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050A - 석재곡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석재곡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050A
KR20220068050A KR1020200154957A KR20200154957A KR20220068050A KR 20220068050 A KR20220068050 A KR 20220068050A KR 1020200154957 A KR1020200154957 A KR 1020200154957A KR 20200154957 A KR20200154957 A KR 20200154957A KR 20220068050 A KR20220068050 A KR 2022006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oving
frame
curve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274B1 (ko
Inventor
유초롱
Original Assignee
유초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초롱 filed Critical 유초롱
Priority to KR102020015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05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재의 연속적인 자동화 작업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석재곡면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재곡면가공장치는, 석재가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석재가 가공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석재곡면가공장치로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위에 석재가 안착되는 탑재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석재표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제 1회전체 및 제 2회전체;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체 및 제 2회전체에 결합되며 석재가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커팅 와이어; 및 상기 커팅 와이어가 석재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가공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곡면가공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curved surface of stone}
본 발명은 석재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의 연속적인 자동화 작업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석재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산에서 생산되는 석재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형태로 채취된다. 그러나 채취한 그대로 건축자재 또는 토목자재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패널, 경계석, 블록, 조경용 블록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는 석재는 일반적으로 절단하거나 절삭 등을 하기 위해서 주로 톱니를 형성하여 회전 운동함에 따라 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원형 톱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원형 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표면은 매끄럽지 않고,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석재를 각 사용처에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연마, 가공하는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재가공에서 판형 또는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가공하는 것은 쉽지 않아 건축자재나 토목자재로 사용되는 석재 중 곡면 처리된 석재는 숙련된 작업자가 통상 대형의 절단기와 핸드 그라인더, 또는 핸드 컷터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 생산해야 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와 컨디션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되어 불량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생산성의 저조나 제조원가가 극대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석재 구조물은 대부분의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래 들어서 일부 공정을 신속하게 가공하기 위한 자동 석재 가공장치들이 계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제안 기술로는, 가령, 절단된 석재의 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607848호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892938호 등이 있으나, 이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석재를 이용하여 석재 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불과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석재를 절단함과 동시에 곡면 가공되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76275호(발명의 명칭: 석재곡면 절단 가공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88080호(발명의 명칭: 라운드형 경계석 제조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재의 연속적인 자동화 작업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석재곡면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재곡면가공장치는, 석재가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석재가 가공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석재곡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위에 석재가 안착되는 탑재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석재표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으로 회전되며 제 1회전체 및 제 2회전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에 결합되며 석재를 가공하는 커팅 와이어; 및 상기 커팅 와이어가 석재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가공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적외선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와의 거리 및 석재의 외형크기를 감지하는 석재감지부;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표면를 가공하기 위한 형상정보가 압력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형상입력부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재감지부는, 상기 석재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측면과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수평감지센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상단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직감지센서; 및 상기 수평감지센서와 상기 수직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입체적 크기를 측정하는 석재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처리부는,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 표면의 형상에 대하여 2차원의 단면형상 또는 3차원의 형상으로 표현되는 형상정보가 입력되는 형상입력부; 상기 형상정보에 입력된 형상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치정보를 계산하는 수치계산부; 및 상기 수치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수치정보에 따라 동작 시 오류를 점건하는 수치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점검부에 의해 상기 수치정보의 정상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장치제어부로 수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이동로드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로드 연결부재; 및 상기 탑재판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탑재판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판은, 상기 곡선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곡선 프레임 지지대; 및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는, 상기 곡선 프레임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의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제 1회전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 1회전체에 전달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제 2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커팅 와이어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이동링크; 및 상기 수직 이동링크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이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링크는, 톱니 모양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이동링크와 대응되는 톱니모양으로 상기 수직 이동링크와 맞물려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는, 상기 석재가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에 결합되는 곡선 프레임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가 동시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의 상기 지지대 받침판은, 상기 장치제어부에 입력되는 수치정보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석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석재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석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치제어부에 입력되는 수치정보에 따라서 상기 곡선프레임이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석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곡선 프레임와 석재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곡선 프레임과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이 동작하여 가공되는 석재 표면의 곡선 형상과 상기 형상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형상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석재곡면의 가공 정확도를 측정하는 동작점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석재를 곡면으로 가공하는데 있어서, 가공장치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던 석재 가공을 가공장치에 의해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공장치에 의해 정밀하게 작업함으로써 불량발생빈도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석재곡면가공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석재곡면가공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과 수직 이동링크의 표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로써,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석재곡면가공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석재곡면가공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1)는, 석재(10)가 이동로드(12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수단(100), 석재(10)가 가공되는 가공수단(300) 및 가공수단(3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수단(4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석재곡면가공장치(1)의 기계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수단(100)은 이동로드(12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130)과 이동판(130) 위에 석재가 안착되는 탑재판(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판(130)이 이동로드(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판에 결합되고 이동판(130)과 이동로드(120)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로드 연결부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탑재판(110)이 이동판(13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되기 위해 탑재판(110)과 이동판(130) 사이에 탑재판 지지대(14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이동로드(120)는 판상의 막대 모양으로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수평으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석재(10)가 가공됨으로써 발생되는 석재가루 등의 이물질이, 세워진 이동로드(120)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장치 및 가공 공정에 주는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동로드(120)가 판상의 막대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판(130)과 이동로드(120)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로드 연결부재(150)는 이동로드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이동로드(1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밸트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 밸트에는 이동판(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프레임(125)이 구비되는 등의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판(130)은 컨베이어 밸트와 유사한 크기로 구성되고, 또한 이동로드 연결부재(150)는 이동판(13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기둥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탑재판 지지대(140) 역시 이동로드 연결부재(150)와 마찬가지로 기둥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예시 형태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가공수단(300)은, 석재 표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40), 구동모터(340)가 제공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 1회전체(310a) 및 제 2회전체(310b) 및 석재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커팅 와이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수단(100)은 커팅 와이어(30)가 석재 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1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회전체(310a) 및 제 2회전체(310b)의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3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팅 와이어(30)는 제 1회전체(310a) 및 제 2회전체(310b)와 결합되며, 구동모터(340)가 동력을 제 1회전체(310a)에 제공하면 제 1회전체(310a)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1회전체(310a)에 결합된 커팅 와이어(30)에 의해 제 2회전체(310b)가 동시에 회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340)가 제공하는 동력이 제 1회전체(310a)에 전달되기 위해 제 1회전체(310a)는 제 1회전축(320a)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회전축(320a)은 와이어 구동모터(340)와 밸트(미도시) 등으로 연결된 회전링크(330)를 통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모터(340)가 회전링크(330)를 통해 제 1회전축(320a)를 회전시키면 제 1회전축(320a)과 결합된 제 1회전체(310a)가 회전되고, 제 1회전체(310a) 및 제 2회전체(310b)와 결합되어 있는 커팅 와이어(30)를 통해 제 1회전체(310a)의 회전력이 제 2회전체(310b)로 전달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에 구비되는 가공 수단(300)은, 회전링크(330)와 결합되며 제 1회전축(320a)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36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회전축(320a)이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360a)와의 안정적인 결합에 따른 원활한 회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회전체(310a)와 마찬가지로, 제 2회전체(310b)는 제 2회전축(320b)과 결합되고 제 2회전축(320b)이 지지되는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3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360b)는 커팅 와이어(30)가 석재(10)를 가공하기 위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이동링크(3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직 이동링크(38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밸트(미도시)로 연결된 수직 이동모터(370)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360b)는 커팅 와이어(30)를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17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곡선 프레임 연결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이동되는 커팅 와이어(30)가 곡선 프레임(17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곡선 프레임(17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곡선 프레임(170)이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곡선 프레임(170)과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90)를 통해 상기 곡선 프레임(170) 이외에 다른 여러 형태의 프레임을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석재(10)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는 이동판(120)과 결합됨으로써 석재와 함께 이동되는 구성을 가질 있는데, 이를 위해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가 이동판(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받침판(160)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지지수단(200)은, 가공수단(300)이 지면에 고정되어 흔들림 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수단(200)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판(230), 받침판(230)에 결합되며 가공수단(200)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공수단(200)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 및 수직 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이동수단(100)이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 사이에 위치 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프레임(210)은, 가공수단(300)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 제 1연결 부재(360a) 및 수직 프레임 제 2연결 부재(360b)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 제 1연결 부재(360a) 및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360b)가 동시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곡면가공장치는,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360a) 및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360b)의 고정을 위한 고정 프레임(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과 수직 이동링크의 표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 프레임(210)은 수직 프레임(210)을 따라 상하 이동 되는 수직 이동링크(38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프레임(210)과 수직 이동링크(38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이들 사이에 상호 대응되는 톱니 모양의 연결부가 형성됨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 프레임(210)과 수직 이동링크(380)가 톱니 모양 등을 통해 맞물림으로써, 수직 이동모터(37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수직 이동링크(380)가 구동되면, 수직 이동링크(380)의 회전으로 톱니 모양을 통해 맞물린 수직 프레임(210)을 따라 커팅 와이어(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수직 이동링크(380)가 커팅 와이어(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일 예시 형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 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210)과 수직 이동링크(38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되며, 수직 이동링크(380)의 회전을 통해 커팅 와이어(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공지 기술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수단(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감지부(410), 정보처리부(420) 및 장치제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석재감지부(410)는 가공을 위해 탑재판(110)에 안착되는 석재에 대한 정확한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의 측면과 석재(10)의 측면과의 간격을 감지하기 위한 수평방향 감지센서(411), 수평 프레임(220)의 하단면과 석재(10)의 상단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수직방향 감지센서(412) 및 수평방향 감지센서(411)와 수직방향 감지센서(412)에서 감지되는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석재의 위치 및 석재(10)의 외형 형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석재인식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방향 감지센서(411)와 수직방향 감지센서(412)는 적외선 거리감지 방식의 센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거리를 감지하고자 하는 사물객체와 비접촉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 라이다(LIDAR)센서, 레이더(RADAR)센서 또는 카메라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석재인식부(413)는 수평방향 감지센서(411)와 수직방향 감지센서(412)에서 감지되는 측정정보를 활용하여 탑재판(110) 위에 안착된 석재(10)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석재(10)의 외형 크기, 더 자세하게는 이동판(130)에 안착된 석재(10)의 높이와 수직 프레임(210) 사이에서의 석재(10)의 폭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석재인식부(413)는 탑재판(110) 위에 석재(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판(130)이 이동로드(120)를 따라서 이동 시 수직방향 감지센서(412)가 수평 프레임(220)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고, 이동판(130)이 이동하는 도중의 측정되는 결과를 비교하여 석재(10)의 높이 및 이동로드(120)가 형성되는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가로길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석재인식부(413)는 수직방향 감지센서(412)와 석재(1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탑재판(110) 또는 이동판(130)과의 간격이 입력된 상태에서 석재(10)가 탑재판(110)에 안착되면, 수직방향 감지센서(412)는 이동판(130)이 이동로드(12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여 이동판(130)의 위치에 따른 측정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석재인식부(413)는 이동판(130)의 위치에 따라서 측정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수직방향 감지센서(412)와 탑재판(110) 또는 이동판(130) 사이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석재(10)의 높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석재(10)의 높이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판(130)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석재(10)의 가로길이를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 감지센서(411)는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에서 석재(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석재(10)를 감지하도록 형성되어 석재(10)의 거리를 감지하는 동시에 탑재판(110)에 안착되는 석재(10)의 폭 즉, 수직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되는 석재(10)의 측면 폭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석재인식부(413)는 수직방향 감지센서(412)로부터 석재(10)의 높이와 가로길이, 수평방향 감지센서(411)로부터 석재(10)의 폭을 감지하여 탑재판(110)에 안착되는 석재(10)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석재(10)의 폭은 수직방향 감지센서(412)에서 감지되는 가로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말하며, 폭 대신에 세로길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부(420)는 석재(10)를 가공 시 원하는 곡면으로 가공하기 위한 형상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도면으로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입력부(421)와 형상입력부(421)에 입력된 형상정보를 분석하여 이동수단(100)과 가공수단(300)을 제어하기 위한 수치정보로 환산하는 수치계산부(422) 및 수치계산부(422)에서 환산된 수치정보에 의해 이동수단(100)과 가공수단(300)이 동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점검하는 수치점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형상입력부(421)는 석재(10)의 가공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A)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형상정보의 형태는 오토캐드 3D캐드, 카티아, CREO(Computer Aided draft of Design), 이노베이터, 솔리드웍스, NX UG등으로부터 생성되는 파일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공하고자 하는 곡면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면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양식으로 형상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수치계산부(422)는 형상입력부(421)로부터 입력받은 형상정보를 분석하여 가공수단(300)과 이동수단 즉, 이동링크(380)의 상하 움직임이나, 이동판(130)의 위치 선정 등 곡면의 형상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수치로 환산하여 수치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치점검부(423)는 수치계산부(422)에서 계산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석재곡면가공장치(1)의 각 구성이 동작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사전에 점검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점검부(423)는 형상입력부(421)에서 인식된 석재(10)에 대하여 가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사전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석재(10)의 크기에 따라서 곡선 프레임(170) 또는 가공수단(300)의 상하 움직임과의 간섭 발생 여부 등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전 점검 결과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치제어부(430)에 의해 석재가공이 진행되도록 하며, 간섭 발생 가능성이 확인되는 등 이상여부가 파악되면, 확인된 이상여부에 대하여 관리자 서버(A)로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장치제어부(430)는 정보처리부(420)의 수치계산부(422)에서 계산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수단(100)과 가공수단(300)을 포함하는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수치점검부(423)에서 사전 점검 결과 정상이 판정되면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장치제어부(430)는 탑재판(110)에 안착된 석재(10)에 대하여 곡면 가공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커팅 와이어(30)에 의해 절삭되는 석재(10)의 단면 형상을 분석하여 형상입력부(421)에 입력된 형상정보의 내용과 비교하도록 동작점검부(4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점검부(431)는 카메라 센서 방식을 이용하여 가공되는 석재의 곡면 형상을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으며, 가공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곡면 형상을 인식하여 형상정보에서 확인되는 곡면 형상과 비교하도록 하여 석재의 곡면가공에 대한 완성도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작점검부(431)는 카메라 센서 방식을 이용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절삭되는 석재의 곡면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이동판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곡선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130)과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받침판(160)은 형성되는 길이 방향 즉,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와 이동판(1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석재(10)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 와이어(30)가 최초 석재(10)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석재인식부(413)에 의해 탑재판(110)에 안착된 석재(10)의 위치가 정확히 인식된 상태에서 지지대 받침판(160)의 동작하여 커팅 와이어(30)가 석재(10)의 상단면에 최초 접하게 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와 곡선 프레임(17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19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9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서 곡선 프레임(170)이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로부터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가공과정에서 곡선 프레임(170)이 전후방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곡선 프레임(170)에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커팅 와이어가 가공할 수 있는 곡면의 폭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90) 또는 지지대 받침판(160)의 동작 여부는 수치계산부(422)에서 도출될 수 있으며, 수치계산부(422)는 사전에 설치된 곡선 프레임(170)에 대한 곡률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여 곡선 프레임(170)의 동작 여부 및 곡선 프레임 지지대(180)와 이동판(130)의 간격 조절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이동수단 300 : 가공수단
110 : 탑재판 310a : 제 1회전체
120 : 이동로드 310b : 제 2회전체
130 : 이동판 320a : 제 1회전축
140 : 탑재판 지지대 320b : 제 2회전축
150 : 이동로드 연결부재 330 : 회전링크
160 : 지지대 받침판 340 : 구동모터
170 : 곡선 프레임 350 : 곡선 프레임 연결부재
180 : 곡선 프레임 지지대 360a :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
190 : 연결부재 360b :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
370 : 수직 이동모터
380 : 수직 이동링크
390 : 고정 프레임
200 : 지지수단
210 : 수직 프레임 400 : 제어수단
220 : 수평 프레임 410 : 석재감지부
230 : 받침판 411 : 수평방향 감지센서
412 : 수직방향 감지센서
10 : 석재 413 : 석재인식부
30 : 커팅 와이어 420 : 정보처리부
35 : 보호커버 421 : 형상입력부
422 : 수치계산부
423 : 수치점검부
430 : 장치제어부
431 : 동작점검부

Claims (10)

  1. 석재가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석재가 가공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석재곡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위에 석재가 안착되는 탑재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석재표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으로 회전되며 제 1회전체 및 제 2회전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에 결합되며 석재를 가공하는 커팅 와이어; 및
    상기 커팅 와이어가 석재표면을 곡면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가공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적외선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와의 거리 및 석재의 외형크기를 감지하는 석재감지부;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표면를 가공하기 위한 형상정보가 압력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형상입력부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감지부는,
    상기 석재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측면과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수평감지센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상단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직감지센서; 및
    상기 수평감지센서와 상기 수직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판에 안착되는 석재의 입체적 크기를 측정하는 석재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 표면의 형상에 대하여 2차원의 단면형상 또는 3차원의 형상으로 표현되는 형상정보가 입력되는 형상입력부;
    상기 형상정보에 입력된 형상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치정보를 계산하는 수치계산부; 및
    상기 수치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수치정보에 따라 동작 시 오류를 점건하는 수치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점검부에 의해 상기 수치정보의 정상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장치제어부로 수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이동로드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로드 연결부재; 및
    상기 탑재판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탑재판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곡선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곡선 프레임 지지대; 및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는,
    상기 곡선 프레임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 프레임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제 1회전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 1회전체에 전달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제 2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커팅 와이어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이동링크; 및
    상기 수직 이동링크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이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링크는 톱니 모양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이동링크와 대응되는 톱니모양으로 상기 수직 이동링크와 맞물려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는,
    상기 석재가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곡선 프레임에 결합되는 곡선 프레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제 2연결부재가 동시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석재곡면가공장치.

KR1020200154957A 2020-11-18 2020-11-18 석재곡면가공장치 KR10242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57A KR102427274B1 (ko) 2020-11-18 2020-11-18 석재곡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57A KR102427274B1 (ko) 2020-11-18 2020-11-18 석재곡면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050A true KR20220068050A (ko) 2022-05-25
KR102427274B1 KR102427274B1 (ko) 2022-07-29

Family

ID=818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957A KR102427274B1 (ko) 2020-11-18 2020-11-18 석재곡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080A (ko) 2007-03-28 2008-10-02 박애경 라운드형 경계석 제조장치
KR20150109986A (ko) * 2014-03-21 2015-10-02 고영재 석재 경계석의 라운딩 모방 가공장치
KR101613369B1 (ko) * 2014-10-10 2016-04-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석재 곡면 절단 장치
KR102085761B1 (ko) * 2019-10-17 2020-03-06 어윤기 석재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080A (ko) 2007-03-28 2008-10-02 박애경 라운드형 경계석 제조장치
KR20150109986A (ko) * 2014-03-21 2015-10-02 고영재 석재 경계석의 라운딩 모방 가공장치
KR101613369B1 (ko) * 2014-10-10 2016-04-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석재 곡면 절단 장치
KR102085761B1 (ko) * 2019-10-17 2020-03-06 어윤기 석재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74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2342B (zh) 量測設備及量測方法
WO201618339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ed tools
KR101902080B1 (ko) 화상 정보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배관 정렬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EP2267658A2 (en) Shape detection system
CN110823704B (zh) 一种tbm搭载的岩渣在线抗压强度测试系统及方法
CN102870055A (zh) 数控机床
CN107336082A (zh) 加工系统
US9964939B2 (en) Trajectory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rajectory of tool axis
CN102870054A (zh) 数控机床
KR940009090B1 (ko) 로보트
CN106197328A (zh) 采集带钢毛刺和浪形数据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系统
CN112621769A (zh) 表面精加工装置
KR20130080532A (ko) 절단 정반 슬래그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제거방법
JP7248148B2 (ja) 疵研削システム、疵研削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鋼製品の製造方法
CN107101576A (zh) 一种零件综合检测方法及系统
KR102427274B1 (ko) 석재곡면가공장치
WO2012167758A1 (en) Method of cutting and/or polishing of stones and apparatus for this purpose
CN109693278A (zh) 用于运行至少一个加工设备的方法以及加工设施
TWI624741B (zh) 自動化偵測磨削之智慧型磨床設備
CN105082378A (zh) 一种智能宝石切割机
CN106556344A (zh) 一种共焦划痕在线检测方法
CN213481956U (zh) 一种微铣刀加工用硬度检测装置
WO2018163390A1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KR102320152B1 (ko) 목재 판넬 가공 장치
KR102458134B1 (ko) 선회 베어링 자동 연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