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668A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668A1
WO2022114668A1 PCT/KR2021/016967 KR2021016967W WO2022114668A1 WO 2022114668 A1 WO2022114668 A1 WO 2022114668A1 KR 2021016967 W KR2021016967 W KR 2021016967W WO 2022114668 A1 WO2022114668 A1 WO 20221146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adle
protrusion
adsorption
holder
adsor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9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소영
Original Assignee
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영 filed Critical 강소영
Publication of WO20221146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6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sorption-type cradle.
  • a cradle is a tool that is fixed to a fixture and mounts a cradle.
  • the cradle is divided into adsorption, gripping and magnetic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fixture.
  • the gripping type holder is used for rod-shaped fixtures
  • the magnetic type holder is used for the flat-shaped and metallic fixtures
  • the adsorption type is used for flat-shaped fixtures regardless of metal or non-metal.
  • the conventional adsorption cradle includes a press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adsorption pad and a flat desorption tab for detaching the adsorption pad.
  • the cradle when using one hand to hold a cradle, the cradle is used in order to work with two hands, since it is necessary to work with only the other hand.
  • workers use gloves for safety.
  • a housewife wears rubber gloves to clean the kitchen and uses a cradle to mount the shower.
  • the repairman wears safety gloves for maintenance and uses a lighting cradle to secure visibility.
  • the operator needs to move the cradle according to the working area. For example, a housewife attaches a holder to the bathtub wall to clean the area around the bathtub, and attaches a holder to the tile wall to clean around the toilet.
  • a housewife attaches a holder to the bathtub wall to clean the area around the bathtub, and attaches a holder to the tile wall to clean around the toilet.
  • strong force for detachment is required due to the adsorption force of the cradle, and when using a cradle with a detachable tab,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detachable tab with gloves, which causes the inconvenience of taking off the gloves. do.
  • cradle People use the cradle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ome, school, restaurant, or cafe to view videos or take pictures through their smartphones, remove the cradle after use, and reuse the cradle in another environment.
  • a holder for fixing a smartphone for video playback on a flat table or a glass window is used so that a child can rest comfortably while a parent has a comfortable meal in a restaurant.
  • a student in a cafe uses a cradle for fixing the smartphone to a flat table or a glass window for studying or shooting through a smartphone.
  • the detachable tab is very thin and small, so it is very difficult to hold it with a fingernail.
  •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adsorption type cradle include a suction pad and a protrusion.
  •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pad and used to press the suction pad,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mounting function or be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 the packaging size of the product has been reduced by providing a detachable holder in which the suction pad and the protrusion are separated.
  • the conventional detachable shower head holder used in the bathroom is made of a hard metal or non-metal material to improve fixing power, and is fixed to a bathtub or wall and used for a foot shower, pet shower, or child shower, even after use. Sometimes it is left as it is.
  • a pet or a child may be injured by a hard cradle.
  • the detachable cradl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omes, restaurants, and cafes, and the adsorption performance may be reduced due to the presence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on the adsorption pad, and may be washed using clean water to restore the adsorption performance. In addition, in order to restore the adsorption function, natural drying of the cleaned detachable cradle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capable of separating the adsorption unit from the fixture whe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adsorption unit and the protrusion is pressed toward the protru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having one end detachable from the adsorption unit and the other end including a protrusion for maintaining connection with the adsorption unit through the connec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f mounting a cradle target, coupling with the cradle, and coupling with a holder capable of gripping.
  •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includes: an adsorption unit 100 that is adsorbed to a fix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sion 20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unit and a connection unit 300 connecting the adsorption unit and the protrusion, so that when the connecting unit is pressed toward the protrusion, the fixture and the adsorption unit can be separated.
  • One end of the protrus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part, and the other e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the connection with the adsorption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capable of separating a fixture and an adsorption part by pull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adsorption part and the protrus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detachment of the cradle with little force regardless of the nails, and to ensure quick movement of various user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by ensuring rapid movemen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efficiency of the worke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take off the work glov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having one end detachable from the adsorption unit and the other end including a protrusion that maintains a connection with the adsorption uni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reby reducing the packaging size of the cradle and reducing the risk of loss of each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through the protrusion, and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protrusion by providing a cradle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f a holder and a coupling capable of holding the cradle, coupling with the cradle, and gripping the cradle. It can be us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cannot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function through the connection part to allow the wet cradle to be easily dried naturally, and the cradle whose adsorption performance is restored can be reused for a long ti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e using the cradle of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older 10 includes an adsorption unit 100 , a protrusion 200 , and a connection unit 300 .
  • the adsorption unit 100 is adsorbed to the fixture.
  • the fixture may be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 the adsorption unit 100 is made of a non-metal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convex shape.
  • the protrusion 200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unit 100 and is made of a metal or a non-metal material. As shown in FIG. 1, the protrusion 20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function such as a holding hole 201, may be combined with a configuration having a mounting function, and may be combined with a holder capable of gripping due to its round shape. ,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 connection part 300 connects the adsorption part 100 and the protrusion part 200 .
  • the connection part 300 is pulled toward the protrusion 200 ,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xture and the adsorption part 100 .
  • the meaning that the connector 300 is pulled toward the protrusion 200 means that the connector 300 is pressed toward the protrusion 200 by pressing the connector 300 with a finger.
  • connection part 300 is connect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adsorption part 100 , and is connected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part 200 .
  • the connection part 300 is made of a metal or non-metal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or is bendable.
  • the connection part 300 is a wire-shaped synthetic resin.
  • the connection part 300 can connect the adsorption part 100 and the protrusion 200 by extrusion molding, and can connect the adsorption part 100 and the protrusion 200 with Velcro, a button, or a ring method, and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xture may have a flat or rod shape.
  • the adsorption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surface means (not shown) for bending in a curved surface on the upper portion.
  • the curved means is a means for attaching the adsorption unit to the rod-shaped fixture, and may be various means such as Velcro or a butt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e using the holder of FIG. 1 , wherein the pipe 20 can be coupled to one or a pair of the holder 10 .
  • Various mounting objects can be directly hung on the pipe 20, and the mounting objects can be hung through the holding means.
  • the user can attach the cradle 10 to a fixture at a desired location, and when you want to attach the cradle 10 to a fixture at a different location, press the connector 300 to detach the cradle 10 attached to the existing fixture. have.
  • connection part 300 When the cradle 10 is attached to a fixture such as a table on the floor,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direction of attachment, but when attached to a fixture such as a byeokmyeok, the connection part 300 should be position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wall.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end of the protrusion 200 is detachable from the adsorption unit 100 , and the other end is the adsorption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300 . maintain a connection with
  • the adsorption unit 100 has a slide locking groove 101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slide protrusion 20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00 .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upling or separation between the slide engaging groove 101 and the slide protrusion 202 .
  • the slide locking groove 101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00
  • the slide protrusion 20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unit 100
  • the adsorption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itting methods.
  • the protrusion 20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10 having one end detachable from the adsorption unit 100 and the other end including a protrusion 200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the adsorption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300, 10), the packaging size can be reduced, and the risk of loss of each component can be eliminated.
  • the pair of cradles 10 form a slide engaging groove 101 and a slide protrusion groove 202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a pair of adsorption units 1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The protrusion 200 may be combined, and the volume may be reduced by densely packing the pair of cradles 10 .
  • the pipe 20 may be a multi-stage pipe for dense packaging.
  • the protrusion 200 may include a cradle function.
  • the protrusion 20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00a for coupling with the adsorption part 100 , a second protrusion 200b for gripping, and a third protrusion 200c for mounting.
  • the protrusion 200 shown in FIG. 3 may include a function of mounting a shower or light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10 including a protrusion 200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f mounting a cradle target, coupling with the cradle, and coupling with a holder capable of gripping, thereby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protrusion 200 can be provided, and it can be used in environments where existing ready-made products cannot be used.
  • connection unit 300 may provide a hang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detachable function.
  • the holder 1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n various places, and when not in use, the holder 10 can be stored by using the hook func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
  • the user stores the cradle 10 by hanging the connection part 300 on a hooking means (not shown) that is attached to the wall and provides hook locking.
  • the hol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and foreign substances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unit 100 after use. If foreign substance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unit, the adsorption performance may be reduced, so that the user may wash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unit with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naturally dry the wet cradle 10 easily by additionally providing a hanging function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0 , and reuse the cradle 10 whose adsorption performance is restored.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00 can be manufactured to suit the shape of various mounting objects, such as a shower, lighting, microphone, kitchen towel, tissue paper, mask, or smart phone.
  • a plurality of adsorption units 100 may be formed in one protrusion 200 , and a connection unit 30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adsorption unit 100 .
  • the adsorption unit 100 may include a main adsorption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and an auxiliary adsorption unit (not shown) formed adjacent to the main adsorption unit.
  • the auxiliary adsorption unit has a smaller area than the main adsorption unit and can support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main adsorption uni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adsorption-type cradle for mounting a cra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돌출부 쪽으로 눌러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거치대
본 발명은 흡착식의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거치대는 고정물에 고정되고 거치대상을 거치하는 도구다. 거치대는 고정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흡착, 파지 및 자성 방식으로 구분된다. 파지식의 거치대는 봉 형상의 고정물에 사용되고, 자성식의 거치대는 평면 형상과 금속 성질을 갖는 고정물에 사용되며, 흡착식은 금속이나 비금속에 상관이 없이 평면 형상의 고정물에 사용된다.
종래의 흡착식의 거치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05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착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흡착패드를 탈착하기 위한 납작한 형태의 탈착탭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거치대가 특정 환경에서 고정되어 사용된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고정물로부터 흡착패드가 떨어지지 않도록 흡착패드의 표면성질 또는 가압수단의 가압성능을 개량하는 기술에만 연구를 하였고, 고정물로부터 흡착패드가 탈착되는 탈착 기술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목적 또는 탈착이 요구되는 이동성의 거치대가 사용되면서, 종래의 탈착탭 기반의 거치대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환경에서의 거치대에 관하여>
종래에는 한 손에 거치대상을 잡는 용도로 사용하면 다른 한 손으로만 작업을 해야 하므로, 두 손으로 작업하기 위하여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안전을 위하여 장갑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주부는 주방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샤워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보수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안전장갑을 착용하고, 시야확보를 위해 조명용 거치대를 사용한다.
작업자는 작업면적에 대응하여 거치대를 옮길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부는 욕조벽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욕조 주변을 청소하고, 타일벽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변기 주변을 청소한다. 그러나 작업자는 탈착탭이 없는 거치대를 사용할 때 거치대의 흡착력에 의해 탈착을 위한 강한 힘이 요구되고, 탈착탭이 있는 거치대를 사용할 때 장갑에 의해 탈착탭을 잡기가 어려워 장갑을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는 장갑을 다시 착용할 때 장갑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갈 위험이 발생한다. 또한 손톱이 짧은 작업자는 탈착탭을 잡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거치대에 관하여>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하여 영상을 보거나 사진을 찍기 위하여 가정, 학교, 식당 또는 카페 등 다양한 환경에서 거치대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거치대를 떼어 챙겨가며, 또 다른 환경에서 거치대를 재사용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식당에서 부모가 편안한 식사를 하면서 아이가 편히 쉴 수 있도록 평평한 탁자나 유리창에 동영상 재생용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에는 카페에서 학생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공부 또는 촬영을 위해 평평한 탁자나 유리창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작업환경의 거치대와 마찬가지로 탈착탭이 매우 얇고 작아 손톱으로 잡기가 매우 어렵다.
<기성품의 거치대에 관하여>
종래에는 고정물에 종류에 대응하여 거치대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파지식 또는 자성식의 거치대에 대한 기성품만 보유할 때 평평하고 자성이 없는 고정물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기성품과 결합이 가능한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거치대의 제품포장 또는 분실에 관하여>
흡착식의 거치대의 필수 구성은 흡착패드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흡착패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착패드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고, 부가적으로 거치 기능을 포함하거나 거치부와 결합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흡착패드와 돌출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일체형 거치대를 제공하였으나, 돌출부로 인해 제품의 포장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일체형 거치대를 가방에 넣고 다닐 때 돌출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흡착패드와 돌출부가 분리된 분리형 거치대를 제공하여 제품의 포장크기를 감소시켰으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분리형 거치대의 일부 구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거치대의 안전에 관하여>
종래에는 탈착탭을 이용한 흡착패드의 제거가 어려워 탈부착형 거치대를 고정식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욕실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샤워기 탈부착형 거치대는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해 딱딱한 금속이나 비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욕조나 벽면에 고정되어 발샤워, 애완동물 샤워 또는 어린아이 샤워에 사용되며, 사용 후에도 그대로 놔두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딱딱한 거치대에 의해 애완동물이나 어린아이가 부닥쳐 다치는 위험이 존재한다.
<거치대의 건조에 관하여>
탈부착형 거치대는 가정, 식당 또는 카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흡착패드에 음식물과 같은 이물질이 묻어 흡착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며, 흡착성능을 복구하기 위해 깨끗한 물을 활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흡착성 기능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세척된 탈부착형 거치대의 자연건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탈부착형 거치대를 바닥면에 놓고 건조시키므로,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묻어 오염될 가능성이 있고, 바닥면 접하여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건조시간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돌출부 쪽으로 눌러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돌출부 쪽으로 눌러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일단은 흡착부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당겨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손톱에 상관이 없이 적은 힘으로 쉽게 거치대의 탈착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속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신속한 이동을 보장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장갑을 벗을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거치대의 포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 구성의 분실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돌출부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기존 기성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를 통한 걸이 기능을 제공하여 젖어 있는 거치대를 쉽게 자연 건조시킬 수 있고, 흡착 성능이 복원된 거치대를 장기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활용한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거치대(10)는 흡착부(100), 돌출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흡착부(100)는 고정물에 흡착된다. 고정물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물질이다. 흡착부(100)는 비금속의 합성수지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볼록면의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200)는 흡착부(100)의 상부에 돌출되고,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이다. 돌출부(200)는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홀(201) 등 거치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거치 기능을 가진 구성과 결합할 수 있으며, 둥근 형상을 가져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한다. 거치대(10)는 연결부(300)가 돌출부(200) 쪽으로 당겨지면 고정물과 흡착부(1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연결부(300)가 돌출부(200) 쪽으로 당겨진다는 의미는 손가락으로 연결부(300)를 눌러 연결부(300)가 돌출부(200) 쪽으로 눌러진다는 의미이다.
연결부(300)는 흡착부(1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연결되고, 돌출부(200)의 상부측에 인접하여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탄성을 갖거나 휘어짐이 가능한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연결부(300)는 와이어 형상의 합성수지이다. 연결부(300)는 압출 성형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할 수 있고, 벨크로, 단추 또는 링 방식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물은 평면 또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착부(100)는 상부에 곡면으로 휘어지기 위한 곡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수단은 봉 형상의 고정물에 흡착부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벨크로 또는 단추 등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활용한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파이프(20)는 하나 또는 한 쌍의 거치대(10)와 결합이 가능하다. 파이프(20)에는 다양한 거치대상을 직접적으로 걸을 수 있고, 파지걸이수단을 통하여 거치대상을 걸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의 고정물에 거치대(10)를 부착할 수 있고, 다른 위치의 고정물에 거치대(10)를 부착하기 원할 때 연결부(300)를 눌러 기존 고정물에 부착된 거치대(10)를 탈착시킬 수 있다.
거치대(10)는 바닥의 테이블과 같은 고정물에 부착될 경우 부착방향의 제한이 없지만, 벽멱과 같은 고정물에 부착될 경우 연결부(300)를 벽면의 하부 쪽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부(200)의 일단은 흡착부(100)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300)를 통하여 흡착부(100)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흡착부(100)는 상부에 슬라이드 걸림홈(101)이 형성되고, 돌출부(200)는 하부에 슬라이드 돌출부(20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걸림홈(101)과 슬라이드 돌출부(202) 간 결합 또는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걸림홈(101)을 돌출부(200)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고, 슬라이드 돌출부(202)을 흡착부(10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끼움방식으로 흡착부(100)와 돌출부(20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단이 흡착부(100)와 분리 가능하고, 타단이 연결부(300)를 통하여 흡착부(10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돌출부(200)를 포함하는 거치대(10)를 제공함으로써, 거치대(10)의 포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 구성의 분실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거치대(1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슬라이드 걸림홈(101)과 슬라이드 돌출홈(202)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흡착부(1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고, 한 쌍의 돌출부(2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거치대(10)를 조밀하게 포장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파이프(20)는 조밀한 포장을 위하여 다단파이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부(200)는 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00)는 흡착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돌출부(200a), 그립을 위한 제2 돌출부(200b) 및 거치를 위한 제3 돌출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돌출부(200)는 샤워기 또는 조명을 거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의 거치, 거치부와의 결합 및 파지가 가능한 홀더와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된 돌출부(200)를 포함하는 거치대(10)를 제공함으로써, 돌출부(200)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기존 기성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탈착 기능 이외에도 걸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서 쉽게 탈부착하여 거치대(10)를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할 땐 연결부(300)의 걸이 기능을 이용하여 거치대(10)를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벽에 부착되 후크걸림을 제공하는 걸림수단(미도시)에 연결부(300)를 걸어 거치대(10)를 보관한다.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 흡착부(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을 수 있다. 흡착부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으면 흡착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흡착부의 표면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300)를 통한 걸이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젖어 있는 거치대(10)를 쉽게 자연 건조시킬 수 있고, 흡착 성능이 복원된 거치대(10)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샤워기, 조명, 마이크, 키친타올, 휴지, 마스크 또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거치대상의 형상에 맞게 돌출부(20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하나의 돌출부(200)에 복수의 흡착부(100)가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흡착부(100)에 연결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부(100)는 연결부(300)와 연결되는 메인 흡착부(미도시) 및 상기 메인 흡착부와 인접하여 형성된 보조 흡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흡착부는 메인 흡착부보다 면적이 작고, 메인 흡착부의 흡착 성능을 보조할 수 있으며,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거치대상을 거치하기 위한 흡착식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1. 고정물에 흡착되는 흡착부(100);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200) 및
    상기 흡착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가 돌출부 쪽으로 눌러지면 고정물과 흡착부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은 흡착부와 분리가 가능하고, 타단은 연결부를 통하여 흡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PCT/KR2021/016967 2020-11-24 2021-11-18 거치대 WO20221146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488 2020-11-24
KR1020200158488A KR102520033B1 (ko) 2020-11-24 2020-11-24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668A1 true WO2022114668A1 (ko) 2022-06-02

Family

ID=8175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967 WO2022114668A1 (ko) 2020-11-24 2021-11-18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0033B1 (ko)
WO (1) WO20221146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195A (ja) * 1995-11-28 1997-08-12 Setsu Akiyama 簡単に離脱できる吸盤による保持方法
JPH09210042A (ja) * 1995-09-18 1997-08-12 Setsu Akiyama 吸盤の離脱方法
JP2004324855A (ja) * 2003-04-28 2004-11-18 Kazunari Arimitsu 吸着盤
JP2006292159A (ja) * 2005-04-12 2006-10-26 Yoshinobu Shishido 特定方向からの力により剥離できる吸盤の構造
JP2007303664A (ja) * 2006-05-08 2007-11-22 Yuuko Furuno 吸盤革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73A (ko) * 2003-04-25 2004-11-03 최용철 부착식 더블클립
KR20090008620U (ko) 2008-02-22 2009-08-26 최현아 거치대
KR101063058B1 (ko) 2010-10-28 2011-09-07 박민식 거치 대 용 기밀 부착 패드
KR20120076983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물품 거치대 및 이를 위한 홀더
KR200468795Y1 (ko)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42A (ja) * 1995-09-18 1997-08-12 Setsu Akiyama 吸盤の離脱方法
JPH09206195A (ja) * 1995-11-28 1997-08-12 Setsu Akiyama 簡単に離脱できる吸盤による保持方法
JP2004324855A (ja) * 2003-04-28 2004-11-18 Kazunari Arimitsu 吸着盤
JP2006292159A (ja) * 2005-04-12 2006-10-26 Yoshinobu Shishido 特定方向からの力により剥離できる吸盤の構造
JP2007303664A (ja) * 2006-05-08 2007-11-22 Yuuko Furuno 吸盤革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033B1 (ko) 2023-04-10
KR20220071414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2606A1 (ko) 후크어셈블리
WO2022114668A1 (ko) 거치대
CA3015088A1 (en) Multi-appendage device for holding, gripping, or suspending an object
WO2014065599A1 (ko) 밀대청소기
WO2020022710A1 (ko) 충전 거치대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1378947B1 (ko)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CN210019530U (zh) 一种镊子
CN213128187U (zh) 一种具有透气结构的一次性pvc手套
JP2015150360A (ja) 吊り下げ装置およびフック機能付きウォールユニット
WO2013176386A1 (ko) 진공 흡착기구용 점착부재
CN211955371U (zh) 一种智能家居用空气质量检测装置
WO2020036254A1 (ko)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JP6537140B2 (ja) ナースコール子機用ホルダ
CN212690977U (zh) 一种便于除尘的法兰排气阀盖
CN2850978Y (zh) 一种带提手的画板
CN203987890U (zh) 一种可方便拆卸吸尘器主体的多功能吸尘拖把
CN216651372U (zh) 一种耐磨户外迷彩工作服
CN214410228U (zh) 呼救救援辅助器
CN215659907U (zh) 一种可避免污染的吸笔
CN101456372A (zh) 一种公交车挂钩
CN210961868U (zh) 一种粘毛器
CN214320223U (zh) 一种用于医学检验科的多功能检验台
CN215609007U (zh) 一种隐藏式展厅用消防设施放置架
CN216124197U (zh) 一种产房用屏风
WO2013028021A2 (ko) 마네킹 커버 및 이를 구비한 마네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8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