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73B1 -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73B1
KR102294073B1 KR1020200091536A KR20200091536A KR102294073B1 KR 102294073 B1 KR102294073 B1 KR 102294073B1 KR 1020200091536 A KR1020200091536 A KR 1020200091536A KR 20200091536 A KR20200091536 A KR 20200091536A KR 102294073 B1 KR102294073 B1 KR 10229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uch display
unit
steriliza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073B9 (ko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09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73B1/ko
Publication of KR10229407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7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 디스플레이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부,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살균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이용자 감지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Photo frame type touch display ster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자동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 무인단말기(Kiosk) 등은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접촉하는 터치 디스플레이(touch display)를 적용하고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인이 현금자동입출금기, 무인 단말기를 함께 사용하므로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은 항상 세균에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세균이 전이되어 증식될 수 있으며 증식한 세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이될 수 있다. 이에 항상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319호 (2018.02.22.)
본 발명은 터치 디스플레이의 외곽에 배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상시 살균하며 이용자가 접근하면 살균을 멈추는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부,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살균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이용자 감지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연결된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은 각각 복수의 고정바,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바에 각각 삽입되어 인출될 수 있는 복수의 이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UV LED(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UV LED는 프레임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가 배치된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가 이용자를 감지하면 살균을 멈추고 이용자를 감지하지 않으면 살균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에 센서부의 감지로 살균부는 터치 디스플레이 사용 즉시 UV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살균하게 된다. 이에 이용자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에 전이된 세균을 즉시 죽이게 되어 터치 디스플레이는 멸균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의 이동바가 고정바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므로 프레임부의 내측면이 이루는 넓이가 가변된다. 이에 터치 디스플레이의 규격에 맞게 프레임부의 넓이가 조절되므로 다양한 규격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에 배치된 장착부에 의해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가 이용자 단말기에 고정된다. 이에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경사면, 수직면 등에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부가 배치된 프레임부의 내측면이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살균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터치 디스플레이에 집중된다. 이에 터치 디스플레이의 살균 효율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가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가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가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가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는 프레임부(10), 살균부(20), 센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며 터치 디스플레이(1a)의 외곽에 배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을 상시 살균하며 이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a)에 접근하면 살균을 멈추는 것이다. 여기서 터치 디스플레이(1a)는 현금자동입출금기, 무인단말기 등의 이용자 단말기(1)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a)는 전자칠판, 전자교탁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프레임부(10)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다. 프레임부(10)의 형태는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가 설치되는 이용자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이용자 단말기에 위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a)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프레임부(10)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베젤에 놓인다. 그러나 베젤이 생략된 경우 프레임부(10)는 터치 디스플레이(1a)의 외곽에 직접 놓일 수 있다.
프레임부(10)가 이용자 단말기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이용자 단말기와 접하는 프레임부(10)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는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는 중량감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미끄럼방지패드는 프레임부(10)의 중량감에 의해 눌리어 이용자 단말기에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형성되고 중량감을 위해 추와 같은 중량체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부(20)는 프레임부(10)에 배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빛을 조사한다. 살균부(20)는 UV LED(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21)를 포함한다. UV LED(21)는 내측면(10a)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UV LED(21)는 내측면(10a)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UV LED(21)는 프레임부(10)의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UV LED(21)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UV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은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면(10a)에는 반사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는 입사된 UV LED(21)의 빛을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으로 반사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프레임부(10)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부(30)는 공지의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센서부(30)는 이용자 단말기로 접근하는 이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프레임부(10)에 배치되어 있으며 살균부(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회로부, 전원부, 온/오프 스위치,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20)의 회로부는 센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30)의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살균부(20)가 작동하여 UV 파장의 빛을 터치 디스플레이(1a)로 조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30)가 이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40)는 살균부(20)를 "오프"시킨다. 센서부(30)가 이용자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어부(40)는 살균부(20)를 "온" 시킨다. 한편, 제어부(40)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살균부(2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프레임부(10)가 터치 디스플레이(1a)의 규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a)의 프레임부(10)는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한 쌍의 가로 프레임(12)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과 한 쌍의 가로 프레임(12)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은 각각 복수의 고정바(111)와 복수의 이동바(112)를 포함한다.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의 고정바(111)는 고정바끼리 연결되고 이동바(112)는 이동바끼리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부(10)는 사각 형태를 이룬다.
고정바(111)와 이동바(112)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이동바(112)의 일부분이 고정바(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이동바(112)는 고정바(111)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바(112)의 이동으로 프레임부(10)의 내측면이 이루는 넓이는 가변될 수 있다. 이동바(112)가 고정바(11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바(111)에는 이동바(112)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바(112)가 움직일 때 UV LED(21)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바(111)에 배치된 UV LED(21)들은 고정바(111)의 내측면(10a)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바(112)에 배치된 UV LED(21)들은 이동바(112)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고정바(111)의 하면에 미끄럼방지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프레임부(10)의 움직임을 예방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가변으로 터치 디스플레이(1a)의 규격에 제약 받지 않고 이용자 단말기에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a)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가변 구조를 고정바와 이동바로 한정하지 않는다. 프레임부(10)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이루는 넓이가 가변 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미끄럼방지패드는 생략하고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100b)의 장착부(50)는 프레임부(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50)는 실리콘, 고무 따위로 이루어져 이용자 단말기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한다. 흡착부재는 프레임부(10)의 하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장착부(50)의 고정으로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b)는 이용자 단말기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LED(21)가 배치된 프레임부(10)의 내측면(10a)이 터치 디스플레이(1a)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내측면(10a)의 경사도(R)는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을 기준으로 65° 내지 75°일 수 있다. UV LED(21)에서 조사되는 UV 파장의 빛은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에 더욱 집중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1a) 부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를 배치한다. 가변 가능한 프레임부(10)는 터치 디스플레이(1a)에 맞게 가변하여 배치한다.
제어부(40)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를 작동시킨다. 살균부(20)는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을 향하여 UV 파장의 빛을 조사한다. 조사된 빛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은 살균된다.
센서부(30)는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을 감지하며, 이때 이용자 단말기(1)에 접근하는 이용자를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40)는 살균부(20)를 "오프"시켜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으로 UV 파장의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센서부(30)에서 이용자 감지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제어부(40)는 다시 살균부(20)를 "온"시켜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으로 UV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가 이용자 감지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살균부(20)가 작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 목적으로 제어부(40)는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동안만 살균부(2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100)는 센서부(30)가 이용자를 감지하면 살균을 멈추고 이용자를 감지하지 않으면 살균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에 살균부(20)는 센서부(30)의 감지로 터치 디스플레이(1a) 사용 즉시 UV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a)의 표면을 살균하게 된다. 이에 이용자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1a)에 전이된 세균을 즉시 죽이게 되어 터치 디스플레이(1a)는 멸균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이용자 단말기 1a: 터치 디스플레이
100: 살균장치
10: 프레임부 10a: 내측면
11: 세로 프레임 12: 가로 프레임
111: 고정바 112: 이동바
20: 살균부 21: UV LED
30: 센서부 40: 제어부
50: 장착부 R: 내측면 경사도

Claims (5)

  1. 이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살균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부,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살균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이용자 감지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용자 단말기와 접하는 미끄럼방지패드 및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중량감을 더하는 중량체
    를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중량체의 중량감에 의해 눌리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밀착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패드인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연결된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은 각각
    복수의 고정바,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바에 각각 삽입되어 인출될 수 있는 복수의 이동바
    를 포함하는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살균부는 UV LED(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UV LED는 프레임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살균부가 배치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KR1020200091536A 2020-07-23 2020-07-23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KR10229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36A KR102294073B1 (ko) 2020-07-23 2020-07-23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36A KR102294073B1 (ko) 2020-07-23 2020-07-23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73B1 true KR102294073B1 (ko) 2021-08-26
KR102294073B9 KR102294073B9 (ko) 2024-01-11

Family

ID=7746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536A KR102294073B1 (ko) 2020-07-23 2020-07-23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606B1 (ko) * 2022-10-06 2023-05-08 주식회사 코리스 비접촉식 터치 모니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695A (ko) * 2008-04-28 2009-11-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10089385A (ko) * 2010-01-31 2011-08-08 김동언 터치스크린 살균 장치
KR20120037809A (ko) * 2010-10-12 2012-04-20 주식회사 한샘 자외선 살균기와 이의 장착구조
KR20150129152A (ko) * 2014-05-08 2015-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KR101833319B1 (ko) 2016-02-12 2018-02-2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살균장치를 구비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695A (ko) * 2008-04-28 2009-11-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10089385A (ko) * 2010-01-31 2011-08-08 김동언 터치스크린 살균 장치
KR20120037809A (ko) * 2010-10-12 2012-04-20 주식회사 한샘 자외선 살균기와 이의 장착구조
KR20150129152A (ko) * 2014-05-08 2015-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KR101833319B1 (ko) 2016-02-12 2018-02-2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살균장치를 구비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606B1 (ko) * 2022-10-06 2023-05-08 주식회사 코리스 비접촉식 터치 모니터
KR102529608B1 (ko) * 2022-10-06 2023-05-10 주식회사 코리스 살균기를 포함하는 터치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73B9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327B2 (en) Luminaire with white light LEDs and UV LEDs for lighting and disinfection
US8084752B2 (en) Ultraviolet treatment device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KR102131593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KR102167155B1 (ko) 도어의 손잡이 소독장치
GB2421220A (en) Computer input apparatus having UV light source
KR102294073B1 (ko) 액자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KR20080005157U (ko) 버튼 살균 장치
KR20180053187A (ko) 자동 살균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좌변기의 제어방법
KR20110089385A (ko) 터치스크린 살균 장치
KR20200098161A (ko)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키오스크
KR101428459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변기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변기
KR20200073830A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KR101736767B1 (ko) 친환경 살균 도어 손잡이
GB2387542A (en) Self sterilising handles and switches
KR20200091133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102228016B1 (ko)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102294067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살균 장치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KR102259696B1 (ko) 도어 핸들 모듈
CN212294894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洗手池
WO2021224442A1 (en) A safety device for automatic adjustment of uvc radiation
KR20120041869A (ko) 휴대용 컴퓨터
KR1025726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2511703B1 (ko)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