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582A -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582A
KR20220071582A KR1020200158884A KR20200158884A KR20220071582A KR 20220071582 A KR20220071582 A KR 20220071582A KR 1020200158884 A KR1020200158884 A KR 1020200158884A KR 20200158884 A KR20200158884 A KR 20200158884A KR 20220071582 A KR20220071582 A KR 2022007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optical fiber
vasodilator
presen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835B1 (ko
Inventor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이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용 filed Critical 이경용
Priority to KR102020015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8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61B17/12195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comprising a cur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404Blood vessels other than those in or around the he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escription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Catheter for treating varicose veins}
본 발명은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지정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혈관 폐쇄술 방법에 있어서 근래 사용되어온 RF 방식 또는 클라리베인과 레이저 그리고 베나실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최근 개발된 혈관경화제와 레이저 광섬유와 카테터를 사용한 정맥혈관 폐쇄술의 시술방법 중 한 분야에 해당하는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정맥류 시술 방법에 있어서 하지정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혈관 폐쇄술 방법에 있어서 근래 사용되어온 RF 방식 또는 클라리베인과 레이저 그리고 베나실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혈관경화제와 레이저 광섬유와 풍선형 카테터를 사용한 시술 방법으로 시술의 불편함을 줄이고 시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지정맥류 수술에 있어 레이저 장치를 이용한 것과 동시에 혈관경화제 등을 이용하여 하지정맥류를 시술하는 방법을 동시에 수행함에 있어서, 기 등록된 특허는 루멘이 이중으로 되어 있고 상단부에 풍선이 부풀어지는 카테터를 사용한 시술방법으로서, 한쪽 루멘으로는 레이저 광섬유가 들어가며 다른 한쪽 루멘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중 루멘과 풍선으로 구성된 카테터는 시술 하기 불편함과 비용이 비싸므로 이를 개선하여 풍선이 없고 한개의 루멘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루멘을 통하여 레이저 광섬유와 약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하며 비용이 저렴한 방식의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한 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64471호 "열발생용 광섬유,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은 광섬유로 레이저 빔을 혈관에 조사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레이저 빔 자체가 에너지원으로 직접 혈액이나 혈관에 에너지를 주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레이저 빔을 직접 혈관 내부에 조사하지 않고 열만 발생시킴으로써, 미리 설정된 일정한 온도를 혈관 내부에 유지시켜서 과도한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 빔에 의한 부작용을 제거하며 고주파와 동일한 시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발생용 광섬유,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열발생용 광섬유를 활용하면서도 하지정맥류 수술에 있어 레이저 장치를 이용한 것과 동시에 혈관경화제 등을 이용하여 하지정맥류를 시술함으로써, 한 개의 튜브 구조의 카테터를 사용하여 광섬유와 결합하고 내부의 루멘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의 카테터는 카테터에 부착되어 있는 3-way 허브를 통하여 혈관 경화제를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고 광섬유를 루멘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동시에 루멘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내부로 전달하는 매우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64471호 "열발생용 광섬유,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18-0002328호 "혈관에 사용되는 레이저 광섬유, 그리고 이의 제어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66536호 "의료용 카테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지정맥류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혈관 경화제와 레이저광섬유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통하여 시술 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터는 이중 구조의 원통형 루멘을 가지고 있고 그 상단부 끝에는 풍선이 부풀어 나올수 있는 홈을 가진 이중 구조의 카테터가 있어서 한쪽 루멘에는 레이저 광섬유를 통과시켜주며 다른 루멘은 혈관 경화제를 통과시켜줄 수 있는 이중 구조와 상단부 끝에 풍선이 부풀려질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 것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한 개의 카테터를 사용하고 풍선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서 이중 구조의 카테터 방식을 개선 하고자 하도록 하기 위한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는,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를 사용하여 혈관경화제와 레이저 광섬유(151)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시술에 있어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는 끝부분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곳에 360°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내어 혈관경화제가 혈관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카테터(120) 뒷 부분에는 혈관경화제를 투입하는 3-way 허브(130)가 연결되어 있고, 3-way 허브(130)가 연결된 카테터(120)의 뒤쪽 끝부분에는 혈관경화제가 뒤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해 주는 중앙에 작은 홈이 나있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360°방향의 홈은, 선단부(110)에서부터 뒤로 0.1mm부터 80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카테터(120) 내부의 직경은 0.3mm부터 5mm 직경으로 형성되며, 360° 방향으로 나있는 홈의 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질 수 있고 홈의 방향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홈의 크기는 0.01mm부터 3mm 까지의 크기를 사용하고 카테터 상에서 선단부 끝단에서 뒤로 1cm 마다 검은 색 마커가 80cm까지 마킹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20)는, 10cm 내지 200cm 길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는, 한 개의 튜브 구조의 카테터를 사용하여 광섬유와 결합하고 내부의 루멘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의 카테터는 카테터에 부착되어 있는 3-way 허브를 통하여 혈관 경화제를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고 광섬유를 루멘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동시에 루멘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내부로 전달하는 매우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는, 본 출원인의 이전 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66536호 "의료용 카테터 장치"에서 제공하는 풍선형 카테터에 비하여 풍선형 카테타가 필요하지 않고 풍선을 부풀리는 절차가 없어 간편하고 또한 저렴한 카테터를 사용할수 있으므로 환자의 비용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매우 편리하며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 중 로커(140), 내장 실리콘 마개(141), 조임 장치(142)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 중 로커(140), 내장 실리콘 마개(141), 조임 장치(142)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는 선단부(110), 원통형 튜브 단면에 해당하는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 테터(120), 3-way 허브(130), 로커(140), 내장 실리콘 마개(141), 조임 장치(142), 광섬유 연결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120)는 원통형으로 된 일자형 튜브에 해당하며, 3-way 허브(130)는 카테터(120) 중 선단부(110)의 반대 끝단에 형성된 로커(140)의 측면에 연결된 형태로, 3개의 밸브에 대한 외부 제어장치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폐쇄 및 개방에 따라 개방시 로커(140)와 연결된 하나의 주입로 외에 나머지 2개의 주입로로 1액형 또는 2액형, 그 밖의 복합제로 사용되는 혈관경화제를 포함하는 주사액 등을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카테터(120)의 길이는 10cm 내지 200cm 길이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cm 내지 120cm이며, 혈관경화제를 주입하는 허브 연결 튜브(131)에 달린 밸브는 상술한 3-way 뿐만 아니라, 1way, 4way,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를 사용하되, 카테터(120)의 전단에 형성된 선단부(110)에는 끝단부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곳에 360°방향으로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 홈을 내어 혈관경화제가 혈관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카테터(120)의 뒷 부분에는 혈관경화제를 투입하는 3-way 허브(130)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3-way 허브(130)가 연결된 카테터(120)의 뒤쪽 끝부분에는 혈관경화제가 뒤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 해주는 중앙에 작은 홈이 나 있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360°방향의 홈은, 선단부(1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0.1mm부터 80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카테터(120) 내부의 직경은 0.3mm부터 5mm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홈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질 수 있고 홈의 방향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홈의 크기는 0.01mm부터 3mm까지의 크기를 사용하고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서 뒤로 카테터(120) 상에서 1cm 마다 검은 색 마커가 80cm까지 마킹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카테터(120)와 레이저 광섬유(151)는 동시에 움직이면서 정맥 혈관을 빠져나오면서 시술을 하게 되는데 이때 광섬유(151)와 카테터(120)를 결합시켜 주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며 이 고정 장치로서 로커(140)를 사용하여 광섬유(151)와 카테터(120)를 결합시켜줄 수 있다.
로커(140)는 전단부(140a)에는 카테터(120)와 연결될 수 있는 나사형태의 홈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측부로는 3-way 허브(130)의 연장관(31)과 연결가능한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140b)는 광섬유 연결장치(150)로부터 제공된 광섬유를 고정시킬수 있는 조임 장치(14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부(140b) 상에서 조임 장치(142)는 광섬유 연결장치(150)의 광섬유(151)를 용수철과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즉, 실리콘 마개(141) 뒤에 플라스틱 또는 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광섬유(151)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가진 조임 장치(142)가 있고 조임 장치(142)의 외부로는 로커(140)의 뒤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로커캡(140c)에 의해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이 로커캡(140a)은 나사형태로 되어 있어 앞쪽의 로커(140)의 중간부(140b)와 맞물리는 구조로, 로커캡(140a)을 회전 시키면 로커캡(140a)의 내주면이 중간부(140b)의 외주면으로 암수 결합으로 돌면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기구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로커캡(140a)이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면 중간의 플라스틱 조임 기구(142)가 앞으로 전진 하면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을 압박하게 되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조임 기구(142) 중 광섬유 연결장치(150)로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십자형으로 벌어진 원뿔형태의 구조물이 내장 실리콘 마개(141)에 의해 압박되어 십자형태의 벌어진 구조물이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중심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탄성력으로 조임 기구(142)를 통과하는 광섬유(151)를 꽉 조여주게 되어 카테터(120)와 광섬유(151)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로커(140)에 의해 카테터(120)와 광섬유(151)는 동시에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또 한편으로서 광섬유(151) 앞에 부착 가능한 유리관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에 밀착되어 빈틈을 없게하여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끝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막고, 카테터(120)의 선단부(130) 아래 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광섬유(151)의 유리관이 카테터(120) 앞쪽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경우에는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끝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내부로 주입 시켜줄 수도 있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20)와 레이저 광섬유(151)를 결합시키는 장치인 로커(140)는 광섬유(15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며, 로커(140)의 앞쪽에 위치하여 카테터(120)와 맞물리는 전단부(140a)는 중앙에 광섬유(151)가 들어가는 통로 홈을 가지고 있고, 통로 홈의 내측에는 나사산을 가지고 있어 카테터(120)가 회전하면서 결합이 될 수 있으며 전단부(140a)의 뒷 부분에 형성된 중간부(140b)는 로커캡(140c)와 맞물리게 외측으로 나사산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전단부(140a)의 중앙 홈인 통로 홈의 크기는 0.1mm 내지 5mm를 사용 할 수 있고 바깥 원통 크기는 1mm 내지 10mm까지 시용할수 있다.
로커(140) 내부의 내장 실리콘 마개(141)는 광섬유(151)가 통과할 수 있는 0.01mm 내지 3mm 홈을 가지고 있고 외경은 4mm 내지 10mm까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는 0.1mm 내지 2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후단에 위치하는 조임 장치(142)는 뒤부분에는 십자형의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중심에는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하며, 재릴로 플라스틱이 좋으나 비철 또는 철,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수 있고, 크기에 있어 외경은 로커(140)의 중간부(140b) 내부에 들어갈수 있는 크기로 0.5mm 내지 30mm를 사용할 수 있고 길이는 1mm 내지 50mm의 것을 사용하며, 중앙의 홈은 0.1mm 내지 2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커(140)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로커캡(140c)은 중앙에 볼록형태의 돌출부가 있고 돌출부에는 광섬유가 들어갈수 있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바깥 원통부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어 로커(140)의 중간부(140b)와 암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로커캡(140c)의 돌출부는 조임 장치(142)를 뒤에서 밀어주면 조임 장치(142)의 뒤쪽 십자형태로 벌어진 원뿔의 뾰족한 부분이 돌출부의 오목한 부분에 끼이면서 벌어진 홈이 중심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면서 중심에 있는 광섬유(151)를 조여서 꽉 잡아주어 로커(120)와 카테터(120), 광섬유(15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로커캡(140c)의 외경은 5mm 내지 30mm를 사용할수 있고 길이는 10mm 내지 50mm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부 길이는 1mm 내지 30mm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부의 외경은 1mm 내지 10mm 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광섬유(151)가 내장 실리콘 마개(141)를 통해 카테터(120) 영역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는 카테터(120)와 광섬유(151)가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여 광섬유(151)가 빡빡하게 들어갈 수 있는 작은 홈을 가지고 있어, 3-way 허브(130)를 통하여 투입된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 뒤쪽의 광섬유(151) 방향으로 흘러 나오지 못하게 차단 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151)가 내장 실리콘 마개(141)를 통해 카테터(120) 영역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광섬유(151) 앞쪽에 위치한 유리관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로 들어가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꽉 끼여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빈틈이 없게 하여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시켜서 선단부(110) 뒤쪽에 나있는 홈을 통하여 혈관 내부로 주입되게 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광섬유(151)의 앞쪽에 위치한 유리관이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앞쪽에서 멀리 위치하여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 홈이 개방되면, 개방된 홈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 내부로 주입되게 할 수 도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110 : 선단부
120 : 카테터
130 : 3-way 허브
140 : 로커
141 : 내장 실리콘 마개
142 : 조임 장치
150 : 광섬유 연결장치

Claims (3)

  1.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를 사용하여 혈관경화제와 레이저 광섬유(151)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시술에 있어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는 끝부분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곳에 360°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내어 혈관경화제가 혈관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카테터(120) 뒷 부분에는 혈관경화제를 투입하는 3-way 허브(130)가 연결되어 있고, 3-way 허브(130)가 연결된 카테터(120)의 뒤쪽 끝부분에는 혈관경화제가 뒤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해 주는 중앙에 작은 홈이 나있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360°방향의 홈은,
    선단부(110)에서부터 뒤로 0.1mm부터 80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카테터(120) 내부의 직경은 0.3mm부터 5mm 직경으로 형성되며,
    360° 방향으로 나있는 홈의 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질 수 있고 홈의 방향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홈의 크기는 0.01mm부터 3mm 까지의 크기를 사용하고 카테터 상에서 선단부 끝단에서 뒤로 1cm 마다 검은 색 마커가 80cm까지 마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테터(120)는,
    10cm 내지 200cm 길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KR1020200158884A 2020-11-24 2020-11-24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KR10251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84A KR102516835B1 (ko) 2020-11-24 2020-11-24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84A KR102516835B1 (ko) 2020-11-24 2020-11-24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582A true KR20220071582A (ko) 2022-05-31
KR102516835B1 KR102516835B1 (ko) 2023-03-30

Family

ID=8177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884A KR102516835B1 (ko) 2020-11-24 2020-11-24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307A1 (ko)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688Y1 (ko) * 2004-02-09 2004-05-17 이진명 하지정맥류 레이저 수술시 레이저화이버 유치용 카테터세트
KR20180002328U (ko) 2017-01-23 2018-08-01 난 왕 수면 보조 장치
KR101927843B1 (ko) * 2017-03-29 2018-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맥 카테터 조립체
KR102124576B1 (ko) * 2020-03-30 2020-06-18 주식회사 사군자 혈관용 3way 카테터 장치
KR20200106267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약물 주입용 안전 캡
KR20200111026A (ko) *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KR20210144520A (ko) * 2020-05-22 2021-11-30 박용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688Y1 (ko) * 2004-02-09 2004-05-17 이진명 하지정맥류 레이저 수술시 레이저화이버 유치용 카테터세트
KR20180002328U (ko) 2017-01-23 2018-08-01 난 왕 수면 보조 장치
KR101927843B1 (ko) * 2017-03-29 2018-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맥 카테터 조립체
KR20200106267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약물 주입용 안전 캡
KR20200111026A (ko) *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KR102124576B1 (ko) * 2020-03-30 2020-06-18 주식회사 사군자 혈관용 3way 카테터 장치
KR20210144520A (ko) * 2020-05-22 2021-11-30 박용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의 사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307A1 (ko)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835B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394A (en) Apparatus for blocking a vein branch and method of blocking a vein branch
US6179828B1 (en) Infusion system with fixed occluding wire
ES2120453T3 (es) Sistema de aplicacion de laser.
KR20220071582A (ko)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US11504510B2 (en) Dilatable balloon catheter
TWI644645B (zh) 埋線刺入器
JP4180915B2 (ja) Pegゾンデ用アダプタ
KR20200042169A (ko) 경막외 카테터
WO2006121754A3 (en) Device capable of delivery of highly soluble pharmaceutical dose forms into body spaces
KR101982450B1 (ko)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JP4847774B2 (ja) 内視鏡
KR102262287B1 (ko) 마이크로 니들 장치
ATE339985T1 (de) Katheter mit punktionssensor
CN109009346B (zh) 一种零切口静脉曲张治疗装置
JPH11347131A (ja) カテーテルイントロデューサ
JP2008161237A (ja) 薬剤塗布チューブ
ES2696273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varices tronculares y/o colaterales
KR102402816B1 (ko) 카테터
CN203468564U (zh) 内镜及内镜用激光光导纤维保护套
CN213252031U (zh) 一种静脉曲张穿刺针
JPH08150215A (ja) 薬剤投与用処置具
JP2002017865A (ja) 血管挿入用カニューレ
WO2016161612A1 (en) Novel medical endoscope suture line loop
KR20100101308A (ko) 카테터
JP2003088589A (ja) 体内留置用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