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162A -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162A
KR20220075162A KR1020200163451A KR20200163451A KR20220075162A KR 20220075162 A KR20220075162 A KR 20220075162A KR 1020200163451 A KR1020200163451 A KR 1020200163451A KR 20200163451 A KR20200163451 A KR 20200163451A KR 20220075162 A KR20220075162 A KR 2022007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unnel
conveyor
bur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템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템, 김재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템
Priority to KR102020016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162A/ko
Publication of KR2022007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널 시공 중 굴착 후 발생하는 대량의 버력을 신속하게 터널 외부로 반출하여 터널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버력을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버력을 벨트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QUICK CARRY-OUT SYSTEM OF MUCK IN TUNNEL}
본 발명은 너털 내 버력 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 시공 중 굴착 후 발생하는 대량의 버력을 신속하게 터널 외부로 반출하여 터널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교통, 통수 등의 목적으로 산악, 지하 또는 수저 등에 홀을 형성한 갱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땅을 굴착하여 콘크리트로 구체를 시공하거나 발파를 이용한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널의 시공 방법으로는 재래식 공법(ASSM 공법, 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 침매(沈埋) 공법 등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설계와 현장에서는 터널 내 버력 반출 방법으로 15톤 또는 25톤 덤프트럭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 길이가 길고 단면이 커질수록 운반해야 하는 거리도 길어지고, 필요한 용량도 커지기 때문에 다수의 대형 덤프트럭을 투입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한된 속도와 용량으로 인해 싸이클타임 단축의 한계와 후속 공정과의 간섭, 매연증가, 바닥면 불량, 안전사고의 증가 등 한계가 있지만, 단순하고 오랜 기간 적용해왔기 때문에 개선을 위한 노력과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67665호(2018.06.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 시공 중 굴착 후 발생하는 대량의 버력을 신속하게 터널 외부로 반출하여 터널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은,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버력을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버력을 벨트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축; 및 한 쌍의 마찰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바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로부터 벗어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스윙봉; 및 상기 한 쌍의 스윙봉을 연결되어 회전하며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크리너는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를 두드려주거나, 외면에 브러쉬가 마련되어 벨트 표면을 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다단식 구조의 길이조정가능한 컨베이어본체과,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버력 운반을 위한 벨트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과, 상기 장력유지수단 상에 장착되어 벨트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력유지수단 측에 회동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가 마련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은 터널 시공 중 굴착 후 발생하는 대량의 버력을 신속하게 터널 외부로 반출하여 터널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수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수단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클리닝 수단의 예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수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수단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서 클리닝 수단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은 터널 내에서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버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굴착수단, 파쇄수단, 컨베이어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굴착수단(미도시)은, 지반을 굴착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발공 및 보조심발공을 복수개 천공함으로써, 자유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지반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직터널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폭약이나, 무진동 암파쇄장치 또는 굴착기를 사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파쇄력을 지반에 가하더라도, 버럭의 제거공정 시간을 단축시켜서 지반을 굴착하는 공정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파쇄수단(미도시)은, 굴착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버력을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파쇄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버력는 소정의 운반수단을 통해서 컨베이어 수단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컨베이어 수단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300)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수단(300)은, 터널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그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됨으로서 작업이 진행될수록 터널의 깊이가 깊어져도 분쇄된 버력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수단(300)은 길이가 연장되는 다단식 구조의 컨베이어본체(310)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분쇄된 버력의 운반을 위해 벨트(320)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330)과, 상기 장력유지수단(330) 상에 장착된 벨트(320)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340) 및 구동모터(350)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버력의 운반시 버력의 도입부가 되어 상기 벨트(320)의 손상을 방지되게 하는 받음수단(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음수단(360)은 후측단부에 연결브래킷(361a)의 일측부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브래킷(361a)의 타측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선단에 배치된 장력유지수단(330)측에 회동핀(362)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본체(361)과, 상기 프레임본체(361)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363)와, 상기 프레임본체(361)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365)가 체결된 지지대(3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본체(361)의 상측 회동을 통해 받음수단(360)을 접을시 이의 회동상태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송롤러(363)를 갖는 받음수단(360)을 선단부에 구비함에 의해 운반하고자 하는 버력을 순환 구동되는 벨트(320) 위에 직접적으로 올려놓지 않고 받음수단(360)을 통하여서 벨트(320) 위로 이송되게 한 후 운반 처리하는 유용함을 제공하게 된다.
즉, 버력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버력 내 자갈등이 낙하하여도 벨트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이송롤러(363)에 낙하한 후에 수평이동하여 벨트(32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320)의 손상을 우려하지 않으면서 아주 용이하고 편하게 버력의 이송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받음수단(360)에서 버력의 충격이 완화된 후 벨트(320) 위로 이송 처리되므로 기존과 같이 버력의 낙하에 의하여 벨트가 찢기거나 파손되는 등의 벨트 손상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64)는 프레임본체(361)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철구조로 구성하여 비사용시에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보관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 수단(400)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이동하는 벨트에 의하여 동작함으로서 벨트의 상면에 부착된 버력 부서러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리닝 수단(400)은, 마찰바퀴(410), 결합축(420), 클리닝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바퀴(410)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한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마찰바퀴(410)는 그 외면에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고무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게 되어 벨트와 연동하여 마찰바퀴(4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420)은, 상기 마찰바퀴(410)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마찰바퀴(410)가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바퀴(4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축(420)은 그 양단이 지면에 설치된 스탠드(421)에 고정설치되고 스탠드(421) 사이에 한 쌍의 마찰바퀴(41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클리닝부(430)는, 한 쌍의 마찰바퀴(410)와 연결되어 상기 바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클리닝하는 것이다. 상기 클리닝부(430)는, 연결봉(431), 스윙봉(432), 크리너(43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431)은 상기 마찰바퀴(410)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410)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봉(431)은 중앙에 결합축(4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축(42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된다. 상기 스윙봉(432)은, 일단은 상기 연결봉(4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크리너(43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윙봉(432)은 연결봉(43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41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스윙봉(432)의 일단은 상기 연결봉(431)을 감싸고 있어서 상기 스윙봉(432)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리너(433)는, 상기 한 쌍의 스윙봉(432)은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스윙봉(432)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리면서 벨트의 표면의 이물질 등을 외측으로 털어낼 수 있다. 다만, 크리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에 브러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하면서 브러쉬가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윙봉(432)과 결합축(420) 사이의 거리(a)는 스윙봉(432)과 크리너(433) 사이의 거리(b)보다 작아서 회전하는 스윙봉(432)이 상기 결합축(420)을 통과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컨베이어 수단(300)은, 길이조정이 가능한 다단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터널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이 가능하므로 깊은 터널 내부에서 굴착되어 파쇄된 버력을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쇄된 버력이 컨베이어(300)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버력이 직접 벨트(320)에 올려지지 않고 받음수단(360)의 이송롤러(363)에 놓여진 후에 이송롤러(363)를 따라서 벨트로 운반되고 있으므로 벨트(320)가 버력(버력 내 자갈 등의 암반)의 낙하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음수단(360)은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놓을 수 있어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는 클리닝부(430)가 설치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벨트(320) 위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부(430)는 평소에는 다른 곳에 배치하고 있다가 벨트의 청소가 필요한 때 컨베이어 수단(3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마찰바퀴(410)의 외면에 벨트(3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 후에, 벨트(320)를 순환이동시키면 벨트(320)에 순환이동에 따라서 마찰바퀴(41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마찰바퀴(410)가 회전하게 되면 마찰바퀴(410)에 연결된 연결봉(431)이 회전하게 되면 연결봉(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윙봉(432)이 연결봉(43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봉(432)이 회전하게 되면 그 스윙봉(432)의 타단에 배치된 크리너(433)가 벨트(320)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벨트의 상면을 두드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벨트(320)의 상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외측으로 털어져 나가게 된다. 한편, 크리너에 브러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벨트(320)의 청소가 완료된 후에는 클리닝 수단(400)을 컨베이어 수단으로부터 제거하여 소정의 공간에 보관하게 된다.
상기 클리닝 수단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벨트를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벨트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벨트에 버력 찌꺼기가 많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버력의 이송이 어려워지게 되는 일이 있거나 컨베이어 수단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데, 클리닝 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클리닝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300: 컨베이어 수단 310: 컨베이어본체
320: 벨트 330: 장력유지수단
340: 구동롤러 350: 구동모터
360: 받음수단 361: 프레임본체
361a: 연결브래킷 362: 회동핀
363: 이송롤러 364: 지지대
365: 이동바퀴 400: 클리닝 수단
410: 마찰바퀴 420: 결합축
421: 스탠드 430: 클리닝부
431: 연결부 432: 스윙봉

Claims (6)

  1. 터널 내 굴착된 버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에 있어서,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버력을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버력을 벨트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축; 및
    한 쌍의 마찰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바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로부터 벗어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스윙봉; 및
    상기 한 쌍의 스윙봉을 연결되어 회전하며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크리너는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를 두드려주거나, 외면에 브러쉬가 마련되어 벨트 표면을 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다단식 구조의 길이조정가능한 컨베이어본체과,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버력 운반을 위한 벨트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과, 상기 장력유지수단 상에 장착되어 벨트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장력유지수단 측에 회동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가 마련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KR1020200163451A 2020-11-28 2020-11-28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KR20220075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51A KR20220075162A (ko) 2020-11-28 2020-11-28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51A KR20220075162A (ko) 2020-11-28 2020-11-28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62A true KR20220075162A (ko) 2022-06-07

Family

ID=8198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451A KR20220075162A (ko) 2020-11-28 2020-11-28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1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665B1 (ko) 2016-04-29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Tbm 터널 굴착공법에서의 터널 내 버력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665B1 (ko) 2016-04-29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Tbm 터널 굴착공법에서의 터널 내 버력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25153Y (zh) 岩巷掘进与支护施工钻机
CN102213094B (zh) 煤矿岩巷掘进的施工系统和施工方法
CN201815331U (zh) 卧式碎选机
EP2313611A1 (en) Mining machine and method of mining
KR102078791B1 (ko)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CN102921525A (zh) 一种破碎站
KR20220075162A (ko)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CN213775382U (zh) 盾构机分体始发皮带机
KR101357796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디깅장치
CN202876930U (zh) 一种破碎站及其支撑机构
CN110130887A (zh) 一种具有支撑装置的采矿机
CN101200905B (zh) 矿井水仓清淤机
JP5967812B2 (ja) トンネル掘削システム
CN202876929U (zh) 一种破碎站
JP6707609B2 (ja)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破砕石土砂の搬出設備
CN209723079U (zh) 一种撬毛、挖掘装载一体机
CN211623490U (zh) 一种煤矿开采用便于运输矿石的装置
CN210003277U (zh) 一种尾部带锚杆钻机的巷道工作装置
JP2006206254A (ja) 自走式搬送装置
CN113089750A (zh) 一种河道河床沉积污泥一体化处理系统
CN107218056B (zh) 一种隧洞用渣土汇集及垂直提升装置
CN116142816B (zh) 一种隧道内碎石转运装置
CN105293090A (zh) 矿用伸缩臂式排土机
CN101737010A (zh) 一种冲击、回转及干式排渣一体化钻头
CN220885659U (zh) 巷道修复机的转载平台及包含该平台的煤矸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