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180A -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180A
KR20220064180A KR1020200150406A KR20200150406A KR20220064180A KR 20220064180 A KR20220064180 A KR 20220064180A KR 1020200150406 A KR1020200150406 A KR 1020200150406A KR 20200150406 A KR20200150406 A KR 20200150406A KR 20220064180 A KR20220064180 A KR 2022006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light
unit
optical path
path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박혜진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180A/ko
Priority to PCT/KR2021/012089 priority patent/WO2022102932A1/ko
Publication of KR2022006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용이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도록 하는 광로 변환부;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Sterilization device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용이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택시 등의 대중 교통 수단이나 백화점, 할인 매장 등의 다중 이용 시설은 수많은 사람들이 손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그 접촉 부위에 각종 세균이나 이물질 등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결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접촉하는 부위에 약품을 사용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약품을 이용한 살균은 약품이 지속적으로 소모되어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약품 대신 접촉 부위에 자외선과 같은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살균광을 이용한 살균 시 살균이 필요한 영역에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살균이 필요한 영역에 전체적으로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여러 개의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살균이 필요한 영역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 영역마다 살균광의 조사를 위한 광원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양한 영역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다양한 영역에 대한 용이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2419호(2019.1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용이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도록 하는 광로 변환부;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는, 상기 살균광이 발생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살균광이 상기 광로 변환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전달부는, 미러, 프리즘 및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로 변환부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가 회전 운동 및 직선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평면 및 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의 서로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광 조사부 각각으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복수의 서브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반사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살균광의 세기 및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상기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살균광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상기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살균 대상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살균광의 세기 및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는 살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살균부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도록 하는 광로 변환부;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은, 시동 온/오프 여부, 탑승자 존재 여부, 스마트키 존재 여부, 도어/윈도우 열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시트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의 자세 변경 시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시트는,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에 의한 살균 시 상기 개폐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시트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차량 실내 천장부 또는 센터 콘솔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진행 방향이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경에 의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광 조사부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다양한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살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에 의한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의 회전 시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자세 변경 시 살균광의 진행 방향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 광로 변환부(120), 구동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살균 장치(100)는 버스, 택시 등의 대중 교통 수단이나 건물, 차량, 엘리베이터, 에스칼레이터 등과 같은 다중 이용 시설에 대한 살균을 통해 각종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안전하고 청결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살균 장치(100)는 대중 교통 수단이나 다중 이용 시설 이외에도 살균이 필요한 다양한 시설이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는 살균을 위한 살균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는 광로 변환부(1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광 조사부(111)와 제2 광 조사부(11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대상 영역의 위치나 개수 등에 따라 광 조사부의 개수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광 조사부(111)는 제1 광원(111a)과 제1 광원(111a)으로부터 발생되는 살균광을 광로 변환부(120)로 전달하는 제1 광 전달부(111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 조사부(112)도 제1 광 조사부(111)와 유사하게 제2 광원(112a)과 제2 광 전달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11a) 및 제2 광원(112a)은 살균광으로서 222 내지 280nm의 파장을 가지는 UV가 발생되는 LED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소요 시간이나 살균 효율 등에 따라 제1 광원(111a) 및 제2 광원(112a)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이나 광원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 전달부(111b) 및 제2 광 전달부(112b)로서 제1 광원(111a) 및 제2 광원(112a)으로부터 발생되는 살균광이 광로 변환부(120)로 반사되도록 포물선이나 타원 형상을 가지는 리플렉터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 전달부(111b) 및 제2 광 전달부(112b)는 리플렉터 뿐만 아니라, 제1 광원(111a) 및 제2 광원(112a)으로부터 발생되는 살균광이 광로 변환부(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미러, 프리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학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광로 변환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이 소정의 살균 대상 영역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살균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의 위치는 고정되고,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가 변경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도록 하게 된다.
광로 변환부(120)에 의해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의 살균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가 살균 대상 영역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경우라도 광로 변환부(120)에 의해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살균 대상 영역에 전체적으로 살균광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존에는 살균 대상 영역 전체적으로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이 조사되는 영역이 살균 대상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여러 개의 광원을 배치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광의 조사 영역이 살균 대상 영역의 크기에 비하여 작더라도 광로 변환부(120)에 의해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광원, 즉 광 조사부를 사용하더라도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광로 변환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가 제1 광 조사부(111) 및 제2 광 조사부(11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광로 변환부(120)가 제1 광 조사부(111) 및 제2 광 조사부(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각각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에 의한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 각각은 제1 광 조사부(111) 및 제2 광 조사부(112) 각각으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S1, S2)을 반사시켜 살균광이 살균 대상 영역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살균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은 광로 변환부(120)에 의해 변환되는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평면, 곡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이 서로 평행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살균 대상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이 단일의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 중 적어도 하나는 둘 이상의 서브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로 변환부(120)는 제1 반사면(121)이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을 포함하고, 제2 반사면(122)은 단일의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 각각은 제1 광 조사부(111)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이 서로 입사각으로 입사되도록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 각각에 의해 반사되는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서로 다르게 되며, 이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이 4개로 구성되고, 4개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이 제2 반사면(122)에 나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θ1, θ2, θ3, θ4)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면(121)이 복수의 서브 반사면(121a, 121b, 121c, 121d)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반사면(122)이 단일의 반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면(121)이 단일의 반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반사면(122)이 복수이 서브 반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반사면(121) 및 제2 반사면(122)이 모두 복수의 서브 반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130)는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광로 변환부(120)가 회전 운동, 직선 이동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동부(130)는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경 방식에 따라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30)가 살균 대상 영역에 따라 광로 변환부(120)를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구동부(130)에 의해 광로 변환부(120)가 회전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광로 변환부(120)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살균 대상 영역에 따라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 8과 같이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A) 사이의 거리(d)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에서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나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광로 변환부(12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살균 대상 영역에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살균 효율이 저하되어 살균 소요 시간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 및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광로 변환부(120)과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살균광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여 광로 변환부(12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더라도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균일한 살균 효율이 발휘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 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광로 변환부(120)의 회전 각도가 작아지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가 동일하더라도 광로 변환부(120)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균일한 살균 효율이 발휘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살균 대상 영역에 따라 균일한 살균 효율이 발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 및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대상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 및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손이 빈번하게 접촉되는 부위일수록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도가 높은 부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의 세기를 높이거나 광로 변환부(120)의 위치 변화율이 작아지도록 하여 살균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1)은 살균부(100) 및 조건 판단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살균부(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살균 장치(1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살균부(100)는 차량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부(100)가 시트(30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도 10과 같이 시트(300)의 자세가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살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대상 영역의 위치에 따라 살균부(100)는 시트(300)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 천장부나 센터 콘솔부와 같이 용이한 살균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살균부(100)가 시트(300)에 설치되는 경우, 살균부(100)는 시트(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살균 시 시트(3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가 변경되거나, 시트(300) 내부에 위치하는 살균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이 살균 대상 영역에 조사되도록 시트(30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미도시)가 개폐될 수도 있다.
조건 판단부(200)는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거나 탑승이 예상되는 경우 살균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살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을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 만족 시 살균부(100)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은 시동 온/오프 여부, 탑승자 존재 여부, 스마트키 존재 여부, 도어/윈도우 열림 여부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광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게 하는 다양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조건 판단부(200)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을 판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즉 살균광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살균부(100)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살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먼저 조건 판단부(200)가 시동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10). 조건 판단부(200)는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 살균부(100)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살균광이 탑승자에게 조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조건 판단부(200)는 탑승자의 존재 여부,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의 존재 여부, 도어/윈도우의 열림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S120, S130, S140),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고,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가 존재하지 않으며, 도어/윈도우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살균부(100)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S150).
전술한 도 11에서는 시동 온/오프, 탑승자 존재 여부, 스마트키의 존재 여부, 도어/윈도우의 열림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조건 판단부(200)에 의해 판단되는 살균 조건도 차량의 탑승자나 주변 사람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111, 112)에 의해 조사되는 살균광의 진행 방향이 위치가 변경되는 광로 변환부(1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살균 대상 영역에 따라 별도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배치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살균 대상 영역에 대한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112: 광 조사부
120: 광로 변환부
121, 122: 반사면
130: 구동부
140: 제어부
200: 조건 판단부

Claims (17)

  1. 살균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도록 하는 광로 변환부;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는,
    상기 살균광이 발생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살균광이 상기 광로 변환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 전달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부는,
    미러, 프리즘 및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변환부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가 회전 운동 및 직선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살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평면 및 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살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의 서로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광 조사부 각각으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복수의 서브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반사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살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살균광의 세기 및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살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상기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살균광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살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변환부와 상기 살균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이 작아지도록 하는 살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살균 대상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살균광의 세기 및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살균 장치.
  12. 차량에 설치되는 살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살균부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부;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변환되도록 하는 광로 변환부;
    상기 광로 변환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살균광의 진행 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살균 조건은,
    시동 온/오프 여부, 탑승자 존재 여부, 스마트키 존재 여부, 도어/윈도우 열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시트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의 자세 변경 시 살균광의 진행 경로가 달라지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에 의한 살균 시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시트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차량 실내 천장부 또는 센터 콘솔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KR1020200150406A 2020-11-11 2020-11-11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KR20220064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06A KR20220064180A (ko) 2020-11-11 2020-11-11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PCT/KR2021/012089 WO2022102932A1 (ko) 2020-11-11 2021-09-07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06A KR20220064180A (ko) 2020-11-11 2020-11-11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180A true KR20220064180A (ko) 2022-05-18

Family

ID=8160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06A KR20220064180A (ko) 2020-11-11 2020-11-11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4180A (ko)
WO (1) WO20221029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19A (ko) 2018-03-26 2019-10-07 유호문 세탁 건조기 용도의 자외선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33Y1 (ko) * 2003-03-06 2003-06-02 김종왕 이동식 자외선 살균기
KR20150012971A (ko) * 2013-07-26 2015-02-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2087940B1 (ko) * 2013-08-07 2020-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살균 장치
KR101724447B1 (ko) *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로봇
KR20200029137A (ko) * 2018-09-10 2020-03-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자외선 조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19A (ko) 2018-03-26 2019-10-07 유호문 세탁 건조기 용도의 자외선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932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29771U (zh) 车辆用开闭体操作装置
KR20200098792A (ko) 살균이 가능한 차량의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US20210187140A1 (en) Arrangement for Irradiating a Surface
JPH07164962A (ja) 自動車の車内照明装置
US8791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passengers of a public transport vehicle of a door lock status
KR20220064180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살균 시스템
EP1564567A1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JP7062883B2 (ja) 車両用灯具
JPWO2013146919A1 (ja) 車両の制御構造
KR20110030194A (ko) 헤드램프장치
KR20220135955A (ko) 살균 장치
KR20220144523A (ko) 살균 장치
KR20230015093A (ko) 살균 장치
US20240139362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JP2008097924A (ja) 車両用灯具
KR20230015092A (ko) 살균 시스템
KR20210132896A (ko) 살균 시스템
KR20220150543A (ko) 살균 장치
JP2006027533A (ja) 覚醒照明装置
CN215875607U (zh) 可显示紫外光杀菌范围之装置
JP7287923B2 (ja) 車両用除菌システム
JP5633235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KR20130008347A (ko) 차량용 헤드램프
WO2021221002A1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220149925A (ko) 살균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