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603A -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603A
KR20220022603A KR1020200103756A KR20200103756A KR20220022603A KR 20220022603 A KR20220022603 A KR 20220022603A KR 1020200103756 A KR1020200103756 A KR 1020200103756A KR 20200103756 A KR20200103756 A KR 20200103756A KR 20220022603 A KR20220022603 A KR 2022002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equipment connected
initial
initial ti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318B1 (ko
Inventor
황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0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42D1/0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12Primers; Deton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2Logic explosive circuits, e.g. with explosive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하는 발파 명령 전송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뇌관 초시 입력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장비 초시 입력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통신 상태 파악부 및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발파 개시 수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ITAIL ERROR OF DETONATOR}
본 발명은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뇌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통신 연결된 장비는 시간 측정기를 통해 뇌관과 동시에 초시를 카운팅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장 일반화되어 우리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뇌관과 비전자 뇌관의 경우 그 정밀도가 MS(Milli Second)단위까지 이르렀으나, 오늘날의 현장에서는 이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지연시차를 갖는 뇌관을 점차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면적이 좁고 지형적지리적 조건에 따라 발파현장이 도심지 지하 및 도심의 근접 지역에서 발파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발파의 진동 및 소음 등의 환경피해로부터 많은 민원이 발생되어지기 때문이다. 그 중 대표적인 환경피해로 진동과 소음을 들 수 있으며, 이의 직접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관 지연시차의 부정확성과 정밀성 부족을 들 수 있다.
현재 국내에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기뇌관과 비전기뇌관의 지연시차는 최소 20∼25ms으로부터 최대 수천 ms에 이르기 때문에 그 정밀성을 ±10%로 놓을 경우 그 오차 범위는 2ms∼수백ms에 이르게 된다.
국내 터널 현장의 경우 대게 지발기폭 방식으로 발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를 기폭시킬 경우 현재의 일반 뇌관으로 기폭하면 같은 지발내에서 발생되는 뇌관별 오차로 인해 진동과 소음 공해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므로 근접거리에서 민원인들이 문제를 제기하는 일이 허다하다. 또한 한정된 단차와 지연시차로 인해 현장에 적절한 발파패턴을 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7739호는 "전자뇌관과 전기뇌관과 전자발파기 및 시차발파기를 이용한 발파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뇌관에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과 뇌관에 통신 연결된 장비가 동시에 초시를 카운팅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는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하는 발파 명령 전송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뇌관 초시 입력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장비 초시 입력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통신 상태 파악부; 및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발파 개시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각 동기화된 발파기, 로거 및 통신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고,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간 측정기를 구비하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파 개시 수행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제1 초시 오차 제어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제2 초시 오차 제어부; 및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초시 오차 제어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1 초시 조절부;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2 초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초시 오차 제어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3 초시 조절부;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4 초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발파 명령 전송부에 의해,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뇌관 초시 입력부에 의해,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단계; 장비 초시 입력부에 의해,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단계; 통신 상태 파악부에 의해,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발파 개시 수행부에 의해,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뇌관에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과 뇌관에 통신 연결된 장비가 동시에 초시를 카운팅함으로써,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함으로써, 뇌관의 초시를 정확도를 향상시켜 발파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발파 상면도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통신 연결 상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개시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에서 파악된 통신 상태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발파 상면도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통신 연결 상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100)는 크게 발파 명령 전송부(110), 뇌관 초시 입력부(120), 장비 초시 입력부(130), 통신 상태 파악부(140) 및 발파 개시 수행부(150)를 포함한다.
발파 명령 전송부(110)는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한다.
뇌관 초시 입력부(120)는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다.
장비 초시 입력부(130)는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다. 이때,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각 동기화된 발파기, 로거 및 통신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간 측정기(오실레이터 또는 클락)를 구비하여 뇌관에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과 동시에 초시를 카운팅한다. 이때,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상태 파악부(14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한다. 여기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지 않을 경우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발파 개시 수행부(150)는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 발파 개시 수행부(15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발파 개시 수행부(150)의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설명되는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발파 개시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파 개시 수행부(15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발파 개시 수행부(150)는 크게 제1 초시 오차 제어부(160), 제2 초시 오차 제어부(170) 및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제1 초시 오차 제어부(16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1 초시 오차 제어부(160)는 제1 초시 조절부(161) 및 제2 초시 조절부(162)를 포함한다.
제1 초시 조절부(161)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
제2 초시 조절부(162)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먼저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
제2 초시 오차 제어부(17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2 초시 오차 제어부(170)는 제3 초시 조절부(171) 및 제4 초시 조절부(172)를 포함한다.
제3 초시 조절부(171)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미리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
제4 초시 조절부(172)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늦게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180)는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한다.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180)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한다(S100).
다음,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다(S110).
다음,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다(S120).
S120 단계에서,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간 측정기(오실레이터 또는 클락)를 구비하여 뇌관에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과 동시에 초시를 카운팅한다.
다음,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한다(S130).
다음,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한다(S140).
S140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에서 파악된 통신 상태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에서 파악된 통신 상태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는 먼저, 전자 뇌관과 전자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한다(S200).
다음,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S210).
S210 단계에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전자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지 여부를 파악한다(S220).
S220 단계에서,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S230).
S220 단계에서.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먼저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S240).
한편, S210 단계에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다고 판단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지 여부를 파악한다(S250).
S250 단계에서,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미리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S260).
S250 단계에서,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늦게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한다(S270).
다음,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한다(S280).
S280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110 : 발파 명령 전송부
120 : 뇌관 초시 입력부
130 : 장비 초시 입력부
140 : 통신 상태 파악부
150 : 발파 개시 수행부

Claims (11)

  1.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하는 발파 명령 전송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뇌관 초시 입력부;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장비 초시 입력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통신 상태 파악부; 및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발파 개시 수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각 동기화된 발파기, 로거 및 통신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고, 뇌관에 연결되는 장비는 시간 측정기를 구비하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 개시 수행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제1 초시 오차 제어부;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제2 초시 오차 제어부; 및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시 오차 제어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1 초시 조절부;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2 초시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초시 오차 제어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3 초시 조절부;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제4 초시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 개시 명령 출력부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7. 발파 명령 전송부에 의해, 뇌관에 발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뇌관 초시 입력부에 의해,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단계;
    장비 초시 입력부에 의해, 발파 명령이 전송되면,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를 입력받는 단계;
    통신 상태 파악부에 의해,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발파 개시 수행부에 의해,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파악 결과,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또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 따라 초시 오차를 제어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를 수행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되는 초시가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될때까지 대기한 후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 초시를 비교하여 초시 오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빠른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및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고,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가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보다 느린 경우, 뇌관에서 카운팅된 초시에 따라 발파되도록 초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어된 초시 오차를 토대로 뇌관의 발파 개시를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일 경우에는 뇌관에 연결된 장비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뇌관과 뇌관에 연결된 장비간의 통신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관에서 카운팅된 초시를 토대로 하는 발파 개시 명령을 출력하여 뇌관의 발파 개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KR1020200103756A 2020-08-19 2020-08-19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6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56A KR102562318B1 (ko) 2020-08-19 2020-08-19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56A KR102562318B1 (ko) 2020-08-19 2020-08-19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03A true KR20220022603A (ko) 2022-02-28
KR102562318B1 KR102562318B1 (ko) 2023-07-31

Family

ID=8049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756A KR102562318B1 (ko) 2020-08-19 2020-08-19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8098A1 (fr) * 1979-10-25 1981-04-30 Schiffers Pierre Circuit de commande pour dispositifs pyrotechniques
EP0207749A2 (en) * 1985-06-28 1987-01-07 Moorhouse, David John Detonator
JP4021102B2 (ja) * 1999-07-05 2007-12-12 株式会社奥村組 発破による低振動破砕工法
KR20200076370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한화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77235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한화 전자식 뇌관 장치를 포함하는 발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8098A1 (fr) * 1979-10-25 1981-04-30 Schiffers Pierre Circuit de commande pour dispositifs pyrotechniques
EP0207749A2 (en) * 1985-06-28 1987-01-07 Moorhouse, David John Detonator
JP4021102B2 (ja) * 1999-07-05 2007-12-12 株式会社奥村組 発破による低振動破砕工法
KR20200076370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한화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77235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한화 전자식 뇌관 장치를 포함하는 발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318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04B1 (ko) 무선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5214236A (en) Timing of a multi-shot blast
KR102573585B1 (ko) 위험 반경을 기반으로 뇌관 발파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RU2002126998A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ых детонаторов
KR101293801B1 (ko) 전자 뇌관의 지연시간 제어 방법
AU20222247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arrangement of detonator
KR20220022603A (ko) 뇌관의 초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62319B1 (ko) 발파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뇌관을 동시에 등록하는 발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3292647B (zh) 电子雷管控制电路的时钟校准方法及电子起爆系统
KR102533837B1 (ko) 뇌관 리스트에 미등록된 뇌관을 검색하고 id를 확인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55818B1 (ko) 발파 개시 시간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무선 발파 장치 및 그 방법
AU20212904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unregistered detonator in detonator list and confirming ID
KR102419118B1 (ko) 실시간 클럭을 이용하여 지연기폭회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EP3842730A1 (en) Method for programm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tonators according to a blasting pattern
US20240044629A1 (en) Blast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registering multiple detonators based on blasting pattern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276705B1 (ko) 사격 통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480905B2 (en) Predictive semi-active laser pulse correlator and method
US202400446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tonator blasting based on danger radius
KR102557101B1 (ko) 전자 뇌관의 컷-오프 발생 시에도 발파를 유도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8178B1 (ko) 다수의 기폭 모듈을 제어 및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00861A (ko) 응답 릴레이 기능을 갖는 전자 뇌관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95204A1 (en) Disrupting a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KR20230100860A (ko) 보조 전원 기능을 갖는 전자식 뇌관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7704907A (zh) 一种无线电子雷管起爆控制方法及系统
JP3324700B2 (ja) 無線起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