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473A -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473A
KR20220067473A KR1020210105138A KR20210105138A KR20220067473A KR 20220067473 A KR20220067473 A KR 20220067473A KR 1020210105138 A KR1020210105138 A KR 1020210105138A KR 20210105138 A KR20210105138 A KR 20210105138A KR 20220067473 A KR20220067473 A KR 2022006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accounting
information terminal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81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 portable scanner or data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방치된 정보 단말기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 수단과, 확인 수단과, 실행 수단을 구비한다. 취득 수단은, 유저가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확인 수단은, 정보 단말기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한다. 실행 수단은,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쇼핑 카트를 장비한 소매점을 위해, 카트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쇼핑 카트에 터치 패널, 스캐너 등을 구비한 정보 단말기를 마련한다. 쇼핑 카트를 사용하는 고객은, 구매 상품을 쇼핑 카트에 얹을 때에, 그 구매 상품의 식별 코드를 스캐너로 판독시켜서 상품 등록을 행한다. 정보 단말기로 등록된 상품의 데이터는 회계기에 보내진다. 회계기에서는,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초로 회계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카트 POS 시스템은, 고객 자신이 쇼핑을 하면서 상품 등록을 행하므로, 회계 장소에서 점원이 상품 등록을 행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카트 POS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객이 쇼핑 카트를 판매장, 회계 장소 등에 남기고 그 자리를 떠나도, 정보 단말기는 방치된 것을 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점원이 그 쇼핑 카트를 발견할 때까지 방치된 그대로의 상태이고, 다음으로 사용하는 고객이 쇼핑 카트를 사용할 수 없다는, 고객의 부정 회계를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치에 대한 대응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67947호 공보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치된 정보 단말기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 수단과, 확인 수단과, 실행 수단을 구비한다. 취득 수단은, 유저가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확인 수단은, 정보 단말기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한다. 실행 수단은,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트 POS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정보 단말기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모바일 컨트롤러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구매 상품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5는, 상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점포 서버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회계기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모바일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모바일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모바일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모바일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회계기에 있어서의 프로세서의 주요부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회계 안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7은, 감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 방치된 정보 단말기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는, 카트 POS 시스템으로서 쇼핑 카트에 설치된 태블릿 단말기(소위 카트 단말기)를 정보 단말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트 POS 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 POS 시스템(1)은, 점포 서버(10), 회원 서버(20), 모바일 컨트롤러(30), 감시 단말기(40), 회계기(50), 정보 단말기(60) 및 액세스 포인트(70)를 포함한다. 점포 서버(10), 회원 서버(20), 모바일 컨트롤러(30), 감시 단말기(40), 회계기(50) 및 액세스 포인트(70)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 단말기(60)는, 구매자인 고객이, 구매 상품의 등록에 관한 데이터의 입력을 셀프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기기이다. 정보 단말기(60)는, 쇼핑 카트(C)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쇼핑 카트(C)를 단순히 카트(C)라고 칭한다. 복수의 카트(C)에, 각각 정보 단말기(60)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C)는, 그 카트(C)의 유저인 고객의 구매 상품을 반송하는 반송체의 일례이다.
정보 단말기(60)는, 무선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정보 단말기(60)는, 액세스 포인트(7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액세스 포인트(70)는, 네트워크(2)에 연결되는 각 기기, 즉 점포 서버(10), 회원 서버(20), 모바일 컨트롤러(30), 감시 단말기(40) 및 회계기(50)와, 정보 단말기(60)의 통신을 중계한다. 액세스 포인트(70)는, 도 1에서는 1대만 도시하고 있지만, 점포의 규모 등에 의해 2대 이상 있어도 된다.
회계기(50)는, 구매 상품의 회계를 점원 혹은 고객이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기기이다. 회계기(50)의 대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포 서버(10)는, 점포 업무를 지원한다. 그 지원을 위하여 점포 서버(1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매출 데이터베이스 등을 관리한다.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마다 상품 데이터를 기술한 상품 레코드를 보존한다. 상품 데이터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등을 포함한다. 상품 코드는, 상품의 식별 코드이다. 매출 데이터베이스는, 상품, 부문, 시간대, 일자, 주, 월 등의 항목마다 매출 데이터를 기술한 매출 레코드를 보존한다. 매출 데이터는, 매출 점수, 매출 금액 등을 포함한다.
회원 서버(20)는, 회원 등록을 한 고객 소위 회원의 구매 업무를 지원한다. 그 지원을 위하여 회원 서버(20)는, 회원 데이터베이스(21)를 관리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21)는, 회원마다 회원 데이터를 기술한 회원 레코드를 보존한다. 회원 데이터는, 회원 ID, 성명, 성별, 메일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다. 회원 ID는, 회원의 식별 코드이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정보 단말기(60)와 협동함으로써, 그 정보 단말기(60)가 POS 단말기로서 기능하고 있도록 보이게 하기 위한 지원을 행한다.
감시 단말기(40)는, 점원인 감시원, 소위 어텐던트가 상주하는 어텐던트 카운터에 마련되는 감시용 단말기이다. 감시 단말기(40)는, 각 정보 단말기(60) 및 회계기(5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어텐던트는,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각 정보 단말기(60) 및 회계기(5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도 2는, 정보 단말기(6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정보 단말기(60)는, 프로세서(611), 메인 메모리(612),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 타이머(614), 무선 유닛(615), 터치 패널(616), 스캐너(617), 리더(618), 카메라(619) 및 시스템 전송로(620)를 구비한다. 시스템 전송로(620)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신호선 등을 포함한다. 정보 단말기(60)는, 시스템 전송로(620)에, 프로세서(611), 메인 메모리(612),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 무선 유닛(615), 터치 패널(616), 스캐너(617), 리더(618), 카메라(619)를 접속한다. 정보 단말기(60)에서는, 프로세서(611), 메인 메모리(612) 및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와,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전송로(620)에 의해 컴퓨터가 구성된다.
프로세서(61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6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정보 단말기(60)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61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메인 메모리(612)는, 상기 컴퓨터의 주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메인 메모리(6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과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6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인 메모리(612)는, 프로세서(611)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61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서(611)에 의해 데이터가 적절히 재기입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한다.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다.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는,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EEPROM(등록 상표)(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HDD(Hard Disc Drive), 혹은 SSD(Solid State Drive) 등이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가 될 수 있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는, 프로세서(611)가 각종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혹은 프로세서(611)에서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는,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타이머(614)는, 프로세서(611)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계시한다.
무선 유닛(615)은, 액세스 포인트(7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터치 패널(616)은, 정보 단말기(60)의 입력 디바이스와 표시 디바이스를 겸비한 기기이다. 터치 패널(616)은, 표시된 화상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그 터치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611)에 출력한다.
스캐너(617)는,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 이차원 데이터 코드 등의 코드 심벌을 판독한다. 상품에는, 그 상품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 심벌이 부여되어 있다. 스캐너(617)는, 판독한 코드 심벌의 데이터를 프로세서(611)에 출력한다. 스캐너(617)는, 레이저광의 주사에 의해 코드 심벌을 판독하는 타입이어도 되고, 촬상 디바이스로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코드 심벌을 판독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리더(618)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프로세서(611)에 출력한다. 리더(618)는, 기록 매체가 자기 카드의 경우에는 자기 카드 리더이고, 접촉식 IC 카드의 경우에는 IC 카드 리더이다. 비접촉식 IC 카드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사용한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RFID 리더가 리더(618)로서 사용된다.
카메라(619)는, 카트(C)의 바구니 받침부에 놓인 쇼핑 바구니를 상방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도록, 카트(C)에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619)는, 카트(C)의 유저인 고객이 구매 상품을 올바르게 쇼핑 바구니에 넣은 것인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회로 구성 요소를 구비한 정보 단말기(60)에 있어서, 프로세서(611), 메인 메모리(612),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 타이머(614), 무선 유닛(615) 및 터치 패널(616)은, 태블릿 단말기(T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태블릿 단말기(TM)에, 스캐너(617), 리더(618) 및 카메라(619)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정보 단말기(60)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모바일 컨트롤러(3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보조 기억 디바이스(33), 시계(34), 통신 인터페이스(35) 및 시스템 전송로(36)를 구비한다. 시스템 전송로(36)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신호선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시스템 전송로(36)에,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보조 기억 디바이스(33), 시계(34),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접속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0)에서는,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및 보조 기억 디바이스(33)와,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전송로(36)에 의해 컴퓨터가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3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모바일 컨트롤러(30)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CPU이다.
메인 메모리(32)는, 상기 컴퓨터의 주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메인 메모리(3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과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3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인 메모리(32)는, 프로세서(31)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3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서(31)에 의해 데이터가 적절히 재기입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한다.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OM이다.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AM이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33)는,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EEPROM, HDD, 혹은 SSD 등이 보조 기억 디바이스(33)가 될 수 있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33)는, 프로세서(31)가 각종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혹은 프로세서(31)에서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33)는,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시계(34)는, 모바일 컨트롤러(30)의 시각 정보원으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31)는, 시계(34)에 의해 계시되는 시각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일자 및 시간을 계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5)는,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5)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모바일 컨트롤러(30)는, 메인 메모리(32)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구매 상품 리스트(321)의 작성 영역으로 하고 있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이 영역에 복수의 구매 상품 리스트(321)(도 4를 참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4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매 상품 리스트(321)는, 회원 ID, 일시, 1 내지 복수의 구매 상품 데이터 및 합계 금액을 각각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일시는, 모바일 컨트롤러(30)에 의해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작성된 시점의 일자와 시각이다. 구매 상품 데이터는, 고객이 구매하는 구매 상품의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구매 점수, 구매 금액 등을 포함한다. 구매 점수는, 그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의 구매수이고, 구매 금액은, 구매 점수에 기초하는 가격의 합계이다. 합계 금액은, 구매 상품 데이터에 포함되는 구매 금액의 합계이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구성의 모바일 컨트롤러(30)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33)에 있어서, 상태 테이블(331)(도 5를 참조)을 기억하고 있다.
도 5는, 상태 테이블(331)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테이블(331)은, 구매 상품 정보와, 거래 정보와, 스테이터스로 구성되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구매 상품 정보는, 후술하는 구매 상품 파일이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매 상품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있음」으로 하고, 구매 상품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없음」으로 한다. 거래 정보는, 후술하는 거래 파일이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거래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있음」으로 하고, 거래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없음」으로 한다. 스테이터스는, 구매 상품 정보와 거래 정보로 식별되는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 즉 회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스테이터스는, 「회계 전」, 「회계 중」, 「회계 완료」 및 「에러」가 있다. 「회계 전」은, 구매 상품의 회계 처리가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회계 중」은, 회계 처리가 승인되고 나서 그 회계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상태이다. 「회계 완료」는, 구매 상품의 회계 처리가 완료된 상태이다. 「에러」는, 카트 POS 시스템(1)의 이상 상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매 상품 정보가 「있음」이고, 거래 정보가 「없음」인 경우에는, 스테이터스는 「회계 전」으로 한다. 구매 상품 정보가 「없음」이고, 거래 정보가 「없음」인 경우에는, 스테이터스는 「회계 중」으로 한다. 구매 상품 정보가 「없음」이고, 거래 정보가 「있음」인 경우에는, 스테이터스는 「회계 완료」로 한다. 구매 상품 정보가 「있음」이고, 거래 정보가 「있음」인 경우에는, 스테이터스는 「에러」로 한다. 또한, 스테이터스는, 「회계 전」, 「회계 중」, 「회계 완료」 및 「에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태 테이블(331)의 항목은, 상기의 항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점포 서버(1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점포 서버(10)는,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디바이스(13), 통신 인터페이스(14) 및 시스템 전송로(15)를 구비한다. 시스템 전송로(15)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신호선 등을 포함한다. 점포 서버(10)는, 시스템 전송로(15)에,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디바이스(13), 통신 인터페이스(14)를 접속한다. 점포 서버(10)에서는,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및 보조 기억 디바이스(13)와,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전송로(15)에 의해 컴퓨터가 구성된다.
프로세서(1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점포 서버(10)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1)는, 예를 들어 CPU이다.
메인 메모리(12)는, 상기 컴퓨터의 주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메인 메모리(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과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인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1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서(11)에 의해 데이터가 적절히 재기입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한다.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OM이다.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AM이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13)는,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EEPROM, HDD, 혹은 SSD 등이 보조 기억 디바이스(13)가 될 수 있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13)는, 프로세서(11)가 각종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혹은 프로세서(11)에 의한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13)는,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는,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4)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점포 서버(10)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13)에 있어서, 구매 상품 파일(131) 및 거래 파일(132)을 보존한다. 구매 상품 파일(131)은, 고객마다, 구매 상품 리스트(321) 및 회계 바코드를 기억한다. 회계 바코드는, 후술한다. 거래 파일(132)은, 고객마다, 구매 상품 리스트(321), 회계 바코드 및 거래 데이터를 기억한다. 거래 데이터는, 거래의 내용 및 회계 결과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거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지불 금액, 거스름돈 액수, 결제 종별(현금, 신용카드, 포인트, 금권(金券) 등) 등이다.
도 7은, 회계기(5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회계기(50)는, 프로세서(511), 메인 메모리(512),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 시계(514), 거스름기 인터페이스(515), 통신 인터페이스(516), 터치 패널(517), 스캐너(518), 리더(519), 프린터(520) 및 시스템 전송로(521)를 구비한다. 시스템 전송로(521)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신호선 등을 포함한다. 시스템 전송로(521)는, 프로세서(511)와, 메인 메모리(512),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 시계(514), 거스름기 인터페이스(515), 통신 인터페이스(516), 터치 패널(517), 스캐너(518), 리더(519) 및 프린터(520)를 서로 접속한다. 프로세서(511), 메인 메모리(512) 및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가 시스템 전송로(521)로 접속됨으로써, 회계기(50)의 컴퓨터가 구성된다.
프로세서(51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5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회계기(50)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511)는, 예를 들어 CPU이다.
메인 메모리(512)는, 상기 컴퓨터의 주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메인 메모리(5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과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51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인 메모리(512)는, 프로세서(511)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51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서(511)에 의해 데이터가 적절히 재기입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한다.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OM이다.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AM이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는,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EEPROM, HDD, 혹은 SSD 등이 보조 기억 디바이스(413)가 될 수 있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는, 프로세서(511)가 각종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프로세서(511)에 의한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는,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5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에 기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회계기(50)에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에 대하여 기술한 제어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어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5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에 인스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무버블의 기록 매체에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을 배신하여, 메인 메모리(5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에 인스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CD-ROM,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고, 또한 장치가 판독 가능이라면, 그 형태는 묻지 않는다.
시계(514)는, 회계기(50)의 시각 정보원으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511)는, 시계(514)에 의해 계시되는 시각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일자 및 시간을 계시한다.
거스름기 인터페이스(515)는, 자동 거스름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거스름기 인터페이스(515)는, 자동 거스름기로부터 투입 금액의 데이터, 화폐 수납 매수의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거스름기 인터페이스(515)는, 거스름돈 데이터를 자동 거스름기에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16)는,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통신 인터페이스(516)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터치 패널(517)은, 회계기(50)의 입력 디바이스와 표시 디바이스를 겸비한 기기이다. 터치 패널(517)은, 표시된 화상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그 터치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511)에 출력한다.
스캐너(518)는, 바코드, 이차원 코드 등의 코드 심벌을 판독하는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스캐너(518)는, 레이저광의 주사에 의해 코드 심벌을 판독하는 타입이어도 되고, 촬상 디바이스로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코드 심벌을 판독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리더(519)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프로세서(511)에 출력한다. 리더(519)는, 기록 매체가 자기 카드의 경우에는 자기 카드 리더이고, 접촉식 IC 카드의 경우에는 IC 카드 리더이다. 비접촉식 IC 카드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RFID를 사용한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RFID 리더가 리더(519)로서 사용된다.
프린터(520)는, 영수증 용지에 대하여 각종 문자열 또는 화상 등을 인쇄함으로써, 리시트를 발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프린터(520)로서는, 예를 들어 서멀 프린터 또는 도트 임팩트 프린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린터(520)는, 회계기(50)의 인쇄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주요한 처리의 주요부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6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에 기억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모바일 컨트롤러(30)의 프로세서(31)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주요한 처리의 주요부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33)에 기억되어 있다. 도 15는, 회계기(50)의 프로세서(511)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주요한 처리의 주요부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5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513)에 기억되어 있다.
이하, 이들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회원인 고객이 카트(C)에 마련된 정보 단말기(60)를 사용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고, 회계기(50)로 회계를 완료할 때까지의 카트 POS 시스템(1)의 주요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은 일례이다.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그 수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카트(C)를 사용하여 쇼핑을 행하는 고객은, 터치 패널(616)을 터치한다. 터치 패널(616)이 터치되면, 아이들 상태였던 프로세서(611)가 기동한다. 프로세서(611)는,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정보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로서 터치 패널(616)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다. 로그인 화면은, 회원에 대하여 로그인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화면이다. 회원인 고객은, 자신의 회원 코드가 기록된 회원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 로그인 화면을 확인한 고객은, 그 회원 카드의 데이터를 리더(618)에 판독시킨다. 리더(618)로 회원 카드의 데이터가 판독되면, 그 회원 카드의 데이터가 프로세서(611)에 부여된다.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 프로세서(611)는, ACT2로서 로그인을 대기하고 있다. 프로세서(611)는, 리더(618)로부터 데이터를 수취하고, 그 데이터가 회원 ID를 포함한 회원 카드의 데이터인 것을 확인하면, 로그인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즉 프로세서(611)는, ACT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는, ACT3으로서 로그인 커맨드를 모바일 컨트롤러(30) 수신처에 출력하도록 무선 유닛(615)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무선 유닛(615)은, 로그인 커맨드를 무선 송신한다. 로그인 커맨드는, 액세스 포인트(70)에서 수신되어, 네트워크(2)를 경유하여 모바일 컨트롤러(30)로 보내진다. 로그인 커맨드에는, 리더(618)로 판독된 회원 카드의 회원 ID가 포함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0)의 프로세서(31)는, 통신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정보 단말기(6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면, 그 커맨드의 종류를 확인한다. 그리고 수신 커맨드가 로그인 커맨드였을 경우, 프로세서(31)는, 도 11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커맨드 수신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31)는, ACT31로서 로그인 커맨드로부터 회원 ID를 검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32로서 그 회원 ID로 식별되는 회원의 인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31)는, 그 회원 ID를 포함하는 회원 레코드가 회원 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회원 서버(20)에 문의한다. 그 결과, 회원 서버(20)로부터 해당하는 회원 레코드가 회원 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한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에는, 프로세서(31)는, 회원 인증이 유효하다고 인정한다. 이에 비해, 회원 서버(20)로부터 해당하는 회원 레코드가 회원 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에는, 프로세서(31)는, 회원 인증이 무효라고 인정한다.
회원 인증을 행한 프로세서(31)는, ACT33으로서 그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여기서, 인증 결과가 무효였던 경우, 프로세서(31)는, ACT33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34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34로서 정보 단말기(60) 수신처에 부인 응답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35)는 부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부인 응답 커맨드는, 네트워크(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7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로그인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서 수신된다.
인증 결과가 유효했을 경우에는, 프로세서(31)는, ACT33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3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35로서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메인 메모리(32)에 작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로그인 커맨드에 포함되어 있었던 회원 ID와, 시계(34)에 의해 계시된 현재의 일시를 구매 상품 리스트(321)에 기입한다.
프로세서(31)는, ACT36으로서 정보 단말기(60) 수신처에 승인 응답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35)는, 승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승인 응답 커맨드는, 네트워크(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7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로그인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서 수신된다.
이와 같이, 로그인 커맨드를 수신한 모바일 컨트롤러(30)는, 그 로그인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 대하여, 부인 응답 커맨드 또는 승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프로세서(31)는, 어느 응답 커맨드를 송신 완료하면, 이 커맨드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3에 있어서 로그인 커맨드의 출력을 제어한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는, ACT4로서 모바일 컨트롤러(30)로부터의 응답 커맨드를 대기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0)로부터 부인 응답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로그인을 에러로 한다.
로그인이 에러가 되었을 경우, 정보 단말기(60)의 오퍼레이터인 고객은, 터치 패널(616)로부터 에러의 해제 조작을 행한다. 프로세서(611)는, 해제 조작이 행하여지면, ACT1로부터 처리를 재개한다. 따라서 고객은, 다시 로그인을 행하게 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0)로부터 승인 응답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프로세서(611)는, ACT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는, ACT5로서 그 승인 응답 커맨드에 포함되어 있는 회원 ID를 메인 메모리(612)에서 기억한다.
프로세서(611)는, ACT6으로서 터치 패널(616)에 상품 등록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품 등록 화면은, 고객이 구매하는 상품의 상품명, 가격 등의 구매 상품 데이터와 합계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다.
상품 등록 화면을 확인한 고객은, 판매장을 돌아, 구매하려고 하는 상품, 소위 구매 상품을 카트(C)에 수용한다. 예를 들어 고객은, 쇼핑 바구니에 구매 상품을 넣는다. 고객은, 구매 상품을 쇼핑 바구니에 넣기 전에, 스캐너(617)를 조작하여 그 상품에 부여되어 있는 코드 심벌을 판독한다. 스캐너(617)로 코드 심벌이 판독되면, 그 코드 심벌로 표현된 상품 코드가 정보 단말기(60)에 입력된다. 즉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등록된다.
또한, 신선 식품 등의 일부의 상품에는 코드 심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구매 상품에 코드 심벌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고객은, 터치 패널(616)에 표시되는 상품 버튼으로부터 구매 상품에 대응한 상품 버튼을 터치한다. 상품 버튼이 터치됨으로써, 그 상품 버튼에 대응한 상품의 상품 코드가 정보 단말기(60)에 입력된다. 즉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등록된다.
프로세서(611)는, ACT7로서 타이머(614)를 스타트시킨다. 프로세서(611)는, ACT8로서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채, 타이머(614)의 카운트값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은, 상품 등록 과정에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616)이 터치되는 것, 스캐너(617)로 코드 심벌이 판독되는 것 등이다.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 15분 등이다.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11)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고객이 카트(C)를 방치한 채 그 자리를 떠난 것이 상정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8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도 12의 ACT25로 진행한다. ACT25의 처리는, 후술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8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9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9로서 상품 등록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품 등록이 행하여진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9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품 등록이 행하여진 것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진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0으로서 타이머(614)를 리셋한다.
프로세서(611)은, ACT11로서 상품 등록 커맨드를 모바일 컨트롤러(30) 수신처에 출력하도록 무선 유닛(615)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무선 유닛(615)은, 상품 등록 커맨드를 무선 송신한다. 상품 등록 커맨드는, 액세스 포인트(70)에서 수신되어, 네트워크(2)를 통해 모바일 컨트롤러(30)로 보내진다. 상품 등록 커맨드에는, 메인 메모리(612)에서 기억한 회원 ID와, 구매 상품의 상품 코드가 포함된다.
상품 등록 커맨드를 수신한 모바일 컨트롤러(30)의 프로세서(31)은, 도 12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커맨드 수신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31)는, ACT41로서 상품 등록 커맨드로부터 회원 ID를 검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42로서 그 회원 ID가 기술된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처리 대상으로서 추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43으로서 상품 등록 커맨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를 기초로 구매 상품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구매 상품 데이터를 구매 상품 리스트(321)에 기입한다. 또한 프로세서(31)는, ACT44로서 구매 상품 리스트(321)의 합계 금액을, 새롭게 기입된 구매 등록 데이터의 구매 금액을 가산한 금액으로 갱신한다.
프로세서(31)는, ACT45로서 정보 단말기(60) 수신처에 등록 완료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35)는, 등록 완료 커맨드를 송신한다. 등록 완료 커맨드는, 네트워크(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7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상품 등록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서 수신된다. 등록 완료 커맨드에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포함된다. 이상으로, 프로세서(31)는, 상품 등록 커맨드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11에 있어서 상품 등록 커맨드의 출력을 제어한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는, ACT12로서 등록 완료 커맨드를 대기한다. 그리고 모바일 컨트롤러(30)로부터 등록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면, 프로세서(611)는, ACT1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1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3으로서 터치 패널(616)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 등록 화면을 갱신한다. 즉 프로세서(611)는, 등록 완료 커맨드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기초로, 구매 등록된 상품의 상품명 및 구매 금액이 추가되어, 합계 금액에 구매 금액이 가산되도록, 상품 등록 화면을 갱신한다. 그 후, 프로세서(611)는, ACT7로 되돌아간다. 프로세서(611)는, ACT7 내지 ACT13의 처리를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따라서 모바일 컨트롤러(30)에 있어서도, 프로세서(31)는, 도 12에 도시하는 상품 등록 커맨드의 수신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상품 등록이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9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14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4로서 회계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품 등록 화면의 일부에는, 회계 버튼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쇼핑을 종료한 고객은, 회계 버튼을 터치한다. 프로세서(611)는, 회계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 회계가 지시되었다고 인식한다. 회계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1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8로 되돌아간다. 여기에 프로세서(611)는, ACT9 및 ACT14에 있어서, 상품 등록이 행하여지거나, 회계가 지시되는 것을 대기한다.
회계의 터치 버튼이 터치된 것을 검지하면, 프로세서(611)는, ACT1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15로 진행한다. 여기서, 회계의 터치 버튼이 터치되었다는 것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5로서 타이머(614)를 리셋한다.
프로세서(611)는, 도 11의 ACT16으로서 회계 커맨드를 모바일 컨트롤러(30) 수신처에 출력하도록 무선 유닛(615)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무선 유닛(615)은, 회계 커맨드를 무선 송신한다. 회계 커맨드는, 액세스 포인트(70)에서 수신되어, 네트워크(2)를 통해 모바일 컨트롤러(30)로 보내진다. 회계 커맨드에는, 메인 메모리(612)에서 기억한 회원 ID가 포함된다.
회계 커맨드를 수신한 모바일 컨트롤러(30)의 프로세서(31)는,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커맨드 수신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31)는, ACT51로서 회계 커맨드로부터 회원 ID를 검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52로서 그 검출한 회원 ID가 기술된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처리 대상으로서 추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53으로서 회계 바코드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회계 바코드는, 회계기(50)로 회계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회계 바코드는, 회계기(50)로 회계를 행하는 고객마다 생성된다.
프로세서(31)는, ACT54로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ACT52의 처리에서 추출한 구매 상품 리스트(321) 및 ACT53의 처리에서 생성한 회계 바코드를 송신한다. 이 송신에 의해, 점포 서버(10)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 및 회계 바코드가 기억된 구매 상품 파일(131)을 보존한다.
프로세서(31)는, ACT55로서 회계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 표시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35)는, 표시 커맨드를 송신한다. 표시 커맨드는, 네트워크(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7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회계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서 수신된다. 표시 커맨드에는, 회계 바코드가 포함된다.
도 9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16에 있어서, 회계 커맨드의 출력을 제어한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는, ACT17로서 표시 커맨드를 대기한다.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 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프로세서(611)는, ACT17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1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18로서 회계 안내 화면(100)(도 16을 참조)을 터치 패널(616)에 표시시킨다.
도 16은, 회계 안내 화면(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계 안내 화면(100)에는, 회계 바코드와, 그 회계 바코드를 회계기(50)로 스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메시지와, 종료 버튼(101)의 화상이 표시된다. 고객은 회계 바코드를 회계기(50)로 스캔한 후, 종료 버튼(101)을 터치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면, 정보 단말기(60)의 이용을 종료하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 화면이 표시된다. 메시지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는, 예를 들어 「이용 감사합니다.」이다. 이 메시지 화면이 표시되고부터 예를 들어 5분 등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단말기(60)는 리셋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단말기(60)가 리셋된다란, 다음으로 사용하는 회원이 그 정보 단말기(60)로 로그인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6에 표시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내용은 일례이다.
도 9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회계 안내 화면(100)을 표시시킨 프로세서(611)는, ACT19로서 타이머(614)를 스타트시킨다. 프로세서(611)는, ACT20으로서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채, 타이머(614)의 카운트값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0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도 10의 ACT25로 진행한다. ACT25의 처리는, 후술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0에 있어서 "아니오"와 판정하여, ACT2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21로서 회계 바코드가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회계 바코드가 스캔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1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20으로 되돌아간다.
회계 안내 화면(100)을 확인한 고객은, 회계기(50)의 설치 장소로 가서, 그 회계기(50)에 구비된 스캐너(518)로 회계 바코드를 판독시킨다.
회계 바코드가 스캔되었을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22로 진행한다. 여기서, 회계 바코드가 스캔되었다는 것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611)는, ACT22로서 타이머(614)를 재스타트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스타트는, 타이머(614)의 카운트값을 "0"으로부터 스타트시키는 것이다.
프로세서(611)는, ACT23으로서 회계 안내 화면(100)의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3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20으로 되돌아간다.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었을 경우, 프로세서(611)는, ACT23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24로 진행한다. 여기서,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었다는 것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611)는, ACT24로서 타이머(614)를 정지시킨다.
회계기(50)의 프로세서(511)는, 도 15의 ACT81로서, 회계 바코드가 판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회계 바코드가 판독되었을 경우, 프로세서(511)는, ACT8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8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511)는, ACT82로서 판독한 회계 바코드로 점포 서버(10)에 구매 상품 파일(131)을 문의한다. 이 문의에 의해, 점포 서버(10)는, 문의가 있었던 회계 바코드가 기억된 구매 상품 파일(131)을 추출하여, 회계기(50)에 구매 상품 파일(131)을 송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511)는, ACT83으로서 구매 상품 파일(131)을 수신하는 것을 대기한다. 구매 상품 파일(131)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511)는, ACT83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84로 진행한다.
프로세서(511)는, ACT84로서 수신한 구매 상품 파일(131)의 구매 상품 리스트(321)의 데이터를 기초로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 이 회계 처리는 기존의 처리에서 주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511)는, ACT85로서 회계 처리를 기초로 거래 데이터를 작성한다. 프로세서(511)는, ACT86으로서, ACT81의 처리로 판독한 회계 바코드와, ACT83의 처리로 수신한 구매 상품 파일(131)의 구매 상품 리스트(321)와, ACT85의 처리로 작성한 거래 데이터가 기억된 거래 파일(132)을 제작한다. 프로세서(511)는, ACT87로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거래 파일을 송신한다. 이 송신에 의해, 점포 서버(10)는, 거래 파일(132)을 보존한다. 이상으로, 프로세서(511)는,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정보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의 ACT8 및 도 9의 ACT20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로세서(611)는, 도 10의 ACT2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25로서 확인 커맨드를 모바일 컨트롤러(30) 수신처에 출력하도록 무선 유닛(615)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무선 유닛(615)은, 확인 커맨드를 무선 송신한다. 확인 커맨드는, 액세스 포인트(70)에서 수신되어, 네트워크(2)를 통해 모바일 컨트롤러(30)로 보내진다. 확인 커맨드에는, 메인 메모리(612)에서 기억한 회원 ID가 포함된다.
확인 커맨드를 수신한 모바일 컨트롤러(30)의 프로세서(31)는,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커맨드 수신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31)는, ACT61로서 확인 커맨드로부터 회원 ID를 검출한다. 프로세서(31)는, ACT62로서 그 검출한 회원 ID가 기술된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의 ACT54의 처리에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송신한 경우, 모바일 컨트롤러(30)에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구매 상품 리스트(321)를 송신하기 전, 즉 회계 버튼이 터치되기 전이라면, 모바일 컨트롤러(30)에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존재한다. 따라서 모바일 컨트롤러(30)에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객은 판매장에서 상품 등록 중인 것을 의미한다.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72로 진행한다. ACT72의 처리는, 후술한다.
구매 상품 리스트(32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6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3으로서 ACT61의 처리에서 검출한 회원 ID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이 문의에 의해, 점포 서버(10)는, 문의가 있었던 회원 ID가 기술된, 구매 상품 파일(131) 및 거래 파일(132)의 존재 유무를 모바일 컨트롤러(30)에 응답한다. 또한, 도 13의 ACT54의 처리에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구매 상품 리스트(321)와 회계 바코드를 송신한 경우, 점포 서버(10)는 구매 상품 파일(131)을 보존한다. 즉 구매 상품 파일(131)이 점포 서버(10)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도 15의 ACT85의 처리에서 점포 서버(10) 수신처에 거래 파일(132)을 송신한 경우, 점포 서버(10)는 거래 파일(132)을 보존한다. 즉 거래 파일(132)이 점포 서버(10)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ACT64로서 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응답을 대기한다.
점포 서버(10)로부터 파일이 존재한다라는 응답이 있었을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6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5로서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 파일이 구매 상품 파일(13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구매 상품 파일(131)인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5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66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6으로서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 파일에는 거래 파일(132)도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거래 파일(132)도 있는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67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7로서 상태 테이블(331)을 기초로 스테이터스가 「에러」인 것을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다. 그 후, 프로세서(31)는, ACT72로 진행한다.
거래 파일(132)은 없는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6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6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8로서 상태 테이블(331)을 기초로 스테이터스가 「회계 전」인 것을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다. 그 후, 프로세서(31)는, ACT72로 진행한다.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 파일이 구매 상품 파일(131)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5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69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69로서 점포 서버(10)에 존재하는 파일이 거래 파일(132)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거래 파일(132)인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9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70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70으로서 상태 테이블(331)을 기초로 스테이터스가 「회계 완료」인 것을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다. 그 후, 프로세서(31)는, ACT74로 진행한다. ACT74의 처리는, 후술한다.
거래 파일(132)도 없는 경우, 프로세서(31)는, ACT69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여, ACT7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31)는, ACT71로서 상태 테이블(331)을 기초로 스테이터스가 「회계 중」인 것을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다.
프로세서(31)는, ACT72로서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 스테이터스를 기초로 감시 화면(200)(도 17을 참조)을 작성한다.
도 17은, 감시 화면(2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예는, 회계기(50)의 대수가 3대, 사용하고 있는 정보 단말기(60)가 8대의 경우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시 화면(200)은, 회계기(50)마다 회계기 상태 표시부(201)와, 정보 단말기(60)마다 단말기 상태 표시부(202)를 갖는다. 회계기 상태 표시부(201) 및 단말기 상태 표시부(202)는, 터치 버튼으로 되어 있다. 회계기 상태 표시부(201)에는, 회계기 번호가 표시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회계기 상태 표시부(201)를 터치하면, 회계기 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회계기(50)가 회계 처리 전의 「아이들 중」인 것인지, 회계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회계 중」인 것인지의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회계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회계기(50)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의 구매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 상태 표시부(202)에는, 정보 단말기 번호가 표시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단말기 상태 표시부(202)를 터치하면, 단말기 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정보 단말기(60)가 「에러」, 「회계 전」, 「회계 중」 또는 「회계 완료」인 것인지의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당해 상태의 정보 단말기(60)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의 구매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상태 표시부(202)는, 영역(203)을 갖는다. 영역(203)은, 정보 단말기(60)의 상태를 색 등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다. 영역(203)은, 프로세서(611)가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이며, 구매 상품의 회계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회계 미완료 상태, 즉 스테이터스가 「에러」, 「회계 전」 또는 「회계 중」인 경우에는, 영역(203)의 배경색을 다르게 한다. 또한, 도 17에 표시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내용, 표시부의 형상, 사이즈, 배열 및 개수는 일례이다.
도 16으로 되돌아간다.
프로세서(31)는, ACT73으로서 감시 단말기(40) 수신처에 감시 화면(200)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송신에 의해, 감시 단말기(40)는, 터치 패널에 감시 화면(200)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감시 단말기(40)의 터치 패널에 표시된 감시 화면(200)의 영역(203)을 확인한 점원은, 판매장, 회계 장소 등에서 방치되어 있는 카트(C)를 찾는다.
프로세서(31)는, ACT74로서 정보 단말기(60)에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화면을 메인 메모리(32)에서 기억한 스테이터스를 기초로 작성한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가 「에러」, 「회계 전」 또는 「회계 중」인 경우에는 구매 상품의 회계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회계 미완료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 점원이 옵니다, 잠시 동안 기다려 주십시오.」이다. 「회계 완료」인 경우에는 「이용 감사합니다.」이다. 또한 「회계 완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회계 안내 화면(100)의 종료 버튼(101)이 터치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시지가 표시되고부터 예를 들어 5분 등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단말기(60)는 리셋된다. 또한, 메시지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31)는, ACT75로서 정보 단말기(60) 수신처에 화면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35)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35)는, 화면 커맨드를 송신한다. 화면 커맨드는, 네트워크(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7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화면 커맨드 송신원의 정보 단말기(60)에서 수신된다. 화면 커맨드에는, 메시지 화면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상으로, 프로세서(31)는, 확인 커맨드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25에 있어서 확인 커맨드의 출력을 제어한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는, ACT26으로서 화면 커맨드를 대기한다. 그리고 모바일 컨트롤러(30)로부터 화면 커맨드를 수신하면, 프로세서(611)는, ACT2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여, ACT27로 진행한다. 프로세서(611)는, ACT27로서 터치 패널(616)에 메시지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상으로, 프로세서(611)는, 도 8 내지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수순의 정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인 모바일 컨트롤러(30)는, 프로세서(31)가 도 14의 ACT61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취득 수단을 구성한다. 즉 모바일 컨트롤러(30)는, 유저 즉 고객이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6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프로세서(31)가 도 14의 ACT62 내지 ACT71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확인 수단을 구성한다. 즉 모바일 컨트롤러(30)는, 정보 단말기(60)에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0)는, 프로세서(31)가 도 14의 ACT72 내지 ACT75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행 수단을 구성한다. 즉 모바일 컨트롤러(30)는,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카트(C)의 유저인 고객의 회계 상태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회계 상태가 「회계 완료」인 경우, 정보 단말기(60)에 메시지 화면이 표시된 후, 정보 단말기(60)는 리셋된다. 회계 상태가 「회계 전」, 「회계 중」 또는 「에러」인 즉 회계 미완료인 경우, 정보 단말기(60)에 메시지 화면이 표시됨과 함께, 감시 단말기(40)에 통지된다. 따라서, 점원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방치되어 있는 카트(C)를 찾고, 회계가 완료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사용하는 회원에 대하여 그 카트(C)에 마련된 정보 단말기(60)로 로그인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할 필요가 없다. 회계가 미완료인 경우에는, 감시 화면(200)의 영역(203)을 확인함으로써, 부정 회계에 의해 방치되어 있는 카트(C)의 존재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점원의 수고 및 부담이 경감된다.
이상,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단말기(60)에 대한 로그인을, 회원 카드를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로그인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고객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회원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 심벌을 표시시켜, 이 코드 심벌을 스캐너(617)로 판독시킴으로써 로그인을 행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 단말기(60)로부터 리더(618)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단말기(60)를 카트(C)에 설치했을 경우를 예시하였다. 정보 단말기(60)는, 반드시 카트(C)에 설치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소유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등을 정보 단말기(60)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매 상품 리스트(321)에 회원 ID가 기억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예를 들어 정보 단말기(60)의 식별 코드인 단말기 ID가 기억되어도 되고, 회원 ID 및 단말기 ID의 양쪽이 기억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단말기(60)의 프로세서(611)는, 터치 패널(616)에 메시지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출력은, 표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 등에 의해 출력해도 된다. 정보 단말기(60)에 램프를 구비하고, 점등 또는 점멸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카트 POS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점포 서버(10)와 회원 서버(20)와 모바일 컨트롤러(30)를, 1개 또는 2개의 서버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회원 서버(20)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에 직접 접속되는 것은 아니고, 클라우드 컴퓨팅으로서 인터넷 상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을 정보 단말기(60)의 메인 메모리(61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6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정보 단말기(60)가 구비하는 기입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에, 이 정보 단말기(60)와는 개별로 양도된 감시 프로그램을, 유저 조작에 따라서 기입하게 해도 된다. 제어 프로그램의 양도는, 리무버블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CD-ROM,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고, 또한 장치가 판독 가능이라면, 그 형태는 묻지 않는다.
이 밖에,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카트 POS시스템
2: 네트워크
10: 점포 서버
11, 31, 511, 611: 프로세서
12, 32, 512, 612: 메인 메모리
13, 33, 513, 613: 보조 기억 디바이스
14, 35, 516: 통신 인터페이스
20: 회원 서버
21: 회원 데이터베이스
30: 모바일 컨트롤러
34, 514: 시계
36, 521, 620: 시스템 전송로
40: 감시 단말기
50: 회계기
60: 정보 단말기
131: 구매 상품 파일
132: 거래 파일
321: 구매 상품 리스트
331: 상태 테이블
515: 거스름기 인터페이스
517, 616: 터치 패널
518, 617: 스캐너
519, 618: 리더
520: 프린터
614: 타이머
615: 무선 유닛
619: 카메라
C: 카트(쇼핑 카트)
TM: 태블릿 단말기

Claims (6)

  1. 유저가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정보 단말기에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통지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가 회계 완료인 경우, 상기 정보 단말기를 리셋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가 회계 미완료인 경우, 감시용 단말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유저가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를,
    유저가 조작하여 구매 상품의 등록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소정 시간 내에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 및
    상기 구매 상품의 회계에 관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KR1020210105138A 2020-11-17 2021-08-10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220067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1129A JP2022080131A (ja) 2020-11-17 2020-11-17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JP-P-2020-191129 2020-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73A true KR20220067473A (ko) 2022-05-24

Family

ID=7786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138A KR20220067473A (ko) 2020-11-17 2021-08-10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56713A1 (ko)
EP (1) EP4002246A1 (ko)
JP (1) JP2022080131A (ko)
KR (1) KR20220067473A (ko)
CN (1) CN1145119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7947A (ja) 2018-10-26 2020-04-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カ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7913B2 (en) * 2006-07-12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waste due to product spoilage within a grocery environment
US10467609B2 (en) * 2017-04-27 2019-11-05 Walmart Apollo, Llc Products identifying carrier
JP7049863B2 (ja) * 2018-03-02 2022-04-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端末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908545B2 (ja) * 2018-03-02 2021-07-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端末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215874B2 (ja) * 2018-10-24 2023-01-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監視装置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780148B2 (ja) * 2020-06-18 2020-11-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7947A (ja) 2018-10-26 2020-04-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6713A1 (en) 2022-05-19
EP4002246A1 (en) 2022-05-25
CN114511971A (zh) 2022-05-17
JP2022080131A (ja)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9970A1 (en) Commodity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by the same
US20230351476A1 (en) Shopping support device, shopping support system, and shopping support method
JP2023017957A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23067981A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販売データ処理方法
US20200250714A1 (en) Commodity data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24032706A (ja) 店舗システム、商品販売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4028307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US11257056B2 (en) Purchase support device and stor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998792B2 (ja) 登録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16639B2 (ja) 店舗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11983687B2 (en) Terminal management system, terminal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057131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102953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20067473A (ko)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US119668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US20230071944A1 (en) Payment apparatus and payment method for the same
US20230091825A1 (en) Checkout apparatus and checkout method
US11580566B2 (en) Stor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7355800B2 (ja) 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723137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40157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2043190A (ja) 登録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22162693A (ja) 販売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1099598A (ja) 店舗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会計機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20538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