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184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184A
KR20200078184A KR1020180167838A KR20180167838A KR20200078184A KR 20200078184 A KR20200078184 A KR 20200078184A KR 1020180167838 A KR1020180167838 A KR 1020180167838A KR 20180167838 A KR20180167838 A KR 20180167838A KR 20200078184 A KR20200078184 A KR 20200078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earing
electronic device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균
김수진
김탄
한경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184A/ko
Publication of KR2020007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되면,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운드 신호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청력 보완 기기는 소리를 입력 받아 가공하고 출력하는 일련의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청력 보완 기기는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일부 감쇄시켜주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력 보완 기기는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크기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소리의 크기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청력의 손실이 있는 난청인들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또한 청력 보완 기기는 전문가(청능사)를 만나 환자의 청력상태를 측정하고, 세부적인 피팅을 해주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청력 보완 기기의 높은 가격대로 인해 난청인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비율이 매우 낮으며, 전문가(청능사)를 만나 세부 피팅을 진행하는 과정도 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 출력 장치를 통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종류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자 장치, 사운드 입출력 기기 및 외부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와 측정 청력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 따른 사운드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피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 및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를 이미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서버 등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상술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10)에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사용자별 기준 청력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청력 검사에 따른 측정 청력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기준 청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준 청력 정보는 사용자 고유의 청력도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청력 정보는 전문기관에서 청능사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고유의 청력도를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 청력 정보가 전문기관에서 측정되었다고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고유 청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 장비의 하드웨어적 특성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측정 청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측정 청력 정보는 전문기관이 아닌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청력 검사의 결과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청력 정보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하드웨어적 특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면, 측정 청력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하드웨어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테스트 사운드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테스트 사운드를 청취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를 이용한 청력 검사에 따라 개인 고유의 청력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반영된 측정 청력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에 의해 획득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추후 다시 전자 장치(100)가 청력 보완 기능을 수행할 때,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청력 보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식 방식에 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모듈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수집(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련 동작은 도 11의 S1135 및 S1140 단계에서 후술한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특정 방식으로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 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되면,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스피커를 갖지만,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와 연결되는 경우,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통해서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주파수 응답 특성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관한 전달 특성의 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내는 특성일 수 있다. 그리고, 소리의 주파수 차이에 의한 음향 기기의 감도, 감쇠량, 흡음률 등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술한 기기마다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로 인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사운드 정보)를 특정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식이란 청력 보완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소리 크기의 증폭, 소리 크기의 감소, 노이즈 제거, 소리 진동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청력 보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청력 보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기준 청력 정보를 고려하여 청력 보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청력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 고유의 청력을 나타내는 청력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개인 고유의 청력만이 반영된 기준 청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선 특정 사운드 입출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따라 사운드 입출력 기기마다 사운드를 출력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기준 청력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기기 고유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거의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청력 정보(개인 고유의 청력도)는 전문기관에서 전문 인력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청력 정보는 사용자마다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기준 청력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또한, 메모리(110)에 저장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고유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마다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개별적으로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사운드 입출력 기기가 출시되거나,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경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바로 식별할 수 없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외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대용량 데이터 베이스일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새로운 사운드 입출력 기기들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운드 입출력 기기들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준 청력 정보 및 측정 청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청력 정보는 개인 고유의 청력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측정 청력 정보는 개인 고유의 청력도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반영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준 청력 정보 및 측정 청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산출 동작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한다. 기준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1 청력도에 대응될 수 있고 측정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2 청력도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 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운드 신호를 특정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동작은 보정, 변경, 변조, 증폭, 감쇄, 등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드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된 결과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으며, 개인의 청각 능력만이 반영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보정된 결과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 사운드 신호는 개인 고유의 청각 능력 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모두 반영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가 최종 사운드 정보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인의 청각 능력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특성이 모두 반영된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다. 만약,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 소리를 청취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원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청력 보완 기능을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 는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청력 정보는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의 개념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개인 고유의 청각 능력만이 반영된 정보이며, 사용자의 청력 정보는 기준 청력 정보 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모두 반영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청력 정보는 상술한 최종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따라 다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2명이라고 가정하면, 제1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와 제2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 청력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정보는 제1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정보는 제2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개인 각각의 기준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사용자 청력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전자 장치(100)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를 이용하고 및 제2 사용자가 제2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정보는 제1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와 제1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정보는 제2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 및 제2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 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게 청력 검사를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청력 검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 내지 도 13에서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준 청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에도 추가적으로 세부 피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부 피팅 동작은 사용자 개인의 청각 능력에 대응되도록 미세한 출력 변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130) 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한다.
한편, 메모리(110)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 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 사운드를 수신(수집)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처리된 사운드 신호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스피커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사운드는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에 수신(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가 내부적으로 포함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청능사를 통해 가능했던 청력 검사 및 세부 피팅 과정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력 보완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청능사를 만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히 청력 검사 및 세부 피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바로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소리 증폭, 소리 제거(노이즈 제거), 청력 검사, 세부 피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보다 고품질의 청력 보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비선형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WDRC(Wide Dynamic Range Compressor) 기술을 통해 실생활 소리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변경된 소리를 통해 편안한 사운드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외부 환경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영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청력 보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입력부(115), 통신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디스플레이(160)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의 동작 중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115)는 컨텐츠(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5)는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모듈, 또는 튜너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15)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모듈(121), 블루투스 모듈(122), 적외선 통신 모듈(123), 및 무선 통신 모듈(12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TV와 같인 전자 장치, set-top box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 외부 서버,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 블루투스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 조명 장치, 스마트 청소기, 스마트 냉장고와 같은 가전 기기, IOT 홈 매니저 등과 같은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21), 블루투스 모듈(12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121)이나 블루투스 모듈(12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123)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24)은 상술한 와이파이 모듈(121) 및 블루투스 모듈(122)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20)는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상이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BT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버스(135)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33)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내지 134-n)는 상술한 각종 구성 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 기능(비디오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HDMI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AV 기기용 고성능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DP는 1920x1080의 풀HD급은 물론, 2560x1100이나 3840x2110과 같은 초고해상도의 화면, 그리고 3D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디지털 음성 또한 전달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썬더볼트는 고속 데이터 전송 및 연결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며, PC, 디스플레이, 저장장치 등을 모두 하나의 포트로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와 비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를 별개의 포트로 포함하거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에 실시간 촬영 영상 및 실시간 대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6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컨텐츠(실시간 촬영 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마이크는 수신된 아날로그 사용자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종류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와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에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와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는 주변 사운드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사운드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특정 방식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은 특정 관계식에 기초하여 신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는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스피커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사운드 신호가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에서 전자 장치(100)로 전송되는 과정 및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가 유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1)로 전송되는 과정은 유선 통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는 주변 사운드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사운드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특정 방식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은 특정 관계식에 기초하여 신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는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스피커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사운드 신호가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에서 전자 장치(100)로 전송되는 과정 및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사운드 신호가 무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2)로 전송되는 과정은 무선 통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법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전자 장치, 사운드 입출력 기기 및 외부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데이터 서버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운드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전자 장치(100)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식별 정보(이어폰 종류, 이어폰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가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가 전송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제조사 및 모델명에 기초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보정, 변경, 강화)하고 처리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1000)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10000)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타입, 모델번호, 제조사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A 이어폰에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는 경우, A 이어폰에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외부 서버(100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A 이어폰에 대응되는 타입, 제조사, 모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10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1000)는 A 이어폰에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A 이어폰에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A 이어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와 측정 청력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문기관검사에서 측정한 청력도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력도가 상이할 수 있다. 청력도는 순음청력 역치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표일 수 있다. 청력도는 주파수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적인 사운드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정확히 출력해야 한다. 전문기관에서 검사할 때 이용하는 장비는 거의 이상적인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문기관에서 청력 검사를 받는 경우, 자신의 청각에 대한 청력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전문기관에서 수행하는 검사 장비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하면, 청력도는 사용자 고유의 청각 능력만이 반영된 그래프일 수 있다. 여기서, 청력 검사는 순음 청력 검사를 통해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측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 고유의 청각 능력만이 반영된 전문 기관에서 측정한 제1 청력도(5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사용자가 전문 기관에서 청력 검사를 받고, 도 5에서 도시하는 제1 청력도(510)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주파수에 따른 청력 레벨은 125Hz에서 10dBHL, 250Hz에서 10 dBHL, 500Hz에서 15 dBHL 에 해당한다. dBHL은 dB Hearing Level일 수 있다. 전문기관에서 청력 검사를 받은 사용자의 경우, 125 Hz에 대해서는 10 dBHL만큼 크게 출력해야 정상 크기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125 Hz에 대한 소리를 정상적인 사람들보다 10 dBHL만큼 낮게 인식함을 도 5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에게는 10 dBHL만큼 높게 소리를 출력해야 다른 정상적인 사람들과 비슷한 소리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500 Hz에 대한 소리는 15 dBHL만큼 크게 출력해야 제1 사용자가 다른 정상적인 사람들과 동일한 크기로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10 dBHL의 크기는 역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125 Hz 에 소리의 크기를 10 dBHL 이상으로 출력해야 제1 사용자가 소리를 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청력도(510)는 측정 방식, 개별 사용자 또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분석 및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상적인 장비로 청력 검사를 수행하고 개인의 청력 능력만이 반영된 제1 청력도(51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하드웨어 구성에 따른 다양한 이유에서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크기와 다른 크기로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운드 입출력 기기마다 고유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존재한다. 따라서, 주파수에 따라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문 기관이 아닌 전자 장치(100)를 통해 청력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청력 검사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청력 검사는 전자 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피커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획득한 청력도를 이어폰을 사용한 경우 획득된 제2 청력도(520)로 편의상 기재한다.
제1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에서 제공하는 청력 검사를 통해 제2 청력도(520)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어폰(사운드 입출력 기기)을 이용하여 획득된 제2 청력도(520)는 개인의 청각 능력 및 이어폰 자체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모두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를 위해 125 Hz에 대한 소리는 10 dBHL, 250 Hz에 대한 소리는 15 dBHL, 500 Hz에 대한 소리는 50 dBHL만큼 크게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이어폰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2 청력도(520)에 대응되는 크기를 반영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청력도(520)를 반영하여 소리를 출력해야 제1 사용자는 정상적인 사람들이 인식하는 소리와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1 청력도(510)와 제2 청력도(520)의 차이는 125Hz에서 0dBHL, 250Hz에서 +5dBHL, 500Hz에서 +5dBHL, 1000Hz에서 +10dBHL, 2000Hz에서 0dBHL, 4000Hz에서 -10dBHL, 8000Hz에서 +10dBHL만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청력도(510)와 제2 청력도(520)는 동일한 청력 검사 방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하지만, 청력 검사 방식이 동일해도 소리를 출력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가 상이하므로, 제1 청력도(510)와 제2 청력도(520)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1 청력도(510)는 전문기관에서 보유하는 성능이 좋은 장비를 이용한 검사 결과에 해당하며, 제2 청력도(520)는 제1 사용자의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이용한 검사 결과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력도(510)와 제2 청력도(520)의 차이는 제1 사용자의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한다.
도 6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 고유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dBFS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dBFS는 Decibels relative to full scale을 의미할 수 있다. 즉, dBFS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최대 출력이 0인 경우,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표현하기 위한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dBFS라는 의미는 최대 출력에서 -20dBFS만큼 작은 소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모든 주파수 영역에 대한 소리의 크기를 -20dBFS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20dBFS은 타겟 크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A에서 타겟 크기만큼 소리를 출력하는 경우 -20dBFS이 아닌 오차 범위내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이어폰 A의 경우 타겟 크기와의 차이가 125Hz 에서 0dBFS, 250Hz에서 -5dBFS, 500Hz에서 -5dBFS, 1000Hz에서 -10dBFS, 2000Hz에서 0dBFS, 4000Hz에서 +10dBFS, 8000Hz에서 -10dBFS만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이어폰 A 고유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이어폰 A의 경우 250 Hz에서 일반 타겟 크기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하려면 실제로 +5 dBFS만큼 큰 소리를 출력해야 될 수 있다.
도 6에 따른 그래프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상술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전자 장치(100)가 특정 dBHL 및 특정 dBFS의 크기만큼 더 크게(또는 더 작게) 출력하는 동작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제 구현 시 전자 장치(100)는 특정 dBHL 및 특정 dBFS를 이용한 피팅 공식을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도 5 및 도6에서 설명한 제1 청력도(510), 제2 청력도(520) 또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를 특정 공식(fitting formula)에 대입하여 소리에 대한 최종 출력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오디오 신호)만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 환경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다양한 사운드 신호에 대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와 학습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고, 사운드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전자 장치(100)가 어느 환경에 있는지 여부를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집, 거리, 또는 카페에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각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노이즈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검색 동작을 수행하고,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가 생활 노이즈, 비행기 노이즈, 지하철 노이즈, 공장 노이즈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노이즈의 종류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전자 장치(100)가 식별할 수 있는 노이즈의 종류를 한정한 것이 아니다. 여기서, 인공 지능을 이용하는 부분에 있어 전자 장치(100)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가속도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방향(위치)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기존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공 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뛰고 있는지, 걷고 있는지, 서 있는지, 앉아 있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GPS 정보와 장소 정보를 미리 메모리(110)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GPS 에서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GPS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어느 장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집, 거리, 카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의 사용자가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및 전자 장치(100) 의 사용자가 현재 어느 장소에 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노이즈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노이즈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오디오 신호 정보 또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노이즈 검색 동작 및 노이즈 종류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잡음이 없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 따른 사운드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 또는 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여 바람의 풍속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바람의 풍속을 임의의 임계 값으로 구분하여 바람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활동 및 바람의 풍속을 모두 고려하여 바람의 풍속을 미풍, 약풍, 중풍, 강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 복수의 센서 또는 GP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 및 바람의 풍속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의 크기가 클수록 마이크에 입력되는 노이즈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큰 활동일수록 바람에 따른 노이즈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바람의 종류를 결정하는 임계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달리기 활동을 하는 경우에 바람의 속도가 17ms 이라고 하면 전자 장치(100)는 바람이 중풍에 해당한다고 식별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자전거 활동을 하는 경우에 바람의 속도가 17ms 이라고 하면 전자 장치(100)는 바람이 약풍에 해당한다고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활동 및 바람의 종류에 대응되는 노이즈 감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걷기 활동을 하는 경우, 대화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줄일 수 있다(노이즈 제거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걷기 활동을 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강풍에 해당하는 노이즈만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전거 활동을 하는 경우, 대화가 존재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늘릴 수 있다(노이즈 제거 범위를 늘릴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전거 활동을 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미풍, 약풍, 중풍, 강풍에 해당하는 노이즈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바람의 종류를 구분하여 노이즈 제거 범위 또는 노이즈 제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고려하여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높은 품질의 노이즈 제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제거 서비스와 함께 사운드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피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맞는 세부 피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부 피팅 동작이란,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미세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세부 피팅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UI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세부 피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세부 피팅 동작을 위해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특정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청취하고 세부 피팅 동작을 위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피드백을 전자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사용자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조작 입력부(버튼)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자 장치(100)의 조작 입력부(버튼)를 통해 입력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이 전자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전송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결과를 수신하여 강화된 피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강화된 사운드 신호를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 및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 처리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구동)할 수 있다(S1005).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운드 신호 처리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10). 사용자 확인 동작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기본 청력도)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확인할 수 있다(S1015).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제조사 및 모델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에 사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02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S1030).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실행)할 수 있다(S11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기준 청력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110). 만약, 메모리(110)에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기준 청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15).
한편, 메모리(110)에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 가능하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120).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지 여부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질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질문에 응답하여 버튼(또는 터치 스크린)을 누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 사용자는 직접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125).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S1125) 에 의하여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15).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입력할 수 없다고 응답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11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청력 검사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175).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35).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요청 받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40). 여기서, 식별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제조사 및 모델 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식별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1135 및 S1140 단계를 통해 획득하는 것은 식별 정보이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14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100)가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식별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160). 만약, 전자 장치(100)가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15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UI에 제공되는 목록에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서버(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를 찾고, 해당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UI를 통해 특정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선택한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160). 한편, 사용자가 UI를 통해 특정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를 선택할 수 없다면(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가 UI목록에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1155). 그리고, S1155에 따른 청력 검사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55). 청력 검사를 통해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5에서 설명하였다.
한편, S1160 단계에 의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가 획득된 이후, 사운드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사운드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6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획득된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170). 또한, 전자 장치는 S1130에 따른 청력 검사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17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1170 단계 또는 S1175 단계에서 이루어진 사운드 신호 처리 동작에 대한 결과 데이터(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은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180).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S1115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1 청력도(51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S1130에 따른 청력 검사 결과 정보는 도 5의 제2 청력도(5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S1160에 따라 획득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도 6에서 개시하고 있는 A 이어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 그래프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적합한 사운드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S1170 단계와 S1175 단계는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S1170에 의한 처리 단계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각각 획득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S1175 에 의한 처리 단계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즉, S1170에 의한 처리 동작이 이루어 지기 위하여 메모리(110)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S1175에 의한 처리 동작은 청력 검사 결과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사용자가 한 명이 아닌 복수일 때, S1170에 의한 처리나 S1175에 의한 처리의 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각각의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였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새로운 이어폰인 B 이어폰을 전자 장치(100)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사용자가 먼저 B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력 보완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지만, B 이어폰에 대한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저장하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없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UI를 통해 B 이어폰을 선택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S1155 청력 검사를 통해 B 이어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B 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가 B 이어폰을 이용하면서 청력 보안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한다.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으며 B 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도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제1 사용자와 달리 별도의 청력 검사 없이 바로 사운드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S1175 단계의 처리 동작에서는 제2 사용자가 S1130에 따른 청력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 이는 제2 사용자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새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 청력 검사를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S1160 단계에 의하여 획득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최초의 사용자만이 청력 검사를 받고 추후의 사용자들은 청력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하나의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효과는 동일한 외부 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최초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통해 B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하면, 전자 장치(100)는 B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가 새로운 전자 장치(100-2)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새로운 전자 장치(100-2)는 외부 서버에서 B 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수신하여 새로운 전자 장치(100-2)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전자 장치(100-2)는 B 이어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B 이어폰을 사용하는 제2 사용자에게 청력 검사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1140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에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요청하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가 전자 장치(100)에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를 이미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도 11의 S1155에 따른 청력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1의 S1155 청력 검사는 S1115 단계에 의해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획득한 상태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S1155 청력 검사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가 이미 메모리(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1 청력도(5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이미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12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청력 검사의 결과로서 측정 청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10). 여기서, 측정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2 청력도(5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측정 청력 정보(제2 청력도, 520) 및 기본 청력 정보(제1 청력도, 510)에 기초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 및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220).
도 13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기본 청력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도 11의 S1130에 따른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S13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청력 검사의 결과로서 측정 청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310). 여기서, 측정 청력 정보는 도 5의 제2 청력도(5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측정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S1315). 여기서, 도 13에 따른 청력 검사는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모르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알맞은 사운드 신호 처리 동작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도 12에 따른 청력 검사 또는 도 13에 따른 청력 검사는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 12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지만, 도 13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도 12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도 12에 따른 청력 검사 결과(측정 청력 정보)에서 사용자 정보(기본 청력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 정보(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구비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1405).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저장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2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S1410).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S1415).
여기서,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 저장된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사운드 입출력 기기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S1410)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S1410)는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100)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100)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통신 인터페이스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통신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는,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를 가지는 외부 기기에서 측정된 청력 정보인,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측정 청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포함된 각 주파수 별 청력 레벨을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의 주파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청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각 주파수 신호에 대한 출력 크기를 보정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청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된 사운드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액티비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소음 정보 또는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청력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저장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준 청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출력 기기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167838A 2018-12-21 2018-12-2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8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38A KR20200078184A (ko) 2018-12-21 2018-12-2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38A KR20200078184A (ko) 2018-12-21 2018-12-2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184A true KR20200078184A (ko) 2020-07-01

Family

ID=7160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38A KR20200078184A (ko) 2018-12-21 2018-12-2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1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222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74116B2 (en) 2020-11-16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222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74116B2 (en) 2020-11-16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89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악 컨텐츠 시각화 방법
KR20200037687A (ko) 복수의 음성 인식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75033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4123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15760B2 (en) Audio out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727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3299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296322A1 (en) Method of selec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20007818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0796A1 (e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an equalizer setting according to a user age, sound playback device, and equalizer adjustment method
US10148242B2 (en)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100191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7582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6779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tion from low power always listening mode to high power speech recognition mode
US109922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232357B1 (ko)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이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KR102608680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81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10011637A (ko)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07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KR2020008611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52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82665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75781A (ko) 오디오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38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