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197A -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 Google Patents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197A
KR20220074197A KR1020200162416A KR20200162416A KR20220074197A KR 20220074197 A KR20220074197 A KR 20220074197A KR 1020200162416 A KR1020200162416 A KR 1020200162416A KR 20200162416 A KR20200162416 A KR 20200162416A KR 20220074197 A KR20220074197 A KR 2022007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rticle
rfid
stepped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404B1 (ko
Inventor
김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Priority to KR102020016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상기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하는 단차형 컨베이어; 및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의 중간을 포함하여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RFID system using stepped conveyor and RFID tag rea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RFID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차형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태그라 함은 자동인식 수단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RFID 태그로서, 기록된 정보를 초단파나 장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정보는 RFID 리더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다.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RFID 태그가 장착된 물품 등의 고유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에 의해 비접촉 방식에 의한 정보를 리딩(독출)할 뿐만 아니라 기록함으로써, 부착된 물품 뿐만 아니라, 동물, 사람 등의 객체에 대한 인식, 추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은 마트의 계산대, 택배사의 물품 분류대 등에 구현될 수 있다. 즉 RFID 태그에 물품에 부착되고, 물품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고, 컨베이어 주변에는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RFID 태그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함으로써, RFID 리더기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물품의 RFID 태그를 리딩하기 때문에, 물품의 계산 또는 분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컨베이어에 대해서 RFID 리더기는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 사이의 위치나,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 간에 RF 신호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금속재가 개재되는 경우, RFID 리더기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RFID 리더기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복수의 물품이 적재되어 중첩되어 있거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가 금속재의 물품에 접촉되어 가려지는 경우, RFID 리더기가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리딩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물품 하나씩 컨베이어로 올려 이송하도록 안내해야 하고,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6180호 (2010.03.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상기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하는 단차형 컨베이어; 및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의 중간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아래로 떨어진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기의 리딩 영역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쪽이 넓을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기는 타워형 또는 터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연결되는 말단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되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 및 상기 수평 이송부에 연결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되어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컨베이어로 떨어뜨리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차형 컨베이어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상기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하는 단계; 및 RFID 리더기는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의 중간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아래로 떨어진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기의 리딩 영역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쪽이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리딩 시 제1 컨베이어와,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제1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을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컨베이어로 떨어뜨려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에 이웃하는 제1 컨베이어의 말단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되는 틸팅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를 지나 제2 컨베이어로 떨어질 때, 물품의 위치를 원활하게 변경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RFID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베이어에 물품을 올려 놓은 것에 대해서 별도의 안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물품의 계산 및 분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시스템은 RFID 시스템은 마트의 계산대, 택배사의 물품 분류대 등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무인으로 운용되는 무인 마트의 계산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100)은 단차형 컨베이어(10)와 RFID 리더기(20)를 포함한다. 단차형 컨베이어(10)는 RFID 태그(31,41,51)가 부착된 물품(30,40,50)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한다. 그리고 RFID 리더기(20)는 단차형 컨베이어(10)의 중간을 포함하여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며,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한다.
여기서 단차형 컨베이어(10)는 제1 컨베이어(11)와 제2 컨베이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1)는 물품(30,40,5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2 컨베이어(13)는 제1 컨베이어(11)의 타측에 설치되되, 제1 컨베이어(11)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제1 컨베이어(11)에서 아래로 떨어진 물품(30,40,50)을 이송한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13)로는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형 컨베이어(10)는 제1 컨베이어(11)와 제2 컨베이어(13)가 단차지게 설치될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컨베이어(13) 간의 단차 높이에 의해서, 제1 컨베이어(11)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이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지면서, 물품(30,40,50)의 위치가 변경되고, 물품(30,40,50)이 적재된 경우 물품(30,40,50)이 분산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물품(30,40,50)을 단차형 컨베이어(10)를 이용하여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복수의 물품(30,40,50)이 중첩되어 있거나,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가 금속 소재의 물품에 접촉되어 가려지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RFID 리더기(20)가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형 컨베이어(10)는 두 개의 컨베이어(11,13)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차형 컨베이어(10)는 단차지게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RFID 리더기(20)는 단차형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한다. 이러한 RFID 리더기(20)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1,13)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RFID 리더기(20)의 리딩 영역은, 단차형 컨베이어(10)로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킨 이후에 리딩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11) 보다 제2 컨베이어(13) 쪽이 넓을 수 있다.
이러한 RFID 리더기(20)는 타워형 또는 터널형으로 단차형 컨베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타워형의 RFID 리더기(20)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3)가 연결되는 부분의 한쪽 또는 양쪽에 타워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터널형의 RFID 리더기(20)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3)가 연결되는 부분을 상부에 덮는 터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터널 형태는 원형의 링 또는 각형의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컨베이어(10)를 이용한 RFID 시스템(100)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RFID 태그(31,41,51)가 부착된 물품(30,40,50)들을 제1 컨베이어(11)의 일측에 적재한다. 예컨대 물품(30,40,50)들은 제1 물품(30) 아래에 두 개의 제2 및 제3 물품(40,50)이 위치하는 형태로 적재될 수 있다. 제1 물품(30)의 제1 RFID 태그(31) 및 제3 물품(50)의 제3 RFID 태그(51)는 RFID 리더기(20)에 의해 쉽게 리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반면에 제2 물품(40)의 제2 RFID 태그(41)는 제3 물품(50)에 의해 일부 가려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3 물품(50)이 금속재인 경우에, 지금과 같이 제1 내지 제3 물품(30,40,50)이 적재된 형태로 RFID 리더기(20)를 통과할 경우, 제2 물품(40)의 제2 RFID 태그(41)가 리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1)는 일측에 적재된 물품(30,40,50)들을 제1 컨베이어(11)의 타측으로 이송한다. 제1 컨베이어(11)의 타측으로 이송된 물품(30,40,50)들은 제1 컨베이어(11)와 제2 컨베이어(13)가 형성하는 단차에 의해 제2 컨베이어(13)의 일측으로 떨어진다.
제2 컨베이어(13)의 일측으로 물품(30,40,50)들이 떨어지면서, 물품(30,40,50)들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적재된 상태가 분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13)의 연결 부분에 설치된 RFID 리더기(20)가 제1 컨베이어(11)에서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져 이송되는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한다.
즉 적재된 제1 내지 제3 물품(30,40,50)이 제1 컨베이어(11)에서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지면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분산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물품(30,40,50)에 부착된 제1 내지 제3 RFID 태그(31,41,51)의 위치를 리딩이 쉬운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리딩이 어려웠던 제2 물품(40)의 제2 RFID 태그(41)는, 단차형 컨베이어(10)를 이용하여 제2 물품(4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제3 RFID 태그(41)를 리딩이 쉬운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의 리딩 시 제1 컨베이어(11)와, 제1 컨베이어(11)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컨베이어(13)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10)를 이용함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제1 컨베이어(11)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을 제1 컨베이어(11)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뜨려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상하로 단차지게 배치된 제1 및 제2 컨베이어(11,13)가 물품(30,40,50)을 이송하면서, 제1 및 제2 컨베이어(11,13)의 단차를 이용하여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키는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컨베이어(13)에 이웃하는 제1 컨베이어(11)의 말단부에 상하로 틸팅되는 틸팅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11)를 지나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질 때, 물품(30,40,50)의 위치를 원활하게 변경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30,40,50)에 부착된 RFID 태그(31,41,51)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제1 컨베이어(11)는 물품(30,40,50)을 제2 컨베이어(13)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와, 수평 이송부에 연결되며 상하로 틸팅되어 물품(30,40,50)을 제2 컨베이어(13)로 떨어뜨리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는 수평 이송부의 말단부를 지나 틸팅부에 물품이 도착하면, 일정 각도 범위에서 상하로 틸팅을 반복하여 제2 컨베이어(13)의 일측으로 떨어지는 물품(30,40,5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컨베이어가 수평 이송부와 틸팅부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평 이송부와 틸팅부는 각각 별도의 컨베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부가 상하로 틸팅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틸팅부는 좌우로 틸팅되어 제2 컨베이어로 떨어지는 물품의 위치를 보다 원활하게 변경하거나 분산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단차형 컨베이어
11 : 제1 컨베이어
13 : 제2 컨베이어
20 : RFID 리더기
30,40,50 : 물품
31,41,51 : RFID 태그
100 : RFID 시스템

Claims (10)

  1.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상기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하는 단차형 컨베이어; 및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의 중간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
    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아래로 떨어진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의 리딩 영역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쪽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타워형 또는 터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연결되는 말단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되는 틸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 및
    상기 수평 이송부에 연결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되어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컨베이어로 떨어뜨리는 틸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8. 단차형 컨베이어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면서 중간에 단차를 이용하여 떨어뜨려 상기 물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산시켜 이송하는 단계; 및
    RFID 리더기는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의 중간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 이후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형 컨베이어는,
    상기 물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아래로 떨어진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기의 리딩 영역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보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쪽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KR1020200162416A 2020-11-27 2020-11-27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KR10257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16A KR102574404B1 (ko) 2020-11-27 2020-11-27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16A KR102574404B1 (ko) 2020-11-27 2020-11-27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97A true KR20220074197A (ko) 2022-06-03
KR102574404B1 KR102574404B1 (ko) 2023-09-01

Family

ID=819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416A KR102574404B1 (ko) 2020-11-27 2020-11-27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5B1 (ko) 2022-09-27 2023-02-13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KR102518315B1 (ko) 2022-09-27 2023-04-05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180A (ko) 2008-08-29 2010-03-1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률 향상을 위한 리더 안테나 구조체
KR20180056945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9021066A (ja) * 2017-07-18 2019-02-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タグ読み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180A (ko) 2008-08-29 2010-03-1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률 향상을 위한 리더 안테나 구조체
KR20180056945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9021066A (ja) * 2017-07-18 2019-02-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タグ読み取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5B1 (ko) 2022-09-27 2023-02-13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KR102518315B1 (ko) 2022-09-27 2023-04-05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404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404B1 (ko)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US20040176872A1 (en) RFID control system
US9694393B2 (en) Singulators with ports for diverting items
US20040070503A1 (en) Flexible RFID antenna panel and system
JP2007219730A (ja) アクティブ型rfidタグ、搬送用収納器、搬送用車両、倉庫および物流管理システム
EP3795505A1 (en) Conveyor
CN205926334U (zh) 一种货品自动分拣系统
JP2020075793A (ja) 仕分け装置
CN111344235A (zh) 具有无线电系统的输送设备
JP2018052671A (ja) 仕分け装置
US9994400B2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JP711125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KR20170037357A (ko)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용 듀얼형 캐리어 시스템
CN105480646B (zh) 输送装置以及输送系统和分配系统
JP6372179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9075728A (ja) 無線タグ読み取り装置およびその読み取り方法
JP2021107260A (ja) 物品仕分システム
CN111846887A (zh) 传送带分拣方法和系统
WO2016024617A1 (ja) 搬送コンベア用rfidシステム
JP7283020B2 (ja) 仕分けコンベヤシステム
JP2005190043A (ja) Rfid
KR102544564B1 (ko) 소터의 캐리어 위치 검출 시스템
JP3541080B2 (ja) 搬送ケース及びこの搬送ケースを用いた仕分け装置
JP2002029608A (ja) 搬送物品管理装置
JP2013079123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