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593A -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593A
KR20220070593A KR1020200157291A KR20200157291A KR20220070593A KR 20220070593 A KR20220070593 A KR 20220070593A KR 1020200157291 A KR1020200157291 A KR 1020200157291A KR 20200157291 A KR20200157291 A KR 20200157291A KR 20220070593 A KR20220070593 A KR 2022007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detonator
equipment
radiu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585B1 (ko
Inventor
황기원
박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5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5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6Relative timing of multiple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하는 위험 반경 설정부,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발파 영역 설정부,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비 위치 파악부 및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발파 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TONATOR BLASTING BASED ON DANGER RADIUS}
본 발명은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고,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한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의 폭파, 폐건물 폭파 등의 공사에는 폭발물이 이용된다. 즉, 발파 대상물을 구간별로 구분하여 폭발물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천공한다. 천공된 구멍들 각각에 폭발물을 삽입한 후 발파 시스템과 연결한다. 발파 시스템의 조작을 통해 폭발물을 폭파하여 발파 대상물을 폭파한다.
발파 시스템은 폭발물을 기폭시키는 기폭제인 뇌관과, 뇌관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및 지령을 뇌관으로 전송하는 발파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파 시스템의 뇌관으로는 주로 전자 뇌관이 사용된다. 전자 뇌관은 폭발물 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발파 장치에 복수의 전자 뇌관이 연결된다.
전자 뇌관은 발파 장치에서 지령이 전달되면 해당 발파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 뇌관이 동시에 작동하여 폭발물을 동시에 기폭시키는 구조와, 복수의 전자 뇌관이 서로 다른 지연시간으로 설정되어 복수의 전자 뇌관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폭발물들은 순차적으로 기폭시키는 구조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20-0076370호는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난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하는 위험 반경 설정부;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발파 영역 설정부;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비 위치 파악부; 및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발파 개시 제어부;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파 영역 설정부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파 영역 설정부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비 위치 파악부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파 개시 제어부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난 곳에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경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경고 알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은 위험 반경 설정부에 의해,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발파 영역 설정부에 의해,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장비 위치 파악부에 의해,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발파 개시 제어부에 의해,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난 곳에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이후에,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경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고,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함으로써, 등록되는 뇌관에 따라 유연하게 발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난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하고,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뇌관 발파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영역 설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개시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경고 알림 제공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영역 설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개시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100)는 크게 위험 반경 설정부(110), 발파 영역 설정부(120), 장비 위치 파악부(130), 발파 개시 제어부(140) 및 경고 알림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위험 반경 설정부(110)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위험 반경은 최소 100m 인 것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파 영역 설정부(120)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한다.
발파 영역 설정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발파 영역 설정부(120)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할 수 있다.
장비 위치 파악부(130)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한다.
장비 위치 파악부(130)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가 설정된 발파 영역 그리고 발파 영역과 장비간의 안전 거리인 경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이때,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는 뇌관과 연동된 추적기 또는 발파기 등 일 수 있다.
발파 개시 제어부(140)는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발파 개시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나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경계 거리는 발파 영역과 장비간의 안전 거리로, 뇌관의 사양 그리고 뇌관과 장비간의 통신 가능 거리에 따라 작업자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경고 알림 제공부(150)는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
경고 알림 제공부(150)는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 또는 기 설정된 경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 단말에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는 앞서 설명한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한다(S100). 이때, 설정되는 위험 반경은 최소 100m 인 것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한다(S200).
S200 단계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고,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할 수 있다.
다음,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S300).
S300 단계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가 설정된 발파 영역 그리고 발파 영역과 장비간의 안전 거리인 경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S300 단계에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S400).
S400 단계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나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S300 단계에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S500).
S500 단계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 또는 기 설정된 경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 단말에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110 : 위험 반경 설정부
120 : 발파 영역 설정부
130 : 장비 위치 파악부
140 : 발파 개시 제어부
150 : 경고 알림 제공부

Claims (11)

  1.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하는 위험 반경 설정부;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발파 영역 설정부;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비 위치 파악부; 및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발파 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 영역 설정부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 영역 설정부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위치 파악부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 개시 제어부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난 곳에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경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경고 알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7. 위험 반경 설정부에 의해, 뇌관 또는 통신 모듈에 대한 위험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발파 영역 설정부에 의해,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장비 위치 파악부에 의해,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발파 개시 제어부에 의해,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이 이루는 원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발파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의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한 발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뇌관 또는 통신 모듈이 추가 등록될 때마다 등록 시 입력된 위치값에 기 설정된 위험 반경을 반영하여 발파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기 설정된 경계 거리도 벗어난 곳에 위치한 경우에만 뇌관의 발파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이후에,
    파악 결과, 장비가 설정된 발파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경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에 발파 불가 안내,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발파 영역 및 기 설정된 경계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00157291A 2020-11-23 2020-11-23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7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291A KR102573585B1 (ko) 2020-11-23 2020-11-23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291A KR102573585B1 (ko) 2020-11-23 2020-11-23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593A true KR20220070593A (ko) 2022-05-31
KR102573585B1 KR102573585B1 (ko) 2023-08-31

Family

ID=8178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291A KR102573585B1 (ko) 2020-11-23 2020-11-23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0815A (zh) * 2022-12-05 2023-05-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WO2023120761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한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629935B1 (ko) * 2022-09-20 2024-01-29 조창열 원격 발파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194B2 (ko) * 1979-04-04 1987-07-31 Nippon Electric Co
JP2002522745A (ja) * 1998-08-13 2002-07-23 エクスパート エクスプローシブス(プロプライアタリー)リミティド 発破装置
KR101749406B1 (ko) * 2015-08-12 2017-06-21 이승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터널 발파 감시제어시스템 및 감시제어방법
KR102129306B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29304B1 (ko) * 2018-12-19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56051T3 (es) 2016-04-20 2023-12-12 Nof Corp Detonador inalámbrico, sistema de detonación inalámbrico y método de detonación inalámbric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194B2 (ko) * 1979-04-04 1987-07-31 Nippon Electric Co
JP2002522745A (ja) * 1998-08-13 2002-07-23 エクスパート エクスプローシブス(プロプライアタリー)リミティド 発破装置
KR101749406B1 (ko) * 2015-08-12 2017-06-21 이승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터널 발파 감시제어시스템 및 감시제어방법
KR102129304B1 (ko) * 2018-12-19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29306B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61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한화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629935B1 (ko) * 2022-09-20 2024-01-29 조창열 원격 발파 시스템
WO2024063513A1 (ko) * 2022-09-20 2024-03-28 조창열 원격 발파 시스템
CN116090815A (zh) * 2022-12-05 2023-05-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CN116090815B (zh) * 2022-12-05 2023-10-03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585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0593A (ko)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EP1690063B1 (en) Positional blasting system
AU2019303427B2 (en) Bl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CN107561968B (zh) 用于更新工程设计系统中的进程对象的方法
WO20110599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sitions and orientations of autonomous vehicles
KR102444101B1 (ko) 발파 패턴 좌표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8489B1 (ko) 유도 무기 발사체의 발사 통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21516A1 (en) Seamless and safe upgrade of software intensive systems during operation
EP3474509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a device and control system
US202400446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tonator blasting based on danger radius
KR102021987B1 (ko) 유도 조종 제어를 위한 제어 변수를 도출하는 시뮬레이션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EP4100691B1 (en) Wireless detonator system
KR102533837B1 (ko) 뇌관 리스트에 미등록된 뇌관을 검색하고 id를 확인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0612A (ko) 발파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뇌관을 동시에 등록하는 발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15168709A2 (en) Blasting system control
KR20210073332A (ko)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8292210B (zh) 传输功能指令的方法及接口设备和系统
US202400446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unregistered detonator in detonator list and confirming id
US20180120073A1 (en) Detonator control system
KR20220026720A (ko) 발파 개시 시간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무선 발파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5966B1 (ko) 레이저 지시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2410B1 (ko) 유도 미사일 발사 제어 방법
US20170337808A1 (en) Arrangement for delivery of production control information to a mining work machine
CN105991768A (zh) 用于外围设备的远程设立与调整的系统和方法
CN112753035A (zh) 包括照明系统的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