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984A -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984A
KR20220071984A KR1020200157322A KR20200157322A KR20220071984A KR 20220071984 A KR20220071984 A KR 20220071984A KR 1020200157322 A KR1020200157322 A KR 1020200157322A KR 20200157322 A KR20200157322 A KR 20200157322A KR 20220071984 A KR20220071984 A KR 20220071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user
flying distance
golf club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0015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1984A/ko
Publication of KR2022007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984A/ko
Priority to KR1020230029562A priority patent/KR20230040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5Golf club selection aids informing player of his average or expected shot distance for each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DNIG GOLF CLUB}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하여 이를 골프 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실외 골프장에서의 골프뿐만 아니라, 가상 골프 장치 등을 이용하여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도, 야외의 골프장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높다.
골프는 홀컵에 골프공을 넣을 때까지의 타격횟수로 승부를 가르는 스포츠이며, 골프 플레이에서는 골프공이나 홀컵 등과 관련한 여러가지 정보가 승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예를 들면,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나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의 비거리 등의 정보는 골프 플레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야외의 골프장에서 하는 실제 골프와 비교했을 때, 스크린 골프는 여러 가지 첨단 장치들과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되는 특성상 실제 골프장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플레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단순히 플레이 정보를 보여주는 수준에서 벗어나서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디테일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하여 이를 골프 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하여 이를 골프 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하여 이를 골프 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사용될 골프 클럽을 추천할 수 있는 골프클럽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연습모드에서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스스로 입력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및 사용자가 연습모드에서 타격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각각에 있어서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타격용 골프클럽으로 자동으로 추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복수이고,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제1 및 제2 골프클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과 상기 제2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각각 별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으로부터 상기 제2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가상 골프 장치 및 상기 가상 골프 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 장치 또는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추천 방법은 복수의 골프클럽 각각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골프코스에 있어서 현재 골프공의 위치를 체크하는 체크 단계, 및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 결과와 상기 체크 단계에서 체크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타격용 골프클럽으로 추천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골프클럽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프코스 및 골프공은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이거나 또는 실제의 골프코스 및 실제의 골프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에 따르면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하여 이를 골프 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의 주요 구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다양한 비거리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비거리 설정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비거리 설정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추천 방법이 실제 골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의 주요 구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플레이트(HP; Hitting Plate), 감지부(10), 입력부(20), 제어부(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HP)는 사용자가 골프공(GB)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영역으로, 타격 플레이트(HP)에는 타격 매트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타격 매트에 골프공(GB)을 놓고 타격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타격 매트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 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GB)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1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기타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한 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 입력부(20)가 사용된다. 또한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에도 입력부(20)가 사용된다.
감지부(10) 및 입력부(20)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는 제어부(30)에 전달된다. 제어부(30)는 전달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가상 골프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대하여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정보가 전달되면, 제어부(30)는 감지된 상태대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비행궤적을 산출한다. 또한 입력부(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플레이하고자 하는 특정 골프코스를 입력하면, 제어부(30)는 해당 골프코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작동한다.
제어부(30)에서 골프공의 비행궤적을 산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골프코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작동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골프코스에서 골프공이 산출된 비행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영상이 표시부(4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영상 속의 골프공은 실제 골프공은 아니기 때문에, 편의상 이를 가상의 골프공(Virtual Ball)이라 명명한다. 또한 골프공뿐만 아니라 영상 속에 나타나는 대상물을 실제의 대상물과 혼동하지 않도록, 필요한 경우에 영상 속의 골프공 이외의 다른 대상물에 대해서도 '가상' 또는 '가상의'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속에 표현되는 골프코스를 가상의 골프코스라고 명명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0)는 빔프로젝터(41)와 스크린(42)을 포함한다. 빔프로젝터(41)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스크린(42)에 투사하며, 상기 투사된 영상은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가상 골프 장치는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되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때에 가상 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동작한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10)에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속도나 이동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1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30)에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실제의 실외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했다고 가정했을 때에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낼 것인지를 산출한다. 표시부(40)에서는 상기 산출된 궤적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며, 이때에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42) 속 가상의 골프코스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넥스트 타격을 이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경우의 비거리를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1)와 사용자의 기록 등 여러가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B가 있고 이들이 모두 골프 클럽 C1, C2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비거리 설정부(1)에는 사용자 A가 골프클럽 C1을 사용할 때의 비거리, 사용자 A가 골프클럽 C2를 사용할 때의 비거리, 사용자 B가 골프클럽 C1을 사용할 때의 비거리, 사용자 B가 골프클럽 C2를 사용할 때의 비거리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비거리 정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에는 사용자별 개인 신상정보나 플레이 기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후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데, 저장부(2)의 사용자 개인 신상정보는 상기 로그인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2)에 있어서 사용자 플레이 기록 정보는 사용자에게 과거 플레이에 대한 참고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사용자의 비거리 설정에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저장부(2)에는 제어부(20)의 골프공 궤적 산출과정이나 표시부(40)에서 가상의 골프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등에 필요한 여러가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비거리 설정부(1)와 저장부(2)는 제어부(30)와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비거리 설정부(1)와 저장부(2)는 제어부(30)가 구현되어 있는 컴퓨터 기기에 설치되어 제어부(30)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비거리 설정부(1)에서 사용자의 골프 클럽별 비거리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비거리 설정부(1)에서 설정되는 사용자의 골프 클럽별 비거리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하는 사용자의 당일 컨디션을 반영하거나 또는 과거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을 반영하여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다양한 비거리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사용자는 실전 플레이에 앞서서 '연습모드'에서 연습타격을 실시한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복수의 사용자는 팀을 구성하여 복수의 홀(주로 9홀 또는 18홀)을 공략하기 위한 플레이를 하여 승패를 겨루게 된다. 여기에서 팀을 구성하여 홀 공략 플레이를 하는 것을 실전 플레이라 할 수 있고, 실전 플레이에 앞서서 코스 공략과 상관없이 몸을 풀기 위해서 몇 번의 타격을 하는 것을 연습타격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습타격에서의 타격결과는 비거리 설정을 위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습모드에서의 타격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부(20)를 통하여 비거리 설정부(1)에 스스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있고 사용자 A가 연습모드에서 특정 골프 클럽으로 수 회 내지는 수십 회 타격을 했다고 가정한다. 상기 특정 골프 클럽에 의한 타격을 드라이버샷이라고 하면, 사용자 A가 연습모드에서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220m로 나온 경우에 사용자 A는 특정 골프 클럽(드라이버)에 대한 비거리를 '220m'라고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연습모드에서의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여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또는 연습모드의 결과를 참조하되 자신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가령, 5회의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각각 220m, 210m, 220m, 230m, 220m 였다면, 사용자 A는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를 5회의 평균값인 220m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5회 중 210m 비거리가 되었을 때의 스윙이 자신의 통상적인 스윙에 가까와서 실전 모드라면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210m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A는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를 210m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비거리 설정값을 220m와 같이 하나의 수치로 입력하지 대신에 소정의 범위(218m ~ 222m)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정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는 당일 실전에 앞서 연습모드에서 한 타격결과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이는 당일 실전에서 해당 골프 클럽으로 타격했을 때에 나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비거리가 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기록에 근거한 비거리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사용자 A의 드라이버샷의 평균 비거리가 220m이고, 연습 모드에서 사용자 A가 드라이버로 타격한 결과 드라이버샷의 평균 비거리가 210m, 220m, 230m 인 3가지 다른 경우를 가정한다. 연습 모드에서의 드라이버샷 비거리가 220m인 경우는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하고자 하는 당일 컨디션이 평소의 실력과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연습 모드에서의 타격 결과를 반영하여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를 220m라고 설정하는 경우, 이는 평소와 차이가 없는 당일 컨디션대로 비거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연습 모드에서의 드라이버샷 비거리가 210m인 경우는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하고자 하는 당일 컨디션이 평소의 실력 보다 좋지 않음을 나타내고, 연습 모드에서의 드라이버샷 비거리가 230m인 경우는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하고자 하는 당일 컨디션이 평소의 실력 보다 좋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연습 모드에서의 타격 결과를 반영하여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를 210m 또는 230m라고 설정하는 경우, 이는 평소보다 나쁜 또는 좋은 당일 컨디션을 반영하여 비거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연습 모드에서는 드라이버샷뿐만 아니라 아이언 등 다른 골프 클럽에 대한 타격 연습을 할 수 있고, 상기 다른 골프 클럽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연습모드에서의 타격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부(20)를 통하여 비거리 설정부(1)에 스스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비거리 설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더라도 제어부(30)는 연습모드에서의 사용자의 타격 결과를 체크하여 이를 근거로 사용자의 특정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자동으로 비거리 설정부(1)에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타격 후에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산출하기 때문에, 연습 모드에서 사용자의 타격 결과도 제어부(3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연습 모드에서의 사용자 타격 결과를 스스로 체크하여 자동으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5회의 드라이버샷을 하였고, 상기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각각 220m, 210m, 220m, 230m, 220m 였다면, 제어부는 사용자 A의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를 5회의 평균값인 220m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습 모드에서는 드라이버샷뿐만 아니라 아이언 등 다른 골프 클럽에 대한 타격 연습을 할 수 있고, 상기 다른 골프 클럽에 대해서도 제어부(30)는 연습모드에서의 타격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습모드에서 타격을 하지 않고 곧바로 실전에서 플레이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연습모드에서의 타격 결과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등에 있어서 비거리 설정은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에 대해서 저장부(2)에 드라이버샷의 평균 비거리가 220m이라고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 A의 드라이버샷에 대한 비거리는 220m라고 설정될 수 있다. 드라이버샷뿐만 아니라 아이언 등 다른 골프 클럽에 대해서도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 저장부(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저장부(2)의 기록은 연습모드에서의 타격결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본 방식에 따라 설정된 비거리값에는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사용자의 당일 컨디션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도 4(d)를 참조하면, 비거리 설정은 제어부(30)에 의하여 연습모드에서의 사용자의 타격 결과을 반영하여 설정되는 부분(설명의 편의상, '제1 부분'이라 명명)과 저장부(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을 반영하여 설정되는 부분(설명의 편의상, '제2 부분'이라 명명)을 결합하여 설정될 수 있다(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 상기 제1 부분은 사용자의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당일 컨디션에 따른 비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제2 부분은 과거 플레이 기록이 누적된 결과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평소 실력에 따른 평균적인 비거리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은 모두 사용자가 실제 플레이할 때의 비거리를 예측하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을 결합하여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있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반영비율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영비율이 1대1이라고 하면, 제1 부분에 따른 비거리가 200m이고 제2 부분에 따른 비거리가 220m라고 할 때에 최종적으로 비거리는 210m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실전 플레이에서의 결과는 당일 컨디션이 크게 좌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반영비율에서 제1 부분이 더 많이 반영되도록 할 수 있고, 당일 컨디션 보다 사용자의 평소 실력이 더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반영비율에서 제2 부분이 더 많이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부분의 반영비율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에 있어서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반영비율이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사용자라도 어떠한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당일 컨디션이 크게 영항을 미치거나 작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동일 사용자에 대해서도 골프 클럽에 따라 상기 결합에 있어서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반영비율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비거리 설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여 설정되는 부분과 저장부(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을 반영하여 설정되는 부분을 결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 또한 여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여러가지 방식이 적용되어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 한 가지 골프 클럽에 대해 비거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복수의 골프 클럽에 대해 비거리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제1 골프클럽(C1), 제2 골프클럽(C2), 제3 골프클럽(C3), 제4 골프클럽(C4) 등이 있다고 할 때에, 연습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골프클럽(C1, C2, C3, C4) 각각에 대하여 연습 타격을 하고 연습 타격의 결과에 근거하여 각각 제1 비거리(L1), 제2 비거리(L2), 제3 비거리(L3), 제4 비거리(L4)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연습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골프클럽(C1, C2, C3, C4) 중 어느 하나(가령 제1 골프 클럽(C1))에 대하여 연습 타격을 하고 연습 타격의 결과에 근거하여 제1 골프 클럽(C1)에 대한 제1 비거리(L1)를 설정한다. 나머지 제2 내지 제4 골프클럽(C2, C3, C4)에 대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습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클럽간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골프 클럽(C1)이 3번 우드이고 제2 골프 클럽(C2)은 5번 우드라고 가정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5번 우드의 비거리가 3번 우드의 비거리에 비하여 10% 정도 적게 나온다면, 제2 비거리(L2)는 제1 비거리(L1)로부터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L2 = L1 × 0.9
여기에서 0.9를 골프 클럽간 비거리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계수라고 하고, 제1 골프클럽(C1)과 제2 골프클럽(C2) 사이의 계수를 α1, 제1 골프클럽(C1)과 제3 골프클럽(C3) 사이의 계수를 α2, 제1 골프클럽(C1)과 제4 골프클럽(C4) 사이의 계수를 α3 라고 하면, 제2 비거리(L2), 제3 비거리(L3), 제4 비거리(L4)의 설정값은 제1 비거리(L1)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L2 = L1 × α1
L3 = L1 × α2
L4 = L1 × α3
여기에서 연습 타격을 하지 않은 골프 클럽의 비거리를 연습 타격을 한 골프 클럽의 비거리에 관련 계수를 곱하는 간단한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고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최대한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며 실제로는 복수의 계수를 이용한 복잡한 수식을 적용하여 연습 타격을 하지 않은 골프 클럽의 비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연습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골프클럽(C1, C2, C3, C4) 중 일부(가령 제1 골프 클럽(C1)과 제3 골프 클럽(C3))에 대하여 연습 타격을 하고 연습 타격의 결과에 근거하여 제1 및 제3 골프 클럽(C1, C3)에 대한 제1 및 제3 비거리(L1, L3)를 설정한다. 나머지 제2 및 제4 골프클럽(C2, C4)에 대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습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클럽간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앞에서는 하나의 골프 클럽에 대한 타격 결과에 근거하여 나머지 타격 하지 않은 모든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계산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골프 클럽에 대한 타격 결과에 근거하여 나머지 타격 하지 않은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계산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종류의 골프 클럽에 대해서 비거리를 설정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골프 클럽(C1, C2)이 우드이고 제3 및 제4 골프 클럽(C3, C4)이 아이언이라면, 제1 골프 클럽(C1)의 타격 결과로부터 같은 종류인 제2 골프 클럽(C2)의 비거리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제1 골프 클럽(C1)의 타격 결과로부터 다른 종류인 제3 및 제4 골프 클럽(C3, C4)의 비거리를 계산할 때에는 계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도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가능한 배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골프 클럽(C1)이 3번 우드이고 제2 골프 클럽(C2)은 5번 우드라고 가정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5번 우드의 비거리가 3번 우드의 비거리에 비하여 10% 정도 적게 나온다면, 제2 비거리(L2)는 제1 비거리(L1)로부터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L2 = L1 × 0.9 (일반식으로는 L2 = L1 × α 로 표현 가능)
또한 제3 골프 클럽(C3)이 2번 아이언이고 제4 골프 클럽(C4)은 6번 아이언이라 가정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6번 아이언의 비거리가 2번 아이언의 비거리에 비하여 20% 정도 적게 나온다면, 제4 비거리(L4)는 제3 비거리(L3)로부터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L4 = L3 × 0.8 (일반식으로는 L4 = L3 × β 로 표현 가능)
여기에서 연습 타격을 하지 않은 골프 클럽의 비거리를 연습 타격을 한 골프 클럽의 비거리에 관련 계수를 곱하는 간단한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고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최대한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며 실제로는 복수의 계수를 이용한 복잡한 수식을 적용하여 연습 타격을 하지 않은 골프 클럽의 비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골프 클럽에 대해 비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가 설정되면 이는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실전 플레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비거리 설정결과를 활용하는 몇 가지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비거리 설정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거리를 설정한 것은 실전 플레이에서 사용자에게 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과정은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S11, S12, S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S11)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한다.
제2 단계(S12)에서는 실전 플레이 모드하에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는 상황에서 자신이 사용할 골프 클럽을 선택한다. 선택 과정은 입력부(20)를 통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타격에 사용할 골프 클럽을 들고 타격 플레이트(HP)에 들어서면, 감지부(10)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골프 클럽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타격에 어떠한 골프 클럽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처해 있는 플레이 상황으로부터 어떠한 골프 클럽을 사용할 것인지를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티샷의 상황에 있다면 골프 클럽으로서 드라이버를 사용하게 되고, 사용자가 퍼팅의 상황에 있다면 골프 클럽으로서 퍼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선택과정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타격에 어떠한 골프 클럽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만약 골프 클럽의 선택 단계가 생략되고 또한 사용자가 어떠한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기에 설명하는 제3 단계(S13)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골프 클럽에 대해서 각각의 비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3 단계(S13)에서는 선택한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게 되는 경우의 비거리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제1 골프 클럽(C1)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2)에는 설정된 비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골프 클럽(C1)을 사용하는 경우의 비거리가 표시된다. 상기 비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 현재 사용자가 타격할 가상의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위치를 시점(始點)으로하는 화살표를 표현하여 제1 골프 클럽(C1)으로 타격하는 경우의 비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살표의 길이는 제1 골프 클럽(C1)의 비거리에 비례하도록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화살표의 방향은 가상의 골프공(VB)의 위치에서 목표지점인 홀컵(HC)을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골프 클럽(C1)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 골프 클럽(C1)의 비거리 설정값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VB)의 최종 착지위치(도 9의 화살표의 종점(終點)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착지위치가 적당하다고 판단되면(가령 착지위치가 홀컵(HC)과 근접하여 있다면 착지위치가 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골프 클럽(C1)으로 타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착지위치가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면(가령 착지위치가 벙커라면 착지위치가 부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골프 클럽(C1) 대신에 다른 골프 클럽을 선택하여 상기 다른 골프 클럽에 따른 비거리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상기 다른 골프 클럽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VB)의 착지위치가 적당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이용하여 타격하고, 상기 다른 골프 클럽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VB)의 착지위치가 부적당하다고 판단되면 또 다른 골프 클럽을 선택하여 비거리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 클럽의 비거리는 실전 플레이를 하기 전에 연습 모드 등을 통하여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당일 사용자의 컨디션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42)에 제공되는 비거리 및 이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VB)의 착지위치는 사용자의 당일 컨디션에 따라 평소보다 비거리가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올 수 있는 디테일한 사항까지 고려한 매우 정확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비거리 설정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비거리를 설정한 것은 실전 플레이에서 사용자에게 골프클럽을 추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과정은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S21, S22, S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S21)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설정한다.
제2 단계(S22)에서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을 체크한다. 여기서 골프공을 체크한다는 것은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가상의 골프공(VB)이 처해 있는 상황을 확인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공(VB)의 위치를 체크하여 가상의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지형이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 중에서 어떠한 속성을 갖는 지형인지, 가상의 골프공(VB)이 목표지점인 홀컵(HC)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제3 단계(S23)에서는 골프공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복수의 골프 클럽 중에서 현재의 타격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골프 클럽을 추천한다. 이러한 추천 과정은 제어부(30) 또는 비거리 설정부(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거리 설정부(1)에 제1 골프 클럽(C1)과 제2 골프 클럽(C2)의 비거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현재 가상의 골프공(VB)의 위치에서 제1 골프 클럽(C1)으로 타격하는 경우에 비거리 설정부(1)에 설정된 비거리가 100m이고, 현재 가상의 골프공(VB)의 위치에서 제2 골프 클럽(C2)으로 타격하는 경우에 비거리 설정부(1)에 설정된 비거리가 60m라면, 제1 골프 클럽(C1)을 타격용 골프 클럽으로 사용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골프 클럽을 추천할 때에는 무조건 비거리가 많이 나오는 골프 클럽만을 우선적으로 추천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다른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예를 들면, 제1 골프 클럽(C1)이 제2 골프 클럽(C2)에 비하여 비거리가 더 나오지만, 제1 골프 클럽(C1)에 의한 착지지점이 벙커이고 제2 골프 클럽(C2)에 의한 착지지점이 페어웨이라면, 넥스트 타격에 있어서 페어웨이가 벙커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비거리가 짧더라도 제2 골프 클럽(C2)을 추천할 수 있다.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것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스크린(42)에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의 하단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골프 클럽(C1, C2)을 사용한 경우의 타격 예측 결과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상기 타격 예측 결과를 보고 스스로 적합한 골프 클럽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디가 스크린(42)에 나타나서 "제1 골프 클럽(C1)을 추천합니다"와 같은 멘트를 음성 및/또는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골프 클럽의 추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단계에서 추천되는 골프 클럽은 실전 플레이를 하기 전에 연습 모드 등을 통하여 설정된 비거리에 근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당일 사용자의 컨디션을 반영함으로써 당일 컨디션에 따라 평소보다 비거리가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올 수 있는 디테일한 사항까지 고려한 매우 정확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비거리를 설정하고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 상기 다른 장치 및 시스템의 몇가지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복수의 연습 부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각 연습 부스(101, 102, 1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연습 부스(101)는 타격 플레이트(1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101b), 스크린(101c) 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연습 부스(102, 1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연습 부스(101, 102, 103)에는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주로 혼자서 골프를 플레이하거나 골프 연습을 하기 위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연습 부스(101, 102, 103)에서 혼자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에도 앞에서 설명한 비거리를 설정한 후 실전 타격에 앞서 비거리 정보를 표시하거나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동작이 적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비거리 설정부(1)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혼자서 어느 하나의 연습 부스(101)에서 플레이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실전에 앞서 연습모드에서 여러가지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타격 연습을 하고 이를 근거로 각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가 비거리 설정부(1)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습모드를 끝내고 특정 골프코스에 대한 9홀 또는 18홀 등의 실전모드 플레이를 하면, 이때에 골프 클럽별로 설정되어 있는 비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타격 전에 특정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 경우의 비거리 정보(해당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는 경우에 골프공의 예상 착지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현재 타격에 가장 적합한 골프 클럽을 추천하여 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정보는 스크린(301a) 및 키오스크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200) 및 서버유닛(SU)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200)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도 1 등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린 골프장(200)에 구비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서버유닛(SU)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스크린 골프장(200)은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의 역할을 한다. 서버유닛(SU)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200)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200)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SU)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유닛(SU)에는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DB)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신상정보 및/또는 각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 정보를 저장한다.
각 스크린 골프장(200)의 가상 골프 장치에도 앞에서 설명한 비거리를 설정한 후 실전 타격에 앞서서 비거리 정보를 표시하거나 골프 클럽을 추천하는 동작이 적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비거리 설정부(1)가 구비된다(도 13에 비거리 설정부(1)가 서버유닛(SU)에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비거리 설정부(1)는 각 스크린 골프장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들은 실전에 앞서 연습모드에서 여러가지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타격 연습을 하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별로 각 골프 클럽에 대한 비거리가 비거리 설정부(1)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연습모드를 끝내고 특정 골프코스에 대한 9홀 또는 18홀 등의 실전모드 플레이를 하면, 이때에 골프 클럽별로 설정되어 있는 비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각 사용자의 타격 전에 특정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 경우의 비거리 정보(해당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는 경우에 골프공의 예상 착지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현재 타격에 가장 적합한 골프 클럽을 추천하여 제시할 수 있다. 본 가상 골프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거리 설정부(1)가 서버유닛(SU)을 경유하여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2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서버유닛(SU)에 연결되어 있는 개개의 스크린 골프장(2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와 비거리 설정부(1)의 정보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고, 개개의 스크린 골프장(200)마다 비거리 설정부(1)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추천 방법이 실제 골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300), 서버유닛(SU), 데이터베이스(DB), 비거리 설정부(1)를 통하여 실제 야외의 골프장에서 골프를 플레이 하고 있는 골퍼에게 타격 전에 비거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골프 클럽을 추천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300)로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골퍼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골퍼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골프공 근처에 위치하므로, 골퍼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300)를 사용하면 모바일 기기(300)의 위치로부터 타격용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골퍼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파악한 골프공의 위치를 대입함으로써, 골프코스에 있어서의 골프공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유닛(SU) 접속되며, 서버유닛(SU)에는 사용자의 골프 클럽별 비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비거리 설정부(1) 및, 사용자 개인의 신상이나 플레이 기록 정보와 골프코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된다. 골프코스에 있어서의 골프공의 위치가 파악되면, 비거리 설정부(1)의 정보(사용자에 대해서 골프 클럽별로 설정되어 있는 비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골퍼에게 타격 전에 비거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골프 클럽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골프와 같은 가상의 골프 플레이뿐만 아니라 실제의 골프에서도 사용자의 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비거리 설정부
10: 감지부
20: 입력부
30: 제어부
40: 표시부
SU: 서버유닛

Claims (11)

  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가상 골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연습모드에서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스스로 입력하여 설정되는 가상 골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및 사용자가 연습모드에서 타격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가상 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각각에 있어서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타격용 골프클럽으로 자동으로 추천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복수이고,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 골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은 제1 및 제2 골프클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과 상기 제2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각각 별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제1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으로부터 상기 제2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이 계산되는 가상 골프 장치.
  8. 가상 골프 장치; 및
    상기 가상 골프 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 장치 또는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비거리 설정부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에 대한 비거리값은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
  10. 복수의 골프클럽 각각에 대한 비거리값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골프코스에 있어서 현재 골프공의 위치를 체크하는 체크 단계; 및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 결과와 상기 체크 단계에서 체크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타격 전에 상기 복수의 골프클럽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타격용 골프클럽으로 추천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클럽 추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코스 및 골프공은,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이거나 또는 실제의 골프코스 및 실제의 골프공인 골프클럽 추천 방법.
KR1020200157322A 2020-11-23 2020-11-23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KR20220071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2A KR20220071984A (ko) 2020-11-23 2020-11-23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KR1020230029562A KR20230040319A (ko) 2020-11-23 2023-03-06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2A KR20220071984A (ko) 2020-11-23 2020-11-23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562A Division KR20230040319A (ko) 2020-11-23 2023-03-06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984A true KR20220071984A (ko) 2022-06-02

Family

ID=819853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22A KR20220071984A (ko) 2020-11-23 2020-11-23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클럽 추천 방법
KR1020230029562A KR20230040319A (ko) 2020-11-23 2023-03-06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562A KR20230040319A (ko) 2020-11-23 2023-03-06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71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490B1 (en) * 2021-01-12 2023-12-26 Topgolf Callaway Brands Corp.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lub fit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490B1 (en) * 2021-01-12 2023-12-26 Topgolf Callaway Brands Corp.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lub fi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19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598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230040319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10116804A (ko)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100785707B1 (ko)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
KR2023005833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30033222A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US20230173371A1 (en) Virtual golf device
KR102442476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378555B1 (ko)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664956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
KR102280404B1 (ko) 비거리를 조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JP2023157001A (ja) ユーザのコンディションを示す仮想ゴルフ装置
KR20240035784A (ko) 플레이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258214B1 (ko)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30001037A (ko) 가상의 캐릭터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JP2023157002A (ja) ゴルフコースを評価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20240037407A (ko) 사용자의 플레이를 평가하는 가상 골프 장치, 사용자의 플레이를 평가하는 방법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40057491A (ko) 골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30132003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40037404A (ko)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시스템
KR20230132002A (ko) 퍼팅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