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034A - 유량 센서 - Google Patents

유량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034A
KR20220074034A KR1020200162077A KR20200162077A KR20220074034A KR 20220074034 A KR20220074034 A KR 20220074034A KR 1020200162077 A KR1020200162077 A KR 1020200162077A KR 20200162077 A KR20200162077 A KR 20200162077A KR 20220074034 A KR20220074034 A KR 2022007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flow sensor
flo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748B1 (ko
Inventor
양연순
방성자
Original Assignee
양연순
방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연순, 방성자 filed Critical 양연순
Priority to KR102020016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센서에 관한 것으로, 유량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구조가 간단하고 로터를 스테이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관체에 삽입하여 밀어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해 유량 센서의 제조 단가 절감 효과가 크면서도 유량 측정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 센서의 관체 부분을 유체가 이동하는 다양한 배관의 일부 구간을 유량 센서로도 이용할 수 있는 유량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량 센서 {Flow sensor}
본 발명은 유량 센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간단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량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센서는 수도, 오일 정제, 화학 플랜트산업 등은 물론 반도체 등의 전기전자 부품과, 항공 우주산업 등 각종 첨단 산업에 있어서 수도, 가스, 원유, 화학 약품 등의 유체류를 공급시 시간 경과에 따라 공급된 유체량을 수시로 측정하여 현재 진행중인 공정이 타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관리 하는 지표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는 현대 산업 생산설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유량센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관로에 설치되는 유량센서를 통하여 유체의 유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유량센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32008호(참고문헌)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유량센서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동시에 회전되고 내부에는 자석이 설치된 자석 회전체; 상기 회전부와 자석 회전체가 축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 상기 회전부와 자석 회전체와 회전축 및 회전축 지지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 회전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상기 회전축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구와, 상기 원통구의 양측 외주면에 서로 반대 방향의 기울기를 가지며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 일측의 케이스에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 반대측의 케이스는 막혀 있으며, 상기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의 측방향으로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에 제안된 유량센서는 회전부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를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의 제1공간부 양측에 지지해야 하므로 조립이 까다롭다.
아울러 이러한 회전축에 원통구와 별개로 자석이 구비된 회전체를 추가로 더 결합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부속이 많아 고장 우려 역시 높고 전체적으로 많은 부속과 이들의 결합에 많은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1132008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간단해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량 센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임의 구간에도 적용하거나 배관의 일부를 그대로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유량 센서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석이 고정되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테이터와, 유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로터가 장착된 스테이터가 삽입 고정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시 자석의 극성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감지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석은 복수의 날개 중 일부 날개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터 몸체의 양단에 회전축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몸체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날개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관체의 유로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안내로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몸체의 전단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축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탄성 축지지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 몸체에 형성되는 안내로의 전단에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몸체와 탄성 축지지편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유로에는 상기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몸체와 탄성 축지지편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테이터의 탄성 축지지편 전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유로 내주면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스테이터의 걸림턱이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공이 양측에 잔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턱 전방에 유로가 좁아지도록 축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외부에는 지지구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가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지지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 하단에는 지지구를 지지하는 걸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구조가 간단하고 로터를 스테이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관체에 삽입하여 밀어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해 유량 센서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크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측정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 센서의 관체 부분을 유체가 이동하는 다양한 배관의 일부 구간을 유량 센서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전방 및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기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조립 전후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로터 및 스테이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조립 전후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조립 전후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로터 및 스테이터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의 조립 전후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센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센서(1)는 자석(110)이 고정되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도록 방사상으로 날개(120)가 형성되는 로터(100)와, 상기 로터(10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테이터(200)와, 유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로터(100)가 장착된 스테이터(200)가 삽입 고정되는 유로(302)가 형성되는 관체(300)와, 상기 관체(3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100)의 회전시 자석(110)의 극성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10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감지모듈(4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량 센서(1)는 수도, 가스, 원유, 화학 약품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다양한 배관에 적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로터(100)는 상기 스테이터(200)에 고정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의 로터 몸체(101)의 양단에 회전축(10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몸체(10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날개(120)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일부 날개(120)에는 자석(110)이 고정되며, 상기 자석(110)은 영구자석으로서 상기 날개(1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로터(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로터(100)는 날개(120)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로터(10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안내로(212)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몸체(210)의 전단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로터(100)의 회전축(10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탄성 축지지편(220)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탄성 축지지편(220)에는 상기 로터(100)의 회전축(102)을 지지하는 축지지공(222)이 마주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터(100) 양단의 회전축(102)이 지지되어 유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시 로터(10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축지지편(220)은 탄성을 갖고 있어 탄성 축지지편(220)을 양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로터(100)의 회전축(102)을 축지지공(222)에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축지지편(220)에는 축지지공(222)을 대신하여 축홈의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몸체(210)에 형성되는 안내로(212)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로(214)가 더 형성되어 유체가 안내로(212)에서 축소로(214)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속을 증가시켜 로터(1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테이터(200)는 스테이터 몸체(210)와 탄성 축지지편(220)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2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230)은 스테이터(200)가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시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200)의 탄성 축지지편(220) 전단에는 걸림턱(224)이 형성된다. 이는 스테이터(200)가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시 후진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관체(300)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302)가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체(300)는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에 양단을 연결하거나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임의 구간을 그대로 본 발명의 유량 센서(1)를 구성하는 관체(300)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체(300)는 유로(302)가 원형 단면을 갖는 구조로서 유로(302) 내주면에 지지턱(310)이 형성되어 로터(100)가 장착된 스테이터(20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턱(310)은 관체(300)의 유로(302) 내주면을 따라 유로(302)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링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300)의 유로(302)에는 상기 스테이터(200)의 스테이터 몸체(210)와 탄성 축지지편(220)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30)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20)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200)가 관체(300)의 유로에 삽입시 가이드돌기(320)가 가이드홈(230)에 위치하며 안내되어 스테이터(200)가 관체(300)의 유로(302)에서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그대로 직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턱(31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공(312)이 양측에 형성되어 스테이터(200)를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하여 전진하도록 밀어 넣는 경우 상기 스테이터(200)의 탄성 축지지편(220) 전단에 연장 형성된 걸림턱(224)이 통과하며 지지공(224)에 끼워져 지지공(224) 전단에 지지되어 스테이터(200)가 후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모듈(400)은 관체(3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100)의 회전시 자석(110)의 극성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100)의 회전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감지모듈(400)은 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410)가 케이스(420)에 내장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센서(410)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420) 내에는 상기 센서(410)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420) 후측에는 연결소켓(430)이 구비되어 케이블이 연결되어 센서(410)의 감지신호를 외부의 감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모듈(400)의 케이스(420)는 일측에 관체삽입부(44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탄성을 갖는 걸침턱(4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300)의 외부에는 지지구(50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구(500)는 로터(100)가 장착된 스테이터(200)가 삽입 고정되는 지점의 관체(300) 외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관체에 지지구가 끼워진 상태에서 감지모듈(400) 케이스(420)의 관체삽입부(440)에 삽입시키면 상기 걸침턱(450)이 지지구(500) 외측에 걸쳐지게 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로터(100)를 스테이터(2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로터(100)가 장착된 스테이터(200)를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하여 전진시키면 스테이터(200)의 탄성 축지지편(220) 전단에 연장 형성된 걸림턱(224)이 통과하며 지지공(312)에 끼워져 지지되어 스테이터(200)가 후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관체(300) 외측에 지지구(500)를 끼워 지지한 후 감지모듈(400) 케이스에 삽입 장착한다. 즉 유량 센서(1)의 조립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가 관체(300)의 유로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게 되면 로터(100)가 회전하게 되며 로터(100)의 회전시 자석(110)의 극성 변화를 감지모듈(400)의 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는 제1 실시 예에 도시한 관체(300)의 변형 예로서, 니은(ㄴ)자 형성으로 절곡된 구조로도 이루어져 유체의 흐름을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는 스테이터 몸체(210)에 형성되는 안내로(212)의 전단에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로(214)가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스테이터 몸체(21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유체의 유속을 높이기 위해 상기 지지턱(310) 전방을 높게 형성하여 축관부(313)를 형성하여 유로(302)가 좁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는 제3 실시 예에 도시한 관체(300)의 변형 예로서, 니은(ㄴ)자 형성으로 절곡된 구조로도 이루어져 유체 흐름을 전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유량 센서 100: 로터
102: 회전축 110: 자석
120: 날개 200: 스테이터
220: 탄성 축지지편 230: 가이드홈
300: 관체 302: 유로
320: 가이드돌기 400: 감지모듈
410: 센서 450: 걸침턱
500: 지지구

Claims (8)

  1. 자석(110)이 고정되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120)가 형성되는 로터(100)와, 상기 로터(10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테이터(200)와, 유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로터(100)가 장착된 스테이터(200)가 삽입 고정되는 유로(302)가 형성되는 관체(300)와, 상기 관체(3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100)의 회전시 자석(110)의 극성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10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감지모듈(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10)은 복수의 날개 중 일부 날개(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터 몸체(101)의 양단에 회전축(10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몸체(10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날개(120)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관체(300)의 유로(302)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안내로(212)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몸체(210)의 전단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로터(100)의 회전축(10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탄성 축지지편(220)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몸체(210)에 형성되는 안내로(212)의 전단에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로(2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200)는 스테이터 몸체(210)와 탄성 축지지편(220)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300)의 유로(302)에는 상기 스테이터(200)의 스테이터 몸체(210)와 탄성 축지지편(220)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30)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20)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200)의 탄성 축지지편(220) 전단에는 걸림턱(224)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300)의 유로(302) 내주면에 지지턱(3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310)에는 상기 스테이터(200)의 걸림턱(224)이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공(312)이 양측에 잔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310) 전방에 유로(302)가 좁아지도록 축관부(3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300)의 외부에는 지지구(500)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감지모듈(400)은 상기 자석(110)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410)가 케이스(420)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420) 일측에 지지구(500)가 삽입되는 삽입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440) 하단에는 지지구(500)를 지지하는 걸침턱(4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KR1020200162077A 2020-11-27 2020-11-27 유량 센서 KR10254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77A KR102541748B1 (ko) 2020-11-27 2020-11-27 유량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77A KR102541748B1 (ko) 2020-11-27 2020-11-27 유량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34A true KR20220074034A (ko) 2022-06-03
KR102541748B1 KR102541748B1 (ko) 2023-06-12

Family

ID=8198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77A KR102541748B1 (ko) 2020-11-27 2020-11-27 유량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89Y1 (ko) *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일성전자 유량감지기
KR101132008B1 (ko) 2010-04-06 2012-03-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 센서
KR101423048B1 (ko) * 2014-02-10 2014-07-24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터빈 유량계
KR101609237B1 (ko) * 2014-12-17 2016-04-06 센서나인(주) 유량 센서
KR20190073304A (ko) * 2017-12-18 2019-06-26 박준영 유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89Y1 (ko) *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일성전자 유량감지기
KR101132008B1 (ko) 2010-04-06 2012-03-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 센서
KR101423048B1 (ko) * 2014-02-10 2014-07-24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터빈 유량계
KR101609237B1 (ko) * 2014-12-17 2016-04-06 센서나인(주) 유량 센서
KR20190073304A (ko) * 2017-12-18 2019-06-26 박준영 유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48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1014B2 (ja) トルクセンサ
JP6228601B2 (ja) 流量計
CN101430026B (zh) 流量控制阀
US8096193B2 (en) Turbine flow meter having easily removable meter cartridge
US9457504B2 (en) Column filter retainer connector with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iocompatible fluid passageway
CN101680571A (zh) 一体化在阀杆内的端口
KR20220074034A (ko) 유량 센서
US10794492B2 (en) Sealing device for drive shaft
US20130291633A1 (en) Retractable Assembly
KR101423048B1 (ko) 터빈 유량계
KR102619780B1 (ko) 유량 센서
KR20090128859A (ko) 토크센서와 조향축의 결합구조
KR20030061108A (ko) 유량측정용 피토조립체
CN203422122U (zh) 节流装置
CN210603168U (zh) 气动位移传感器
JP4084409B1 (ja) 流量計
KR101558308B1 (ko) 볼 밸브 및 그 제작방법
KR200470135Y1 (ko) 코아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체크밸브
CN215261918U (zh) 一种双通道流体测量装置
JP2005257309A (ja) タービン流量計及び流体回転機械
JP2019173894A (ja) 流体の配管部材
CN216044769U (zh) 一种同时测伺服阀前置级流量和压力的装置
CN202710580U (zh) 插入式取气引流管装置
JP6655370B2 (ja) 流量検出装置及び流量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2009257942A (ja) 流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