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332A -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332A
KR20210073332A KR1020190164047A KR20190164047A KR20210073332A KR 20210073332 A KR20210073332 A KR 20210073332A KR 1020190164047 A KR1020190164047 A KR 1020190164047A KR 20190164047 A KR20190164047 A KR 20190164047A KR 20210073332 A KR20210073332 A KR 2021007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primer
primers
pattern
det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102B1 (ko
Inventor
황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6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02B1/ko
Priority to US17/252,460 priority patent/US11927434B2/en
Priority to AU2020289842A priority patent/AU2020289842A1/en
Priority to PCT/KR2020/017598 priority patent/WO2021118169A2/ko
Publication of KR2021007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332A/ko
Priority to AU2022224749A priority patent/AU20222247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42D1/0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 F42D1/05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specially adapted for firing multiple charges with a time de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6Relative timing of multiple ch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1Initiators with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 F42B3/122Programmable electronic delay init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Air Bag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뇌관 배치부,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배치 결과 분석부 및 분석된 배치 결과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PLACEMENT OF DETONATOR}
본 발명은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1867년 Alfred Nobel에 의해 개발된 공업용 뇌관에 도화선을 부착시키는 방식에서 시작한 기폭시스템은 전기뇌관에 이어 비전기식 시스템(Non-electric system)의 발명에 이르기까지 기폭성과 안정성 및 정밀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왔다. 특히 1990년대 초반에 전자 타이머에 의한 초 정밀시차를 가지고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전자뇌관(Electronic detonator)은 단차별 기폭시간에 대한 단차별 정밀도와 지연시차의 부여방법에서 기존의 기폭 시스템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오늘날 가장 일반화되어 우리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뇌관과 비전기뇌관의 경우 그 정밀도가 MS(Milli Second)단위까지 이르렀으나, 오늘날의 현장에서는 이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지연시차를 갖는 뇌관을 점차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현재 국내에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기뇌관과 비전기뇌관의 지연시차는 최소 20∼25ms으로부터 최대 수천 ms에 이르기 때문에 그 정밀성을 ±10%로 놓을 경우 그 오차 범위는 2ms∼수백ms에 이르게 된다. 국내 터널 현장의 경우 대게 지발기폭 방식으로 발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한정된 단차와 지연시차로 인해 현장에 적절한 발파 패턴을 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0-0061481호는 "터널 발파패턴도 자동 설계 방법 및 터널 발파 패턴도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초시 패턴 또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뇌관 배치부;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배치 결과 분석부; 및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발파 패턴은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기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관 배치부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배치 순서 파악부; 및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하는 수동 배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관 배치부는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는 배치 패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관 배치부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하는 자동 배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관 배치부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되면,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ID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치 결과 분석부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초시 패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치 결과 분석부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위치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은 뇌관 배치부에 의해,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 배치 결과 분석부에 의해,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에 의해,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파 패턴이 기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이후에,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또한,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위치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고,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함으로써, 뇌관의 동작 여부, 실시간 배치 패턴 수정 및 디버깅이 가능하여 발파 설계시 작업 효율 및 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초시 패턴 또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뇌관의 자동 등록 및 배치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뇌관 배치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배치 결과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100)는 뇌관 배치부(110), 배치 결과 분석부(120) 및 오류 발생 알림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파 패턴은 발파 관리 소프트웨어에 저장된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기 설계된다.
뇌관 배치부(110)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킨다.
뇌관 배치부(110)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킨다.
뇌관 배치부(110)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 시킨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배치 순서는 뇌관이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배치 시 수동 설정에서 자동 설정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구분하는 순서로, 기 설정된 배치 순서에 포함되었다는 것은, 뇌관이 수동 설정으로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배치됨을 의미하고, 기 설정된 배치 순서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은, 뇌관이 자동 설정으로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또한, 배치 순서는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뇌관 배치부(110)는 기 설정된 배치 순서가 세 번째부터인 경우, 작업자가 첫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해당 뇌관이 기 설계된 발파 패턴의 어떠한 위치의 뇌관 공 번호에 배치될지 수동으로 설정되고 작업자가 두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해당 뇌관이 기 설계된 발파 패턴의 어떠한 위치의 뇌관 공 번호에 배치될지 수동으로 설정되며, 작업자가 세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앞서 배치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뇌관으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뇌관 공 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뇌관 배치부(110)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되면,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ID를 부여한다.
배치 결과 분석부(120)는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한다.
배치 결과 분석부(120)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고,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한다.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130)는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130)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와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면,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게 오류 알림이 제공되면 작업자는 수동으로 뇌관을 적절한 뇌관 공 번호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뇌관 배치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 배치부(110)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뇌관 배치부(110)는 배치 순서 파악부(111), 수동 배치 등록부(112), 배치 패턴 추출부(113) 및 자동 배치 등록부(114)를 포함한다.
배치 순서 파악부(111)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수동 배치 등록부(112)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한다.
배치 패턴 추출부(113)는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한다.
배치 패턴 추출부(113)는 배치 패턴을 하기와 같은 수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자동 배치 등록부(114)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배치 결과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치 결과 분석부(120)는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배치 결과 분석부(120)는 초시 패턴 비교부(121) 및 위치 정보 비교부(122)를 포함한다.
초시 패턴 비교부(121)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한다. 이에 따른 수식은 다음과 같다.
[수식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즉, 초시 패턴 비교부(121)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가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위치 정보 비교부(122)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한다. 이에 따른 수식은 다음과 같다.
[수식 3]
Figure pat00008
즉, 위치 정보 비교부(122)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가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을 입력받는다(S100).
다음,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S110).
S110 단계에서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 받아, 해당 뇌관을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한다(S120). 여기서, 발파 패턴은 발파 관리 소프트웨어에 저장된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계되어 있다.
S120 단계는 작업자가 첫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뇌관이 기 설계된 발파 패턴의 어떠한 위치의 뇌관 공 번호에 배치될지 수동으로 설정되고 작업자가 두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뇌관이 기 설계된 발파 패턴의 어떠한 위치의 뇌관 공 번호에 배치될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한다(S130).
S110 단계에서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S130 단계에서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한다(S140).
S140 단계는 업자가 세 번째 뇌관의 등록을 시도할 때, 앞서 배치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뇌관으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관 공 번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한다(S150).
S150 단계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고,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한다.
다음,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S160).
S160 단계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와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면,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110 : 뇌관 배치부
120 : 배치 결과 분석부
130 :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

Claims (14)

  1.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뇌관 배치부;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배치 결과 분석부; 및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파 패턴은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기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 배치부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배치 순서 파악부; 및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하는 수동 배치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 배치부는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는 배치 패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 배치부는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하는 자동 배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 배치부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되면,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ID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결과 분석부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초시 패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결과 분석부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거리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9. 뇌관 배치부에 의해,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
    배치 결과 분석부에 의해,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배치 오류 발생 알림부에 의해, 분석된 배치 결과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발파 작업 정보를 토대로 뇌관 공 번호, 뇌관별 상대 또는 절대 위치 정보, 지연 시간, 설계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파 패턴이 기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Hole) 번호에 배치시키거나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배치시키는 단계는,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등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수동으로 배치된 뇌관들간의 배치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뇌관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이후에,
    해당 뇌관이 기 설정된 배치 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기 배치된 뇌관들로부터 추출된 배치 패턴에 따라 해당 뇌관을 기 설계된 발파 패턴에 따른 뇌관 공 번호에 자동으로 배치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배치된 뇌관들간의 지연 시간 간격과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지연 시간 간격의 시간차를 기 설정된 시간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기 배치된 뇌관들의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뇌관이 배치되어 등록 시 저장된 해당 뇌관의 현재 위치 정보와 발파 패턴에서 기 설계된 위치 정보간의 거리차를 기 설정된 위치 오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치된 뇌관의 배치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190164047A 2019-12-10 2019-12-10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44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47A KR102444102B1 (ko) 2019-12-10 2019-12-10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7/252,460 US11927434B2 (en) 2019-12-10 2020-12-04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arrangement of detonator
AU2020289842A AU2020289842A1 (en) 2019-12-10 2020-12-04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arrangement of detonator
PCT/KR2020/017598 WO2021118169A2 (ko) 2019-12-10 2020-12-04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U2022224749A AU2022224749A1 (en) 2019-12-10 2022-08-30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arrangement of deto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47A KR102444102B1 (ko) 2019-12-10 2019-12-10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32A true KR20210073332A (ko) 2021-06-18
KR102444102B1 KR102444102B1 (ko) 2022-09-15

Family

ID=7633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47A KR102444102B1 (ko) 2019-12-10 2019-12-10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27434B2 (ko)
KR (1) KR102444102B1 (ko)
AU (2) AU2020289842A1 (ko)
WO (1) WO20211181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020B (zh) * 2021-12-29 2023-03-21 北京伊拜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雷管起爆控制系统
CN114812307B (zh) * 2022-03-12 2023-11-21 厦门安能建设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的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81A (ko) * 1999-03-26 2000-10-25 이정인 터널 발파 패턴도 자동 설계 방법 및 터널발파패턴도를 제공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72266A (ko) * 1998-08-13 2001-07-31 추후보정 폭파설비
KR20040013242A (ko) * 2002-08-05 2004-02-14 류정하 전기 발파기의 전자 지연 방법 및 장치
KR101380172B1 (ko) * 2013-05-08 2014-04-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발파 천공위치 자동 지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18863A1 (en) * 2013-09-04 2016-07-28 Detnet South Africa (Pty) Ltd Selective control of groups of detonators
WO2019145598A1 (en) * 2018-01-26 2019-08-01 Pyylahti Oy Blasting plan logger,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7028A (ja) 2000-05-30 2001-12-07 Nikkiso Co Ltd 粒度分布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8854621B1 (en) 2012-08-29 2014-10-07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nanoparticle dimensions
CN108291861B (zh) 2015-09-23 2021-10-12 马尔文帕纳科 颗粒表征
JP6738993B2 (ja) 2016-04-06 2020-08-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微粒子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266A (ko) * 1998-08-13 2001-07-31 추후보정 폭파설비
KR20000061481A (ko) * 1999-03-26 2000-10-25 이정인 터널 발파 패턴도 자동 설계 방법 및 터널발파패턴도를 제공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40013242A (ko) * 2002-08-05 2004-02-14 류정하 전기 발파기의 전자 지연 방법 및 장치
KR101380172B1 (ko) * 2013-05-08 2014-04-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발파 천공위치 자동 지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18863A1 (en) * 2013-09-04 2016-07-28 Detnet South Africa (Pty) Ltd Selective control of groups of detonators
WO2019145598A1 (en) * 2018-01-26 2019-08-01 Pyylahti Oy Blasting plan logger,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102B1 (ko) 2022-09-15
US11927434B2 (en) 2024-03-12
WO2021118169A2 (ko) 2021-06-17
WO2021118169A3 (ko) 2021-08-05
US20210364265A1 (en) 2021-11-25
AU2020289842A1 (en) 2021-06-24
AU2022224749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173B2 (en) OCR-based single sign-on
KR102444102B1 (ko) 뇌관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6886494B (zh) 一种接口自动化测试方法及其系统
KR101787470B1 (ko) Usb로 연결된 외부 장치 기반의 악성코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5323748B (zh) 一种测试错误上传方法及装置
EP06921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steady state conditions from transient monotonic or cyclic data
CN106802860B (zh) 无用类检测方法及装置
CN104703173A (zh) 终端应用账户配置及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20220030612A (ko) 발파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뇌관을 동시에 등록하는 발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8082582B2 (en) Authorization system of navigation device and associated authorization method
CN116776788B (zh) 上下文切换验证方法及装置
KR20220049114A (ko) 뇌관 리스트에 미등록된 뇌관을 검색하고 id를 확인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04499A1 (en) A real time operation method
CN107204970B (zh) 单点登录方法及相关装置
KR20220022603A (ko)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2560035B (zh) 应用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83301B (zh) 晶振的时钟频率的校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32873B1 (ko) 스마트 폰의 듀얼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법
US20240044629A1 (en) Blast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registering multiple detonators based on blasting pattern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0166469B (zh) 一种鉴权方法、装置以及存储装置
US107832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reset sequence simulation in an electronic design
KR20210123029A (ko) 영상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598795B (zh) 一种合成管理的实验室测试系统及方法
CN114342318A (zh) 为用户活动相关的安全事件提供情境取证数据的系统和方法
AU2021290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unregistered detonator in detonator list and confirming 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