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493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493A
KR20220072493A KR1020200160165A KR20200160165A KR20220072493A KR 20220072493 A KR20220072493 A KR 20220072493A KR 1020200160165 A KR1020200160165 A KR 1020200160165A KR 20200160165 A KR20200160165 A KR 20200160165A KR 20220072493 A KR20220072493 A KR 2022007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ource
audio
location
sound image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우
김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493A/ko
Priority to PCT/KR2021/014128 priority patent/WO2022114516A1/ko
Publication of KR2022007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가상 음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한 제작 및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실감 음향 효과에 대한 사용자들의 기대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이 최소화됨에 따라,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 하단에 탑재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은 경우, 화면 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상이 크게 어긋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다만, 디스플레이 화면이 커질수록, 화면 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음상이 어긋날 가능성이 높아지며, 사운드 스테이지가 부족하게 느껴질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에 대응되는 음상을 정위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음원에 대해 각기 다른 여러 개의 가상 음상이 생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의 소리의 명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스피커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상기 스피커에서 제1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상기 스피커에서 제2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2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을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제1 유형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을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제1 유형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전자 장치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가상 음상 적용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고실감 음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또는 웨어러블 장치,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음상은 청취자가 오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곳으로 느껴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실제 소리는 스피커에서 출력되지만 오디오 소스의 음원이 가상으로 맺히는 지점을 음상이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스피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전자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버퍼(buffer)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에는 프로세서(130)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소스의 유형은 오디오 장면(scene)이라고 표현되고,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장면 정보라고 표현될 수 있다. 오디오 장면은 오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기초로 분류한 단위를 의미한다.
메모리(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소스의 유형 별로 매칭될 수 있는 음상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상 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1 오디오 소스의 유형이 음성인 경우,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스피커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스피커(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스피커(120)는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오디오 소스의 유형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가 되도록 처리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하단에 탑재된 스테레오 스피커(stereo speaker)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스피커(120)의 개수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2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분에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동작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USB 플래시 드라이브, 셋톱 박스(set-top box) 등)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스트리밍(streaming)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210)하여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신경망 모델(Neural Network Model)에 오디오 소스를 입력함으로써,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학습된 신경망 모델은, 오디오 신호의 시간 주파수 형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인식하도록 학습된 제1 신경망 모델,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포락선 형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인식하도록 학습된 제2 신경망 모델, 및 오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인식하도록 학습된 제3 신경망 모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신경망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레이어는 복수의 가중치(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의 연산을 통해 레이어의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이 있으며, 본 개시에서의 신경망 모델은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의 유형은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신호,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신호 및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오디오 소스의 유형은 효과음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상에 음성, 음악, 배경음 및 헬기 소리와 같이 공중에서 발생하는 소리 등 다양한 유형의 오디오 소스가 포함된 경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형의 오디오 소스 각각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신호가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가 78%,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가 20% 및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가 2%로 구성되어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제1 유형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가 제1 유형의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임계값은 실험 또는 연구에 따라 결정된 기설정된 값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에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가 95%이고 임계값이 90%인 경우를 가정한다.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에 제1 오디오 소스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식별하고, 오디오 신호는 제1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22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에 음성에 제1 오디오 소스가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에서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인 제1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오디오 신호에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 및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가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제2 및 제3 오디오 소스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신호에서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인 제2 및 제3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스피커(12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스피커(120)에서 제1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스피커(120)에서 제2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수직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TV로 구현되고, 스피커가 TV 하단 부에 탑재되어 스테레오 스피커(120-1, 120-2)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유형,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스피커(120-1, 120-2)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특정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가 제1 위치라는 것은 특정 오디오 소스가 스피커(120-1, 120-2)를 통해 그대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제2 위치는 스피커(120-1, 120-2)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300, 310)를 의미한다. 특정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가 제2 위치라는 것은 특정 오디오 소스가 스피커(120-1, 120-2)에서 제1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음상 위치를 생성 또는 제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위치는 스피커(120-1, 120-2)에서 제2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320, 330)를 의미한다. 특정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가 제3 위치라는 것은 특정 오디오 소스가 스피커(120-1, 120-2)에서 제2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음상 위치를 생성 또는 제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1 음상 위치이고,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2 음상 위치이고, 오디오 장면의 유형 중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는 그대로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음성 명료도 관점에서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1 음상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1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상 음상 위치를 생성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230-1) 제1 오디오 소스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가상 음상 위치를 생성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나 제1 오디오 소스에 대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 등을 수행하고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믹싱 엔지니어는 수평면 가운데를 기점으로 30도 부근에 스피커를 배치하고 악기 음 등으로 구성된 음악이 포함된 오디오 소스를 믹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2 음상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2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평면 방향으로 확장(230-2)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가 되도록 제2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포츠 경기에서 관중의 함성, 빗소리, 바람 소리 등과 같은 배경음은 다소 소리가 불분명해지더라도 크게 열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가상 음상에서 동시에 재생되면 현장감이 좋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복수의 위치(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복수의 위치(예로, 스피커(12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평면 방향으로 확장(230-2)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직면 방향으로 확장(230-3)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가 되도록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헬기 소리, 비행기 소리 등과 같이 공중에서 도출되는 소리가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경우, 스피커를 기준으로 위 방향에서 출력될 경우 현장감이 좋아질 수 있다. 따라서, 헬기 소리, 비행기 소리 등이 포함된 제4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3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4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4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를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직면 방향으로 확장(230-3)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가 되도록 제4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복수의 위치(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가 되도록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240)를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XTC(Cross-talk Cancellation) 기능 또는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수평면 방향 또는 수직면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XTC 기능 또는 HRTF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의 개수를 복수 개가 되도록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UI 상에는 XTC 기능 또는 HRTF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변경함에 따라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를 변경한다는 것은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평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정도를 변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위치를 변경한다는 것은 스피커(120)를 기준으로 수직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정도를 변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UI를 통해 상기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를 변경한다는 사용자 명령이 UI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위치를 조절하는 XTC 기능 또는 HRTF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AI 전용 프로세서인 GPU(graphics-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410). 전자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톱 박스, USB 플래스 드라이브 등)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AI 스피커, 마이크 등)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 획득할 수 있다(S420).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 상에서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440).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스피커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스피커에서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스피커에서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1 위치이고,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2 위치이고, 오디오 장면의 유형 중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복수의 가상 음상 위치(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비행기 소리, 헬기 소리 등 위쪽 방향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포함된 제4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제2 위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에서 제1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소스의 음상 위치가 제1 위치가 되도록 제1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복수의 음상 위치(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가 되도록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S460).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오디오 소스에 대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한 뒤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복수의 음상 위치(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가 되도록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을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하고, 획득된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스피커(120), 프로세서(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마이크(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디스플레이(180) 및 카메라(19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 스피커(120), 프로세서(130)는 도 1 및 도2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40)에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가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40)는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UWB(Ultra Wide-Band) 모듈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상이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BT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복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0) 또는 튜너 등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50)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 외부에 구비되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출력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와 비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를 별개의 포트로 포함하거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 컨텐츠(예로, 방송 컨텐츠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8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UI에는 가상 음상을 생성할 수 있는 XTC 기능 또는 HRTF 기능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변경함에 따라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9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며, 여기서 촬상 영상은 동영상과 정지 영상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카메라(19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카메라, 렌즈,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메모리 120: 스피커
130: 프로세서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스피커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상기 스피커에서 제1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상기 스피커에서 제2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2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을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제1 유형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된 유형의 오디오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식별된 음상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소스의 유형 또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매칭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상기 스피커에서 제1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위치 및 상기 스피커에서 제2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성이 포함된 제1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음악이 포함된 제2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2 위치이고,
    상기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배경음이 포함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는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오디오 소스에 대응되는 음상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3 오디오 소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된 제3 오디오 소스에 대해 스테레오 믹싱을 수행하여 최종 오디오 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의 유형 중 제1 유형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오디오 소스로 구성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160165A 2020-11-25 2020-11-25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7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65A KR20220072493A (ko) 2020-11-25 2020-11-25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1/014128 WO2022114516A1 (ko) 2020-11-25 2021-10-1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65A KR20220072493A (ko) 2020-11-25 2020-11-25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93A true KR20220072493A (ko) 2022-06-02

Family

ID=8175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165A KR20220072493A (ko) 2020-11-25 2020-11-25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2493A (ko)
WO (1) WO20221145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762B1 (ko) * 2023-03-29 2024-01-05 주식회사 디지소닉 생성형 ai 음원분리기술을 활용한 사운드 테라피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600A (ja) * 1993-12-27 1995-08-04 Toa Corp 音像移動装置
JPH09114479A (ja) * 1995-10-23 1997-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場再生装置
JP3683131B2 (ja) * 1998-07-24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信号制御装置とこれを有する再生装置
JP4713398B2 (ja) * 2006-05-15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その音像移動方法
JP4439579B1 (ja) * 2008-12-24 2010-03-24 株式会社東芝 音質補正装置、音質補正方法及び音質補正用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762B1 (ko) * 2023-03-29 2024-01-05 주식회사 디지소닉 생성형 ai 음원분리기술을 활용한 사운드 테라피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516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445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565542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4123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6127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319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14483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727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3299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246264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20061467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2022007249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6273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475091A (zh) 显示设备及其图像显示方法
KR202100091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733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7818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9062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202100495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10935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96039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with remote control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220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102582332B1 (ko) 전자 장치, 이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418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1890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94803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screen in posture optimized for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