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148B1 - 살균 변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살균 변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148B1
KR101235148B1 KR1020120019132A KR20120019132A KR101235148B1 KR 101235148 B1 KR101235148 B1 KR 101235148B1 KR 1020120019132 A KR1020120019132 A KR 1020120019132A KR 20120019132 A KR20120019132 A KR 20120019132A KR 101235148 B1 KR101235148 B1 KR 10123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andle
sensor
toil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예
Original Assignee
안원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예 filed Critical 안원예
Priority to KR102012001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외선과 같이 살균력이 있는 빛을 변기 손잡이에 조사하여 변기 손잡이를 살균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한 변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균 변기 손잡이{Sterilized Flush Handle}
본 발명은 살균 변기 손잡이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외선과 같이 살균력이 있는 빛을 변기 손잡이에 조사하여 변기 손잡이를 살균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균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에 대한 자각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실의 청결문제도 많이 부각되고 있다.
화장실은 세균의 온상이며 인체에 유해한 세균도 많이 존재한다. 화장실 청결을 위하여 수시로 청소하고 비품을 항상 교체하는 등의 별도의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인력과 효율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자동화를 통한 화장실 청결을 함께 모색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소나 관리가 힘들며 소홀히 하기 쉬우나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발생하는 변기 손잡이에 관한 청결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외선과 같이 살균력이 있는 광원은 조사하여 사람이 접촉하는 변기 손잡이에 있는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살균 변기 손잡이는 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한 변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상기 변기 손잡이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상기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 및 상기 센서를 지지 또는 부착하며 상기 센서와 광원을 연결할 수 있는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기 손잡이는, 레버식 변기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살균 변기 손잡이는, 광원에서 조사하는 빛을 조사받는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투명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 변기 손잡이는,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광원 자체가 삽입가능하거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광원삽입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기 손잡이는, 버튼식 변기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살균 변기 손잡이는, 광원에서 조사하는 빛을 조사받는 버튼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케이스는 투명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케이스는, 상기 광원 자체가 삽입가능하거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광원삽입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변기 손잡이는 화장실 변기 이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변기 손잡이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여, 인체에 접촉하는 변기 손잡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변기 손잡이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사용자들에게 청결함을 제공하며, 유해한 세균이 인체에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내부케이스 내부에 센서, 광원, 전력원 및 지지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외부 캡 내부에 센서, 광원, 전력원 및 지지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변기 손잡이는 변기 손잡이 내부에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변기 손잡이를 동작시키면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광원이 소정의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여 인체가 접촉하는 변기 손잡이 부분을 살균한다.
변기 손잡이는 레버식 변기 손잡이와 버튼식 변기 손잡이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살균 변기 손잡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레버식 변기 손잡이에 적용된 살균 변기 손잡이를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라하고 버튼식 변기 손잡이에 적용된 살균 변기 손잡이를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는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지지대(140), 뒷커버(150), 내부케이스(160) 및 외부케이스(17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레버식 변기 손잡이가 동작하면, 동작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누르면,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구조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레버는 상하의 움직임 또는 회전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동반한다.
센서(110)는 레버식 변기 손잡이 내에 존재하여 상하의 움직임 또는 회전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의 정도는 센서(110)의 위치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회전움직임이 있는 경우, 센서(110)가 회전 축에서 가까울수록 센서(110)에 도달하는 힘은 작다. 반대로 센서(110)가 회전 축에서 멀수록 센서(110)에 도달하는 힘은 크다.
사용자의 레버식 변기 손잡이 동작 이외의 다른 변수로 레버가 다소 움직이는 경우를 고려하여, 센서(110)의 감지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10)의 감지 범위 조절은 센서(1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센서(110) 감지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센서(110)의 위치가 회전축으로부터 거리 정도에 따라 센서(110)의 감지 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센서(110)자체의 성능에 따라서 센서(110)의 감지력이 변하여 감지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는 일정 수준 이하의 힘에는 센서(110)가 반응하지 않도록 센서(1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힘에만 반응하는 센서(110)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110)는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110)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역학적 움직임을 감지하기 용이한 진동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센서(110)는 진동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110)는 레버식 변기 외부에 있을 수도 있으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센서(110)를 보호하고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하여 내부에 있음이 바람직하다.
센서(110)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광원(12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광원(120)은 센서(110)로부터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한다.
광원(120)은 센서(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110)로부터 전기적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한다. 살균력이 있는 빛은 자외선이 될 수 있다.
자외선은 피부를 검게 타게 하고, 세포증식억제, 생물의 유전자 파괴와 같은 효과가 있어 살균 기능 또는 탈취 기능 시에 이용된다. 광원(120)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120)인 경우, 광원(120)은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은 1nm 내지 400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이며, 파장의 성격에 따라 단파장 자외선(280nm 이하), 중파장 자외선(320nm~280nm) 및 장파장 자외선(400nm~320nm)으로 나뉘다. 이 중에서 특히, 185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산소를 오존으로 만들며 이렇게 만들어진 오존이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하며, 254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생물의 단백질을 공격하여 생물을 사멸시킨다. 즉, 185nm와 254nm 파장대의 자외선이 가장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185nm 또는 254nm 파장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장대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120)이 빛을 조사하는 시간 및 시기는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원(120)이 빛을 조사하는 시간이 너무 길면 전력원(130)의 에너지 소모가 클 것이며 너무 짧으면 살균 효과가 감소하므로 적정시간으로 빛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적정시간의 설정은 예를 들어, 1분 내지 3분 정도의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1분 이내라도 살균 효과가 충분한 경우이거나, 화장실 이용 빈도가 높은 화장실의 경우 1분 이내로 빛이 조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광원(120)이 빛을 조사하는 시기는 변기의 사용 빈도 수, 세균 번식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20)은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직후 바로 소정의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광원(120)이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자외선은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는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인체에 도달할 염려가 가장 적은 시기에 광원(120)이 빛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동작시킨 후 손이 변기 손잡이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는 시간을 고려하여, 광원(120)이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빛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소정의 시간이 너무 긴 시간일 경우, 다른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에 인체를 접촉할 수 있으며, 이 때, 광원(120)이 빛을 조사하면 다른 사용자의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원(120)은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약 10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0)의 빛 조사 시기와 시간은 상황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광원(120)의 위치는,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레버식 변기 손잡이에 인체를 접촉시키는 부분 주변에 빛이 조사되 살균이 잘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센서(110)와 광원(120)이 레버식 변기 손잡이 내부에 있기 위해 레버식 변기 손잡이 내부에는 지지대(140)가 있을 수 있다.
지지대(140)는 센서(110)와 광원(120)이 연결,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대(140)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됨이 바람직히다. 지지대(140)가 PCB인 경우, 센서(110)와 광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력원(130)과 센서(110) 및 광원(120)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40)가 PCB로 만들어 진 경우, 지지대(140)는 센서(110)의 감지력 조절, 광원(120)의 조사 시간 또는 광원(120)의 조사 시기를 조절하는 제어부의 역할을 함께할 수도 있다.
전력원(130)은 센서(110)와 광원(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원(130)은 다양한 종류의 건전지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110)와 광원(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력원은 전선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선을 통한 전기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비데식 변기의 경우, 비데에 공급되는 전기를 나눠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전력원은 변기를 움직일 때 사람이 가사는 힘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대(140)와 전력원(130)는 뒷커버(150)에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뒷커버(150)는 내부케이스(160)와 결합 또는 연결된다.
내부케이스(160)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여,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및 지지대(140)가 내부케이스(160)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내부케이스 내부에 센서, 광원, 전력원 및 지지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내부케이스(160)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고, 이 공간으로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및 지지대(140)가 들어가 있어, 사용자의 시각에서는 변기 손잡이를 분해하지 않고는 볼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광원삽입구(162)에 광원(120)이 삽입되어 외부케이스(170)에 빛을 조사하는바, 사용자는 광원(120)과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볼 수는 있을 것이다.
또한, 광원(120)이 레버식 변기 손잡이에서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동작시키기 위해 접촉하는 부분에 존재하는 세균의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케이스(160)에는 광원(120) 자체 또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빠져나올 수 있는 광원삽입구(162)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빛의 세기가 셀수록 살균력 증가하고, 살균하기 위한 곳과 광원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빛의 세기가 약해진다. 살균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살균하기 위한 곳과 광원을 가까이하고, 빛의 세기를 약화시킬 방해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광원삽입구(162)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변기 손잡이게 접촉하는 부분이 사용자마다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광원삽입구(162)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광원(120)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광원(120)이 하나의 광원삽입구(162)에 삽입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70)는 내부케이스(160)와 결합 또는 연결되어 내부케이스(160)를 덮는다. 외부케이스(170)는 일부나 전부가 투명할 수 있다. 광원(120)의 빛 조사에 의한 살균력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광원(120)에서 살균을 위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면 외부케이스(170)가 투명창인 경우, 빛이 조사되는 면뿐만 아니라 반대편 면도 빛이 투과하면서 살균을 할 수 있다. 빛이 투과하면서 살균하기 위해서 외부케이스(170)가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가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중인지 아닌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외부케이스(170)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는 외부케이스(170)가 없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케이스(160)가 투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광원삽입구(162)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케이스(170)가 없이 내부케이스(160)를 투명하게 하여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살균하는 경우, 센서(110), 광원(120) 및 전력원(130) 등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미감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70)가 없이 내부케이스(160)를 투명하게 하여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살균하는 경우, 투명한 재질은 비투명 재질에 비하여 내구력과 충격에 약할 수 있어, 내부케이스(160)와 외부케이스(170)를 별로도 포함한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에 비하여, 수명이 짧거나, 고장 또는 부서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많아질 수 있다.
자외선의 투과성을 고려한 재질을 사용하고 내구력 및 충격에 뛰어난 재질을 사용할 경우, 외부케이스(170)는 불필요할 수 있다.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하여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누르면, 레버식 변기 손잡이가 축에따라 상하 움직임 또는 회전 움직임을 가지며 움직인다.
레버식 변기 손잡이가 움직임에 따라 레버식 변기 손잡이 내부에 존재하는 센서(110)가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110)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광원(12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광원(120)이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에 따라 빛을 조사한다. 빛은 사용자가 레버식 변기 손잡이를 동작하기 위해 인체를 접촉시키는 부분 주변에 조사된다. 빛이 조사되어 레버식 변기 손잡이는 살균되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는,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버튼케이스(320) 및 외부 캡(310)를 포함한다.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의 센서(110), 광원(120) 및 전력원(130)의 경우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에서 설명한 바로부터 유추가능하다.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와 차이점 위주로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를 설명하면,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경우 센서(110)는 진동 센서(110)가 바람직하였으나,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의 동작은 상하 움직임 또는 회전 움직임이 존재하지 않거나 극히 미세하여 진동 발생이 작을 수 있을 수 있는바, 센서(11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110)를 이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센서(110)는 버튼식 변기 손잡이의 구조나 버튼식 변기 손잡이의 동작시 발생하는 역학적 움직임에 따라서 진동 센서(110) 또는 가속도 센서(110) 등 다양한 센서(110)도 이용될 수 있다.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는 내부케이스(160)와 외부케이스(170)가 구별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구별되는 경우, 내부케이스(160)에 광원삽입구(162)가 존재함이 바람직하다.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의 경우, 투명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는 버튼케이스(320)에 광원삽입홈(322)이 존재할 수 있다. 광원삽입구(162)는 광원이 삽입될 수 있게 구멍이 뚫려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광원삽입홈(322)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기 위한 버튼케이스(320)가 필요한바, 구멍이 뚫리는 것보다는 광원이 삽입가능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케이스(320)의 일부나 전부가 투명한 이유는 앞서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외부케이스(170)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투명한 것과 동일하다.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의 경우, 외부 캡(310)이 존재하고, 외부 캡(310)은 버튼케이스(320)와 연결되며, 외부 캡(310)의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에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및 지지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의 외부 캡 내부에 센서, 광원, 전력원 및 지지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캡(3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및 지지대(140)가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 캡이 투명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센서(110), 광원(120), 전력원(130) 및 지지대(140)를 볼 수 없다. 외부 캡(310)은 버튼케이스(3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변기 손잡이를 레버식 살균 변기 손잡이(100)와 버튼식 살균 변기 손잡이(3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변기 손잡이는 화장실 변기 이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버튼식 또는 레버식의 변기 손잡이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여, 인체에 접촉하는 변기 손잡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기 손잡이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함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에게 청결함을 제공하며, 유해한 세균이 인체에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Claims (10)

  1. 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한 레버식 변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레버식 변기 손잡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상하 움직임 또는 상기 레버식 변기 손잡이의 회전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력이 있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진동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또는 가속도 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상기 센서를 지지 또는 부착하며 상기 센서와 광원을 연결할 수 있는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변기 손잡이는, 광원에서 조사하는 빛을 조사받는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투명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변기 손잡이는,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광원 자체가 삽입가능하거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광원삽입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변기 손잡이.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19132A 2012-02-24 2012-02-24 살균 변기 손잡이 KR10123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32A KR101235148B1 (ko) 2012-02-24 2012-02-24 살균 변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32A KR101235148B1 (ko) 2012-02-24 2012-02-24 살균 변기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148B1 true KR101235148B1 (ko) 2013-02-20

Family

ID=4789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132A KR101235148B1 (ko) 2012-02-24 2012-02-24 살균 변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716B1 (ko) * 2020-12-28 2021-08-19 윤범석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WO2022145686A1 (ko) * 2020-12-28 2022-07-07 윤범석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158A (ja) * 1995-02-20 1996-09-03 Takayuki Arai 抗菌トイレ排水レバー
KR200387788Y1 (ko) * 2005-02-04 2005-06-27 김경동 살균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KR20070098525A (ko) * 2007-03-16 2007-10-05 이찬봉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110072601A (ko) * 2009-12-23 2011-06-29 노경부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작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158A (ja) * 1995-02-20 1996-09-03 Takayuki Arai 抗菌トイレ排水レバー
KR200387788Y1 (ko) * 2005-02-04 2005-06-27 김경동 살균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KR20070098525A (ko) * 2007-03-16 2007-10-05 이찬봉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110072601A (ko) * 2009-12-23 2011-06-29 노경부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작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716B1 (ko) * 2020-12-28 2021-08-19 윤범석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WO2022145686A1 (ko) * 2020-12-28 2022-07-07 윤범석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8441B2 (ja) 衛生器具用の排水装置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1736767B1 (ko) 친환경 살균 도어 손잡이
KR2006001214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춘 휴대폰 충전기
KR20130094474A (ko) 살균램프를 구비한 변기 커버
KR20120106387A (ko) 자외선 살균 칫솔
KR101235148B1 (ko) 살균 변기 손잡이
KR102228016B1 (ko)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TWI491373B (zh) A toilet cov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KR20130006662U (ko) 휴대폰 살균충전기
CN209790437U (zh)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KR102259696B1 (ko) 도어 핸들 모듈
KR100862739B1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KR102148227B1 (ko) 가습기 내부에 넣는 플로팅 타입 uv led 소독장치
KR200400220Y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KR20140133089A (ko) 자판 덮개를 이용한 컴퓨터 키보드 살균장치
KR20190137685A (ko) 위생 세정 장치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CN214284803U (zh) 杀菌组件、基站及清洁设备
KR20170053431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용 컵 살균 및 탈취 장치
JP2014177743A (ja) トイレ装置
CN114189782A (zh) 耳机、耳机模组以及耳机的控制方法
KR200399403Y1 (ko)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KR20210002642U (ko)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