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414A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414A
KR20220071414A KR1020200158488A KR20200158488A KR20220071414A KR 20220071414 A KR20220071414 A KR 20220071414A KR 1020200158488 A KR1020200158488 A KR 1020200158488A KR 20200158488 A KR20200158488 A KR 20200158488A KR 20220071414 A KR20220071414 A KR 2022007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protrusion
adsorption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033B1 (ko
Inventor
강소영
Original Assignee
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영 filed Critical 강소영
Priority to KR102020015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033B1/ko
Priority to PCT/KR2021/016967 priority patent/WO2022114668A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당겨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거치대{HOLDER}
본 발명은 흡착식의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거치대는 고정물에 고정되고 거치대상을 거치하는 도구다. 거치대는 고정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흡착, 파지 및 자성 방식으로 구분된다. 파지식의 거치대는 봉 형상의 고정물에 사용되고, 자성식의 거치대는 평면 형상과 금속 성질을 갖는 고정물에 사용되며, 흡착식은 금속이나 비금속에 상관이 없이 평면 형상의 고정물에 사용된다.
종래의 흡착식의 거치대는 흡착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흡착패드를 탈착하기 위한 납작한 형태의 탈착탭을 포함한다. 종래의 가압수단은 흡착패드의 중심을 가압하여 흡착패드와 고정물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레버식과 회전식으로 구분된다. 특허문헌 1은 파지식의 거치대이고, 특허문헌 2는 레버식과 흡착식의 거치대이며, 특허문헌 3은 회전식과 흡착식의 거치대이다.
종래에는 거치대가 특정환경에서 고정되어 사용된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고정물로부터 흡착패드가 떨어지지 않도록 흡착패드의 표면성질 또는 가압수단의 가압성능을 개량하는 기술에만 연구를 하였고, 고정물로부터 흡착패드가 탈착되는 탈착 기술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목적으로 이동성의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고, 종래의 탈착탭 기반의 거치대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환경에서의 거치대에 관하여>
종래에는 한 손을 거치대상을 잡는 용도로 사용하면 다른 한 손으로만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두 손으로 작업을 하기 위하여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안전을 위하여 장갑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주부는 주방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샤워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보수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안전장갑을 착용하고, 시야확보용 조명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작업자는 작업면적에 대응하여 거치대를 옮길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부는 욕조벽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욕조 주변을 청소하고, 타일벽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변기 주변을 청소한다. 그러나 작업자는 탈착탭이 없는 거치대를 사용할 때 거치대의 흡착력에 의해 탈착을 위한 강한 힘이 요구되고, 탈착탭이 있는 거치대를 사용할 때 장갑에 의해 탈착탭을 잡기가 어려워 장갑을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는 장갑을 다시 착용할 때 장갑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갈 위험이 발생한다. 또한 손톱이 짧은 작업자는 탈착탭을 잡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거치대에 관하여>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하여 영상을 보거나 사진을 찍기 위하여 가정, 학교, 식당 또는 카페 등 다양한 환경에서 거치대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거치대를 떼어 챙겨가며, 또 다른 환경에서 거치대를 재사용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식당에서 부모가 편안한 식사를 하면서 아이가 편히 쉴 수 있도록 평평한 탁자나 유리창에 동영상 재생용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에는 카페에서 학생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공부 또는 촬영을 위해 평평한 탁자나 유리창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작업환경의 거치대와 마찬가지로 탈착탭이 매우 얇고 작아 손톱으로 잡기가 매우 어렵다.
<레버식과 회전식의 거치대에 관하여>
작업효율 또는 신속한 이동을 위하여 거치대의 탈착은 쉽고 빠르게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레버식은 부착을 위해 레버를 하방으로 누르는 강한 힘이 요구되고, 탈착을 위해 레버를 상방으로 올리는 더 강한 힘이 요구되며, 완전한 탈착을 위해 탈착탭을 사용하므로, 많은 시간과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식의 거치대는 탈부착을 위해 가압수단의 회전이 필요하므로, 레버식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기성품의 거치대에 관하여>
종래에는 고정물에 종류에 대응하여 거치대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파지식 또는 자성식의 거치대에 대한 기성품만 보유할 때 평평하고 자성이 없는 고정물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기성품과 결합이 가능한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거치대의 제품포장 또는 분실에 관하여>
흡착식의 거치대의 필수 구성은 흡착패드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흡착패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착패드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고, 부가적으로 거치 기능을 포함하거나 거치부와 결합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흡착패드와 돌출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일체형 거치대를 제공하였으나, 돌출부로 인해 제품의 포장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일체형 거치대를 가방에 넣고 다닐 때 돌출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흡착패드와 돌출부가 분리된 분리형 거치대를 제공하여 제품의 포장크기를 감소시켰으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분리형 거치대의 일부 구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거치대의 안전에 관하여>
종래에는 탈부착형 거치대를 고정식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욕실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샤워기 탈부착형 거치대는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해 딱딱한 금속이나 비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욕조나 벽면에 고정되어 발샤워, 애완동물 샤워 또는 어린아이 샤워에 사용되며, 사용 후에도 그대로 놔두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딱딱한 거치대에 의해 애완동물이나 어린아이가 부닥쳐 다치는 위험이 존재한다.
한국실용신안등록특허 제20-0468795호 한국실용신안공개특허 제20-2009-000862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63058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당겨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결부와 연결되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몸체부,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및 몸체부에 눌려 흡착부의 중심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성된 흡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흡착부와 몸체부를 연결하여 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립부 또는 가압부를 몸체부보다 물리적 강도가 낮은 물질로 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당겨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일단은 흡착부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를 하우징하여 몸체부의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220) 및 상기 몸체부가 하우징부의 안쪽으로 당겨지면 몸체부에 의해 눌려 흡착부의 중심을 가압하는 가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당겨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손톱에 상관이 없이 적은 힘으로 쉽게 거치대의 탈착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속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신속한 이동을 보장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장갑을 벗을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거치대의 포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 구성의 분실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돌출부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기존 기성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와 연결되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몸체부,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및 몸체부에 눌려 흡착부의 중심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성된 흡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레버식과 회전식에 비해 적은 힘으로 거치대의 탈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립부를 하우징부의 반대방향으로 밀 때 가압부의 압착이 해제되고, 동시에 연결부가 흡착부를 끌어 당김이 발생함으로써, 원터치로 거치대의 탈착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속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딱딱한 몸체부가 흡착부와 그립부 사이에 지탱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립부 또는 가압부를 몸체부보다 물리적 강도가 낮은 물질로 사용하여 애완동물이나 어린아이가 거치대에 부닥쳐도 다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활용한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거치대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평면도이다. 거치대(10)는 흡착부(100), 돌출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흡착부(100)는 고정물에 흡착된다. 고정물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물질이다. 흡착부(100)는 비금속의 합성수지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볼록면의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200)는 흡착부(100)의 상부에 돌출되고,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이다. 돌출부(200)는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홀(201) 등 거치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거치 기능을 가진 구성과 결합할 수 있으며, 둥근 형상을 가져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한다. 거치대(10)는 연결부(300)가 돌출부(200) 쪽으로 당겨지면 고정물과 흡착부(1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연결부(300)는 흡착부(1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연결되고, 돌출부(200)의 상부측에 인접하여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탄성을 갖거나 휘어짐이 가능한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연결부(300)는 와이어 형상의 합성수지이다. 연결부(300)는 압출 성형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할 수 있고, 벨크로, 단추 또는 링 방식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물은 평면 또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착부(100)는 상부에 곡면으로 휘어지기 위한 곡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수단은 봉 형상의 고정물에 흡착부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벨크로 또는 단추 등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활용한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파이프(20)는 하나 또는 한 쌍의 거치대(10)와 결합이 가능하다. 파이프(20)에는 다양한 거치대상을 직접적으로 걸을 수 있고, 파지걸이수단을 통하여 거치대상을 걸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의 고정물에 거치대(10)를 부착할 수 있고, 다른 위치의 고정물에 거치대(10)를 부착하기 원할 때 연결부(300)를 눌러 기존 고정물에 부착된 거치대(10)를 탈착시킬 수 있다.
거치대(10)는 바닥의 테이블과 같은 고정물에 부착될 경우 부착방향의 제한이 없지만, 벽멱과 같은 고정물에 부착될 경우 연결부(300)를 벽면의 하부쪽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부(200)의 일단은 흡착부(100)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300)를 통하여 흡착부(100)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흡착부(100)는 상부에 슬라이드 걸림홈(101)이 형성되고, 돌출부(200)는 하부에 슬라이드 돌출부(20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걸림홈(101)과 슬라이드 돌출부(202) 간 결합 또는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걸림홈(101)을 돌출부(200)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고, 슬라이드 돌출부(202)을 흡착부(10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끼움방식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100)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300)를 통하여 흡착부(10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200)를 포함하는 거치대(10)를 제공함으로써, 거치대(10)의 포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 구성의 분실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거치대(1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슬라이드 걸림홈(101)과 슬라이드 돌출홈(202)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흡착부(1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고, 한 쌍의 돌출부(2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거치대(10)를 조밀하게 포장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파이프(20)는 조밀한 포장을 위하여 다단파이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부(200)는 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00)는 흡착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돌출부(200a), 그립을 위한 제2 돌출부(200b) 및 거치를 위한 제3 돌출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돌출부(200)는 샤워기 또는 조명을 거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100)의 면적은 거치대상의 무게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무게가 크지 않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거치대를 사용하면 된다.
거치대상의 무게가 매우 크다면 흡착부(100)의 면적은 커질 수 밖에 없고, 사용자가 돌출부(200)를 가압하여 흡착부(100) 중심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흡착부(100) 중심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거치대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부(200)는 몸체부(210), 하우징부(220) 및 가압부(23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연결부(300)와 연결되고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하우징부(220)는 몸체부(210)의 일부를 하우징하여 몸체부(210)의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한다. 가압부(230)는 흡착부(100) 중심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우징부(22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부(210)가 하우징부(220)의 안쪽으로 당겨지면 몸체부(210)에 의해 눌려 흡착부(100)의 중심을 가압한다. 가압부(230)는 몸체부(210)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흡착부(100)의 중심을 가압하여 흡착부(100) 중심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고, 흡착부(100)의 흡착특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하우징부(220)는 연결부(300)의 이동을 위하여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고, 몸체부(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의 끝단에 단턱면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하우징부(220)와 가압부(230)에 끼워지고, 단턱면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200)는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그립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부(220)는 상부에 몸체부(210)와 그립부(240)의 연결통로를 위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40)는 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립부(240)를 통하여 쉽게 몸체부(21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거치대(10)의 탈부착시킬 수 있다. 연결부(300)는 흡착부(100)와 몸체부(210)를 연결하여 탈착시 몸체부(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립부(240)를 하우징부(220)의 반대방향으로 밀 때 가압부(230)의 압착이 해제되고, 동시에 연결부(300)가 흡착부(100)를 끌어 당김이 발생함으로써, 원터치로 거치대(10)의 탈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평면도이다. 그립부(240)는 그립기능 이외에도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의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평면도이다. 그립부(240)는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의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부(220)의 일측에 돌출된 몸체부(210)를 밀어 고정물에 거치대(10)를 부착시킬 수 있고, 하우징부(2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에 돌출된 몸체부(210)를 밀어 고정물로부터 거치대(10)를 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샤워기, 조명, 마이크, 키친타올, 휴지, 마스크 또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거치대상의 형상에 맞게 돌출부(20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10: 거치대 20: 파이프
100: 흡착부 101: 슬라이드 걸림홈
200: 돌출부 200a: 제1 돌출부
200b: 제2 돌출부 200c: 제3 돌출부
201: 거치홀 202: 슬라이드 돌출부
210: 몸체부 220: 하우징부
230: 가압부 240: 그립부
300: 연결부

Claims (4)

  1.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당겨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은 흡착부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를 하우징하여 몸체부의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220) 및
    상기 몸체부가 하우징부의 안쪽으로 당겨지면 몸체부에 의해 눌려 흡착부의 중심을 가압하는 가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KR1020200158488A 2020-11-24 2020-11-24 거치대 KR10252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488A KR102520033B1 (ko) 2020-11-24 2020-11-24 거치대
PCT/KR2021/016967 WO2022114668A1 (ko) 2020-11-24 2021-11-18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488A KR102520033B1 (ko) 2020-11-24 2020-11-24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14A true KR20220071414A (ko) 2022-05-31
KR102520033B1 KR102520033B1 (ko) 2023-04-10

Family

ID=8175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488A KR102520033B1 (ko) 2020-11-24 2020-11-24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0033B1 (ko)
WO (1) WO202211466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42A (ja) * 1995-09-18 1997-08-12 Setsu Akiyama 吸盤の離脱方法
KR20040092273A (ko) * 2003-04-25 2004-11-03 최용철 부착식 더블클립
KR20090008620U (ko) 2008-02-22 2009-08-26 최현아 거치대
KR101063058B1 (ko) 2010-10-28 2011-09-07 박민식 거치 대 용 기밀 부착 패드
KR20120076983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물품 거치대 및 이를 위한 홀더
KR200468795Y1 (ko)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195A (ja) * 1995-11-28 1997-08-12 Setsu Akiyama 簡単に離脱できる吸盤による保持方法
JP2004324855A (ja) * 2003-04-28 2004-11-18 Kazunari Arimitsu 吸着盤
JP2006292159A (ja) * 2005-04-12 2006-10-26 Yoshinobu Shishido 特定方向からの力により剥離できる吸盤の構造
JP2007303664A (ja) * 2006-05-08 2007-11-22 Yuuko Furuno 吸盤革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42A (ja) * 1995-09-18 1997-08-12 Setsu Akiyama 吸盤の離脱方法
KR20040092273A (ko) * 2003-04-25 2004-11-03 최용철 부착식 더블클립
KR20090008620U (ko) 2008-02-22 2009-08-26 최현아 거치대
KR101063058B1 (ko) 2010-10-28 2011-09-07 박민식 거치 대 용 기밀 부착 패드
KR20120076983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물품 거치대 및 이를 위한 홀더
KR200468795Y1 (ko)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668A1 (ko) 2022-06-02
KR102520033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9758A3 (en) Vacuum cleaner
WO2016134189A1 (en) Multi-appendage device for holding, gripping, or suspending an object
KR20220071414A (ko) 거치대
CN202251382U (zh) 吸盘
KR101378947B1 (ko)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CN203892346U (zh) 扣式吸盘挂钩
CN103115063B (zh) 一种吸盘
CN205686984U (zh) 一种新型多功能办公用品搬运把手
JP5897665B1 (ja) 吸盤
CN210019530U (zh) 一种镊子
JP4203886B2 (ja) 浴室用椅子
CN215124929U (zh) 一种无螺丝磁吸活动装配钥匙扣
CN104771301A (zh) 一种身体护理装置
CN203647671U (zh) 一种身体护理装置
CN204993536U (zh) 一种新型的手机指环扣支架
CN203647670U (zh) 一种身体护理装置
JP2006061653A (ja) 吸盤構造
CN204336564U (zh) 一种脚垫
CN214148265U (zh) 一种绿色环保的空气净化装置
CN220655527U (zh) 一种带便捷挂放置架的掸子
CN214711103U (zh) 一种方便携带的组合式化妆刷
CN210539564U (zh) 理发柜
CN208910044U (zh) 手持式吸尘器系统
CN211618494U (zh) 一种建筑工程中用的配件携带盒
JP3162350U (ja) 迅速分解装置直接係合定位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