)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이머(90)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타이머 설정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 주기에 따라서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때와 살균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를 제어부(70)에게 알려주면, 제어부(70)는 타이머(90)의 알림에 의해서 살균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90)에 반복살균 주기를 30분으로 설정한 경우, 타이머(90)는 제어부(70)에게 30분마다 살균장치(2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살균장치의 온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살균장치(20)가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되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 동안만 오프(OFF) 되도록 살균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살균시간을 3분, 대기시간을 5분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는 살균장치(20)가 온(ON)된 상태를 3분만 유지시켜서 3분간만 살균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살균장치(20)가 오프(OFF)된 상태를 5분간만 유지시켜서 5분간만 살균동작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70)의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3에서 제어부(70)는 개폐감지센서(30)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개폐감지센서(30)로부터 좌변기 커버(10)가 좌대(50) 상부에 위치하여 좌변기 내부가 좌변기 커버(10)에 의해 폐쇄된 상태-닫힌 상태-정보를 제공 받으면 살균장치(20)가 온(ON)되어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살균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인체인식 장치(40)가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살균장치(20)가 온(ON) 되어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살균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개폐감지센서(30)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개폐감지센서(30)로부터 좌변기 커버(10)가 좌대(50) 상부에 위치하여 좌변기 내부가 좌변기 커버(10)에 의해 폐쇄된 상태-닫힌 상태-정보를 제공 받고, 인체인식 장치(40)가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만 살균장치(20)가 온(ON) 되어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살균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개폐감지센서(30)가 좌변기 커버(10)가 좌대(50)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개방 상태-로 감지한 경우 또는 인체인식 장치(40)가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살균장치(20)가 오프(OFF) 되도록 살균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컨트롤러, CPU, 저장장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를 들면, HDD, SDD,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는 좌변기에 포함되는 살균장치(20), 개폐감지센서(30), 인체인식 장치(40), 제어부(70) 및 타이머(90)에서사용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0)는, 예를 들면, 전류원소스, 전압원 소스 등의 다양한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70)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70)에 의한 살균장치(20)의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살균가부 판단단계; 살균가부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살균장치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실시 예에서 살균장치(20)는 예를 들면, 자외선, LED,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이용하여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할 실시 예들은, 본 실시 예의 살균가부 판단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들이며 살균가부 판단단계 이외의 단계들은 동일하므로, 살균가부 판단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가부 판단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살균가부 판단단계는 좌변기 커버(1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이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로 인식된 경우를 의미하며,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커버(10)가 개방 상태로 인식된 경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1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 판단 결과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로 판단된 경우(S13: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15); 및 판단 결과 좌변기 커버(10)가 개방 상태로 판단된 경우(S1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15)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시키고, 살균시간이 경과(S27)하면 좌변기 커버(10)의 개폐여부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차단되는 단계(S14)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동안만 오프(OFF) 시키고, 대기시간이 경과(S16)하면 좌변기 커버(10)의 개폐여부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좌변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좌변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살균가부 판단단계는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3)이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소리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소리가 인식된 경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2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3);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소리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S2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25); 및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소리가 인식된 경우(S23: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25)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시키고, 살균시간이 경과(S27)하면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차단되는 단계(S24)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동안만 오프(OFF) 시키고, 대기시간이 경과(S26)하면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살균가부 판단단계는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3)이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인체 움직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인체 움직임이 인식된 경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3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3);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인체 움직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S3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35); 및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인체 움직임이 인식된 경우(S33: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35)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시키고, 살균시간이 경과(S37)하면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차단되는 단계(S34)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동안만 오프(OFF) 시키고, 대기시간이 경과(S36)하면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3)는, 예를 들면 카메라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와 같이 인체의 움직임 유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살균가부 판단단계는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43)이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된 경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4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43);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S4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45); 및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된 경우(S43: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45)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시키고, 살균시간이 경과(S47)하면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차단되는 단계(S44)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동안만 오프(OFF) 시키고, 대기시간이 경과(S46)하면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43)는, 예를 들면 광센서와 같이 광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5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 판단 결과 좌변기 커버(10)가 개방 상태로 판단된 경우(S5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54); 판단 결과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로 판단된 경우(S53: Yes) 좌변기 주변의 인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5); 및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5: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57); 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좌변기 커버(10)가 닫힌 상태이고,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살균동작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5)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살균가부 판단단계를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소리 인식, 카메라에 의한 인체의 움직임 인식, 광 인식 유무에 의해 인체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살균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은, 좌변기 커버(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0)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61); 살균장치(20)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63);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S63: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64); 판단 결과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된 경우(S63: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S65); 및 S65 단계 이후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인체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7);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계 S67의 수행 결과, 인체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S67: Yes)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고, 단계 S67의 수행 결과, 인체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S67: No) 살균장치(20)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64)는 살균장치(20)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동안만 온(ON) 시키고, 살균시간이 경과(S66)하면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다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좌변기 커버
11a, 11b: 완충수단
20: 살균장치
21, 121, 122: 본체
23: 광 가이드
30: 개폐감지센서
40: 인체인식 장치
41: 인체인식 센서
43: 카메라
45: 광센서
50: 좌대
60: 전원 공급부
70: 제어부
80: 광증폭장치
90: 타이머

Claims (19)

  1. 힌지결합에 의해 좌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및 외측으로 구성되는 좌변기 커버;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좌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변기 커버 주변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인식 장치;
    상기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
    상기 살균장치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반복살균 주기에 따라서 상기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본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면, 하면, 측면 및 내부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살균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하면은 상기 좌변기 커버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면은 살균장치에서 발생되는 광원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과창으로 형성된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육면체,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장치에서 발생되는 광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살균장치, 개폐감지센서, 제어부, 인체인식 장치 및 타이머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설정 스위치와 상기 살균장치의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살균장치 온 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상기 타이머 설정 스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 주기에 따라서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때와 살균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를 제어부에게 알려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알림에 의해서 상기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타이머 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코딩(cording)에 의해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장치가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 동안만 살균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 동안만 살균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좌변기 커버가 상기 좌대 상부에 위치하여 좌변기 내부가 상기 좌변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닫힌 상태- 정보를 제공 받으면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 장치로부터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제공 받으면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좌변기 커버가 상기 좌대 상부에 위치하여 좌변기 내부가 상기 좌변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닫힌 상태- 정보를 제공 받고,
    상기 인체인식 장치로부터 좌변기 주변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제공 받으면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 LED, 적외선, 원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상기 좌변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인식 장치는,
    좌변기 주변의 광을 인식할 수 있는 광센서, 인체에서 발생되는 소리로부터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소리센서, 인체를 촬상하여 인체의 움직임 유무로부터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좌대에 인체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경우 인체를 인식 할 수 있는 압력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15. 좌변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을 조사하여 좌변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의 반복살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살균가부 판단단계;
    상기 살균가부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살균장치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살균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살균장치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서 살균동작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가부 판단단계는,
    ⅰ) 좌변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ⅱ)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ⅲ)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ⅳ)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이며,
    상기 살균가부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살균장치가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ⅰ) 좌변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한 결과 좌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로 판단된 경우
    ⅱ) 좌변기 주변의 소리 인식 유무를 판단한 결과 좌변기 주변에 소리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ⅲ) 좌변기 주변의 인체 움직임 인식 유무를 판단한 결과 좌변기 주변에 인체의 움직임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ⅳ) 좌변기 주변의 광의 인식 유무를 판단한 결과 좌변기 주변에 광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인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살균장치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살균시간- 동안만 온(ON)시키고,
    상기 살균동작이 차단되는 단계는, 상기 살균장치를 미리 설정된 제2시간-대기시간- 동안만 오프(OFF)시키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 LED, 적외선, 원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상기 좌변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인,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65898A 2016-11-11 2016-12-07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KR20180053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585 2016-11-11
KR20160150585 2016-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187A true KR20180053187A (ko) 2018-05-21

Family

ID=6245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98A KR20180053187A (ko) 2016-11-11 2016-12-07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18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119A (zh) * 2019-10-29 2019-12-31 深圳智享家科技有限公司 用于马桶的深紫外线消毒系统
KR20200025414A (ko) * 2018-08-30 2020-03-10 김진방 온열 찜질 효과를 갖는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47941A1 (zh) * 2018-09-04 2020-03-12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智能马桶
KR102241330B1 (ko) * 2019-11-20 2021-04-16 이재근 변기용 살균 장치
KR20210138884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
KR102497869B1 (ko) * 2022-02-17 2023-02-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변기 내부 자동 살균 및 세척장치와 자동 살균 및 세척방법
KR20230110955A (ko) * 2022-01-17 2023-07-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비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3B1 (ko) * 2006-08-24 2007-05-18 주식회사 디씨엔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KR101230339B1 (ko) * 2010-06-01 2013-0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3B1 (ko) * 2006-08-24 2007-05-18 주식회사 디씨엔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KR101230339B1 (ko) * 2010-06-01 2013-0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14A (ko) * 2018-08-30 2020-03-10 김진방 온열 찜질 효과를 갖는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47941A1 (zh) * 2018-09-04 2020-03-12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智能马桶
CN110624119A (zh) * 2019-10-29 2019-12-31 深圳智享家科技有限公司 用于马桶的深紫外线消毒系统
KR102241330B1 (ko) * 2019-11-20 2021-04-16 이재근 변기용 살균 장치
KR20210138884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
KR20230110955A (ko) * 2022-01-17 2023-07-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비데
KR102497869B1 (ko) * 2022-02-17 2023-02-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변기 내부 자동 살균 및 세척장치와 자동 살균 및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187A (ko)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US10022467B2 (en) Trashcan
US9445699B2 (en) Low power toilet light illuminator and night light with photosensor activation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2056317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2189230B1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KR102252868B1 (ko) Uv led 청정 시스템을 구비한 항균 조명 장치
KR20170003860A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20090017943A (ko)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20150056708A (ko) 자동 변기 장치
KR20080005157U (ko) 버튼 살균 장치
KR20090003063A (ko)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살균용 좌변기의 구조
KR20170092075A (ko) 지능적 영상 비교 기능이 있는 좌변기 살균기
KR101428459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변기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변기
KR101321510B1 (ko)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KR20120092465A (ko) 주방용 도마 살균기
KR100682476B1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KR20220094164A (ko) 출입용 키패드 uv 살균장치
KR102294073B1 (ko)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KR102259696B1 (ko) 도어 핸들 모듈
CN114306671A (zh) 双波长紫外线消毒方法及双波长集成式紫外线消毒器
KR101701126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5148B1 (ko) 살균 변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