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667A - 지혈대 - Google Patents

지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667A
KR20220074667A KR1020210011561A KR20210011561A KR20220074667A KR 20220074667 A KR20220074667 A KR 20220074667A KR 1020210011561 A KR1020210011561 A KR 1020210011561A KR 20210011561 A KR20210011561 A KR 20210011561A KR 20220074667 A KR20220074667 A KR 2022007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band
tourniquet
endothelium
disposed
hem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393B1 (ko
Inventor
차영환
Original Assignee
(주)탑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탑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01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적어도 한 번 중첩되도록 말아지면서 신체를 압박하는 지혈 밴드; 상기 지혈 밴드의 일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혈 밴드가 신체를 압박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상면에 고정되는 결착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압력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지혈 밴드 내부의 신체가 압박되는 힘을 증대시키는 팽창부; 및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상기 지혈 밴드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혈 밴드가 휘거나 또는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혈대{A pneumatic tourniquet}
본 발명은 지혈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 과정에서 신속하게 팔이나 다리에 착용할 수 있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외과적 수술 시 수술 부위로 혈액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지혈대가 사용된다.
지혈대는 수술 부위를 기준으로 심장에 가까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켜 신체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신체의 환부를 압박하는 장치로써, 지혈대를 착용하게 되면 수술 부위의 출혈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가 보다 안전한 상황에서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혈대는 외과적 수술 외에도 외상에 의해 환부의 긴급한 지혈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넓다.
이러한 지혈대는 보통 탄력 붕대와 같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압박 붕대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혈대는 환부를 압박하여 지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환자를 긴급 호송하는 과정에서 환부를 지탱해줄 수 있는 기능이 부재되어, 지혈대 외에 별도로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9761호(2015.10.06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지혈의 기능과 함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지혈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혈과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촌각을 다투는 긴급 환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환부에 착장시킬 수 있는 지혈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적어도 한 번 중첩되도록 말아지면서 신체를 압박하는 지혈 밴드; 상기 지혈 밴드의 일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혈 밴드가 신체를 압박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상면에 고정되는 결착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압력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지혈 밴드 내부의 신체가 압박되는 힘을 증대시키는 팽창부; 및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상기 지혈 밴드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혈 밴드가 휘거나 또는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를 제공한다.
상기 지혈대는 상기 지혈 밴드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환부를 중심으로 상기 결착부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혈 밴드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혈 밴드는 상기 팽창부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내피 방향으로 볼록하게 팽창하도록 상기 외피와 팽창부 사이에 구비되는 팽창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혈대는 상기 외피의 상면과 결착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밸크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혈 밴드는 상기 결착부가 부착되는 상기 외피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 주변에 절취선이 마련되고, 상기 밸크로가 설정된 범위 이상의 부착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절취선 내부 영역이 상기 결착부의 탈거 과정에서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팽창 방지부는 상기 절취선 내부의 상기 외피 상면 영역이 제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혈 밴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서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팽창부와 분리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혈대는 상기 지혈 밴드의 일 단부에서 상기 결착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신체를 중심으로 상기 스트랩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혈 밴드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에 의하면,
첫째, 지혈 밴드를 조절하여 신체의 어떠한 환부에도 착장시킬 수 있고,
둘째, 결착부와 스트랩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장할 수 있으며,
셋째, 팽창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환부 방향으로만 압력이 가해져 지혈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넷째, 지혈 밴드 내에 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지혈 기능과 더불어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서포터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다섯째, 스트랩과 지혈 밴드 사이에 설정 범위 이상의 부착력이 작용된 경우, 외피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새로운 지혈대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혈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지혈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지혈대를 착장하여 공기를 주입했을 때 팽창부가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지혈대의 외피 일부가 결착부와 함께 뜯겨지면서 팽창 방지부가 일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00)는 지혈 밴드(110)와, 결착부(120)와, 팽창부(130) 및 스트랩(14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혈 밴드(110)는 환부를 중심으로 지혈이나 지지가 필요한 신체 일부(예컨대, 팔이나 다리 등)에 돌돌 말아서 신체를 압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혈 밴드(110)는 일 단부에 결착부(120)가 배치되고, 타 단부에 스트랩(140)이 배치된다. 지혈 밴드(110)는 양 단부가 적어도 한 번 또는 복수 번 중첩되도록 신체에 감고, 한 손에 결착부(120)를 쥐고, 다른 한 손에 스트랩(140)을 쥐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착부(120)와 스트랩(140)을 잡아 당겨서 신체가 가압되는 상태를 만든 후, 결착부(120)를 지혈 밴드(110) 상에 고정함으로써 지혈 밴드(1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지혈대(100)의 착장이 완료된 후에 스트랩(140)은 지혈 밴드의 외측에서 붙이거나 묶어서 처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부(120)는 지혈 밴드(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트랩(140)은 지혈 밴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되는 방향(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지혈 밴드(110)를 신체에 돌돌 감았을 때 결착부(120)와 스트랩(140)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지혈 밴드(110)를 신체에 견고하게 감을 수 있고, 결착부(120)와 스트랩(140)을 잡아 당기는 힘만큼 온전하게 압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혈 밴드(110)의 일 단부에는 결착부(120)와 일부 중첩되도록 손잡이부(121)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21)는 결착부(120)를 중심으로 양 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지혈 밴드(110)의 일 단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잡아 당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혈 밴드(110)는 외피(111)와 내피(112)로 이루어진다. 지혈 밴드(110)는 외피(111)와 내피(112) 사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 영역(113)을 형성할 수 있다.
외피(111)는 지혈 밴드(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내피(112)는 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이다.
포켓 영역(113) 내부에는 외피(111)에 인접하게 팽창 방지부(150)가배치되고, 내피(112)에 인접하게 팽창부(130)가 배치된다. 즉, 외피(111)에서 내피(11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외피(111), 팽창 방지부(150), 팽창부(130), 내피(112)가 배치된다.
외피(111)는 외부에 배치되는 상면에 밸크로가 구비된다. 물론, 외피(111)에 결합되는 결착부(120) 역시 밸크로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피(111)의 상면에 암 밸크로가 구비되고, 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결착부(120)의 일 면에 숫 밸크로가 구비된다. 물론, 반대로 외피(111)의 상면에 숫 밸크로가 구비되고, 결착부(120)에 암 밸크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피(111)와 결착부(120) 사이에는 벨크로 이외에 예컨대 단추나 후크와 같은 다른 결착수단을 통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내피(112)의 일 단부에서 결착부(120)가 결합된 영역에 대응하도록 숫 벨크로(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결착부(120)가 외피(111) 상에 결합되기 전에 지혈 밴드(110)를 신체에 결합한 후 가결합을 위한 용도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결착부(120)와 외피(111)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숫 벨크로(122) 부분은 외피(111) 상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21)와 스트랩(140)을 반대 방향으로 힘껏 잡아 당기면서 숫 벨크로(122)를 외피(111) 상에 가결합 한 후에, 결착부(120)를 외피(111) 상에 부착하는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외피(111) 상에는 팽창부(130)에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115)이 구비될 수 있다. 노즐(115)은 외피(111)로부터 팽창 방지부(150)를 관통하여 팽창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115)은 외피(111)의 외부에서 캡이나 밸브(미도시)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노즐(115)은 공기를 주입한 후 제거될 수도 있다.
물론, 노즐(115)과 팽창부(130)의 연결은 팽창 방지부(150)를 우회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내피(112)를 관통하여 내부에서 팽창부(130)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피(112)는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부드러운 패브릭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피(112)는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피(112) 상면에는 신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논슬립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논슬립 패턴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압박 중인 지혈대가 신체로부터 흘러 내리거나 압박이 약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논슬립 패턴은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패턴, 내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선이나 점선으로 이루어진 패턴, 격자 패턴, 지그재그 패턴 등 다양한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논슬립 패턴은 신체와 내피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체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팽창 방지부(150)는 플라스틱이나 파이버 등의 합성 수지재, 목재 또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 방지부(150)는 팽창부(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내피(112) 방향으로만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외피(111)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지혈대(100)는 신체를 감싸도록 착장된다. 이때, 지혈 밴드(110)의 양 측에서 결착부(120)와 스트랩(140)을 잡아 당기면서 신체에 소정의 압박이 가해지도록 지혈 밴드(110)를 착장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부(130)의 공기 주입 여부와 상관 없이도 신체에 소정의 압력을 줄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지혈대(100)는 팽창부(130)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공기가 주입된 지혈대(100)는 신체 방향으로만 팽창부(130)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오롯이 신체에 압박으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는 팽창 방지부(150)가 팽창부(130)의 일 측(외피방향)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팽창부(130)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타 측(내피방향)으로만 팽창부(130)의 압력이 제공되면서 신체 압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내피(112)가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팽창부(130)에 공기 주입 시 보다 효과적으로 신체 방향으로의 압박이 진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 방지부(150)는 지혈 밴드(110)가 신체에 착장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렇게 밴딩된 팽창 방지부(150)는 재질 특성상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는 밴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신체 방향으로 압력이 최대한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혈대(100)는 지혈의 순수한 기능뿐만 아니라, 팽창 방지부(150)를 통한 서포터의 기능을 수반할 수도 있다. 물론, 팽창 방지부(150)를 통하여 신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하지 않은 서포트(160)는 팽창 방지부(150)와 더불어 신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극대화시킨다.
서포터(160)는 포켓 영역(113) 내부에서 팽창 방지부(150) 또는 팽창부(13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는, 포켓 영역(113)은 서포터(160)가 배치되는 제1영역(A1)과, 팽창 방지부(150) 및 팽창부(130)가 배치되는 제2영역(A2)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160)는 결착부(120)에 인접하도록 지혈 밴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단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혈대(100)를 착장하는 과정에서도 서포터(16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포터(160)가 필요한 적정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지혈 밴드(110)의 외피(111)는 흰 색으로 구성되고, 서포터(160)는 외피를 통하여 비칠 수 있도록 구별이 용이한 다른 색으로 이루어져, 서포터(16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외피(111) 상에 별도로 서포터(160)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지혈대(100)는 외피(111) 상면에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 주변을 따라서 절취선(170)이 마련되고, 외피(111)는 절취선(170)을 따라서 일부 영역(이하, 제거 영역(A3)이라 함)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제거 영역(A3)은 밸크로로 이루어진 결착부(120)와 외피(111) 사이에서 설정된 범위 이상의 부착력이 유지되는 경우에 결착부(120)의 탈거 과정에서 함께 결착부(120)에 부착된 상태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거 영역(A3)은 결착부(120)와 외피(111)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지면서 가용 수명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도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지혈대(100)의 압박 성능을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재활용을 금지하는 방편이다.
제거 영역(A3)이 외피(111) 상면에서 제거되면, 외피(111) 내부에 배치된 팽창 방지부(150)가 일부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팽창 방지부(150)의 상면에는 사용자에게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151)가 마련된다.
표시부(151)에는 글자 또는 색상을 통해서 제거 영역(A3)이 제거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표시부(151)는 글자의 경우 “재활용 금지”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색상의 경우, 외피와 현저하게 구별되는 색상을 통해 재활용 금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에 의하면 지혈 밴드를 조절하여 신체의 어떠한 신체에도 착장시킬 수 있고, 결착부와 스트랩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장할 수 있으며, 팽창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방향으로만 압력이 가해져 지혈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지혈 밴드 내에 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지혈 기능과 더불어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서포터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스트랩과 지혈 밴드 사이에 설정 범위 이상의 부착력이 작용된 경우, 외피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새로운 지혈대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지혈대
110 : 지혈 밴드
120 : 결착부
130 : 팽창부
140 : 스트랩
150 : 팽창 방지부
160 : 서포터
170 : 절취선

Claims (6)

  1.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적어도 한 번 중첩되도록 말아지면서 신체를 압박하는 지혈 밴드;
    상기 지혈 밴드의 일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혈 밴드가 신체를 압박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상면에 고정되는 결착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압력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지혈 밴드 내부의 신체가 압박되는 힘을 증대시키는 팽창부; 및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상기 지혈 밴드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혈 밴드가 휘거나 또는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혈 밴드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신체를 중심으로 상기 결착부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혈 밴드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혈 밴드는,
    상기 팽창부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내피 방향으로 볼록하게 팽창하도록 상기 외피와 팽창부 사이에 구비되는 팽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면과 결착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밸크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혈 밴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서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팽창부와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혈 밴드의 일 단부에서 상기 결착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신체를 중심으로 상기 스트랩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혈 밴드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KR1020210011561A 2020-11-27 2021-01-27 지혈대 KR10260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61A KR102608393B1 (ko) 2020-11-27 2021-01-27 지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49A KR102216790B1 (ko) 2020-11-27 2020-11-27 지혈대
KR1020210011561A KR102608393B1 (ko) 2020-11-27 2021-01-27 지혈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49A Division KR102216790B1 (ko) 2020-11-27 2020-11-27 지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67A true KR20220074667A (ko) 2022-06-03
KR102608393B1 KR102608393B1 (ko) 2023-11-30

Family

ID=747314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49A KR102216790B1 (ko) 2020-11-27 2020-11-27 지혈대
KR1020210011561A KR102608393B1 (ko) 2020-11-27 2021-01-27 지혈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49A KR102216790B1 (ko) 2020-11-27 2020-11-27 지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6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436B1 (ko) * 2021-03-05 2021-07-14 (주)탑바이오메디칼 압박 고정용 밴드
KR20230151646A (ko) 2022-04-26 2023-11-02 송유찬 지혈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5673A1 (en) * 2005-12-14 2013-09-19 Western Clinical Engineering Ltd. Low cost tourniquet cuff with integrated manufacture indicia
KR20140145296A (ko) * 2013-06-13 2014-12-23 (주)대성마리프 상하지 지혈대
KR101559761B1 (ko) 2015-03-31 2015-10-19 주용빈 다이얼식 지혈대
KR20160000522U (ko) * 2014-08-05 2016-02-15 정명준 휴대용 응급 공기압축 지혈대
US20180256173A1 (en) * 2017-03-10 2018-09-13 Ajay K. Seth Tourniqu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5673A1 (en) * 2005-12-14 2013-09-19 Western Clinical Engineering Ltd. Low cost tourniquet cuff with integrated manufacture indicia
KR20140145296A (ko) * 2013-06-13 2014-12-23 (주)대성마리프 상하지 지혈대
KR20160000522U (ko) * 2014-08-05 2016-02-15 정명준 휴대용 응급 공기압축 지혈대
KR101559761B1 (ko) 2015-03-31 2015-10-19 주용빈 다이얼식 지혈대
US20180256173A1 (en) * 2017-03-10 2018-09-13 Ajay K. Seth Tourniqu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393B1 (ko) 2023-11-30
KR102216790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9280B2 (en) Portable pneumatic abdominal aortic tourniquet with supplemental tensioning means
CN101227876B (zh) 具有快速定位技术的夹板或支架
KR20220074667A (ko) 지혈대
EP1382306A3 (en) Hemostatic device with inflatable balloon
KR101154664B1 (ko)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JP2004222931A (ja) 手首式血圧計用カフ
US20220030959A1 (en) Support for body portion
US20210145452A1 (en) Hemostatic device
KR101021608B1 (ko) 지혈 밴드 세트
JP4790091B1 (ja) 創離開防止用補助具
JP3117699U (ja) 女性用胸部止血具
KR20140032531A (ko) 지혈 장치
CN112638291A (zh) 止血器具
ES2346266T3 (es) Vendaje compresivo para la arteria en el brazo de un paciente.
KR101162608B1 (ko) 인장력에 대응하는 지혈밴드
JP2008099944A (ja) 血圧測定用カフ
KR200463128Y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갖는 복대
JP3139642U (ja) 救急救命用具
JP3620280B2 (ja) 生体圧迫装置
CN211633822U (zh) 一种急救体位固定装置
KR102277436B1 (ko) 압박 고정용 밴드
JP2007014747A (ja) 捲回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人体部位捲回固定帯
JP3233530U (ja) 関節固定ギプス付きサポーター
JP3741210B2 (ja) サポーター
JP6335942B2 (ja) 加圧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