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760A -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760A
KR20220070760A KR1020200157654A KR20200157654A KR20220070760A KR 20220070760 A KR20220070760 A KR 20220070760A KR 1020200157654 A KR1020200157654 A KR 1020200157654A KR 20200157654 A KR20200157654 A KR 20200157654A KR 20220070760 A KR20220070760 A KR 2022007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n
cosmetic composition
hair loss
linoleic acid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800B1 (ko
Inventor
권혁철
이춘몽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20015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 탈모를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Wnt/β-카테닌(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고, 세포성장주기 유전자인 사이클린 D1(cyclin D1)의 발현량을 정상수준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LLEVIATING HAIR LOSS CONTAINING LINOLEIC AICD AND ACTIN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 탈모를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Wnt/β-카테닌(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고, 세포성장주기 유전자인 사이클린 D1(cyclin D1)의 발현량을 정상수준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발은 3~7년의 성장기, 2~3주의 퇴행기, 3~4주의 휴지기의 반복으로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모발을 생산하는 기관인 모낭(hair follicles)이 안드로겐성(androgenic hormone)의 영향으로 인해 작아지거나, 자가 면역질환 또는 부상으로 모낭이 손상될 때 탈모가 진행된다. 모발 성장, 모발 재생, 모낭 줄기세포의 활성화 및 hair germ cell의 증식 등의 과정에 Wnt/β-catenin 신호전달이 중요한 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다. Wnt ligand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질 내의 β-catenin분해가 방지되고 세포핵으로 β-catenin의 이동이 증가하여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protein kinase A(PKA), Akt 및 glycogen synthase kinase-3β(GSK3β) 등의 활성화는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킴이 보고되어 있다.
세포의 증식은 G0/G1, S 및 G2/M phase로 구성되는 세포 주기의 진행과 밀접하게 관련 되며, 이러한 세포 주기에 관련된 단백질에는 cyclins, cyclindependent kinases(CDKs) 및 CDK 억제자 같은 단백질들이 이러한 세포주기 단백질 중 cyclin D1은 세포주기 중 G0/G에서 S phase로 진행될 때에 증가함이 알려져 있고,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의 target gene의 하나로 밝혀져 있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 μm 이하인 미세먼지(PM10), 지름이 2.5 μm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된다. 미세먼지는 연소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질산염(NO3 -), 암모늄(NH4 +), 황산염(SO4 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carbon compounds),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며 구강과 점막에 의해 걸러지지 않아 폐포와 기관지에 붙어서 폐 기능을 방해한다. 특히, PM2.5는 머리카락 굵기의 1/20~1/30 정도로 입자가 작아서 피부에 침투 할 수 있고 기관지,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미세먼지 중 디젤에서 배출되는 black carbon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은 물론 심혈관질환, 피부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특허들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0970호는 황련, 황백, 황금 등을 포함하는 제1 탈모방지용 한방 추출물 및 우방자, 방풍 등을 포함하는 제2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가 모발 성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에 의하여 모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발 성장 억제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에 의한 발생한 탈모에 도움이 되는 물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리놀레산 및 악틴이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에 유용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모발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복구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 탈모를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Wnt/β-카테닌(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세포성장주기 유전자인 사이클린 D1(cyclin D1)의 발현량을 정상수준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놀레산 및 악틴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놀레산 및 악틴은 Wnt/β-catenin 활성 효과 (실험예 1), cyclin D1 활성 효과(실험예 2), 탈모 증상 완화 효과(실험예 3)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놀레산 및 악틴의 Wnt/β-카테닌 활성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놀레산 및 악틴의 사이클린 D1 활성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리놀레산(Linoleic acid)은 구조식 C18H32O2, 분자식 CH3CH2CH = CHCH2CH = CHCH2CH = CH(CH2)7COOH. 2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불포화지방산. 리놀산, 시스-9-시스-12-옥타데카디엔산이라고도 한다. 입체구조는 2개의 이중결합이 함께 시스형을 이룬다. 리놀레산은 글리세리드로서 면실유나 옥수수기름 등 많은 식물 기름 속에 함유되어 있다. 식물 기름 속의 혼합 지방산에서 고체지방산을 제거한 후 정제를 반복해 얻는다. 대부분 건성유 속에 존재하고, 특히 아마인유에는 35~50%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유 속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나 어유 등에는 0.4~13% 존재한다. 순수한 것은 아마인유 등의 지방산을 아세톤 등의 유기용제를 써서 분별결정(分別結晶)을 되풀이해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만든다. 리놀레산을 브롬화하면 육브롬화물이 된다. 알칼리성 과망간산으로 산화하면 핵사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되고, 수소첨가를 하면 스테아르산을 만든다. 리놀산과 함께 비타민 F라 불리는 필수지방산이다.
리놀레산은 무색 유성(油狀) 액체로 녹는점 -12℃, 끓는점 230℃(16torr). 물에 녹지 않고 에틸알코올 등의 유기용제에 쉽게 녹는다. 공기 속에서 산화되기 쉬워 경화되므로 건성산(乾性酸)이라고도 한다. 환원하면 스테아르산이 된다. 연성비누의 원료로 쓰인다.
악틴(actin)은 악티게닌의 배당체로 글루코스가 붙어있는 화합물이며, 4-[(3,4-디메톡시페닐)메틸]디하이드로-3-[(4-글루코스-3-메톡시페닐)메틸]-2(3H)퓨라논(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Glucose-3-metoxyphenyl)methyl]-2(3H)-furanone)으로 표기되고 분자량이 535인 리간드 화합물이다. 악틴은 리간드 화합물로서, 우엉, 우방자(Arctiumlappa),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연교(Forsythia suspensa) 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놀레산 및 악틴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놀레산 및 악틴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리놀레산과 악틴을 1~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놀레산과 악틴은 5: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리놀레산 및 악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이다. 구체적으로는, Wnt/β-카테닌(catenin) 활성 효과, 사이클린(cyclin) D1 활성 효과, 탈모 증상 완화 효과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Wnt/β-catenin 활성 실험
인체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DPC) 세포주 (promocell, C-12071)를 100mm 배양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DMEM 배지에 소태아혈청 10중량%,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하루 뒤 DIESEL particulate extract (sigma-aldrich, NIST 1975)를 1ppm과 리놀레산 50ppm과 악틴 10pp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β-catenin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확인 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리놀레산과 악틴 모두를 처리한 경우 β-카테닌(catenin)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cyclin D1 활성 실험
인체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DPC) 세포주 (promocell, C-12071)를 100mm 배양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DMEM 배지에 소태아혈청 10중량%,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하루 뒤 DIESEL particulate extract(sigma-aldrich, NIST 1975)를 1ppm과 리놀레산 50ppm과 악틴 10pp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사이클린(Cyclin) D1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리놀레산과 악틴 모두를 처리한 경우, 사이클린(Cyclin) D1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 리놀레산이 함유된 화장료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리놀레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헤어 로션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1(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톡톤올아민 0.1
리놀레산 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100
제조예 2: 악틴을 함유된 화장료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헤어 로션을 하기 표 2과 같이 조성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2(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톡톤올아민 0.1
악틴 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100
제조예 3: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된 화장료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리놀레산 및 악틴 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헤어 로션을 하기 표 3과 같이 조성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3(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톡톤올아민 0.1
리놀레산 0.5
악틴 0.5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액
100
비교제조예 1
한편, 비교예로,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와 같이 조성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제조예 1(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톡톤올아민 0.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액
100
실험예 4: 임상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비교예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하지 않는 제형'을 이용하여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에 관한 임상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50세까지의 성인 남녀 중 탈모증이 있는 사람 또는 일일 평균 탈모수가 100개 이상인 사람 1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용 방법은 탈모 부위에 1일 2~3회 수적(약 2 ml)을 도포하는 것으로 하고, 효과 확인의 정도에 따라 최소 1개월에서 최대 5개월까지 사용하게 하였다. 임상 효과의 판정을 위해, 세발 시 일일 평균 탈모량, 육안 판정 소견 및 자각 증상 개선 정도를 다음의 5단계에 따라 평가하였다.
단계구분 세발시 탈모량 자각 증상 육안 판정
5 현저한 감소 현저한 개선 현저한 개선
4 중등도 감소 중등도 개선 중등도 개선
3 경도 감소 경도 개선 경도 개선
2 불편 불편 불편
1 악화(증가) 악화 악화
최종 판정은 종합적인 개선도 3.0점 이상을 유효하다고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단계구분 세발시 탈모량 자각 증상 육안 판정 종합 개선도
제조예 1 2.9 2.7 3.1 2.8
제조예 2 3.1 2.9 2.9 3.0
제조예 3 3.4 3.2 3.5 3.3
비교예 1 2.7 2.5 2.9 2.6
실험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약간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유효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조성물 제형(제조예 3)에서는 중등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 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임상실험에서의 사용기간 중 대상자 전원에게서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 되지 않아 인체에도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탈모방지 헤어토닉
제조예 3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토닉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리놀레산 0.5
악틴 0.5
피마자유 5.0
글리세린 3.0
피록톤아민 0.1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탈모방지 헤어로션
제조예 3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리놀레산 0.5
악틴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록톤아민 1.0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탈모방지 헤어크림
제조예 3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리놀레산 0.5
악틴 0.5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1.2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탈모방지 헤어비누
제조예 3의 리놀레산 및 악틴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비누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리놀레산 0.5
악틴 0.5
이산화티탄 2.0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3.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미량
향료 미량
화장비누베이스(수분 13중량%) 잔량
10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Wnt/β-카테닌(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영향을 받는 세포성장주기 유전자인 사이클린 D1(cyclin D1)의 발현량을 정상수준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놀레산 및 악틴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되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57654A 2020-11-23 2020-11-23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54A KR102609800B1 (ko) 2020-11-23 2020-11-23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54A KR102609800B1 (ko) 2020-11-23 2020-11-23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60A true KR20220070760A (ko) 2022-05-31
KR102609800B1 KR102609800B1 (ko) 2023-12-06

Family

ID=8178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654A KR102609800B1 (ko) 2020-11-23 2020-11-23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84B1 (ko) * 1995-02-04 1998-12-01 문홍석 양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9323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84B1 (ko) * 1995-02-04 1998-12-01 문홍석 양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9323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800B1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3737B2 (ja) 生体老化防止剤及び皮膚用組成物
KR101733065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3021B1 (ko) 하이드록시 데카노익애씨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609800B1 (ko) 리놀레산 및 악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5534654B2 (ja) 抗炎症剤
JP2000026306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220096097A (ko) 리놀레산 및 바닐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완화 화장료 조성물
JP2000198719A (ja) 発毛剤
JPH08176004A (ja) 生体老化防止剤及び皮膚用組成物
WO1998043597A1 (fr) Composition a usage externe destinee a prevenir le stress environnemental
KR20210003055A (ko) 식물추출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421630B1 (ko) 해죽순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1248B1 (ko) 홀시틴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7389465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抗酸化剤
KR101569773B1 (ko) 아르테메터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640492B2 (ja) 皮膚外用剤
JP7409775B2 (ja) 低収斂性組成物
JP2950674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000935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H0592917A (ja) 化粧料
JP2023137338A (ja) 糖尿病改善剤
KR101593628B1 (ko) 브레비스카핀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618350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220162555A (ko) 숙근안개초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50085961A (ko) 알로에에모딘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