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458A - 선박의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458A
KR20220074458A KR1020200162987A KR20200162987A KR20220074458A KR 20220074458 A KR20220074458 A KR 20220074458A KR 1020200162987 A KR1020200162987 A KR 1020200162987A KR 20200162987 A KR20200162987 A KR 20200162987A KR 20220074458 A KR20220074458 A KR 2022007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fire extinguishing
fire
pump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배영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458A/ko
Publication of KR2022007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선박의 소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선미부에 배치되어 시체스트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폼을 생성하여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청수탱크로부터 청수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폼 펌프를 포함하여, 폼 펌프가 해수를 이용한 소화장치의 기능은 물론 청수를 이용한 소화장치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시스템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소화 시스템 {Fire Fighting System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수를 이용하여 배터리룸의 소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틀탱커(Shuttle Tanker)는 시추선(Drill Ship)이나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해상의 석유 생산시설에서 뽑아낸 원유나 천연가스를 육지의 저장시설로 옮기는 선박을 말한다. 이러한 셔틀탱커는 항구에 접안하여 원유나 천연가스 같은 유체 화물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유조선과는 달리 해상에서 생산된 원유나 천연가스를 가까운 육지의 저장시설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셔틀탱커의 보우(Bow: 선수, 뱃머리) 측에 설치되어 원유나 오일 등의 적하역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보우로딩시스템과 인접하여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국내 등록특허 10-0995148에 공개된 바 있으나, 선내 전력 관리를 위해 구비되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룸에 대한 소화 시스템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5148호 (2010.11.18)
본 발명의 목적은, 셔틀탱커와 같이 선박의 운용을 위해 배터리 및 배터리의 설치 공간으로서 배터리룸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청수를 이용하여 배터리룸의 소화를 실시할 수 있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폼 펌프를 선미 측에 위치시켜 해수를 이용한 소화장치로서의 기능과 청수를 이용한 소화장치로서의 기능을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화 시스템의 간소화를 구현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미부에 배치되어 시체스트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폼을 생성하여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청수탱크로부터 청수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폼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상기 폼 펌프로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공급라인; 및 상기 청수탱크로부터 상기 폼 펌프로 청수가 공급되는 청수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공급라인 또는 상기 청수공급라인으로부터 해수 또는 청수가 상기 폼 펌프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청수공급라인은 상기 폼 펌프 전단의 상기 해수공급라인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해수공급라인과 상기 청수공급라인 각각 또는 상기 청수공급라인이 합류되는 지점에 해수 또는 청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폼 펌프는 선미의 최대 흘수(draft)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해수가 상기 폼 펌프에 침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폼 펌프는 선미에 구획되는 조타장치실(Steering Gear Room) 내부 또는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시체스트는 상기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A.P 탱크(Aft Peak Tank)에 구성되며, 상기 청수탱크는 상기 조타장치실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상기 폼 펌프에 해수가 공급되어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제1 메인소화라인; 및 상기 폼 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제2 메인소화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을 통해 소화용수를 공급받는 화재 발생구역으로는 선내 전력 부하 관리 목적으로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상기 청수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국소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국소소화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추진엔진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1 국소소화라인;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발전엔진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2 국소소화라인; 및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상기 배터리룸으로 공급하는 제3 국소소화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소소화라인은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으로 합류되고, 상기 제3 국소소화라인이 합류되기 이전의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 상에는 상기 폼 펌프 또는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의한 청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국소소화펌프의 용량은 최대 방호 구역과 상기 배터리룸의 방호 구역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수부에 배치되던 폼 펌프를 선미부로 이동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폼 펌프가 해수를 흡입하여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기능은 물론, 선미부에 배치되는 청수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공급받아 배터리룸을 포함하여 화재 진압시 청수가 요구되는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엔진의 국소 소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국소소화펌프의 용량을 증가시켜,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청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룸의 국소 화재 진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국소소화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룸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라인은 상기 폼 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룸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라인 상으로 합류되어, 상기 배터리룸 내부에 청수를 공급 및 분사하는 라인이 화재의 규모와 상관없이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폼 펌프를 청수를 이용한 소화장치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구비되는 폼 펌프를 활용하여 배터리룸에 대한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룸의 방호를 위한 별도의 소화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소화 시스템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 시스템이 간소화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고 선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전달된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공급,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에는, 선박의 추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엔진(10), 선내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발전엔진(20), 추진엔진(10)과 발전엔진(20)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부(FGSS: Fuel Gas Supply System, 30), 그리고 선내 전력 관리를 위한 배터리팩(61)이 구비될 수 있다.
추진엔진(10)과 발전엔진(20)은 연료유(HFO, MDO, MGO 등)와 연료가스(LNG, LPG 등)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을 수 있는 DF 엔진(Duel Fuel Engin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추진엔진(10)은 2행정 추진용 엔진으로서 통상 '중압가스 분사엔진'으로 불리우는 X-DF(eXtra long stroke Dual Fuel) 엔진이 적용될 수 있고, 발전엔진(20)은 4행정 발전용 엔진으로서 DFDG(Dual Fuel Diesel Generator), DFGE(Dual Fuel GEnerator)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발전기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추진엔진(10)과 발전엔진(20)은 연료가스 공급부(30)에서 압축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데, 추진엔진(10)과 발전엔진(20)이 서로 요구하는 연료가스의 온도나 압력 조건이 상이하므로, 연료가스 공급부(30)로부터 추진엔진(10) 및 발전엔진(20)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라인 및 이에 설치되는 가스밸브유닛(GVU: Gas Valve Unit)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밸브유닛이 설치되는 가스밸브유닛룸은 가스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는 구역으로서 가스위험구역(Gas Hazardous Zone)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가스위험구역은 벤틸레이션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분리된 구획실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추진엔진(10)의 연료가스 공급을 관장하는 가스밸브유닛이 설치되는 제1 가스밸브유닛룸(40)과, 발전엔진(20)의 연료가스 공급을 관장하는 가스밸브유닛이 설치되는 제2 가스밸브유닛룸(50)은 각각 엔진룸(E/R: Engine Room)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스밸브유닛룸(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의 상측 어퍼데크(Upper Deck)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엔진룸 내부에서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스밸브유닛룸(50)은 엔진룸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팩(61)은 각종 전력 관련 설비의 부하 균형(Load Balancing)을 맞추어 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발전엔진(20) 또는 추진엔진(10)과 프로펠러(P)가 연결되는 추진축(11) 상에 설치되는 축발전기(12)에서 발생하는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추가적인 수요 발생시 필요한 곳에 공급하여 선내 전력 공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팩(61)은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공간에 배치되어야 하고, 독립적인 소화장치 및 냉각장치를 갖출 것 그리고 벤틸레이션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실(Accommodation, A) 아래 구역의 어퍼데크 상에 배터리룸(60)이라는 독립적인 룸을 마련하여 배터리팩(61)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룸(60)을 선실 아래 구역(선실의 최하층 또는 선실 좌우현 측의 별도의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음)의 어퍼데크 상에 배치시키는 것은, 배터리룸(60)을 최대한 엔진룸에 가깝게 배치하고 전술한 제1 및 제2 가스밸브유닛룸(40, 50)과 통합적인 벤틸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선박은 엔진룸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선내 소화장치로는 통상 폼 펌프(Foam Pump)를 이용하고 있다. 폼 펌프는 해수를 끌어올려 화학물질과의 반응을 통해 폼을 생성하고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에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화재를 진압하는 장비이다.
또한, 통상의 선박은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엔진 등과 같은 장비에 국소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시 청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국소 소화장치를 더 갖추고 있다.
그런데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룸에 화재가 발생할 시에는, 룸 전체에 대해 발생한 규모가 큰 화재인지 또는 국소 장비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화재인지에 상관없이 화재 진압용으로서 해수가 아닌 청수(Fresh water)가 사용될 것이 추천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구역에 대하여 화재 진압 목적으로 별도의 소화장치가 설치될 것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국소 소화장치의 용량을 증가시켜 배터리룸(60)의 소화시에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폼 펌프의 가동에 의해서도 배터리룸(60)으로 청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 및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선박의 소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선미부에 설치되는 폼 펌프(110)를 포함하여 선내에서 발생하는 규모가 큰 화재를 진압하는 메인소화부(100)와, 청수를 이용하여 선내에서 발생하는 국소적인 화재를 진압하는 국소소화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소화부(100)는, 시체스트(Sea chest, SC)로부터 해수를 흡입하거나 또는 청수탱크(FT)로부터 청수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구역으로의 공급 압력을 제공하는 폼 펌프(110)와, 폼 펌프(110)에서 해수로부터 생성된 폼 또는 청수를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메인소화라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폼 펌프(110)는 선박의 전체 소방(Total Fire Fighting)에 사용되는 펌프로서 대용량의 고압 펌프이다. 통상적인 선박에서는 이러한 폼 펌프를 선수부에 배치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폼 펌프(110)를 선미부에 배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미부에 위치하는 청수탱크(FT)의 청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시체스트(SC)의 해수를 이용하여 소화를 실시하는 경우, 폼 펌프(110)는 해수공급라인(101)을 통해 흡입된 해수를 펌프 내부에서 화학물질과 반응시켜 폼을 생성하고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청수탱크(FT)의 청수를 이용하여 소화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폼 펌프(110)는 청수공급라인(102)을 통해 공급되는 청수를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폼 펌프(110)는 용량이 매우 크고 압력 또한 10bar를 상회하기 때문에 배터리룸(60)으로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청수의 공급 및 신속한 소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청수공급라인(102)은 청수탱크(FT)로부터 해수공급라인(101) 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해수공급라인(101)과 청수공급라인(102) 상에는 폼 펌프(110)로 해수 또는 청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 선택밸브(V1)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선택밸브(V1)가 각각의 라인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선택밸브(V1)를 삼방밸브로 마련하여 청수공급라인(102)이 합류되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메인소화라인(120)은 폼 펌프(120)에서 생성된 폼을 엔진룸 또는 기타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제1 메인소화라인(121)과, 청수를 배터리룸(60)으로 공급하는 제2 메인소화라인(122)으로 분기될 수 있다. 즉, 제1 메인소화라인(121)은 소화 물질로서 폼을 사용하여도 되는 화재 발생구역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메인소화라인(122)은 소화 물질로서 청수가 요구되는 화재 발생구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수가 요구되는 화재 발생구역으로서 배터리룸(6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화재 발생시 청수가 요구되는 기타 다른 구역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폼 펌프(110)는 선미에 구획되는 조타장치실(S/G Room: Steering Gear Room) 내에 배치(또는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폼 펌프(110)로 해수를 공급하게 되는 시체스트(SC)는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형성(예컨대, 조타장치실 하부에 배치되는 A.P 탱크(Aft Peak Tank)에 시체스트(SC)를 구성할 수 있음)될 수 있다. 이는 폼 펌프(110)를 선미에서 최대 흘수(draft)보다 상측에 위치시켜 해수가 펌프에 침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수를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설계하기 위함이다.
국소소화부(200)는, 선미부에서 조타장치실의 전방에 위치하는 청수탱크(FT)로부터 청수를 전달받아 국소 화재 발생구역으로의 공급 압력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국소소화펌프(210)와, 국소소화펌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청수를 국소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국소소화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소화펌프(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조타장치실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국소소화라인(220)은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추진엔진(10) 및 발전엔진(20)으로 청수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1 및 제2 국소소화라인(221, 222)과, 배터리룸(60)으로 청수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3 국소소화라인(223)으로 분기될 수 있다. 각각의 국소소화라인(221, 222, 223) 상에는 각 구역으로의 청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CV1, CV2, CV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국소소화라인(221, 222)은 청수를 고압으로 노즐에 공급하여 분사하는 워터커튼(water curtai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국소소화라인(223)은 전술한 제2 메인소화라인(122)으로 합류될 수 있으며, 배터리룸(60)에서 방생하는 화재를 워터커튼 방식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제2 메인소화라인(122)에 노즐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배터리룸(60) 측에서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의 규모와 상관없이 제2 메인소화라인(122)을 겸용으로 사용하여 소화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배터리룸(60)에서 발생한 화재의 규모에 상관없이 화재 진압용으로서 청수를 이용하므로 가능한 설계이다.
제3 국소소화라인(223)이 합류되기 이전의 제2 메인소화라인(122) 상에는, 폼 펌프(110)를 이용한 청수의 공급 또는 국소소화펌프(210)를 이용한 청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선택밸브(V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기존의 국소 소화장치는 화재 진압용으로서 청수가 공급되는 구역 중에서 가장 큰 구역을 커버하는 노즐에서 20분동안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량이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룸(60)의 화재 진압을 위한 겸용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국소소화펌프(210)의 용량을 기본 대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국소소화펌프(210)의 용량은 최대 방호 구역(예컨대, 추진엔진)과 배터리룸(60)의 방호 구역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룸(60) 내에 30분동안 청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용량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청수탱크(FT)에는 상기한 소화 용량에 맞는 청수가 상시 보유되어야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청수탱크(FT) 내에는 설정된 소화 용량보다 높은 위치에 레벨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청수탱크(FT)의 청수 보유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이를 보충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폼 펌프를 청수를 이용한 소화장치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구비되는 폼 펌프를 활용하여 배터리룸에 대한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룸의 방호를 위한 별도의 소화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소화 시스템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 시스템이 간소화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고 선내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화 시스템은 통상 운항시 발전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추진엔진과 축발전기 및 배터리로 선박의 추진 및 전력 생산/관리 운용이 이루어지는 셔틀탱커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및 배터리의 설치 공간으로서 배터리룸이 구비되는 선박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선박에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추진엔진
11: 추진축
12: 축발전기
20: 발전엔진
30: 연료가스 공급부
40: 제1 가스밸브유닛룸
50: 제2 가스밸브유닛룸
60: 배터리룸
61: 배터리팩
100: 메인소화부
110 : 폼 펌프
120 : 메인소화라인
121 : 제1 메인소화라인
122 : 제2 메인소화라인
200: 국소소화부
210: 국소소화펌프
220: 국소소화라인
221: 제1 국소소화라인
222: 제2 국소소화라인
223: 제3 국소소화라인
A: 선실
P: 프로펠러
SC: 시체스트
FT: 청수탱크
V1: 제1 선택밸브
V2: 제2 선택밸브
CV1~CV3: 제어밸브

Claims (14)

  1. 선미부에 배치되어 시체스트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폼을 생성하여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청수탱크로부터 청수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폼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상기 폼 펌프로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공급라인; 및
    상기 청수탱크로부터 상기 폼 펌프로 청수가 공급되는 청수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공급라인 또는 상기 청수공급라인으로부터 해수 또는 청수가 상기 폼 펌프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청수공급라인은 상기 폼 펌프 전단의 상기 해수공급라인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해수공급라인과 상기 청수공급라인 각각 또는 상기 청수공급라인이 합류되는 지점에 해수 또는 청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폼 펌프는 선미의 최대 흘수(draft)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해수가 상기 폼 펌프에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폼 펌프는 선미에 구획되는 조타장치실(Steering Gear Room) 내부 또는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시체스트는 상기 조타장치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A.P 탱크(Aft Peak Tank)에 구성되며,
    상기 청수탱크는 상기 조타장치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폼 펌프에 해수가 공급되어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제1 메인소화라인; 및
    상기 폼 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제2 메인소화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을 통해 소화용수를 공급받는 화재 발생구역으로는 선내 전력 부하 관리 목적으로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룸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청수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국소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국소소화펌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추진엔진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1 국소소화라인;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발전엔진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는 제2 국소소화라인; 및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공급된 청수를 상기 배터리룸으로 공급하는 제3 국소소화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국소소화라인은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으로 합류되고,
    상기 제3 국소소화라인이 합류되기 이전의 상기 제2 메인소화라인 상에는 상기 폼 펌프 또는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의한 청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국소소화펌프의 용량은 최대 방호 구역과 상기 배터리룸의 방호 구역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12. 선수부에 배치되던 폼 펌프를 선미부로 이동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폼 펌프가 해수를 흡입하여 생성된 폼을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기능은 물론, 선미부에 배치되는 청수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공급받아 배터리룸을 포함하여 화재 진압시 청수가 요구되는 화재 발생구역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엔진의 국소 소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국소소화펌프의 용량을 증가시켜, 상기 국소소화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청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룸의 국소 화재 진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국소소화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룸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라인은 상기 폼 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룸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라인 상으로 합류되어, 상기 배터리룸 내부에 청수를 공급 및 분사하는 라인이 화재의 규모와 상관없이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소화 시스템.
KR1020200162987A 2020-11-27 2020-11-27 선박의 소화 시스템 KR2022007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87A KR20220074458A (ko) 2020-11-27 2020-11-27 선박의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87A KR20220074458A (ko) 2020-11-27 2020-11-27 선박의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58A true KR20220074458A (ko) 2022-06-03

Family

ID=8198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987A KR20220074458A (ko) 2020-11-27 2020-11-27 선박의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185A1 (ja) * 2022-11-10 2024-05-16 日本シップヤード株式会社 ばら積み貨物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148B1 (ko) 2008-04-04 2010-11-18 주식회사 엔케이 셔틀탱커의 보우로딩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148B1 (ko) 2008-04-04 2010-11-18 주식회사 엔케이 셔틀탱커의 보우로딩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185A1 (ja) * 2022-11-10 2024-05-16 日本シップヤード株式会社 ばら積み貨物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9842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CN107000814B (zh) 具备液化气体储存设备的浮体结构物
KR102327407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CN109562818B (zh) 具有多个燃料管路的船舶
JP6388150B2 (ja) Lng船
KR20220074458A (ko) 선박의 소화 시스템
KR20150026674A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KR102258008B1 (ko) 선박
KR102327408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659928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60017787A (ko) 모스 타입 엘엔지 운반선
Carlberg Concept design of a commercial submarine
CN215205250U (zh) 货船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20220074457A (ko) 셔틀탱커의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527867B1 (ko) 선박용 소방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23087277A (ja) 液化ガス運搬船
KR20220070137A (ko)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압축 공기 공급방법
KR20180121237A (ko)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102357667B1 (ko) Lpg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선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CN220010042U (zh) 一种休闲快艇
KR20210033130A (ko)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20066665A (ko)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압축 공기 공급방법
KR20240059409A (ko)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