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158A -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158A
KR20220068158A KR1020210154890A KR20210154890A KR20220068158A KR 20220068158 A KR20220068158 A KR 20220068158A KR 1020210154890 A KR1020210154890 A KR 1020210154890A KR 20210154890 A KR20210154890 A KR 20210154890A KR 20220068158 A KR20220068158 A KR 2022006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inoma
adenocarcinoma
cancers
cancer
cell carcin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호
Original Assignee
(주)지바이오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바이오로직스 filed Critical (주)지바이오로직스
Publication of KR2022006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32Lect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암세포에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처리한 결과 암세포의 세포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가 나타나고, 암 유발 동물 모델에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투여한 결과 체중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 없이 암조직의 크기 감소 및 생존율 증가 효과가 나타나며, 항암제와 복합, 혼합 또는 병용으로 투여하는 경우 상승적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암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recombinant stable galectin 9 protein}
본 발명은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에는 β-갈락토시드 구조를 지닌 당쇄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동물 렉틴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고, 지금까지 적어도 14종의 유전자가 동정되어 있다. 갈렉틴은 그 구조로부터 프로토형(prototype), 키메라형(chimera) 및 탠덤 리피트형(tandem repeat)으로 분류되어 있다.
탠덤 리피트형 갈렉틴의 하나인 갈렉틴 9는 2개의 당쇄 인식 부위(당 인식 도메인,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CRD)와 이들을 잇는 링크 펩티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링크 펩티드 영역에 의해 N 말단 도메인(N-terminal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NCRD)과 C 말단 도메인(C-terminal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CCRD)이 연결된 것으로, 현재까지 다방면에 걸친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T세포에 관해서 갈렉틴 9은 Tim-3에 결합하여 Tim-3 양성 Th1 세포의 아포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과잉의 Th1 반응을 저해시킴으로써 자가 면역성의 염증을 억제한다. 또한, Tim-3가 발현시키는 자가 면역 질환, 알레르기 및 암 등 여러 가지 난치성 질환의 원인 또는 악화 인자의 하나인 Th17 세포를 감소시킨다.
갈렉틴 9을 실제 치료제로서 이용하기 위해 갈렉틴 9의 1) 단백질 분해효소 민감성; 2) 저용해성; 및 3) 적은 수득량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갈렉틴 9의 링커 펩티드를 절단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 저항성을 갈렉틴 9 개변체(G9Null; 비특허문헌 1)를 제조하는 등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암은 신체의 조직 또는 다른 부분에 접하여 퍼져나갈 수 있는 조절되지 않는 세포의 비정상적 성장에 의한 질환으로, 암세포는 암세포가 함께 덩어리화되어 있는 고형종양을 형성하거나 백혈병에서와 같이 분산된 세포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정상세포는 성숙될 때까지 분화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서 손상되거나 죽은 세포를 교체하나, 암세포는 끊임없이 분화하여 결국 인근 세포를 밀어내고 다른 부분으로 퍼지게 되어 악성으로 불린다. 악성 종양 세포는 혈류 또는 림프계를 통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며, 여기에서 증식하고 새로운 종양을 형성한다.
또한, 암은 다양한 치료방법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인간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현재 주요 암 치료법으로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및, 화학 요법이 있으며, 그 중 화학 요법은 하나 이상의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을 직접 치료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은 가장 효과적인 암환자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항암제의 지속적 투여는 항암화학요법의 실패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세포가 항암제에 내성을 획득하게 되기 때문으로, 한 항암제에 내성을 획득하면 구조가 서로 다른 항암제에 대해서도 다중약물내성(Multidrug Resistance)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RAS protein은 세포의 분화, 증식 및 생존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mall GTPase protein이다. RAS family는 HRAS, NRAS, 및 KRAS의 세 가지의 isoform이 알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암종에서 mutation이 발견되는 oncogene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치사율이 높은 폐암, 대장암 및 췌장암 등에서 높은 빈도의 RAS mutation이 보고된 바 있으며, RAS-driven cancer의 약 85%는 KRAS mutation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KRAS의 active site에 mutation이 일어난 경우 GTPase-activating proteins(GAPs)에 의한 GTP hydrolysis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여 GTP-bound RAS protein의 cellular level이 증가하게 되고, 하위 신호전달체계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암세포의 증식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기존의 야생형 갈렉틴 9의 2개의 당쇄 인식 부위 중 C 말단 도메인(CCRD) 및 링크 펩티드의 아미노산이 결실 및 치환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암조직 크기 감소 및 암 유발 마우스 생존율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고, 또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과 항암제의 조합이 항암 효과에서 현저히 상승효과가 있어 복합, 혼합 또는 병용 항암제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281호 일본 등록특허 제5888761호 미국 등록특허 제9908921호
Nishi, N et al, FEBS Lett. 2005 Apr 11;579(10):2058-64. Hobbs, G.A, et al., RAS isoforms and mutations in cancer at a glance. J Cell Sci 2016, 129(7), 1287-92
본 발명의 목적은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를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암세포의 세포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체중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 없이 암 유발 마우스의 암조직 크기 감소 및 생존율 증가 효과를 나타내며, 항암제와 복합, 혼합 또는 병용으로 투여하여 상승적 항암 활성을 나타내므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은 KRAS 야생형 또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sGal-9)의 세포성장 억제(도 1a) 및 세포사멸 유도(도 1b)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인 DLD-1 세포에서 sGal-9의 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인 DLD-1 세포에서 sGal-9 및 EGFR 억제제인 엘로티닙(Erlotinib)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의 세포성장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sGal-9 및/또는 젬시타빈을 투여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의 체중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1) 분홍색: PBS(대조군)만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체중 변화 측정 결과(g)
(2) 주황색: 0.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체중 변화 측정 결과(g)
(3) 진녹색: 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체중 변화 측정 결과(g)
(4) 초록색: 50 ㎎/㎏의 젬시타빈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체중 변화 측정 결과(g)
(5) 파란색: 5 ㎎/㎏의 sGal-9과 50 ㎎/㎏의 젬시타빈을 병용투여 했을 때의 체중 변화 측정 결과(g)
도 5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sGal-9) 및/또는 젬시타빈(Gemcitabine) 투여 후 암조직의 크기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1) 분홍색: PBS(대조군)만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암조직 크기 변화 측정 결과(mm3)
(2) 주황색: 0.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암조직 크기 변화 측정 결과(mm3)
(3) 진녹색: 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암조직 크기 변화 측정 결과(mm3)
(4) 초록색: 50 ㎎/㎏의 젬시타빈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암조직 크기 변화 측정 결과(mm3)
(5) 파란색: 5 ㎎/㎏의 sGal-9과 50 ㎎/㎏의 젬시타빈을 병용투여 했을 때의 암조직 크기 변화 측정 결과(mm3)
도 6은 sGal-9 및/또는 젬시타빈을 투여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1) 분홍색: PBS(대조군)만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생존율 측정 결과(%)
(2) 주황색: 0.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생존율 측정 결과(%)
(3) 진녹색: 5 ㎎/㎏의 sGal-9를 단독 투여했을 때의 생존율 측정 결과(%)
(4) 초록색: 50 ㎎/㎏의 젬시타빈을 단독 투여했을 때의 생존율 측정 결과(%)
(5) 파란색: 5 ㎎/㎏의 sGal-9과 50 ㎎/㎏의 젬시타빈을 병용투여 했을 때의 생존율 측정 결과(%)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체중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 없이 암조직의 크기 감소 및 생존율 증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로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명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야생형 갈렉틴 9(wild type Galectin-9)의 당쇄 인식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프로테아제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분자 구조를 갖는 단백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NCRD-링커-CCRD의 구조를 가지는 야생형 갈렉틴 9의 2개의 CRD(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를 잇는 링크 영역 및 CCRD(C-terminal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C 말단 도메인)를 개변하여 제조한 재조합 단백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상기 링커 영역의 펩티드가 전부 결실되고, CCRD(서열번호 2)에서 1 내지 10 위치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3)이 결실 및 13 위치의 Ala(Alarine; A)가 Pro(Proline; P)로 치환된 것으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적화 서열, 태그(tag), 표지된 잔기, 반감기 또는 펩티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으로부터 1번째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는 뉴클레오티드가 결합된 중합체로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서열번호 1의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며,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동성"은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서열간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암은 (A) (1) 정위치 도관 암종(DCIS)(면포 암종, 사상, 유두, 미세유두), 침윤 도관 암종(IDC), 관 암종, 점액(콜로이드성) 암종, 유두 암종, 화생 암종 및 염증성 암종을 비롯한 도관 암종; (2) 정위치 소엽 암종(LCIS) 및 침윤성 소엽 암종을 비롯한 소엽 암종; 및 (3) 유두의 파제트 질환을 비롯한 유방 암; (B) (1)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I),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II)(정위치 편평 세포 암종), 각화성 편평 세포 암종, 비각화성 편평 세포 암종, 사마귀모양암종, 정위치 선암종, 정위치 선암종, 자궁경내막 타입, 자궁내막양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선상피 암종, 선낭 암종, 소 세포 암종 및 미분화 암종을 비롯한 자궁경부의 암; (2) 자궁내막양 암종, 선암종, 선극세포종(편평 상피화생을 갖는 선암종), 선상피 암종(혼합 선암종 및 편평 세포 암종, 점액 선암종, 장액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편평 세포 선암종 및 미분화 선암종을 비롯한 자궁체의 암; (3) 장액성 낭선종, 장액 낭선종, 점액 낭선종, 점액 낭선종, 자궁내막양 종양, 자궁내막양 선암종, 투명 세포 종양, 투명 세포 낭선종 및 미분류 종양을 비롯한 난소의 암; (4)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질의 암; 및 (5)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I),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II)(정위치 편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사마귀모양암종, 음문의 파제트 질환, 선암종(NOS), 기저 세포 암종(NOS) 및 바르톨린선 암종을 비롯한 외음부의 암을 포함한 여성 생식계의 암; (C) (1)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음경의 암; (2) 전립선의 선암종, 육종 및 이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전립선의 암; (3) 정상피종 종양, 비정상피종 종양, 기형종, 배아 암종, 난황낭 종양 및 융모막암종을 비롯한 고환의 암을 포함한 남성 생식계의 암; (D) 육종(혈관육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점액종, 횡문근종, 섬유종, 지방종 및 기형종을 비롯한 심장계의 암; (E) 후두의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흉막 중피종 및 인두의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호흡계의 암; (F) 편평 세포 암종(표피모양 암종), 편평 세포 암종의 변형, 방추 세포 암종, 소 세포 암종, 기타 세포의 암종, 중간 세포 타입의 암종, 복합 귀리 세포 암종, 선암종, 세엽 선암종, 유두 선암종, 기관지폐포 암종, 점액 형성 고형 암종, 거대 세포 암종, 거대 세포 암종, 투명 세포 암종 및 육종을 비롯한 폐의 암; (G) (1) 원발성 선암종, 카르시노이드 종양 및 림프종을 비롯한 바터(Vater) 팽대부의 암; (2) 선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흑색종을 비롯한 항문관의 암; (3) 정위치 암종, 선암종, 유두 선암종, 선암종, 창자형, 점액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선상피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소 세포(귀리) 암종, 미분화 암종, 암종(NOS), 육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간외 담관의 암; (4) 정위치 선암종, 선암종, 점액 선암종(콜로이드형; 50% 초과의 점액 암종), 반지 세포 암종(50% 초과의 반지 세포), 편평 세포(표피모양) 암종, 선상피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미분화 암종, 암종(NOS), 육종, 림프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결장 및 직장의 암; (5)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평활근육종 및 림프종을 비롯한 식도의 암; (6) 선암종, 선암종, 창자형, 선상피 암종, 정위치 암종, 암종(NOS), 투명 세포 선암종, 점액 선암종, 유두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미분화 암종을 비롯한 담낭의 암; (7)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입술 및 구강의 암; (8) 간암(간세포 암종), 담관암종, 간모세포종, 혈관육종, 간세포 선종 및 혈관종을 비롯한 간의 암; (9) 관 세포 암종, 다형태 거대 세포 암종, 거대 세포 암종, 오스테오클라스토이드(osteoclastoid)형, 선암종, 선상피 암종, 점액(콜로이드) 암종, 낭선종, acinar 세포 암종, 유두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혼합 세포형, 암종(NOS), 미분화 암종, 랑게르한스 도세포에서 발생하는 내분비 세포 종양 및 카르시노이드를 비롯한 외분비선 췌장의 암; (10) 세엽(샘꽈리) 세포 암종, 선낭 암종(원주종), 선암종, 편평 세포 암종, 다형태 선종에서의 암종(악성 혼합 종양), 점막표피모양 암종(잘 분화된 또는 낮은 등급) 및 점막표피모양 암종(불량하게 분화되거나 또는 높은 등급)을 비롯한 타액선의 암; (11) 선암종, 유두 선암종, 관상 선암종, 점액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선상피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소 세포 암종, 미분화 암종, 림프종, 육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위의 암; 및 (12) 선암종, 림프종, 카르시노이드 종양, 카포시 육종, 평활근종, 혈관종, 지방종, 신경섬유종증 및 섬유종을 비롯한 소장의 암을 포함한 위장관의 암; (H) (1) 신장 세포 암종, 벨리니 집합관의 암종, 선암종, 유두 암종, 관상 암종, 과립 세포 암종, 투명 세포 암종(신선암), 신장의 육종 및 신장모세포종을 비롯한 신장의 암; (2) 이행 세포 암종, 유두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신우 및 요관의 암; (3)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요도의 암; 및 (4) 정위치 암종, 이행 요로상피 세포 암종, 유두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미분화를 비롯한 방광의 암을 포함한 비뇨기계의 암; (I) (1) (a) 골형성: 골육종; (b) 연골-형성: 연골육종 및 중간엽 연골육종; (c) 거대 세포 종양, 악성; (d) 유잉 육종; (e) 혈관 종양: 혈관내피종, 혈관주위세포종 및 혈관육종; (f) 결합 조직 종양: 섬유육종, 지방육종, 악성 간엽종 및 미분화 육종; 및 (g) 기타 종양: 척삭종 및 장골의 범랑종을 비롯한 골의 암; (2) 폐포 연질부 육종, 혈관육종, 상피모양 육종, 골외성 연골육종, 섬유육종, 평활근육종, 지방육종, 악성 섬유 조직구종, 악성 혈관주위세포종, 악성 간엽종, 악성 슈반세포종, 횡문근육종, 활액 육종 및 육종(NOS)을 비롯한 연조직의 암; (3) 두개골의 암(골종, 혈관종, 육아종, 황색종, 변형성 골염), 수막의 암(수막종, 수막육종, 신경교종증), 뇌의 암(별아교세포종, 속질모세포종, 신경아교종, 뇌실막세포종, 종자세포종(솔방울샘종), 다형성아교모세포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슈반세포종, 망막모세포종, 선천성 종양) 및 척수의 암(신경섬유종증, 수막종, 신경아교종, 육종)을 비롯한 신경계의 암; (4) 골수성 백혈병(급성 및 만성),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골수증식 질환, 다발성 골수종;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호지킨병 및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을 비롯한 혈액암; (5) (a) 유두 암종(소포 부위의 것 포함), 소포 암종, 속질 암종 및 미분화(역형성) 암종을 비롯한 갑상선의 암; 및 (b) 교감신경모세포종, 교감신경원세포종, 악성 신경절신경종, 신경절교감신경모세포종 및 신경절신경종을 비롯한 신경모세포종을 포함하는 내분비계의 암; (6) 편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의 방추 세포 변형, 기저 세포 암종, 한선 또는 피지선으로부터 발생된 선암종 및 악성 흑색종을 비롯한 피부의 암; (7) (a) 결막의 암종을 비롯한 결막의 암; (b) 기저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안검의 흑색종 및 피지 세포 암종을 비롯한 안검의 암; (c) 선암종, 선낭 암종, 다형태 선종에서의 암종, 점액표피모양 암종 및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누선의 암; (d) 방추 세포 흑색종, 혼합 세포 흑색종 및 상피모양 세포 흑색종을 비롯한 포도막의 암; (e) 안와의 육종, 연조직 종양 및 골의 육종을 비롯한 안와의 암; 및 (f) 망막모세포종을 포함한 눈의 암을 포함한 근육, 골 및 연조직의 암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은 KRAS 유전자가 돌연변이 된 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KRAS 유전자가 돌연변이 된 암종으로 대장암, 췌장암, 폐암 및 난소암에 대한 본 발명의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KRAS 유전자는 여러 암에서 흔히 돌연변이 되는 RAS 유전자 가운데 하나로, KRAS 유전자의 코돈 12 및 13에서의 돌연변이는 상기 유전자의 산물인 p21-RAS 단백질의 기능적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그 결과 세포액에 성장 신호를 필요 이상으로 전달함으로써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여 발암과정에 관여한다, 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췌장암의 약 90%, 대장암의 약 50%, 피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s)의 약 30%에서 나타나는 등 사람의 암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에 운반될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주사제, 트로키제, 산제, 과립제, 액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좌제, 질정제 및 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에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를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암제의 예로는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니무스틴(Nimustine), 젬시타빈(Gemcitabine),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5-FU), 테가후르우라실(UFT), 독소루빈(Doxorub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플레오마이신(phleomy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에토포시드(etoposide), 액시티닙(Axitinib) 또는 타세바(Tarcev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농도는 0.01 내지 100 ㎎/㎏일 수 있고, 상기 항암제의 농도는 1 내지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의 본 발명의 의약 중 함량은 제제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가 하나의 단일제제로 제형화 되는 경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함량은 전체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9.99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0 wt% 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9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80 wt%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70 wt%이고, 항암제는 전체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9.99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0 wt%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8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70 wt%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60 wt%이다. 한편, 하나의 단일 제제로 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의약 중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의 함량비는 1 : 0.01 ~ 10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일 제제로 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의약 중 담체 등과 같은 첨가제의 함량은 가변적이기는 하나, 전체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99.00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1 내지 약 90 wt%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9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80 wt%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70 wt%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가 각각 따로 제제화되어 병용되는 경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는 제제 내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함량은 그 함유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9.99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약 99.99 wt%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9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80 wt%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80 wt%이다. 또한, 항암제를 함유하는 제제 내 함암제의 함량은 그 함유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99.99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약 99.9 wt%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9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80wt%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가 각각 따로 제제화되어 병용되는 경우, 담체 등과 같은 첨가제의 함량은 가변적이기는 하나, 각 함유 제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99.00 wt%이고, 구체적으로 약 1 내지 약 90 wt%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90 wt%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80 wt%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70 w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를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병용제 키트에 있어 병용제제의 각 성분의 함량, 함량비, 암에 대해서는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 및 상기 재조합 단백질 및 항암제의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제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RAS 야생형 또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췌장암, 폐암 및 난소암세포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투여한 결과,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세포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 및 엘로티닙을 병용처리한 결과, 세포성장 억제에 있어서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 또는 항암제를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상기 재조합 단백질 및 젬시타빈을 복합, 혼합 또는 병용투여한 결과, 체중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 없이 암조직의 크기 감소 및 생존율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재조합 단백질 및 항암제 각각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 병용투여한 경우, 현저한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이다. 일반적으로 대상은 인간 암 환자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대상은 사람이 아닌 영장류와 같은 비인간 포유동물, 모델 시스템에 사용된 동물(예를 들어, 약제의 스크리닝, 특징화 및 평가에 사용되는 마우스 및 랫트) 및 그 밖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 침팬지, 고릴라, 원숭이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암에 대한 내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가 나타나고, 부작용 없이 암조직의 크기 감소 및 생존율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른 성분들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제조예 1>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제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작하고, 상기 발현 벡터를 heat shock 방법에 의거하여 대장균(E. coli)에 도입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은, 대장균을 50 ㎍/㎖ kanamycin 함유 LB 배지로 배양하고, 600 nm에서의 흡광도가 0.7에 달한 시점에서 아라비노즈를 첨가하여,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여 행했다. 그 다음,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한 세포를 용해 및 여과하고, 표적 단백질을 양이온 교환방법 및 affinity 칼럼 등을 사용해 포획하여, 순도가 높은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높은 수율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Recombinant stable Galectin 9 protein, sGal-9) 및 항암제의 in vitro 항암 활성 확인
<1-1>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야생형 또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암세포주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후 세포성장 및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KRAS 야생형 췌장암 세포주로 HT-29,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로 DLD-1 세포, HCT-116 세포, SW620 세포, KRAS 야생형 췌장암 세포주로 Bx-pc3 세포,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췌장암 세포주로 L3.6pl 세포 및 AsPC-1 세포, KRAS 야생형 폐암 세포주로 H226 세포,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폐암 세포주로 A549 세포, KRAS 야생형 난소암 세포주로 SKOV3ip1 세포,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폐암 세포주로 SKOV3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3 개씩 분주하고, 37℃ 세포배양기에서 1일간 배양 후 상기 <제조예 1>의 재조합 단백질을 웰당 3.2, 16, 80, 400, 2000, 혹은 10,000 nM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후 SRB(sulforhodamine B) assay kit(abcam, U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절차에 따라 세포성장을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NIH3T3 세포를 이용하였다(도 1a).
또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인 DLD-1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씩 분주하고, 37℃ 세포배양기에서 1일간 배양 후 상기 <제조예 1>의 재조합 단백질을 1,000 nM로 처리하고 24시간 혹은 48시간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차가운 PBS로 2회 세척 후 Annexic-APC 및 7-AAD apoptosis kit(Biolegend, U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절차에 따라 염색 후, 유세포분석기(CytoFLEX, Beckmancoulter)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을 분석하였다(도 1b).
그 결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KRAS 야생형 또는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췌장암, 폐암 및 난소암 세포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1-2>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후 암세포 증식을 세포의 군체 형성능(colony formation)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인 DLD-1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3% v/v의 메트리겔이 포함된 배지에 5×103 개씩 분주하고, 상기 <제조예 1>의 재조합 단백질을 0, 50, 100, 250, 500, 1000 nM로 처리하고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인산염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에, 0.05 %의 크리스탈 바이올렛, 1 % 포름알데히드, 및 1 % 메탄올이 첨가된 인산염완충용액을 처리하고 2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켜 군체를 염색하였다. 그리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에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염색 후 건조된 플레이트의 사진을 찍어 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체의 수를 측정하였다 (도 2).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암 세포의 군체 형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재조합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항암제의 in vitro 항암 활성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항암제 병용처리에 의한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 및 항암제로 EGFR 억제제인 엘로티닙(Erlotinib, 브랜드명: 타세바(Tarceva))를 병용처리한 후 세포성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는 대장암 세포주인 DLD-1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3 개씩 분주하고, 엘로티닙은 일정 농도(3 uM)로 단독 또는 상기 <제조예 1>의 재조합 단백질과 병용 처리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의 재조합 단백질의 경우 웰당 3,2, 16, 80, 400, 2000, 혹은 10000 n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72시간 배양한 후 SRB(sulforhodamine B) assay kit(abcam, U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절차에 따라 세포성장을 확인하였다(도 3).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 및 엘로티닙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 비해 재조합 단백질 및 엘로티닙을 병용처리한 세포에서 세포성장 억제의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Recombinant stable Galectin 9 protein, sGal-9) 및 항암제의 in vivo 항암 활성 확인
<2-1>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또는 젬시타빈(Gemcitabine) 투여에 의한 체중 변화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 세포주인 MIA PaCa-2 세포를 이식하여 2주간 마우스 등 피하에 췌장암 조직을 형성시킨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지침(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NRC)'에 맞추어 상기 마우스를 관리하며 실시하였다. 평균 췌장암 크기가 200 mm3 인 마우스들을 모은 후 랜덤하게 5마리씩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총 5군(군당 5마리)으로 대조군(PBS),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저농도 투여군(sGal-9 0.5 ㎎/㎏), sGal-9 고농도 투여군(sGal-9 5 ㎎/㎏), 젬시타빈 투여군(Gemcitabine 50 ㎎/㎏), 및 sGal-9 및 젬시타빈 병용투여군(sGal-9 5 ㎎/㎏ + Gemcitabine 50 ㎎/㎏)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별 주어진 농도로 sGal-9을 주 2회 및/또는 젬시타빈을 주 1회, 50일 동안 복강 투여하면서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4).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sGal-9 저농도 투여군, sGal-9 고농도 투여군, 및 sGal-9 및 젬시타빈 병용투여군에서 유의한 체중의 변화는 없음을 확인하여 상기 sGal-9 단독 투여, 및 sGal-9 및 항암제 병용투여에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2-2>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또는 젬시타빈 투여에 의한 암조직 크기 변화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MIA PaCa-2) 유발 마우스 모델에 상기 실시예 <2-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sGal-9 및/또는 젬시타빈을 50일 투여하고, 췌장암조직의 크기 변화를 자기공명영상(MRI)로 확인하였다(도 5).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al-9 저농도 및 고농도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췌장암조직의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항암제보다 sGal-9이 낮은 농도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젬시타빈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 sGal-9 및 젬시타빈을 병용투여한 경우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2-3> 췌장암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및 젬시타빈의 생존율 변화 확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췌장암(MIA PaCa-2) 유발 마우스 모델에 상기 실시예 <2-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sGal-9 및/또는 젬시타빈을 50일 동안 투여하고, 생존율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6). 이때, 췌장암 조직의 크기가 1700 mm3 이상일 경우 사망시점으로 인지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al-9 저농도 및 고농도 투여군에서 생존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젬시타빈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 sGal-9 및 젬시타빈을 병용투여한 경우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10> GBiologics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recombinant stable galectin 9 protein <130> KP2160234-GBIO <150> KR 10-2020-0154641 <151> 2020-11-18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8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Gal-9 <400> 1 Met Ala Phe Ser Gly Ser Gln Ala Pro Tyr Leu Ser Pro Ala Val Pro 1 5 10 15 Phe Ser Gly Thr Ile Gln Gly Gly Leu Gln Asp Gly Leu Gln Ile Thr 20 25 30 Val Asn Gly Thr Val Leu Ser Ser Ser Gly Thr Arg Phe Ala Val Asn 35 40 45 Phe Gln Thr Gly Phe Ser Gly Asn Asp Ile Ala Phe His Phe Asn Pro 50 55 60 Arg Phe Glu Asp Gly Gly Tyr Val Val Cys Asn Thr Arg Gln Asn Gly 65 70 75 80 Ser Trp Gly Pro Glu Glu Arg Lys Thr His Met Pro Phe Gln Lys Gly 85 90 95 Met Pro Phe Asp Leu Cys Phe Leu Val Gln Ser Ser Asp Phe Lys Val 100 105 110 Met Val Asn Gly Ile Leu Phe Val Gln Tyr Phe His Arg Val Pro Phe 115 120 125 His Arg Val Asp Thr Ile Ser Val Asn Gly Ser Val Gln Leu Ser Tyr 130 135 140 Ile Ser Phe Gln His Pro Pro Tyr Pro Met Pro Phe Ile Thr Thr Ile 145 150 155 160 Leu Gly Gly Leu Tyr Pro Ser Lys Ser Ile Leu Leu Ser Gly Thr Val 165 170 175 Leu Pro Ser Ala Gln Arg Phe His Ile Asn Leu Cys Ser Gly Asn His 180 185 190 Ile Ala Phe His Leu Asn Pro Arg Phe Asp Glu Asn Ala Val Val Arg 195 200 205 Asn Thr Gln Ile Asp Asn Ser Trp Gly Ser Glu Glu Arg Ser Leu Pro 210 215 220 Arg Lys Met Pro Phe Val Arg Gly Gln Ser Phe Ser Val Trp Ile Leu 225 230 235 240 Cys Glu Ala His Cys Leu Lys Val Ala Val Asp Gly Gln His Leu Phe 245 250 255 Glu Tyr Tyr His Arg Leu Arg Asn Leu Pro Thr Ile Asn Arg Leu Glu 260 265 270 Val Gly Gly Asp Ile Gln Leu Thr His Val Gln Thr 275 280 <210> 2 <211> 14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CRD <400> 2 Thr Pro Ala Ile Pro Pro Met Met Tyr Pro His Pro Ala Tyr Pro Met 1 5 10 15 Pro Phe Ile Thr Thr Ile Leu Gly Gly Leu Tyr Pro Ser Lys Ser Ile 20 25 30 Leu Leu Ser Gly Thr Val Leu Pro Ser Ala Gln Arg Phe His Ile Asn 35 40 45 Leu Cys Ser Gly Asn His Ile Ala Phe His Leu Asn Pro Arg Phe Asp 50 55 60 Glu Asn Ala Val Val Arg Asn Thr Gln Ile Asp Asn Ser Trp Gly Ser 65 70 75 80 Glu Glu Arg Ser Leu Pro Arg Lys Met Pro Phe Val Arg Gly Gln Ser 85 90 95 Phe Ser Val Trp Ile Leu Cys Glu Ala His Cys Leu Lys Val Ala Val 100 105 110 Asp Gly Gln His Leu Phe Glu Tyr Tyr His Arg Leu Arg Asn Leu Pro 115 120 125 Thr Ile Asn Arg Leu Glu Val Gly Gly Asp Ile Gln Leu Thr His Val 130 135 140 Gln Thr 145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CRD 1-10 <400> 3 Thr Pro Ala Ile Pro Pro Met Met Tyr Pro 1 5 10 <210> 4 <211> 28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Gal-9_Met_del <400> 4 Ala Phe Ser Gly Ser Gln Ala Pro Tyr Leu Ser Pro Ala Val Pro Phe 1 5 10 15 Ser Gly Thr Ile Gln Gly Gly Leu Gln Asp Gly Leu Gln Ile Thr Val 20 25 30 Asn Gly Thr Val Leu Ser Ser Ser Gly Thr Arg Phe Ala Val Asn Phe 35 40 45 Gln Thr Gly Phe Ser Gly Asn Asp Ile Ala Phe His Phe Asn Pro Arg 50 55 60 Phe Glu Asp Gly Gly Tyr Val Val Cys Asn Thr Arg Gln Asn Gly Ser 65 70 75 80 Trp Gly Pro Glu Glu Arg Lys Thr His Met Pro Phe Gln Lys Gly Met 85 90 95 Pro Phe Asp Leu Cys Phe Leu Val Gln Ser Ser Asp Phe Lys Val Met 100 105 110 Val Asn Gly Ile Leu Phe Val Gln Tyr Phe His Arg Val Pro Phe His 115 120 125 Arg Val Asp Thr Ile Ser Val Asn Gly Ser Val Gln Leu Ser Tyr Ile 130 135 140 Ser Phe Gln His Pro Pro Tyr Pro Met Pro Phe Ile Thr Thr Ile Leu 145 150 155 160 Gly Gly Leu Tyr Pro Ser Lys Ser Ile Leu Leu Ser Gly Thr Val Leu 165 170 175 Pro Ser Ala Gln Arg Phe His Ile Asn Leu Cys Ser Gly Asn His Ile 180 185 190 Ala Phe His Leu Asn Pro Arg Phe Asp Glu Asn Ala Val Val Arg Asn 195 200 205 Thr Gln Ile Asp Asn Ser Trp Gly Ser Glu Glu Arg Ser Leu Pro Arg 210 215 220 Lys Met Pro Phe Val Arg Gly Gln Ser Phe Ser Val Trp Ile Leu Cys 225 230 235 240 Glu Ala His Cys Leu Lys Val Ala Val Asp Gly Gln His Leu Phe Glu 245 250 255 Tyr Tyr His Arg Leu Arg Asn Leu Pro Thr Ile Asn Arg Leu Glu Val 260 265 270 Gly Gly Asp Ile Gln Leu Thr His Val Gln Thr 275 280

Claims (13)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으로부터 1번째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KRAS 돌연변이를 가지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A) (1) 정위치 도관 암종(DCIS)(면포 암종, 사상, 유두, 미세유두), 침윤 도관 암종(IDC), 관 암종, 점액(콜로이드성) 암종, 유두 암종, 화생 암종 및 염증성 암종을 비롯한 도관 암종; (2) 정위치 소엽 암종(LCIS) 및 침윤성 소엽 암종을 비롯한 소엽 암종; 및 (3) 유두의 파제트 질환을 비롯한 유방 암; (B) (1)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I),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등급 III)(정위치 편평 세포 암종), 각화성 편평 세포 암종, 비각화성 편평 세포 암종, 사마귀모양암종, 정위치 선암종, 정위치 선암종, 자궁경내막 타입, 자궁내막양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선상피 암종, 선낭 암종, 소 세포 암종 및 미분화 암종을 비롯한 자궁경부의 암; (2) 자궁내막양 암종, 선암종, 선극세포종(편평 상피화생을 갖는 선암종), 선상피 암종(혼합 선암종 및 편평 세포 암종, 점액 선암종, 장액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편평 세포 선암종 및 미분화 선암종을 비롯한 자궁체의 암; (3) 장액성 낭선종, 장액 낭선종, 점액 낭선종, 점액 낭선종, 자궁내막양 종양, 자궁내막양 선암종, 투명 세포 종양, 투명 세포 낭선종 및 미분류 종양을 비롯한 난소의 암; (4)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질의 암; 및 (5)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I), 외음부 상피내 종양(등급 III)(정위치 편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사마귀모양암종, 음문의 파제트 질환, 선암종(NOS), 기저 세포 암종(NOS) 및 바르톨린선 암종을 비롯한 외음부의 암을 포함한 여성 생식계의 암; (C) (1)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음경의 암; (2) 전립선의 선암종, 육종 및 이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전립선의 암; (3) 정상피종 종양, 비정상피종 종양, 기형종, 배아 암종, 난황낭 종양 및 융모막암종을 비롯한 고환의 암을 포함한 남성 생식계의 암; (D) 육종(혈관육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점액종, 횡문근종, 섬유종, 지방종 및 기형종을 비롯한 심장계의 암; (E) 후두의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흉막 중피종 및 인두의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호흡계의 암; (F) 편평 세포 암종(표피모양 암종), 편평 세포 암종의 변형, 방추 세포 암종, 소 세포 암종, 기타 세포의 암종, 중간 세포 타입의 암종, 복합 귀리 세포 암종, 선암종, 세엽 선암종, 유두 선암종, 기관지폐포 암종, 점액 형성 고형 암종, 거대 세포 암종, 거대 세포 암종, 투명 세포 암종 및 육종을 비롯한 폐의 암; (G) (1) 원발성 선암종, 카르시노이드 종양 및 림프종을 비롯한 바터(Vater) 팽대부의 암; (2) 선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흑색종을 비롯한 항문관의 암; (3) 정위치 암종, 선암종, 유두 선암종, 선암종, 창자형, 점액 선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선상피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소 세포(귀리) 암종, 미분화 암종, 암종(NOS), 육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간외 담관의 암; (4) 정위치 선암종, 선암종, 점액 선암종(콜로이드형; 50% 초과의 점액 암종), 반지 세포 암종(50% 초과의 반지 세포), 편평 세포(표피모양) 암종, 선상피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미분화 암종, 암종(NOS), 육종, 림프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결장 및 직장의 암; (5)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평활근육종 및 림프종을 비롯한 식도의 암; (6) 선암종, 선암종, 창자형, 선상피 암종, 정위치 암종, 암종(NOS), 투명 세포 선암종, 점액 선암종, 유두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미분화 암종을 비롯한 담낭의 암; (7)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입술 및 구강의 암; (8) 간암(간세포 암종), 담관암종, 간모세포종, 혈관육종, 간세포 선종 및 혈관종을 비롯한 간의 암; (9) 관 세포 암종, 다형태 거대 세포 암종, 거대 세포 암종, 오스테오클라스토이드(osteoclastoid)형, 선암종, 선상피 암종, 점액(콜로이드) 암종, 낭선종, acinar 세포 암종, 유두 암종, 소 세포(귀리 세포) 암종, 혼합 세포형, 암종(NOS), 미분화 암종, 랑게르한스 도세포에서 발생하는 내분비 세포 종양 및 카르시노이드를 비롯한 외분비선 췌장의 암; (10) 세엽(샘꽈리) 세포 암종, 선낭 암종(원주종), 선암종, 편평 세포 암종, 다형태 선종에서의 암종(악성 혼합 종양), 점막표피모양 암종(잘 분화된 또는 낮은 등급) 및 점막표피모양 암종(불량하게 분화되거나 또는 높은 등급)을 비롯한 타액선의 암; (11) 선암종, 유두 선암종, 관상 선암종, 점액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선상피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소 세포 암종, 미분화 암종, 림프종, 육종 및 카르시노이드 종양을 비롯한 위의 암; 및 (12) 선암종, 림프종, 카르시노이드 종양, 카포시 육종, 평활근종, 혈관종, 지방종, 신경섬유종증 및 섬유종을 비롯한 소장의 암을 포함한 위장관의 암; (H) (1) 신장 세포 암종, 벨리니 집합관의 암종, 선암종, 유두 암종, 관상 암종, 과립 세포 암종, 투명 세포 암종(신선암), 신장의 육종 및 신장모세포종을 비롯한 신장의 암; (2) 이행 세포 암종, 유두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신우 및 요관의 암; (3)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을 비롯한 요도의 암; 및 (4) 정위치 암종, 이행 요로상피 세포 암종, 유두 이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미분화를 비롯한 방광의 암을 포함한 비뇨기계의 암; (I) (1) (a) 골형성: 골육종; (b) 연골-형성: 연골육종 및 중간엽 연골육종; (c) 거대 세포 종양, 악성; (d) 유잉 육종; (e) 혈관 종양: 혈관내피종, 혈관주위세포종 및 혈관육종; (f) 결합 조직 종양: 섬유육종, 지방육종, 악성 간엽종 및 미분화 육종; 및 (g) 기타 종양: 척삭종 및 장골의 범랑종을 비롯한 골의 암; (2) 폐포 연질부 육종, 혈관육종, 상피모양 육종, 골외성 연골육종, 섬유육종, 평활근육종, 지방육종, 악성 섬유 조직구종, 악성 혈관주위세포종, 악성 간엽종, 악성 슈반세포종, 횡문근육종, 활액 육종 및 육종(NOS)을 비롯한 연조직의 암; (3) 두개골의 암(골종, 혈관종, 육아종, 황색종, 변형성 골염), 수막의 암(수막종, 수막육종, 신경교종증), 뇌의 암(별아교세포종, 속질모세포종, 신경아교종, 뇌실막세포종, 종자세포종(솔방울샘종), 다형성아교모세포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슈반세포종, 망막모세포종, 선천성 종양) 및 척수의 암(신경섬유종증, 수막종, 신경아교종, 육종)을 비롯한 신경계의 암; (4) 골수성 백혈병(급성 및 만성),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골수증식 질환, 다발성 골수종;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호지킨병 및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을 비롯한 혈액암; (5) (a) 유두 암종(소포 부위의 것 포함), 소포 암종, 속질 암종 및 미분화(역형성) 암종을 비롯한 갑상선의 암; 및 (b) 교감신경모세포종, 교감신경원세포종, 악성 신경절신경종, 신경절교감신경모세포종 및 신경절신경종을 비롯한 신경모세포종을 포함하는 내분비계의 암; (6) 편평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의 방추 세포 변형, 기저 세포 암종, 한선 또는 피지선으로부터 발생된 선암종 및 악성 흑색종을 비롯한 피부의 암; (7) (a) 결막의 암종을 비롯한 결막의 암; (b) 기저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안검의 흑색종 및 피지 세포 암종을 비롯한 안검의 암; (c) 선암종, 선낭 암종, 다형태 선종에서의 암종, 점액표피모양 암종 및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누선의 암; (d) 방추 세포 흑색종, 혼합 세포 흑색종 및 상피모양 세포 흑색종을 비롯한 포도막의 암; (e) 안와의 육종, 연조직 종양 및 골의 육종을 비롯한 안와의 암; 및 (f) 망막모세포종을 포함한 눈의 암을 포함한 근육, 골 및 연조직의 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근육내 투여용, 정맥내 투여용, 복강내 투여용, 피하 투여용, 피내 투여용, 또는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주사제, 트로키제, 산제, 과립제, 액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좌제, 질정제 및 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항암제를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니무스틴(Nimustine), 젬시타빈(Gemcitabine), 파이브에프유(5-Fluorouracil, 5-FU), 테가후르우라실(UFT), 독소루빈(Doxorub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플레오마이신(phleomy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에토포시드(etoposide), 액시티닙(Axitinib), 타세바(Tarcev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기존 항암제의 배합비는,
    1 : 0.01 중량부 내지 1 : 10 중량부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제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제제를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적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 캡슐제, 주사제, 트로키제, 산제, 과립제, 액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좌제, 질정제 및 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 혼합 또는 병용제 키트.
  13.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154890A 2020-11-18 2021-11-11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68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4641 2020-11-18
KR1020200154641 2020-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58A true KR20220068158A (ko) 2022-05-25

Family

ID=8170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890A KR20220068158A (ko) 2020-11-18 2021-11-11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4712A1 (ko)
JP (1) JP2023550415A (ko)
KR (1) KR20220068158A (ko)
CN (1) CN116615244A (ko)
CA (1) CA3199417A1 (ko)
WO (1) WO2022108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8A (ko) * 2022-08-31 2024-03-12 (주)지바이오로직스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루푸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81B1 (ko) 2004-03-29 2013-01-28 가르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신규 갈렉틴 9 개변체 단백질 및 그 용도
JP5888761B2 (ja) 2012-11-20 2016-03-22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ガレクチン9の改変タンパク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81B1 (ko) 2004-03-29 2013-01-28 가르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신규 갈렉틴 9 개변체 단백질 및 그 용도
JP5888761B2 (ja) 2012-11-20 2016-03-22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ガレクチン9の改変タンパク質
US9908921B2 (en) 2012-11-20 2018-03-0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Modified galectin-9 protei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bbs, G.A, et al., RAS isoforms and mutations in cancer at a glance. J Cell Sci 2016, 129(7), 1287-92
Nishi, N et al, FEBS Lett. 2005 Apr 11;579(10):2058-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8243A1 (ko) 2022-05-27
CN116615244A (zh) 2023-08-18
US20230414712A1 (en) 2023-12-28
CA3199417A1 (en) 2022-05-27
JP2023550415A (ja)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8158A (ko) 재조합 안정화 갈렉틴 9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212309A (zh) 预防癌症复发,抑制或逆转正常组织炎症化和癌化的方法、应用和药物
KR102261371B1 (ko) CP2c 표적 펩티드 기반 항암제
Zhuo et al. Gpnmb/osteoactivin: An indicator and therapeutic target in tumor and nontumorous lesions
US8188044B2 (en) Anti-tumor drug, medica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2014114292A (ja) 抗腫瘍薬、医薬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2509715B1 (ko) 암의 전이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CA2894948C (en) Use of antisecretory factor (af) in glioblastoma treatment
ES2870909T3 (es) Usos de un compuesto en la preparación de fármacos para el tratamiento del glioma cerebral
US9539306B2 (en) Anti-tumor drug, medica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11132991B (zh) 用于抑制血管生成的肽及其用途
KR101720610B1 (ko) Stat3 저해활성을 갖는 토목향 헥산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365187A1 (en) Peptide having anticancer activity, and use thereof
US7906621B2 (en) Anti-tumor drug, medica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2337860B1 (ko) 슈와크만-보디안-다이아몬드 증후군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US8372810B2 (en) Anti-tumor drug, medica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1992694A1 (en) Anti-tumor drug, medica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200130137A (ko) 마그놀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증, 근감소증 또는 근조직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21988A (ko) 사이클로필린 a 저해제 및 아파티닙을 포함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26893A (ko) 연수막 질환의 치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