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040A -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 Google Patents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040A
KR20220060040A KR1020200144706A KR20200144706A KR20220060040A KR 20220060040 A KR20220060040 A KR 20220060040A KR 1020200144706 A KR1020200144706 A KR 1020200144706A KR 20200144706 A KR20200144706 A KR 20200144706A KR 20220060040 A KR20220060040 A KR 2022006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sub
air cush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철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주)엘탑
박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탑, 박형규 filed Critical (주)엘탑
Priority to KR102020014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040A/ko
Publication of KR2022006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 A61G7/0574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fluidised by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에어 큐션부(Air Cushion Part)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Supporting Plate),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Air Cushion Part),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Sensor Part),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펌프부(Pump Part) 및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SMART MATTRESS APPARATUS WITH LOCAL PRESSURE CONTROL}
본 발명은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에어 큐션부(Air Cushion Part)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스스로 자세를 변경하는 등의 신체적 활동을 수행하기기 어려워서 침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들은 유사한 자세로 오랫동안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자세를 바꾸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촉되는 피부 면이 체중의 압박에 의해 혈액 순환이 나빠지고, 이로 인해 그 부분에 압박괴사가 생겨 그 조직이 파괴되는 욕창이 환자의 몸에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간호사 등의 관리자들은 환자의 몸에 욕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간마다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자세를 변경해주는데, 수많은 환자에 비해 간호사의 수가 적어 모든 환자를 명확하게 관리가 곤란하여 환자의 몸에 욕창 발생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환자마다 다양한 자세로 순차적으로 바꾸면서 변경해야 하나, 관리자가 환자마다 순차적으로 변경해야 할 자세를 기억하기 곤란하여 더욱 더 환자의 욕창 방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0927호[문헌 1]에 게시된 바와 같이, 에어 매트리스의 상면에 다수의 일련의 공기셀이 장착된 분리 가능한 욕창방지매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욕창방지매트는 다수의 공기셀의 공기 통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셀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욕창 방지를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5052호[문헌 2]에서는 사용자가 측방향으로 돌아눕도록 회전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기술적 구성은 사용자가 돌아눕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특정 부위를 고려한 정밀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낙상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0927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5052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에어 큐션부(Air Cushion Part)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Supporting Plate),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Air Cushion Part),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Sensor Part),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펌프부(Pump Part) 및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쿠선부는 내층(Inner Layer) 및 상기 내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층(Outer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어 포켓의 상부에서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Sub Plate)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부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조절부를 제어하여, 감지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에어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밸브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부분을 감지하고, 감지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부분의 중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상기 이상 부분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쿠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낮춘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이 지난 경우, 에어 압력을 낮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에어 쿠션부는 독립적인 모듈(Module) 타입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는 에어 쿠션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에어 쿠션부, 지지 플레이트, 펌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다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2는 지지 프레임과 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스마트 매트 장치를 기능블록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스마트 매트 장치의 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 1 방향(DR1)을 가로 방향이라 하고, 제 2 방향(DR2)을 세로 방향이라 하고, 제 3 방향(DR3)을 높이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1A, 이하에는 '스마트 매트 장치'라 칭할 수 있다)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Air Cushion Part, 10), 지지 플레이트(Supporting Plate, 20) 및 프레임부(Frame Part, 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부, 펌프부(Pump Part) 및 제어부(Cont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 펌프부 및 제어부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는 에어 쿠션부(10)를 위한 지지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 쿠션부(10)는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며, 지지 플레이트(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은 독립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복수의 에어 쿠션부(10)의 각각의 에어 포켓은 서로 별도로 밀봉될 수 있다.
프레임부(30)는 지지 플레이트(20)가 배치될 수 있는 지지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30)는 상부 프레임(Top Frame, 31), 다리부(Leg Part, 40) 및 받침부(Supporting Part, 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에는 지지 플레이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33)는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40)는 상부 프레임(31)과 받침부(33)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다리부(40)는 상부 프레임(3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부 프레임(31)을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부(30)는 사용자, 예컨대 환자의 이탈(낙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칸막이(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한 구성의 스마트 매트 장치(1A)의 에어 쿠션부(10)의 상부에 사용자(P)가 눕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쿠션부(10)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에어 포켓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푹신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에어 포켓으로 인해 욕창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에어 쿠션부, 지지 플레이트, 펌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에어 쿠션부(10)는 내층(Inner Layer, 11) 및 내층(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층(Outer Layer, 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11)은 에어 포켓(100)을 구획할 수 있다. 에어 포켓(100)에 에어가 주입되면 에어 쿠션부(10)는 충분한 탄력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 쿠션부(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내층(11)과 외층(12)의 사이에는 센서부(Sensor Part, 13)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3)는 에어 쿠션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센서부(13)는 기판(Substrate, 131), 기판(131)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132) 및 압력 센서(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센서 보형물(13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보형물(133)은 에어 쿠션부(10)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 센서(132)가 보다 효과적으로 센싱하도록 압력을 압력 센서(13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보형물(133)은 내층(11) 및 외층(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구부러지는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센서 보형물(133)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센서 보형물(133)의 강도는 내층(11) 및 외층(12)의 강도보다 더 강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압력의 센싱을 위해, 센서부(13)는 에어 포켓(100)의 상부에서 내층(11)과 외층(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 포켓(100)의 구조적 신뢰성을 위해 내층(11) 및 외층(12) 중 적어도 하나는 다층(Multi-Layer)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층(11)은 제 1 층(First Layer, 111) 및 제 1 층(1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층(Second Layer, 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111)은 에어 포켓(10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에어 포켓(100)의 전체적인 형태는 제 1 층(111)의 전체적인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2 층(112)은 에어 쿠션부(10)의 측벽(Side Wall)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제 2 층(112)은 에어 쿠션부(10)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층(112)은 에어 쿠션부(10)의 하면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외층(12)은 제 3 층(Third Layer, 121) 및 제 3 층(12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4 층(Fourth Layer,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층(121)은 에어 쿠션부(10)의 측벽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외층(12)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제 3 층(121)은 에어 쿠션부(10)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층(121)은 에어 쿠션부(10)의 하면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 4 층(122)은 에어 쿠션부(10)를 습기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4 층(122)은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4 층(122)은 에어 포켓(10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4 층(122)은 에어 쿠션부(10)의 하면에서 제 1 층(111)과 접촉할 수 있다.
에어 쿠션부(10)의 하면의 두께(T1)는 측면의 두께(T2)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센서부(13)는 제 2 층(112)과 제 3 층(1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에어 쿠션부(10)는 단면이 대략 6각형의 형태를 갖는 경우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쿠션부(10)의 단면은 반원 형태를 갖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에어 쿠션부(10)는 하나의 독립적인 에어 포켓(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은 다른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과는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에어 쿠션부(10)는 독립적인 모듈(Module) 타입으로 지지 플레이트(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에어 쿠션부(1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 포켓(100)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 노즐부(Air Nozzle Part, 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에어 쿠션부(10)가 다른 에어 쿠션부(10)와는 독립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층(11)과 외층(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센서부(13)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 배선(WR)도 각각의 에어 쿠션부(10)가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배선(WR)의 일측 끝단은 압력 센서(132)에 연결되거나 기판(131)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전기 배선(WR)은 내층(11)과 외층(1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기 배선(WR)의 타측 끝단은 에어 노즐부(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포켓(100)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노즐부(62)가 에어 노즐부(14)에 연결되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와 센서부(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 노즐부(14)는 제 1 노즐부(First Nozzle Part, 141)와 제 2 노즐부(Second Nozzle Part,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배선(WR)의 타측 끝단은 에어 노즐부(14)의 제 2 노즐부(14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는 모듈 타입의 에어 쿠션부(10)를 지지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홀(First Hole, H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홀(H1)은 에어 쿠션부(1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홀(H1)은 에어 쿠션부(10)의 제 1 노즐부(141)에 대응될 수 있다.
에어 쿠션부(10)를 지지 플레이트(20)에 보다 강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1 노즐부(141)의 외측면에는 제 1 나사선(HX1)을 형성하고, 제 2 노즐부(142)의 외측면에는 제 2 나사선(HX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홀(H1)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선(HX1)에 대응되는 제 3 나사선(HX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나사선(HX1)과 제 2 나사선(HX2)을 이용하여 에어 쿠션부(10)의 제 1 노즐부(141)를 지지 플레이트(20)의 제 1 홀(H1)에 스크류(Screw)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에어 쿠션부(10)가 지지 플레이트(2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노즐부(142)가 지지 플레이트(20)로부터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 노즐부(62)가 제 2 노즐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펌프부(Pump Part, 60)가 주입 노즐부(62)에 연결된 주입관(61)을 통해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적인 에어 주입을 위해, 주입 노즐부(62)의 내측면에는 제 2 노즐부(142)의 제 2 나사선(HX2)에 대응되는 제 4 나사선(HX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입 노즐부(62)가 에어 노즐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에어 쿠션부(10)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펌프부(60)가 에어 쿠션부(10)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펌프부(60)가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펌프부(60)가 복수의 에어 쿠션부(10)에 대응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펌프부(60)가 다수의 에어 쿠션부(1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각각의 에어 쿠션부(10)로의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에어 밸브(Air Valve, 63)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펌프부(60)는 에어 쿠션부(10)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에어 밸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밸브(63)는 주입 노즐부(62)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 밸브(63)는 펌프부(60)의 제어에 따라 혹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펌프부(6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에어 쿠션부(10)의 공기압, 즉 에어 포켓(100)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압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부(600)가 측정한 공기압에 대한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에어 쿠션부(10)는 지지 플레이트(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이 파열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센서부(13)의 센싱 데이터를 외부(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 배선(WR)이 제 2 노즐부(142)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단순히 에어 쿠션부(10)를 지지 플레이트(20)의 제 1 홀(H1)에 삽입하고, 주입 노즐부(62)를 제 2 노즐부(142)에 연결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센서부(13)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센서부(13)는 모든 에어 쿠션부(1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소정 위치의 에어 쿠션부(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에어 쿠션부(10)가 센서부(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다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다리부(40)는 제 1 다리(41), 제 2 다리(42) 및 제 3 다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다리(41)의 일측은 상부 프레임(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다리(42)의 일측은 제 1 다리(41)의 타측에 스윙(Swing)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3 다리(43)의 일측은 제 2 다리(42)의 타측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숫 있다.
제 3 다리(43)의 타측은 받침부(3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40)는 상부 프레임(3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31)의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40)가 앞다리부(40a)와 뒷다리부(40b)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앞다리부(40a)와 뒷다리부(40b)는 각각 제 1 다리(41a, 41b), 제 2 다리(42a, 42b) 및 제 3 다리(43a, 4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40)에서 앞다리부(40a)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앞다리부(40a)의 제 2 다리(42a)를 접어서 제 3 방향(DR3)으로 앞다리부(40a)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프레임(31)의 우측이 하강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다리부(40a)의 제 2 다리(42a) 뿐만 아니라, 뒷다리부(40b)의 제 2 다리(42b)를 접어서 제 3 방향(DR3)으로 뒷다리부(40b)의 길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프레임(31)의 우측 및 좌측이 모두 하강하여 상부 프레임(31)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22는 지지 프레임과 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를 살펴보면, 지지 플레이트(20)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Sub Plate, 21, 22,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는 서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3 서브 플레이트(23)와 제 4 서브 플레이트(24)가 서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혹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는 상부 프레임(31)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 플레이트(21)의 우측은 상부 프레임(31)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좌측이 상부 프레임(31)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각각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10)가 배치될 수 있다.
(B)는 지지 플레이트(20)가 제 1 방향(DR1)으로 나란한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로 분할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지지 플레이트(20)를 총 4개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로 분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플레이트(20)는 2개, 6개, 8개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 조절부는 제 1 방향(DR1)으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라고 칭하는 이유는 이후에 설명할 '세로 기울기 조절부(80)'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중 제 1 서브 플레이트(2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 가로 기울기 조절부(710) 및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의 일측은 제 1 서브 플레이트(21)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가로 기울기 조절부(710)의 일측은 제 3 서브 플레이트(2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20)의 일측은 제 4 서브 플레이트(24)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1, 2,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의 타측은 받침부(3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는 가로 기울기 조절부(70)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모든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 각각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2,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701, 711, 721), 제 1 걸림부(702, 712, 722), 제 1 고정부(703, 713, 723) 및 제 2 고정부(705, 715, 725)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701, 711, 721)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701, 711, 712)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길이를 늘일 수 있다.
제 1 고정부(703, 713, 723)는 서브 플레이트(21, 23, 24)의 하면에 배치되고, 대응되는 서브 플레이트(21, 23, 24)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레일(First Rail, 704, 714, 7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레일(704, 714, 724)은 제 1 고정부(703, 713, 723)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부(Opening)일 수 있다.
제 1 걸림부(702, 712, 722)는 길이 조절부(701, 711, 72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걸림부(702, 712, 722)는 제 1 고정부(703, 713, 723)의 제 1 레일(704, 714, 724)에 걸리고, 제 1 레일(704, 714, 724)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길이 조절부(701, 711, 721)의 일단은 제 1 레일(704, 714, 724)을 따라 이동하면서도 제 1 걸림부(702, 712, 722)를 축으로 하여 스윙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의 일단은 대응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3, 24)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705, 715, 725)는 받침부(33)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701, 711, 712)의 타측은 받침부(3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의 타측은 받침부(3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압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길이 조절부(701, 711, 721)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3, 24)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기울기를 조절한 일례가 도 14에 나타나 있다.
도 14의 경우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 및 제 3 서브 플레이트(23)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인 경우이다.
자세하게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의 좌측을 상승시키고,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우측을 상승시키고,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좌측과 우측을 함께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기울기를 제공하였다.
여기서,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좌측과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우측이 서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에,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우측이 상승함에 따라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좌측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우측을 상승시키게 되면 제 4 서브 플레이트(24)는 기울어지지 않거나 혹은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서브 플레이트(22)는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전의 설명에서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는 가로 기울기 조절부(70)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언급한 바 있다.
또는, 제 2 서브 플레이트(22)는 가로 기울기 조절부(70)는 연결되지 않으나, 상부 프레임(31)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서브 플레이트(21)의 우측과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좌측은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기울기를 조절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서로 나란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서로 나란한 경우에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W1)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21)가 제 2 서브 플레이트(22)를 기준으로 제 1 각도(θ1)로 기울어진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의 길이 조절부(701)의 길이가 증가되어 제 1 서브 플레이트(22)의 우측을 상승시킨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제 1 서브 플레이트(22)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W1)보다 큰 제 2 간격(W2)일 수 있다.
이는 제 2 서브 플레이트(22)와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사이, 제 3 서브 플레이트(23)와 제 4 서브 플레이트(24)의 사이에도 유사 혹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를 기울이는 경우에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 배치되는 에어 쿠션부(10)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도 16의 (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를 연결하는 연결부(Connecting Part,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CP)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RL)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RL)은 연결부(CP)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아울러,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적어도 한쪽 끝단의 양측면에는 연결부(CP)가 걸리는 돌출부(PR1, PR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CP)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연결부(CP)의 레일(RL)에는 두 개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의 돌출부(PR1, PR2)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CP)의 레일(RL)의 좌측에 제 1 서브 플레이트(21)의 제 1 돌출부(PR1)가 걸리고, 연결부(CP)의 레일(RL)의 우측에 제 2 서브 플레이트(22)의 제 2 돌출부(PR2)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는 연결부(CP)에 의해 단속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레일(RL)에 걸린 제 1 돌출부(PR1) 및/또는 제 2 돌출부(PR2)에 의해 스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서로 나란한 경우에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W1)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21)가 제 2 서브 플레이트(22)를 기준으로 제 1 각도(θ1)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에 의해 제 1 플레이트(21)의 좌측이 상승함에 따라 제 1 서브 플레이트(21)와 제 2 서브 플레이트(22) 사이의 간격이 제 2 간격(W2)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10)의 배열이 나타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복수의 에어 쿠션부(10)가 제 1 방향(DR1)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의 (A), (B)를 살펴보면,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서는 제 1 방향(DR1)으로 복수의 에어 쿠션부(10)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에 배치된 에어 쿠션부(10)는 제 1 방향(DR1)으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는,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21)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에어 쿠션부(10a)와 제 2 에어 쿠션부(10b)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에어 쿠션부(10a)와 제 2 쿠션부(10b)는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 배치된 제 3 에어 쿠션부(10c)와 제 1 방향(DR1)으로 공통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서브 플레이트(21)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제 1 에어 쿠션부(10a) 및 제 2 에어 쿠션부(10b)와 제 3 에어 쿠션부(10c) 사이의 간섭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20)는 제 1 방향(DR1) 뿐만 아니라 제 2 방향(DR2)으로도 분할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0)는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3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는 제 1 방향(DR1)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c), 제 4-2 서브 플레이트(24d)는 제 2 방향(DR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으로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a, 22a, 23a, 24a)는 서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서브 플레이트(21b, 22b, 23b, 24b)는 서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들의 연결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1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 조절부는 제 2 방향(DR2)으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는 앞서 설명한 가로 기울기 조절부(70)와 구별될 수 있다.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 중 제 1 방향(DR1)으로 나란한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를 포함하는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First Sub Plate Group, G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 중 제 1 방향(DR1)으로 나란하며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G1)과 인접한 제 2 서브 플레이트 그룹(Second Sub Plate Group, G2)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서브 플레이트 그룹(G2)은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c)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의 일측은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 중 적어도 하나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의 일측은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 어느 하나가 기울어질 때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가 모두 함께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제 1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의 일측은 제 1-1 서브 플레이트(21a), 제 2-1 서브 플레이트(22a), 제 3-1 서브 플레이트(23a) 및 제 4-1 서브 플레이트(24a)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10)의 타측은 제 2-1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b) 중 적어도 하나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10)의 일측은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b)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제 2-1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b) 어느 하나가 기울어질 때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b)가 모두 함께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제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10)의 일측은 제 1-2 서브 플레이트(21b), 제 2-2 서브 플레이트(22b), 제 3-2 서브 플레이트(23b) 및 제 4-2 서브 플레이트(24b)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 810)의 타측은 받침부(33)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1,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 810)는 세로 길이 조절부(801, 811), 제 1 세로 걸림부(802, 812), 제 1 세로 고정부(803, 813) 및 제 2 세로 고정부(805, 8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 810)의 구성 및/또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 1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제 2 가로 기울기 조절부(710) 및 제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20)의 구성 및/또는 구조와 대략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 1,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 810)를 설명하기 위한 도 20을 제 1, 2,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 및 도 12와 비교하면, 방향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도 20의 제 1, 2 세로 기울기 조절부(800, 810)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 11 및 도 12의 제 1, 2, 3 가로 기울기 조절부(700, 710, 720)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804, 814, 824는 제 2 레일(Second Rail)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레일(804, 814, 824)은 제 1 레일(704, 714, 724)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압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세로 길이 조절부(801, 811, 821)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해당하는 서브 플레이트 그룹(G1, G2)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 그룹(G1, G2)의 기울기를 조절한 일례가 도 21에 나타나 있다.
도 21의 경우는 제 2 서브 플레이트 그룹(G2)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인 경우이다.
자세하게는,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G1)의 우측을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기울기를 제공하였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 그룹(G1, G2)의 기울기를 조절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는, 도 22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G1) 및 제 2 서브 플레이트 그룹(G2) 중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G2)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22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플레이트 그룹(G1) 및 제 2 서브 플레이트 그룹(G2)의 기울기를 각각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운용하는 방법과 이를 설명하기 위해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기능블록으로 표현한 것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3은 스마트 매트 장치를 기능블록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트 장치(1A)는 센서부(13), 에어 쿠션부(10), 펌프부(60), 에어 밸브(63), 다리부(40), 가로 기울기 조절부(70), 세로 기울기 조절부(80) 및 제어부(Controller, 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 에어 쿠션부(10), 펌프부(60), 에어 밸브(63), 다리부(40), 가로 기울기 조절부(70) 및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90)는 스마트 매트 장치(1A)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90)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10)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0)는 이상 감지부(91), 위치 판별부(92), 중심 판별부(93), 압력 조절부(94), 기울기부(95), 다리 조절부(96), 메모리부(97), 통신부(98) 및 인터페이스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감지부(91)는 센서부(13)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판별부(92)는 이상 감지부(91)가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부분(이상 부분)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위치 판별부(92)는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를 판별하거나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에어 쿠션부(10)에 삽입되는 센서부(13)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부(10)에 순차적으로 SR11, SR12......SR21, SR22......SRxy와 같은 고유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제 1 방향(DR1)으로의 좌표(혹은 순서)이고, y는 제 2 방향(DR2)으로의 좌표(혹은 순서)일 수 있다.
중심 판별부(93)는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혹은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에어 쿠션부(10)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이상 부분의 중심 영역(혹은 중심)을 판별할 수 있다.
압력 조절부(94)는 펌프부(60) 및/또는 에어 밸브(63)를 제어하여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에 주입된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의 압력, 즉 에어 포켓(100)의 에어의 압력, 즉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압력 조절부(94)는 에어 밸브(63) 및/또는 펌프부(60)를 제어하여 복수의 에어 쿠션부(10)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 조절부(94)는 펌프부(60)가 측정한 에어 쿠션부(10)의 공기압에 대한 정보를 펌프부(6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든 에어 쿠션부(10)에 에어가 공급되기 이전의 초기 단계에서는, 압력 조절부(94)는 에어 밸브(63) 및/또는 펌프부(60)를 제어하여 모든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단계에서는 모든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은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기울기부(95)는 가로 기울기 조절부(70) 및/또는 세로 기울기 조절부(80)를 제어하여 지지 플레이트(20) 혹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 조절부(96)는 다리부(40)를 제어하여 상부 프레임(31)의 높이 혹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부(97)는 스마트 매트 장치(1A)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정보, 센싱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98)는 외부의 다른 기기,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휴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99)는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다른 기기, 예컨대 스마트 폰 등의 휴대 기기, 데스크 탑, 노트북 등의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매트 장치(1A)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 내지 도 30은 스마트 매트 장치의 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먼저 센서부(13)가 에어 쿠션부(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센싱(S10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매트 장치(1A)의 상부에 눕는 경우에, 소정 위치의 에어 쿠션부(10)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센서부(13)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13)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9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90)의 이상 감지부(91)는 센서부(13)로부터 전송받은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S200)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상 감지부(91)는 전송받은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210)할 수 있다.
제 S21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220)할 수 있다.
제 S22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제 1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이상 감지부(91)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230)하고,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 발생을 감지한 이후에, 제어부(90)의 위치 판별부(92)는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위치를 판별(S300)할 수 있다. 혹은,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압력 조절부(94)가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압력, 즉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S400)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압력 조절부(94)는 에어 밸브(63) 및/또는 펌프부(60)를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압력 조절부(94)는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현재 에어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압력 조절부(94)는 에어 밸브(63) 및/또는 펌프부(60)를 제어하여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에 주입된 에어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현재 에어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압력 조절부(94)는 에어 밸브(63) 및/또는 펌프부(60)를 제어하여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에 주입된 에어의 일부를 배출시키거나 혹은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은 펌프부(60)가 측정이 가능하다.
이후,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유지한 상태가 지속된 시간이 제 2 기준시간이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00)하고, 판단결과 제 2 기준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이전 상태로 복구(S600)할 수 있다. 혹은,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을 감지한 시점에서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이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유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하기 이상을 감지한 시점에서의 에어 압력으로 복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기준시간은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낮춘 시점부터 카운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이상을 감지한 시점에서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이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유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에 에어를 더 주입하여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높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기준시간은 이상을 감지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상 감지부(91)는 압력의 변화율을 근거로 하여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S210 단계에서 판단결과,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 압력의 변화율을 연산(S240)할 수 있다.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변화율을 연산한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보다 더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S250)할 수 있다.
제 S25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 1)을 수행(S260)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25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더 낮은 상태를 유지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3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S270)할 수 있다.
제 S27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더 낮은 상태를 유지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3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 에어 쿠션부(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230)할 수 있다.
이상 발생 시에 이상이 발생한 부분(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경우의 일례가 도 26에 나타나 있다.
도 26의 (A)의 경우와 같이, 스마트 매트 장치(1A) 상의 제 1 영역(P1)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예를 들어, 스마트 매트 장치(1A)에 눕혀진 사용자(환자 등)가 자세의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등 특정 부위는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부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3)도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에어 쿠션부(10)가 받는 압력을 센싱하면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지속적으로 받는 압력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6의 (A)의 경우는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특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스마트 매트 장치(1A)의 제 1 영역(P1)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은 제 1 영역(P1)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 매트 장치(10A)의 제 1 영역(P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에 따라 제 1 영역(P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P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기준 압력보다 더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영역(P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주위의 다른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에어 쿠션부(10)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의 조절 정도를 다른 에어 쿠션부(10)와는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7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 매트 장치(1A)에서 제 2 영역(P2)에 이상이 발생하고, 제 2 영역(P2)에는 제 4, 5, 6 에어 쿠션부(10a1, 10a2, 10a3)가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여기서, 제 5 에어 쿠션부(10a2)는 제 4 에어 쿠션부(10a1)와 제 6 에어 쿠션부(10a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영역(P2)의 중심 영역(CA)에 제 4 에어 쿠션부(10a2)가 위치하고, 제 2 영역(P2)의 가장자리 영역(PA)에 제 4 에어 쿠션부(10a1)와 제 6 에어 쿠션부(10a3)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P2)에 위치하는 제 4, 5, 6 에어 쿠션부(10a1, 10a2, 10a3)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은 일반 영역에 위치하는 제 7 에어 쿠션부(10b1) 및 제 8 에어 쿠션부(10b2)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영역(P2) 내에서 제 5 에어 쿠션부(10a2)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은 제 4 에어 쿠션부(10a1) 및 제 6 에어 쿠션부(10a2)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에어 쿠션부(10)의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에어 쿠션부(1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더욱 안락함을 느낄 수 있으며, 욕창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 발생 시 이상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혹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주변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하면서도, 이와 함께 지지 플레이트(20)의 기울기 혹은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하의 도 28에서는 앞선 도 24 내지 도 25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28을 살펴보면,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위치를 판별(S300)한 이후에,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S400)하면서, 지지 플레이트(20)의 기울기 혹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S700)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S500)하여, 판단결과 제 2 기준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복구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에어를 더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S600).
아울러, 기울기를 조절했던 지지 플레이트(20)의 기울기 혹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복구(S710)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9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0)가 제 1, 2, 3, 4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 1 서브 플레이트(21)에 대응되는 제 3 영역(P3)이 이상 부분이라고 가정하여 보자.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서브 플레이트(21) 상의 제 3 영역(P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영역(P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29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영역(P3)에 대응되는 제 1 서브 플레이트(21)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제 1 서브 플레이트(21)를 기울이는 방법은 적어도 앞선 도 13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처럼, 이상 부분에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조절하면서도, 지지 플레이트(20)의 기울기 혹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도 29에서는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이와 함께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가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이와 함께 이상이 발생한 에어 쿠션부(10)가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가 아닌 인접하는 다른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 21a, 22a, 23a, 24a, 21b, 22b, 23b, 24b)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0)가 제 1, 2, 3, 4 서브 플레이트(21, 22, 23, 24)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 대응되는 제 4 영역(P4)이 이상 부분이라고 가정하여 보자.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서브 플레이트(22) 상의 제 4 영역(P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0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4 영역(P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쿠션부(10)의 에어 포켓(10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30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영역(P3)에 대응되는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아닌, 제 2 서브 플레이트(22)에 인접한 제 3 서브 플레이트(23)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서브 플레이트(22)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엉덩이 부분에 대응되고, 제 3 서브 플레이트(23)가 허벅지 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을 일정 각도로 들어 올리면 엉덩이 부분에서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른 부분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30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서브 플레이트(23)의 기울기를 조절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창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도 30의 (C)에서 제 3 서브 플레이트(23) 뿐만 아니라 제 4 서브 플레이트(24)를 소정 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적어도 앞선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지지 플레이트(Supporting Plate);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에어 포켓(Air Pocket)을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쿠션부(Air Cushion Part);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Sensor Part);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펌프부(Pump Part); 및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
    를 포함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쿠선부는
    내층(Inner Layer); 및
    상기 내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층(Outer Layer);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어 포켓의 상부에서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Sub Plate)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부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조절부를 제어하여, 감지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에어 쿠션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에어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밸브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에어 쿠션부로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이상 부분을 감지하고,
    감지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부분의 중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상기 이상 부분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보다 더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쿠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상기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낮춘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이 지난 경우, 에어 압력을 낮춘 상기 에어 쿠션부의 에어 포켓의 에어 압력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에어 쿠션부는 독립적인 모듈(Module) 타입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KR1020200144706A 2020-11-02 2020-11-02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KR2022006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06A KR20220060040A (ko) 2020-11-02 2020-11-02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06A KR20220060040A (ko) 2020-11-02 2020-11-02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40A true KR20220060040A (ko) 2022-05-11

Family

ID=8160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706A KR20220060040A (ko) 2020-11-02 2020-11-02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0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927A (ko) 2015-07-20 2017-02-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쌀가루발효물을 코팅하여 가바가 함유된 현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5052B1 (ko) 2016-12-09 2018-09-04 (주) 케이에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927A (ko) 2015-07-20 2017-02-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쌀가루발효물을 코팅하여 가바가 함유된 현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5052B1 (ko) 2016-12-09 2018-09-04 (주) 케이에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3202B2 (en) Inflatable mattress and control methods
US9420895B2 (en) Patient support
CA3034287C (en) Inflatable cellular cushioning device for body support
EP2892490B1 (en) Patient support
US20100101026A1 (en) Adaptable surface for use in beds and chairs to reduc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US20150059100A1 (en) Patient support
US10238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ressure sores in bedridden patients
KR101280615B1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KR102150026B1 (ko) 온도 감지 기능에 의해 교대 부양이 가능한 욕창방지방석
KR20220060040A (ko) 부분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매트 장치
KR101326288B1 (ko)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CN109152687B (zh) 具有自动压力优化的床垫
KR20130050848A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
KR102519950B1 (ko) 의료용 침대
JP6832771B2 (ja) エアマット装置
KR102026787B1 (ko) 능동적 체압 분산형 에어 셀 매트리스
KR102235062B1 (ko) 능동적 체압 분산형 에어 셀 매트리스
KR20220098415A (ko)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KR20210126941A (ko) 욕창 방지 매트
GB2387114A (en) Patient support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