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30A -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 Google Patents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30A
KR20220069730A KR1020200157156A KR20200157156A KR20220069730A KR 20220069730 A KR20220069730 A KR 20220069730A KR 1020200157156 A KR1020200157156 A KR 1020200157156A KR 20200157156 A KR20200157156 A KR 20200157156A KR 20220069730 A KR20220069730 A KR 2022006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coating composition
wrapping paper
extract
bees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106B1 (ko
Inventor
강병철
심수연
이희진
정진현
김창환
박진아
권정인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1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코팅 조성물로 이용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코팅 조성물로, 상기 친환경인 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지 등의 기재에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는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식품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고, 폐기 시 별도의 소각 없이 자연 분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A NATUR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EAD WAX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WATERPROOFING EFFECT, AND A NATURAL WRAPPING PAPE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방수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천연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는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용에 있어 고형물이라 함은 물이나 기름 등이 포함된 식품을 말하고, 이의 종류로는 라면, 스프, 스넥, 조미김, 약품 및 사료 등이 대표적이며, 산업용 또한 다양하게 존재한다. 현재 상기의 고형물들은 일반 비닐봉지나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포장지 등을 이용하여 포장되고 있으나, 요즈음 환경문제의 심각 성에 따라 대체할 수 있는 포장지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때, 상기 고형물들은 플라스틱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대부분 알루미늄(Aluminium), PE(Polyethylene), OPP, PP, EVOH, Nylon, PET, PVDC 및 PVC 등의 필름을 다층 접 착한 플라스틱 필름 포장지이다.
그러나, 상기 Al-Foil 기반 플라스틱필름은 그 특성상 고형물 등을 포장하는 데는 매우 만족스러운 품질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폐기할 때에는 플라스틱과 알루미늄(Aluminium)의 분리가 어려워 재활용율을 감소시키고, PE등의 필름은 재활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연 분해되지 않으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지고 있다. 또한 알루미늄 포장지에 직간접적으로 노출 시 치매에 영향 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상에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Al-Foil 혹은 증착된 플라스틱 필름의 사용을 대체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건강에도 유익할 수 있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 코팅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필름은 강도, 투명성, 성형성,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므로, 포장재료로서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토르트처리 식품 등과 같이 장기간 보존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더욱 고도의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가스 배리어성을 개량하 기 위해서, 이들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으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이 식품포장 용도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DC는 소각시에 산성 가스 등의 유기물질을 발생하는 것이므로, 최근 자연환경으로의 관심이 높아짐과 아울러, 다른 재료로의 이행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PVDC를 대신할 재료로서, 폴리비닐알콜이 열거된다.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필름은 소각처리를 행해도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어, 자연환경에 친화적인 것이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필름은 저습도 분위기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에는 우수하지만,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하게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하는 식품 등의 포장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많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비닐알콜과 에틸렌의 공중합체(EVOH)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EVOH를 코팅 재료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필름에 도포한 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닐알콜과 에틸렌의 공중합체(EVOH)로 이루어진 필름은 고습도 분위기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충분하다고는 아직 말할 수 없다. EVOH를 코팅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EVOH를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EVOH는 물에 용해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용매로서 물과 유기용제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고습도 분위기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을 실용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EVOH 중의 에틸렌의 함유량을 어느 정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EVOH는 보다 물에 용해되기 어렵게 되므로, 용매에 있어서의 유기용제의 비율을 늘리거나, 또는 유기용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유기용제의 사용은 환경문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유기용제의 회수공정 등을 필요로 하여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친환경 소재로 사용되는 포장지로,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포장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2020-0093101 A1
본 발명의 목적은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코팅 조성물로 이용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인 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지 등의 기재에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포장지로 제공하고, 상기 포장지는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식품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고, 폐기 시 별도의 소각 없이 자연 분해가 가능한 천연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코팅 조성물은 비즈왁스(Beeswax)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은 방수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9:10 내지 9:12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포장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본 발명의 천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지는 상기 천연 포장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코팅 조성물은 비즈왁스(Beeswax)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이다.
상기 비즈왁스(Bees wax;밀랍)는 벌집에서 가열압착법(加熱壓搾法) 또는 용제추출법(溶劑抽出法) 등에 의해 채취하는 동물성 고체랍으로, 주성분은 멜리실알코올의 팔미트산 에스테르와 세로트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즈왁스는 점착성이 있는 비결정성 물질로 용도는 제과, 각종 약제의 기초제, 화장품 등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즈왁스는 꿀벌의 나이와 먹이 등에 따라 노란색에서 검정에 가까운 색까지 다양하고 벌꿀과 같은 향기와 약한 발삼향이 난다. 비즈왁스는 몇 가지 고탄소 피라틴을 함유한 프리 세로틱산염과 마이리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에 용해되지는 않지만 탄소 사염화물, 클로로포름, 따뜻한 에테르 등의 물질에서는 용해된다. 꿀벌의 나이와 먹이 등의 요소에 따라 색깔은 노란색에서 검정에 가까운 색까지 다양하고 벌꿀과 같은 향기와 약한 발삼 향이 난다. 약 0.95의 특수 중력과 60℃ 이상의 용해점을 가졌으며 말랑말랑하고 형태가 불안정하다.
상기 비즈왁스는 시장에 판매되는 것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즈왁스의 사용으로 인해, 코팅 조성물로 사용 시 발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즈왁스를 코팅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발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즈왁스 이외에 다른 천연물로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혼합하면, 비즈왁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는 항균작용, 살균작용, 스트레스 완화, 피부질환 개선, 유해 물질 분해 작용 및 각종 냄새 제거를 하는 효능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추출물의 성분 중 피톤치드는 피부감염 모낭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항균작용에 효과적이고, 피톤치드의 주성분인 테르펜(terpene)은 탈취효과, 심신을 맑게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진정효과 및 살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는 북반구 온대지방에서 자라는 백합과(Liliaceae) 둥굴레속(Polygonatum)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북부와 러시아,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당뇨, 다한증, 자양 및 강장의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며, 타박상 치료 등에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천연물를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9:10 내지 9:12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비즈왁스를 녹이고, 9:10 내지 9:12의 비율로 혼합한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의 혼합물을 비즈왁스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로 제조하게 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코팅층은 방수 및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는 한지일 수 있고, 한지를 코팅 조성물에 담궈 양면에 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한지의 양면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면,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포장지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항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사용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 이외에 세모사사리 추출물 및 대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모가사리(Gloiopeltis furcate)는 적갈색 한해살이 해조류로, 풀가사리 가운데 줄기가 가는 것을 의미한다. 세모가사리는 높이가 5 내지 15cm로 몸체가 원기둥 모양이고, 조금 불규칙적으로 가지가 갈라지며 체형은 자라는 곳에 따라 변화가 많다. 가지는 속이 비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곳은 잘록하고 가지는 너비가 4mm에 달한다. 세모가사리는 겨울과 봄에 걸쳐 무성하게 자라고 초여름에 성숙하여 포자를 만든다.
대황(Rhubarb)은 대황(Rheum undulatum L), 장엽대황(Rheum palmatum L.), 약용대황(Rheum officinale Baillon), 개대황(Rumex longifolius DC.), 토대황(Rumex aquaticus L.) 등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을 이르며, 열독(熱毒)을 제거하고, 쌓이고 막힌 것을 풀어주며 어혈(瘀血)을 풀어 대변으로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잘 알려져 있다. 6 내지 7년 경과한 원뿌리의 껍질과 우엉 모양을 한 잔뿌리들을 제거하여 그대로 또는 통째로 썰어서 말린 것을 대황이라 하는데, 이를 약용한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으로서 한약으로의 용도는 약용으로 완하, 건위, 행어통경에 효능이 있으며, 실연변비, 세균성하리, 혈뇨 등 치료제로서 쓰이고 민간은 화상에 쓰기도 한다.
대황(Rheum undulatum L)은 피자식물문 쌍떡입식물강의 여뀌과 식물에 해당되며, 다년초로 줄기는 곧추서고 속이 비었으며 높이 1.5m에 달하고 뿌리는 비대하며 황색이다. 근생엽은 자줏빛이 도는 긴 자루가 있고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 이 줄기를 반쯤 감싸고 깊은 심장저이며 5 내지 7맥이 있다. 꽃은 7 내지 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복총상화서는 가지와 줄기 끝에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꽃은 윤생한다. 꽃잎이 없고 꽃받침은 6열하며 수술은 9개, 화주는 3개이다. 과실은 수과로 원형이며 3릉이 있고 날개가 있으며 숙존성인 꽃받침에 싸여 있다. 대황속은 소리쟁이속에 비해 뿌리가 비후하다. 만주, 몽골, 다후리아 원산으로 건조한 산지의 사면에 나며 우리나라에서는 각지에 식재한다.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 대황 추출물은 비즈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1:1로 용해한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세모가사리 추출물 0.5 내지 1 중량부 및 대황 추출물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손으로 주름이 만들어지게 힘을 가하여 코팅층의 벗겨짐을 확인하는 경우,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열풍을 가하더라도 코팅이 녹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한지와 같은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주름이 생기는 정도로 외력이 가해지면, 주름이 생긴 부분 또는 경계면에서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열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코팅층이 녹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식품 등의 보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외력에 의해 코팅층이 쉽게 제거되면 안되고, 음식의 열에 의해 코팅층이 녹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비즈왁스만으로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열에 쉽게 녹아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주름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주름 부분에서 코팅층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방수 및 항균 효과가 상승하기는 하였으나, 앞서 비즈왁스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슷하게 코팅층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코팅 조성물에서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 대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항균 효과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열에 의해 녹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포장지는 기재층 및 상기 천연 코팅조성물이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지는 상기 천연 포장지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포장지는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유발하였다. 폐기 시, 땅속에서 분해되지 않아, 환경 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포장지는,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포장지로 사용이 편리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근래, 플라스틱 소재의 포장지에 대한 사용을 줄이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고, 이 중 천연 포장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니즈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한다.
다만, 천연 포장지는 물을 쉽게 흡수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포장지로의 역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토양 내에서 분해가 쉬워, 환경 오염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포장지는, 식품용 포장지로 활용 시, 물의 흡수 문제 및 외력에 의한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간단한 포장지로 사용되거나, 단시간 포장의 용도로 사용되는 정도로는 활용이 가능하였으나, 유통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포장지로의 제공은 불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코팅층을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지는,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외력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열에 의해 녹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포장지로 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식품용 포장지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코팅 조성물로 이용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코팅 조성물로, 상기 친환경인 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지 등의 기재에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는 방수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식품 포장지로 제공될 수 있고, 폐기 시 별도의 소각 없이 자연 분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코팅 조성물의 제조
천연 추출물의 제조
편백나무 잎을 건조시킨 후, 파쇄한 후, 추출용기에 넣어 40℃에서 수증기를 10시간동안 공급하였다. 이후,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관을 통해 상온에서 냉각하여 액화시켰다. 다음으로, 증기가 액화된 용액을 수층만 따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식을 활용하여, 둥굴레 추출물,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 대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의 제조
비즈왁스는 시중에서 구매하였으며, 비즈왁스를 중탕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동결건조된 분말을 에탄올 100 중량부에 1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은 9:1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혼합된 천연 추출물을 용해된 비즈왁스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비즈왁스 혼합 용액에 하기 표 1과 같이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 대황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하여 천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DY1 DY2 DY3 DY4 DY5 DY6
비즈왁스 혼합 용액 100 100 100 100 100 100
세모가사리 - 0.1 0.5 0.7 1 1.5
대황 - 0.1 0.5 0.7 1 1.5
(단위 중량부)
제조예 2
포장지의 제조
상기 DY1 내지 DY6의 코팅 조성물에 한지를 넣고, 열풍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켜 포장지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발수 효과의 확인
상기 포장지에 물방울을 떨어뜨리고, 발수각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전진 접촉각 (˚) 정지 접촉각 (˚) 후진 접촉각 (˚
Figure pat00001
)
DY1 117.1±2.9 112.1±4.1 < 10
DY2 121.1±3.9 120.1±2.2 < 10
DY3 138.9±3.0 138.9±2.7 139.8±3.7
DY4 136.9±2.0 135.6±2.6 140.4±3.4
DY5 135.6±2.5 137.6±3.6 142.1±1.2
DY6 118.9±0.7 112.4±1.4 < 10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포장지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 결과로, DY1, DY2 및 DY6은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어,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발수 효과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범위로 혼합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발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여, 방수 효과가 있는 포장지로의 제공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2
항균 효과
상기 포장지 내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 농도(CFU/mL) 24시간 후의 log(CFU/mL) 세균 감소율(%)
DY1 1.00ⅹ105 8.00ⅹ105 -
DY2 1.00ⅹ105 2.82 90.5
DY3 1.00ⅹ105 0 100
DY4 1.00ⅹ105 0 100
DY5 1.00ⅹ105 0 100
DY6 1.00ⅹ105 2.60 92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표 3에 따르면, DY1은 항균 효과가 없어,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장균의 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DY2 및 DY6은 상대적으로 세균 감소 정도가 미비한 것을 확인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혼합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지의 경우, 우수한 항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비즈왁스(Beeswax)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인
    천연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은 방수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천연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비즈 왁스 및 천연 추출물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인
    천연 코팅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및 둥굴레 추출물을 9:10 내지 9:12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천연 코팅 조성물.
  6.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인
    천연 포장지.
  7. 제6항에 따른 천연 포장지를 포함하는
    식품용 포장지.
KR1020200157156A 2020-11-20 2020-11-20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KR10248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56A KR102481106B1 (ko) 2020-11-20 2020-11-20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56A KR102481106B1 (ko) 2020-11-20 2020-11-20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30A true KR20220069730A (ko) 2022-05-27
KR102481106B1 KR102481106B1 (ko) 2022-12-23

Family

ID=8179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56A KR102481106B1 (ko) 2020-11-20 2020-11-20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140A1 (ko) 2022-06-08 2023-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반사능이 향상된 복사냉각 페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197A (ko) * 2009-08-31 2011-03-08 조춘남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
KR20190002812U (ko) * 2018-05-02 2019-11-12 김동은 허니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269B1 (ko) * 2018-11-07 2020-02-07 주식회사 손끝 밀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직물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직물 코팅방법
KR20200093101A (ko) 2019-01-25 2020-08-05 주식회사 스탠드팩 친환경 포장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197A (ko) * 2009-08-31 2011-03-08 조춘남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
KR20190002812U (ko) * 2018-05-02 2019-11-12 김동은 허니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269B1 (ko) * 2018-11-07 2020-02-07 주식회사 손끝 밀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직물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직물 코팅방법
KR20200093101A (ko) 2019-01-25 2020-08-05 주식회사 스탠드팩 친환경 포장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140A1 (ko) 2022-06-08 2023-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반사능이 향상된 복사냉각 페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106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farzadeh et al. Biodegradable green packaging with antimicrobial functions based on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tropical plants and their by-products
Corrêa et al. The past decade findings related with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molecule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Passiflora spp.(passion fruit)
Ribeiro-Santos et al. A novel insight on an ancient aromatic plant: The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KR20140058396A (ko) 액상 식물성 물질이 함침된 식물 기원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Siddiqui et al. Buchanania lanzan: a species of enormous potentials
CN102805115A (zh) 一种用于番茄灰霉病的植物源天然杀菌剂及其制备方法
KR102465627B1 (ko) 친환경, 신축성 및 형태 유지력이 있는 원단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Gautam et al. Effect of Punica granatum Linn.(peel) on blood glucose level in normal and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R102481106B1 (ko) 비즈 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방수 효과를 높인 천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포장지
Singh et al. The portent plant with a purpose: Aloe vera
Grover et al. Utilizing citrus peel waste: a review of essential oil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food-industry potential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CN111053937A (zh) 一种植物萃取家用除臭除异味消毒组合物及其制备方法
Mangla et al. Review of 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ical properties, extraction methods and toxicology of Lannea microcarpa (African Grapes)
Boakye et al. Artemisia scoparia: A review on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75793A (ja) 飲料用ホウトウクウ組成物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32464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항산화 탄소나노입자를 함유하고 점도가 감소된 천년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Irfan et al. Characterization of lemongrass oleoresins
KR101875738B1 (ko) 옻나무 잎, 씨앗의 옻 액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