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91B1 -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91B1
KR102078791B1 KR1020170184812A KR20170184812A KR102078791B1 KR 102078791 B1 KR102078791 B1 KR 102078791B1 KR 1020170184812 A KR1020170184812 A KR 1020170184812A KR 20170184812 A KR20170184812 A KR 20170184812A KR 102078791 B1 KR102078791 B1 KR 10207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unnel
conveyor
excavated soil
exca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937A (ko
Inventor
김재영
김대활
Original Assignee
김재영
주식회사 코템
주식회사 지중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주식회사 코템, 주식회사 지중공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17018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E21D9/122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E21D9/126Loading devices or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29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내 굴착된 굴착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있어서,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굴착토를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굴착토를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 of soil in tunnel}
본 발명은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공사에서 발생된 굴착토를 외부로 반출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굴착토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터널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토를 외부로 반출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3569호가 알려져 있으며, 도 1 내지 4에서는 종래기술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터널링 공법은 지상에서 일정한 깊이로 수직 전진갱(110)과 수직 도달갱(120)을 형성하고, 수직 전진갱(110)의 하단에서 수직 도달갱(120)의 하단까지 터널(130)을 굴착한다. 이때, 터널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수단(10)에 의해 발생한 절삭토를 수직 전진갱(110)까지 운반하고, 수직 전진갱(110)에서 수직 운반장치(90)를 이용하여 절삭토를 지상으로 배출하고, 굴착수단(10)에 의해 형성된 터널(130)의 굴착면에 세그먼트(140)를 계속해서 설치하여 나감으로써, 터널(130)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쉴드 터널링 공법에서, 본 발명은 굴착수단(10)에 의해 발생한 절삭토를 스크류 이송수단(20)에서 컨베이어 벨트장치(C)로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장치(C)가 절삭토를 수직 운반장치(90)까지 이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장치(C)는 제 1 내지 제 3 컨베이어 벨트장치(40, 50, 60)로 구성되고, 제1 컨베이어 벨트장치(40)가 스크류 이송수단(20)와 대차(30)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류 이송수단(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삭토를 제 2 컨베이어 벨트장치(50)로 공급하고, 제 2 컨베이어 벨트장치(50)가 대차(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컨베이어 벨트장치(40)로부터 공급된 절삭토를 제 3 컨베이어(60)로 운반하고, 제 3 컨베이어 벨트장치(60)의 리턴풀리(61)가 대차(30)에 장착되어, 제 2 컨베이어 벨트장치(50)에서 공급된 절삭토를 제 3 컨베이어 벨트장치(60)가 수직 운반장치(90)까지 운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컨베이어 벨트장치(60)는 리턴풀리(61)와 구동풀리(62) 사이를 순환하는 벨트(63)의 리턴 벨트부(63a)에 연신수단(70)이 배치됨으로써, 대차(30)의 전진(화살표(35)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구동풀리(62)와 리턴 풀리(61) 사이의 거리(L1)가 증가하는 만큼 연신수단(70)에 저장된 벨트가 인출되어 리턴 풀리(61)와 구동풀리(62) 사이를 순환하는 벨트(63)의 길이가 연장되고, 연신수단(70)과 리턴풀리(61) 사이에 방향전환수단(80)이 배치되어, 구동풀리(62)가 리턴 풀리961)와 일직선상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며, 연신수단(70) 및 수직 운반장치(90)의 배치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통상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장치에는 무거운 굴착토가 투입되어 이송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벨트 위에는 이물질이 쉽게 쌓이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벨트 위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이 사람이 수작업으로 벨트를 청소하는 것은 전체적인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장치에 올려지는 굴착토는 그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하여 벨트 위에 올려진 후 운반되고 있게 된다. 모서리가 뾰족한 굴착토가 소정 높이에서 벨트 위에 올려지게 되는 경우에는 벨트가 손상되는 일이 있게 된다. 일단 벨트가 손상되면 그 벨트를 교체하기 위하여 이송을 정지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으며, 굴착토의 낙하에 의하여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는, 터널 내 굴착된 굴착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있어서,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굴착토를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굴착토를 벨트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클리닝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축; 및
한 쌍의 마찰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바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 상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로부터 벗어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스윙봉; 및
상기 한 쌍의 스윙봉을 연결되어 회전하며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크리너는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를 두드려주거나, 외면에 브러쉬가 마련되어 벨트 표면을 쓸어낼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스윙봉과 결합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윙봉과 크리너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다단식 구조의 길이조정가능한 컨베이어본체과,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굴착토 운반을 위한 벨트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과, 상기 장력유지수단 상에 장착되어 벨트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는,
장력유지수단 측에 회동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가 마련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서, 상기 지지대는 프레임본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철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굴착토를 운반하는 클리닝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간편하고 저렴하게 벨트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의하면, 굴착토에 의한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링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연신수단과 방향전환수단이 장착되어, 방향전환수단에 의해 연신수단과 수직 운반장치의 배치위치가 설정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제 3 컨베이어 벨트 수단에 연신장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의 일 구성인 컨베이어 수단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컨베이어 수단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의 일구성인 클리닝 수단의 예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터널 내에서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굴착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굴착수단, 파쇄수단, 컨베이어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굴착수단(미도시)은, 지반을 굴착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발공 및 보조심발공을 복수개 천공함으로써, 자유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지반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직터널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폭약이나, 무진동 암파쇄장치 또는 굴착기를 사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파쇄력을 지반에 가하더라도, 버럭의 제거공정 시간을 단축시켜서 지반을 굴착하는 공정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파쇄수단(미도시)은, 굴착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굴착토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파쇄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굴착토는 소정의 운반수단을 통해서 컨베이어 수단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컨베이어 수단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300)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수단(300)은, 터널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그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됨으로서 작업이 진행될수록 터널의 깊이가 깊어져도 분쇄된 굴착토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수단(300)은 길이가 연장되는 다단식 구조의 컨베이어본체(310)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분쇄된 굴착토의 운반을 위해 벨트(320)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330)과, 상기 장력유지수단(330) 상에 장착된 벨트(320)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340) 및 구동모터(350)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굴착토의 운반시 굴착토의 도입부가 되어 상기 벨트(320)의 손상을 방지되게 하는 받음수단(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음수단(360)은 후측단부에 연결브래킷(361a)의 일측부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브래킷(361a)의 타측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선단에 배치된 장력유지수단(330)측에 회동핀(362)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310)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본체(361)과, 상기 프레임본체(361)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363)와, 상기 프레임본체(361)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365)가 체결된 지지대(3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본체(361)의 상측 회동을 통해 받음수단(360)을 접을시 이의 회동상태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송롤러(363)를 갖는 받음수단(360)을 선단부에 구비함에 의해 운반하고자 하는 굴착토를 순환 구동되는 벨트(320) 위에 직접적으로 올려놓지 않고 받음수단(360)을 통하여서 벨트(320) 위로 이송되게 한 후 운반 처리하는 유용함을 제공하게 된다.
즉, 굴착토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굴착토 내 자갈등이 낙하하여도 벨트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이송롤러(363)에 낙하한 후에 수평이동하여 벨트(32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320)의 손상을 우려하지 않으면서 아주 용이하고 편하게 굴착토의 이송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받음수단(360)에서 굴착토의 충격이 완화된 후 벨트(320) 위로 이송 처리되므로 기존과 같이 굴착토의 낙하에 의하여 벨트가 찢기거나 파손되는 등의 벨트 손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64)는 프레임본체(361)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철구조로 구성하여 비사용시에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보관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 수단(400)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이동하는 벨트에 의하여 동작함으로서 벨트의 상면에 부착된 굴착토 부서러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리닝 수단(400)은, 마찰바퀴(410), 결합축(420), 클리닝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바퀴(410)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한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마찰바퀴(410)는 그 외면에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고무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게 되어 벨트와 연동하여 마찰바퀴(4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420)은, 상기 마찰바퀴(410)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마찰바퀴(410)가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바퀴(4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축(420)은 그 양단이 지면에 설치된 스탠드(421)에 고정설치되고 스탠드(421) 사이에 한 쌍의 마찰바퀴(41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클리닝부(430)는, 한 쌍의 마찰바퀴(410)와 연결되어 상기 바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클리닝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리닝부(430)는, 연결봉(431), 스윙봉(432), 크리너(43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431)은 상기 마찰바퀴(410)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410)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봉(431)은 중앙에 결합축(4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축(42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된다.
상기 스윙봉(432)은, 일단은 상기 연결봉(4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크리너(43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윙봉(432)은 연결봉(43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41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스윙봉(432)의 일단은 상기 연결봉(431)을 감싸고 있어서 상기 스윙봉(432)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리너(433)는, 상기 한 쌍의 스윙봉(432)은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스윙봉(432)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리면서 벨트의 표면의 이물질 등을 외측으로 털어낼 수 있다.
다만, 크리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에 브러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하면서 브러쉬가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윙봉(432)과 결합축(420) 사이의 거리(a)는 스윙봉(432)과 크리너(433) 사이의 거리(b)보다 작아서 회전하는 스윙봉(432)이 상기 결합축(420)을 통과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컨베이어 수단(300)은, 길이조정이 가능한 다단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터널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이 가능하므로 깊은 터널 내부에서 굴착되어 파쇄된 굴착토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쇄된 굴착토가 컨베이어(300)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굴착토가 직접 벨트(320)에 올려지지 않고 받음수단(360)의 이송롤러(363)에 놓여진 후에 이송롤러(363)를 따라서 벨트로 운반되고 있으므로 벨트(320)가 굴착토(굴착토 내 자갈 등의 암반)의 낙하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음수단(360)은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놓을 수 있어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는 클리닝부(430)가 설치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벨트(320) 위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부(430)는 평소에는 다른 곳에 배치하고 있다가 벨트의 청소가 필요한 때 컨베이어 수단(3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마찰바퀴(410)의 외면에 벨트(3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 후에, 벨트(320)를 순환이동시키면 벨트(320)에 순환이동에 따라서 마찰바퀴(41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마찰바퀴(410)가 회전하게 되면 마찰바퀴(410)에 연결된 연결봉(431)이 회전하게 되면 연결봉(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윙봉(432)이 연결봉(43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봉(432)이 회전하게 되면 그 스윙봉(432)의 타단에 배치된 크리너(433)가 벨트(320)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벨트의 상면을 두드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벨트(320)의 상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외측으로 털어져 나가게 된다. 한편, 크리너에 브러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벨트(320)의 청소가 완료된 후에는 클리닝 수단(400)을 컨베이어 수단으로부터 제거하여 소정의 공간에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리닝 수단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벨트를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벨트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벨트에 굴착토 찌꺼기가 많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굴착토의 이송이 어려워지게 되는 일이 있거나 컨베이어 수단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데, 클리닝 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클리닝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300...컨베이어 수단 310...컨베이어본체
320...벨트 330...장력유지수단
340...구동롤러 350...구동모터
360...받음수단 361...프레임본체
361a...연결브래킷 362...회동핀
363...이송롤러 364...지지대
365...이동바퀴 400...클리닝 수단
410...마찰바퀴 420...결합축
421...스탠드 430...클리닝부
431...연결부 432...스윙봉
433...크리너

Claims (8)

  1. 터널 내 굴착된 굴착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에 있어서,
    터널 내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상기 굴착수단에 의하여 굴착된 굴착토를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굴착토를 벨트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표면을 클리닝 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터널의 길이에 맞게 연장가능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표면을 클리닝하되,
    상기 클리닝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가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축; 및 한 쌍의 마찰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마찰바퀴의 회전중심축과 벗어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한 쌍의 마찰바퀴의 마주보는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찰바퀴로부터 벗어나게 돌출되며 마찰바퀴의 회전에 따라서 정역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한 쌍의 스윙봉; 및 상기 한 쌍의 스윙봉을 연결하여 상기 스윙봉과 함께 회전하며 그 표면이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벨트 상면에 접촉하면서 벨트를 두드려주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봉과 결합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윙봉과 크리너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다단식 구조의 길이조정가능한 컨베이어본체과,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굴착토 운반을 위한 벨트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는 장력유지수단과, 상기 장력유지수단 상에 장착되어 벨트의 순환 구동을 위한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장력유지수단 측에 회동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 배열된 이송롤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며 지면에 닿는 이동바퀴가 마련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프레임본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철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KR1020170184812A 2017-12-29 2017-12-29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KR10207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12A KR102078791B1 (ko) 2017-12-29 2017-12-29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12A KR102078791B1 (ko) 2017-12-29 2017-12-29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37A KR20190081937A (ko) 2019-07-09
KR102078791B1 true KR102078791B1 (ko) 2020-02-19

Family

ID=6726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812A KR102078791B1 (ko) 2017-12-29 2017-12-29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40A (ko) * 2020-08-26 2022-03-0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9920A (zh) * 2020-02-26 2020-06-2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出渣装置及其连续皮带机
CN112907932B (zh) * 2021-01-28 2022-02-15 福州外语外贸学院 一种物联网智能信息采集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04Y1 (ko) * 2005-05-02 2005-07-22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31964Y1 (ko) * 2006-08-22 2006-11-27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하역용 벨트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88A (ja) * 1992-07-21 1994-08-02 Ube Ind Ltd トンネル内のずり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04Y1 (ko) * 2005-05-02 2005-07-22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31964Y1 (ko) * 2006-08-22 2006-11-27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하역용 벨트컨베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40A (ko) * 2020-08-26 2022-03-0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회수 장치
KR102386976B1 (ko) * 2020-08-26 2022-04-18 대양롤랜트(주)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37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791B1 (ko) 터널 내 굴착토 이송장치
EP0157286B1 (en) Conveyor belt system for a continuous mining machine
FR2579264A1 (fr) Machine pour le creusement de galeries ou d'extraction
KR102226840B1 (ko) 천공스크류의 부상토 제거장치
EP3919180A2 (en) Material washing apparatus
US2624129A (en) Rotary grave-digging excavator
CN110821489B (zh) 一种多工位综合型链条传动式煤矿开采装置
US2606013A (en) Excavating apparatus
CN205858179U (zh) 一种移动式勘探钻机
CN104710088A (zh) 污泥处理系统中的干扰物分离装置
AU2018254652B2 (en) Cutting apparatus
KR20210001679A (ko)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US2692130A (en) Mining machine with cylindrical excavating head
CN203668187U (zh) 污泥处理系统中的干扰物分离装置
US2705626A (en) Continuous mining apparatus of the reversible longwall type
CN215860145U (zh) 一种高速硬岩掘进采矿一体机
US1617941A (en) Mining apparatus
JP6843348B2 (ja) 砕石杭形成装置及び砕石杭の製造方法
US2561343A (en) Grave digger
JP4997793B2 (ja) 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KR20220075162A (ko) 터널 내 버력 급속 반출시스템
JP4557931B2 (ja) トンネル掘削機における掘削機本体の回収装置
US2575729A (en) Ditching and loading device
CN208137947U (zh) 一种铣挖机的铣挖头
US2788200A (en) Continuous miner having disintegrating head mechanism and floor-clean-up means carried on tiltabl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