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235B1 -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235B1
KR102499235B1 KR1020220122671A KR20220122671A KR102499235B1 KR 102499235 B1 KR102499235 B1 KR 102499235B1 KR 1020220122671 A KR1020220122671 A KR 1020220122671A KR 20220122671 A KR20220122671 A KR 20220122671A KR 102499235 B1 KR102499235 B1 KR 10249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fid reader
diameter
rfid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Priority to KR102022012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으로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탑재된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하고,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How to Read RFID Based on Android}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태그라 함은 자동인식 수단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RFID 태그로 서, 기록된 정보를 초단파나 장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정보는 RFID 리더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다.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RFID 태그가 장착된 물품 등의 고유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에 의해 비접촉 방식에 의한 정보를 리딩(독출)할 뿐만 아니라 기록함으로써, 부착된 물품 뿐만 아니라, 동물, 사람 등의 객체에 대한 인식, 추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2-0074197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리더기를 연결하여 RFID 칩을 리딩할 수 있으며, 당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은, RFID 리더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탑재된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하고,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제1 어댑터 내지 제4 어댑터 및 전원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RFID 칩을 생성하는 RFID 칩 생성기와 통신하여 다수 개의 RFID 칩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와 함께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RFID 리더기,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가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면에 가로 밑 세로 길이가 동일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상단패드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패드는, 상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고,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판은,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 구동하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사각홈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각홈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하단면에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 가능한 부착소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판은,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2 지지판의 상기 사각홈과 상기 공기층에 의해 반동되어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는 경우 상기 사각홈이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각홈이 수축함에 따라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3 지지판이 구비된 상기 상단패드에 의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RFID 리더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제어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제1 어댑터 내지 제4 어댑터 및 전원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탑재된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하고,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RFID 칩을 생성하는 RFID 칩 생성기와 통신하여 다수 개의 RFID 칩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와 함께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RFID 리더기,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가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면에 가로 밑 세로 길이가 동일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상단패드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패드는, 상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고,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판은,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 구동하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사각홈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각홈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하단면에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 가능한 부착소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판은,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2 지지판의 상기 사각홈과 상기 공기층에 의해 반동되어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는 경우 상기 사각홈이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각홈이 수축함에 따라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3 지지판이 구비된 상기 상단패드에 의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RFID 리더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리더기를 연결하여 RFID 칩을 리딩할 수 있으며, 당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RFID리더기를 내장한 케이스부는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3 지지판이 구비된 상기 상단패드에 의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RFID 리더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의 일부 구성인 프레임부재는 상단에 위치한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제1 지지판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한 관통부재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는 상단에 위치한 스프링부재를 통해 제1 지지판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1차적으로 흡수되고 남은 잔여 진동은 보조패드를 통해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D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의 일부 구성인 케이스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은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탑재된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s1100),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s1300),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할 수 있고(s1500),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s1700).
RFID 리더기(100)의 리딩본체(110)는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RFID 칩을 생성하는 RFID 칩 생성기(200)와 통신하여 다수 개의 RFID 칩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RFID 리더기(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RFID 리더기(1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 및 드라이브 생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번째로, RFID 리더기(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연결은 PC의 시작버튼> 컴퓨터> (왼쪽하단) 네트워크> (상단)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클릭 후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 가 활성화(생성) 되는지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로 RFID 리더기(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드라이브 생성은 PC의 시작버튼> 컴퓨터> 네트워크 위치의 So_rfid_rd를 확인하여 드라이버가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o_rfid_rd 드라이버 생성 후, 연결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더블 클릭한 후, 다수의 폴더 및 파일 활성화되면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에 다운로드 된 "SO_RFID"를 실행한 후,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 후 동기화 메뉴를 클릭하면 연결된 RFID 리더기(100)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된 후, "SO_RFID_RD" 어플을 실행하면 RFID 리더기(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인식된 RFID 칩을 검수할 수 있다.
RFID 리더기(100)는 리딩본체(110),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와 함께 케이스부(101)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는 각각 랜 케이블, USB 유선 랜 카드, USB 변환젠더 및 USB 유선 랜 어댑터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스부(101)는 RFID 리더기(100), 제1 어댑터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가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D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10)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D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10)은 리딩본체(110), 제1 어댑터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RFID 리더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리더기(100)는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한 행정안전부용 프로그램을 탑재된 RFID 리더기(100)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RFID 칩을 생성하는 RFID 칩 생성기(200)와 통신하여 다수 개의 RFID 칩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RFID 리더기(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리더기(100)는 사용자 단말기(PC)의 시작버튼> 컴퓨터> (왼쪽하단) 네트워크> (상단)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클릭 후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 가 활성화(생성) 되는지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RFID 리더기(100)는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와 함께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는 각각 랜 케이블, USB 유선 랜 카드, USB 변환젠더 및 USB 유선 랜 어댑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RFID 리더기(1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 및 드라이브 생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번째로, RFID 리더기(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연결은 PC의 시작버튼> 컴퓨터> (왼쪽하단) 네트워크> (상단)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클릭 후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 가 활성화(생성) 되는지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로 RFID 리더기(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드라이브 생성은 PC의 시작버튼> 컴퓨터> 네트워크 위치의 So_rfid_rd를 확인하여 드라이버가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o_rfid_rd 드라이버 생성 후, 연결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더블 클릭한 후, 다수의 폴더 및 파일 활성화되면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에 다운로드 된 "SO_RFID"를 실행한 후,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 후 동기화 메뉴를 클릭하면 연결된 RFID 리더기(100)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된 후, "SO_RFID_RD" 어플을 실행하면 RFID 리더기(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인식된 RFID 칩을 검수할 수 있다.
케이스부(101)는 RFID 리더기(100),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 및 전원부(190)가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의 일부 구성인 케이스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1)는 상단면에 가로 밑 세로 길이가 동일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상단패드(500)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단패드는 제1 지지판(510), 제2 지지판(550), 지지기둥(520) 및 제3 지지판(5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510)은 상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지지판(550)은 제1 지지판(510)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판(550)은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각홈(55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각홈은 제1 지지판(510)과 제2 지지판(55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층(5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판(510)이 상단의 방향으로부터 충격이 발생하여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판(550)과 사각홈(55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530)으로 인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한 충격이 제2 지지판(550)에 전달될 때 완화된 충격의 크기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판(550)은 제1 지지판(510)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는 경우 하단 방향으로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판(550)은 고무 또는 스펀지의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판(510)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상관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520)은 제1 지지판(510)과 제2 지지판(550)을 연결하도록 제1 지지판(510)과 제2 지지판(5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기둥(520)은 제1 지지판(510)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지지판(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하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기둥(52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실린더 또는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판(510)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상관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판(590)은 제2 지지판(550)의 하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지지판(550)의 하단에 위치하고, 케이스부(101)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판(590)은 고무 또는 스펀지의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판(510) 및 제2 지지판(550)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상관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판(590)은 사각홈(555)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수직홈(57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각 사각홈(555)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사각홈(555)의 개수에 맞추어 수직홈(57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홈(570)에 의해 제1 지지판(510) 및 제2 지지판(550), 제3 지지판(590)이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 및 수축한 후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한편, 제3 지지판(590)은 하단면에 케이스부(101)의 상단면에 부착 가능한 부착소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판(590)의 하단면에 구비된 부착소재는 테이프 또는 본드 등의 부착 소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부(101)의 상단면에 부착 가능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판(510)은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동 후 제2 지지판(550)의 사각홈(555)과 공기층(530)에 의해 반동되어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1)는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지지판(510), 제2 지지판(550) 및 제3 지지판(590)이 구비된 상단패드(500)에 의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RFID 리더기(100)는 리딩본체(110), 제1 어댑터(120) 내지 제4 어댑터(170), 전원부(19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홈(555)은 비어 있는 내부에 각각 완충부재(6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부재는 프레임부재(610), 관통부재(620) 및 스프링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61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611)은 관통부재(620) 및 스프링부재(6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비어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610)는 비어 있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내측돌출부(612), 내측돌출부(612)와 대응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외측돌출부(614) 및 개구되어 있는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덮개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돌출부는 프레임부재(6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되 관통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덮개부(615)의 하단은 스프링부재(630)의 상단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은 프레임부재(6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재(610)의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하단과 상단 사이의 중앙단은 프레임부재(610)의 내측에 끼움 고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재(620)는 하단은 프레임부재(610)의 내측에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일부분과 상단은 프레임부재(610)의 내측 하단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재(620)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원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관통부재(620)는 내측홈(621), 보조패드(623) 및 상단끼움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홈(621)은 내측돌출부(61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돌출부가 끼움되도록 내측돌출부(612)의 두께와 돌출되어 있는 길이에 맞추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패드(623)는 프레임부재(610)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관통부재(62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각각 사각홈(555)의 내측 하단에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조패드(623)는 상단에 원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관통부재(620)에 형성된 원형홈(미도시)에 끼움 고정되어 관통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단끼움부(624)는 상단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부분에 끼워지도록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끼움부(624)는 하단 외부 직경이 관통부재(6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630)는 프레임부재(610)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610)의 내측에 위치한 관통부재(62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630)는 상단끼움부(624)의 직경이 작아지는 상단에 끼워지며 덮개부(615)의 하단에 내부에 관통되어 상단끼움부(624)와 덮개부(61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630)는 하단이 상단끼움부(624)에 끼워지고, 상단이 덮개부(615)에 끼워져 관통부재(620)와 덮개부(615)의 사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630)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하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630)는 관통부재(620)가 프레임부재(610)의 내측에 위치하고 남은 공간에 위치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부재(620) 및 스프링부재(630)가 결합되어 있는 길이는 프레임부재(6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600)의 프레임부재(610)는 상단에 위치한 제1 지지판(510)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제1 지지판(510)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한 관통부재(620)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630)는 프레임부재(610)가 관통부재(620)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완충부재(600)는 상단에 위치한 스프링부재(630)를 통해 제1 지지판(510)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1차적으로 흡수되고 남은 잔여 진동은 관통부재(620)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패드(623)를 통해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부재(600)는 스프링부재(630)를 통해 가벼운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스프링부재(630)를 통해 충격 또는 진동이 흡수된 후에도 남아있는 충격 또는 진동은 관통부재(620)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패드(623)가 수축함에 의해 충격 또는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600)는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RFID 리더기

Claims (3)

  1. RFID 리더기를 이용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지 신호에서 에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 정보에 상응하는 에지 클럭을 발생하고,
    발생된 에지 클럭을 이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제1 어댑터 내지 제4 어댑터 및 전원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고, 제1 어댑터는 랜 케이블, 제2 어댑터는 USB 유선 랜 카드, 제3 어댑터는, USB 변환젠더, 제4 어댑터는 USB 유선 랜 어댑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RFID 칩을 생성하는 RFID 칩 생성기와 통신하여 다수 개의 RFID 칩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RFID 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태그 신호에 대한 비트 데이터를 결정하고,
    RFID 리더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과 드라이버 생성은 연결된 PC를 통해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여 연결된 RFID 리더기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와 함께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RFID 리더기, 상기 제1 어댑터 내지 상기 제4 어댑터 및 상기 전원부가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면에 가로 밑 세로 길이가 동일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상단패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단패드는,
    상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고,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 구동하도록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사각홈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홈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판은,
    하단면에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면에 부착 가능한 부착소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판은,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2 지지판의 상기 사각홈과 상기 공기층에 의해 반동되어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는 경우 상기 사각홈이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각홈이 수축함에 따라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3 지지판이 구비된 상기 상단패드에 의해 상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RFID 리더기를 보호하고,
    상기 사각홈은,
    비어 있는 내부에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은 관통부재 및 스프링부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비어 있게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는 프레임부재;
    하단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일부분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 하단에 관통하여 위치되는 관통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관통부재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끼움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상단에 끼워지며 덮개부의 하단에 내부에 관통되어 상단끼움부와 덮개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프레임부재는,
    비어 있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내측돌출부;
    상기 내측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돌출부; 및
    개구되어 있는 상단에 끼움 고정되되, 하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재의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하단과 상단 사이의 중앙단은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끼움 고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내측돌출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측돌출부가 끼움되도록 내측돌출부의 두께와 돌출되어 있는 길이에 맞추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홈;
    프레임부재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하단에 구비되고, 관통부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각각 상기 사각홈의 내측 하단에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가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패드; 및
    상단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부분에 끼워지도록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고 하단 외부 직경이 관통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상단끼움부;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22671A 2022-09-27 2022-09-27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KR10249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671A KR102499235B1 (ko) 2022-09-27 2022-09-27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671A KR102499235B1 (ko) 2022-09-27 2022-09-27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235B1 true KR102499235B1 (ko) 2023-02-13

Family

ID=8520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671A KR102499235B1 (ko) 2022-09-27 2022-09-27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227A1 (en) * 2008-08-13 2010-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modulating subcarrier tag signal in rfid reader
KR20170102161A (ko) * 2017-08-28 2017-09-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선택적 코드 인식 방법
KR101955661B1 (ko) * 2017-06-07 2019-03-0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전자태그 리더기
KR20220074197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227A1 (en) * 2008-08-13 2010-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modulating subcarrier tag signal in rfid reader
KR101955661B1 (ko) * 2017-06-07 2019-03-0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전자태그 리더기
KR20170102161A (ko) * 2017-08-28 2017-09-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선택적 코드 인식 방법
KR20220074197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단차형 컨베이어를 이용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rfid 태그 리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7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RFID tag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n object
CN100514280C (zh) 可拆装式设备及程序的起动方法
EP3092043A1 (de) Spielzeug
KR20180105148A (ko) 장난감
KR102499235B1 (ko)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딩 방법
KR102518315B1 (ko) 안드로이드 기반 rfid 리더기 솔루션 시스템
BR8904646A (pt) Membro de armazenamento de dados de servo-rastreamento,aparelho de posicionamento para dispositivos de armazenamento de dados,e processo de posicionar cabecas transdutores em aparelhos de processamento de dados do tipo que grava e reproduz dados sobre um membro de gravacao movel
RU2007143572A (ru) Элемент остекления, содержащий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читывания и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обеспечиваемый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WO2007059073A3 (en) Enhanced noise cancellation in vsp type measurements
KR102302506B1 (ko) 광학 이미지 감지 모듈
US11660548B2 (en) Identification carrier for a toy for reproducing music or an audio story
CN105807957A (zh) 一种输入方法以及智能笔
JP2022517642A (ja) Rfidタグ
CN1234130C (zh) 基于闪存的系统引导装置以及实现引导的方法
CN1400602A (zh) 具有usb接口的便携式可读写存储器及其数据管理的方法
CN106326397A (zh) 生成索引文件的方法及装置
Cosma et al. Multiazimuth VSP for rock characterization of deep nuclear waste disposal sites in Finland
US10605599B2 (en) Gradient sensor device
KR102235886B1 (ko) 정확한 동시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유닛
WO2019130942A1 (ja) 埋め込み型icタグ
CN105320580B (zh) 具有信息安全防护的数据储存系统
US20120018521A1 (en) Object carrier having a data memory
EP3196769A1 (en) Reader/writ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568189B1 (ko)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KR101360187B1 (ko)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