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941A - 욕창 방지 매트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941A
KR20210126941A KR1020200044656A KR20200044656A KR20210126941A KR 20210126941 A KR20210126941 A KR 20210126941A KR 1020200044656 A KR1020200044656 A KR 1020200044656A KR 20200044656 A KR20200044656 A KR 20200044656A KR 20210126941 A KR20210126941 A KR 20210126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mat
unit
ang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794B1 (ko
Inventor
조승만
Original Assignee
원포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포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포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7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 A61G7/0574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fluidised by air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자세 전환에 따른 경사 변동량에 근거하여 매트부의 경사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줌으로써 환자의 특정 체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 매트는, 폭방향 중앙 하부가 볼록하여 폭방향 경사 발생 및 조절이 자유로운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부의 경사를 설정 각도로 유지시키는 경사조절부,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와 경사 유지 시간을 감지하는 경사감지부 및 상기 경사감지부에서 감지된 경사 각도 정보와 경사 유지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욕창 방지 매트{MAT FOR BEDSORE PREVENTION}
본 발명은 욕창 방지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자력으로 자세 전환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켜줌으로써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 매트에 관한 것이다.
신체마비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대부분을 침상에 누워서 지내게 되며, 이와 같이 장기간 침상에 누워서 지내는 환자들은 등이나 엉덩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과도한 압박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안되어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욕창이란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음으로 인해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가해져서 피부와 피하조직의 조직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압박 때문에 피부로 가는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 결국 조직이 괴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욕창의 주요 발생부위는 천골, 미골, 좌골결절, 대전자, 발꿈치 등과 같이 뼈가 돌출된 부분이지만, 그 밖의 신체 어느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욕창의 65%가 골반 주변에 발생한다.
욕창은 의식이 없는 환자, 뇌신경이나 척수신경 손상이 있는 환자, 위중한 환자, 노인 환자,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만성적으로 쇠약해 있는 환자, 침대에 누워지는 환자 등에서 잘 발생한다.
이러한 환자는 장시간 동일한 체위로 있어도 압력을 받는 곳에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며, 불쾌감을 느낀다 해도 환자 자신이 체위를 바꿀 기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손상을 입기 쉽다.
욕창의 예방은 압박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며, 압박을 피하기 위해서는 압박의 정도에 따라 체위를 바꾸어 장기적인 압력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776호에 개시된 '욕창방지장치'가 있다.
상기 '욕창방지장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에어챔버와, 상기 제1 및 제2 에어챔버가 수축 또는 팽창되도록 에어를 배출 또는 공급하는 에어조절수단과, 상기 에어조절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챔버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욕창방지장치의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의 경과 시 상기 제1 또는 제2 에어챔버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자세를 단순 반복적으로 바꿔주기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776호(공개일자 2019년08월29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자세 전환에 따른 경사 변동량에 근거하여 매트부의 경사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줌으로써 환자의 특정 체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 매트는, 폭방향 중앙 하부가 볼록하여 폭방향 경사 발생 및 조절이 자유로운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부의 경사를 설정 각도로 유지시키는 경사조절부;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와 경사 유지 시간을 감지하는 경사감지부; 및 상기 경사감지부에서 감지된 경사 각도 정보와 경사 유지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부는, 폭방향 양단 하부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양단 하부에 소정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중심의 곡률이 양측 주변의 곡률보다 큰 곡률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중심에서 양측 주변을 향할수록 곡률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상기 매트부의 중앙 하부에 무게 중심을 가중시키기 위한 무게중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매트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일측 경사 조절튜브; 및 상기 매트부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 타측 경사 조절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의 공기주입량에 따라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경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경사 각도가 일방향의 각도로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가 타방향의 각도로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된 이후에,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경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경사 각도가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거나, 기설정된 단위시간당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 매트는, 환자의 거동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짐이 자유로운 지지부의 기울어짐 각도와 시간을 실시간을 감지하고, 감지된 각도와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부의 기울어짐을 강제로 조절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부가 볼록한 매트부의 형상을 통해 기력이 약한 환자가 자력으로 자세 전환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자세 전환에 따른 경사 변동량에 근거하여 매트부의 경사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줌으로써 환자의 특정 체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의 감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의 경사를 강제로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부(100), 경사조절부(200), 경사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가 볼록한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자세에 따라 양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매트부(100)의 경사를 경사감지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경사 정도에 따라 경사조절부(200)가 매트부(100)의 경사를 욕창을 방지하는 경사로 조절하도록 제어부(4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매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매트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매트부(100)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하며, 폭방향 중앙 하부가 볼록한 완만한 ∪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환자가 상부에 누운 상태에서 폭방향(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매트부의 경사각도) 조절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부(200)를 구성하는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부(100)의 상부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몸을 일측으로 돌리면 환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환자가 몸을 타측으로 돌리면 환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매트부(100)가 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부(100)는 내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일측에는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공기주입구(100h)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공기펌프(50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주입구(100h)로 공급되어 상기 매트부(100)가 팽창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매트부(100)는 하부가 볼록한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만 있다면 튜브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매트리스의 형태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력센서(s1, s2)가 매립되어 환자의 체압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s1, s2)는 환자의 일측 부분 체압을 감지하도록 일측에 1열로 구성된 복수의 압력센서(s1)와 환자의 타측 부분 체압을 감지하도록 타측열에 1열로 구성된 복수의 압력센서(s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s1, s2)를 통해 환자 신체의 어느 부분이 압박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환자 압박정보와 매트부의 경사정보를 교차 확인함으로써 환자 상태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의 상세한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중심 영역의 곡률(c1)이 양측 주변 영역의 곡률(c2)보다 큰 곡률(c1>c2)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 중심 영역의 곡률(c1)이 양측 주변 영역의 곡률보다 큰 곡률(c1>c2)이 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중심 부분에서 기울어짐이 잘 이루어지고, 양측 주변에서는 중심보다 기울어짐 양이 적어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의 곡률을 중심 일지점(p1)에서 양측 주변 끝지점(p2)을 향할수록 곡률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의 곡률을 중심 일지점(p1)에서 양측 주변 끝지점(p2)을 향할수록 곡률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중심에서 기울어짐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양측 주변을 향할수록 기울어짐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 중에서, 중심 부분의 곡률이 크도록 형성하고, 주변의 곡률이 작도록 형성함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가 수평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매트부(100)의 과도한 기울어짐에 따른 환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환자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부(100)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에는 상기 매트부(100)의 중앙 하부에 무게 중심을 가중시키기 위한 무게중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부(120)는, 예를 들어, 젤이나 물이 주입되도록 일정 두께의 튜브 공간이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에 별도로 형성되거나,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에 두께가 두껍고 무거울 재질을 덮붙이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양단 하부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1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양단 하부에 소정 폭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 양측에는 착탈이 가능한 기둥형 안전 튜브(131)가 부착이 가능하며, 환자의 머리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착탈이 가능한 베개 튜브(133)가 부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매트부(100)의 구성에 따르면, 욕창 방지 매트의 사용 전에는 상기 공기주입구(100h)에 연결된 호스(h1)를 분리한 후 상기 공기주입구(100h)를 통해 상기 매트부(100)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욕창 방지 매트의 사용시에는 상기 공기주입구(100h)에 호스(h1)를 연결하여 공기펌프(50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림으로써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환자의 거동에 따라 매트부(100)가 자유롭게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특히, 폭방향 중앙 하부의 곡률 형상과 스토퍼(110)에 의해 환자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조절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경사조절부(200)는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완만한 ∪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일정 시간 동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조절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 및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는 일측 공기 입출구(21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는 타측 공기 입출구(22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공기펌프(500)에 의해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펌프(500)에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복수의 호수가 각각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분기된 호스 중 하나의 호스(h3)에 연결된 일측 공기 입출구(21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됨과 함께 분기된 호스 중 다른 하나의 호스(h2)에 연결된 타측 공기 입출구(22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가 모두 팽창하여 상기 매트부(100)는 수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공기펌프(500)에 의해 상기 일측 공기 입출구(210h)를 통해 공기가 배출됨과 함께 상기 타측 공기 입출구(220h)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가 모두 수축하여 상기 매트부(10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는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면과 유사한 높이가 되도록 수축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공기펌프(500)에 의해 상기 일측 공기 입출구(21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가 팽창하여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면보다 더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의 일측이 공중으로 띄워지게 되어 상기 매트부(100)가 타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공기펌프(500)에 의해 상기 타측 공기 입출구(220h)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가 팽창하여 상기 매트부(100)의 하부면보다 더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의 타측이 공중으로 띄워지게 되어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조절부(2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 또는 상기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기 매트부(100)의 폭방향 경사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상기 매트부(100)가 수평한 상태가 되거나,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도는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감지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경사감지부(300)는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 즉, 상기 매트부(100)가 기울어진 경사 각도와 경사 유지 시간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경사감지부(300)는 상기 매트부(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감지부(300)는 상기 매트부(100)의 전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감지부(300)의 구성에 따르면, 환자의 거동에 따른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 변화와 시간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에 따라 환자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얼마나 오랜 시간 해당 자세를 유지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경사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경사 변화와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욕창 방지 매트의 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경사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욕창 방지 매트가 초기상태로 작동하도록 한다.
초기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가 모두 팽창하여 상기 매트부(100)가 수평하게 유지되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환자가 수평한 상태로 누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초기 상태는,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10분 내지 20분 정도 작동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매트부(100)가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환자를 매트부(100)의 상부로 눕히는 과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초기상태 작동 이후에,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경사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욕창 방지 매트가 감지상태로 작동하도록 한다.
감지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가 모두 수축하여 상기 매트부(100)가 환자의 자세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환자의 거동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매트부(100)의 기울어짐 정도(각도)는 환자의 거동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지게 된다.
욕창 방지 매트의 감지상태 작동 중에는,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경사감지부(300)를 통해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 상태, 즉, 경사 변화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때,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이 일정 시간 동안 전혀 변동이 없거나, 기설정된 단위시간당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환자의 의식불명이나 발작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환자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매립된 복수의 압력센서(s)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는 경우에도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압력센서(s)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2가지 정보가 모두 발생한 경우에만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압력센서(s)에서 감지된 압력과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하여 변동이 전혀 없는 상태일 경우에만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욕창 방지 매트의 감지상태 작동 중,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이 한 방향으로 일정시간 이상이 되는 여부를 감지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의 신체 일측이 오랜 시간 압박된 상태이므로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매트부(100)의 기울어짐이 도 6과 같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이 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의 팽창/수축량을 조절하여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 각도가 도 7의 방향을 향하도록 강제적으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일측 경사 조절튜브(2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타측 경사 조절튜브(220)에서 공기를 배출시켜 수축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 각도가 도 7과 같이 타측을 향하도록 강제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조절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 각도는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지되었던 각도와 동일한 각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 유지 시간은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지되었던 시간과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지되었던 각도가 평균 20°이고, 유지되었던 시간이 1시간이라면, 상기 매트부(100)가 타측 방향으로 20°경사지게 1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강제적으로 조절되는 각도와 시간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매트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지되었던 각도와 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테이블화되어 있는 시간정보와 각도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블화되어 있는 각도정보, 시간정보는 환자 욕창의 방지를 위하여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최적화된 테이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가 타측으로 강제조절되어 환자의 자세를 바꿔준 시간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제어부(400)는 다시 감지상태로 작동하게 되며 상술한 과정을 종료 이전까지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감지부(3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사감지부(300)를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조절부(200)를 적절하게 제어함에 따라 환자의 신체에 작용한 체압의 상황에 맞춰서 환자의 자세를 바꿔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매트부 110:스토퍼
120:무게중심부 200:경사조절부
210:일측 경사 조절튜브 220:타측 경사 조절튜브
300:경사감지부 400:제어부
500:공기펌프

Claims (11)

  1. 폭방향 중앙 하부가 볼록하여 폭방향 경사 발생 및 조절이 자유로운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부의 경사를 설정 각도로 유지시키는 경사조절부;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와 경사 유지 시간을 감지하는 경사감지부; 및
    상기 경사감지부에서 감지된 경사 각도 정보와 경사 유지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폭방향 양단 하부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양단 하부에 소정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중심의 곡률이 양측 주변의 곡률보다 큰 곡률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중심에서 양측 주변을 향할수록 곡률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중앙 하부의 볼록한 부분은,
    상기 매트부의 중앙 하부에 무게 중심을 가중시키기 위한 무게중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매트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일측 경사 조절튜브; 및 상기 매트부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 타측 경사 조절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경사 조절튜브와 타측 경사 조절튜브의 공기주입량에 따라 상기 매트부의 폭방향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경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경사 각도가 일방향의 각도로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가 타방향의 각도로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된 이후에,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경사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경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경사 각도가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거나, 기설정된 단위시간당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 매트.
  11. 환자의 거동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짐이 자유로운 지지부의 기울어짐 각도와 시간을 실시간을 감지하고, 감지된 각도와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부의 기울어짐을 강제로 조절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욕창 방지 매트.
KR1020200044656A 2020-04-13 2020-04-13 욕창 방지 매트 KR10240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56A KR102406794B1 (ko) 2020-04-13 2020-04-13 욕창 방지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56A KR102406794B1 (ko) 2020-04-13 2020-04-13 욕창 방지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41A true KR20210126941A (ko) 2021-10-21
KR102406794B1 KR102406794B1 (ko) 2022-06-10

Family

ID=7826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56A KR102406794B1 (ko) 2020-04-13 2020-04-13 욕창 방지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79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793U (ko) * 1976-12-04 1978-07-03
JPH01126967A (ja) * 1987-11-11 1989-05-19 M D M:Kk 傾動式ベッド
JPH01175848A (ja) * 1987-12-29 1989-07-12 Japan Medical Dynamic Marketing Inc 傾動式マット
JP2000342633A (ja) * 1999-06-04 2000-12-12 Kohei Tanaka 介護用ベッド
JP2002017792A (ja) * 2000-07-10 2002-01-22 Konan Sekkei Kk 床ずれ防止機能付介護用ベッド
JP2002126013A (ja) * 2000-10-20 2002-05-08 Keepu:Kk エアマット装置
JP2002177341A (ja) * 2000-12-11 2002-06-25 Kotobuki Shokai:Kk 風船式寝返り装置
JP2007111477A (ja) * 2005-10-17 2007-05-10 Hiroshi Kamiyanagida 床擦れ防止円弧ベッド
JP2013116188A (ja) * 2011-12-02 2013-06-13 Paramount Bed Co Ltd マットレス及びその人体角度調整方法
JP2018057902A (ja) * 2012-08-29 2018-04-12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ーンアシスト部材を持つ使用者保持装置
KR20190100776A (ko)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793U (ko) * 1976-12-04 1978-07-03
JPH01126967A (ja) * 1987-11-11 1989-05-19 M D M:Kk 傾動式ベッド
JPH01175848A (ja) * 1987-12-29 1989-07-12 Japan Medical Dynamic Marketing Inc 傾動式マット
JP2000342633A (ja) * 1999-06-04 2000-12-12 Kohei Tanaka 介護用ベッド
JP2002017792A (ja) * 2000-07-10 2002-01-22 Konan Sekkei Kk 床ずれ防止機能付介護用ベッド
JP2002126013A (ja) * 2000-10-20 2002-05-08 Keepu:Kk エアマット装置
JP2002177341A (ja) * 2000-12-11 2002-06-25 Kotobuki Shokai:Kk 風船式寝返り装置
JP2007111477A (ja) * 2005-10-17 2007-05-10 Hiroshi Kamiyanagida 床擦れ防止円弧ベッド
JP2013116188A (ja) * 2011-12-02 2013-06-13 Paramount Bed Co Ltd マットレス及びその人体角度調整方法
JP2018057902A (ja) * 2012-08-29 2018-04-12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ーンアシスト部材を持つ使用者保持装置
KR20190100776A (ko)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794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6171B2 (en) Independently adjustable support system
US9750655B2 (en) Conformable support system
KR100730803B1 (ko) 팽창가능한 지지체
US11672715B2 (en)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2360231C (en) Air mattress
US8601622B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including a lateral tilt device
US20130180530A1 (en) Adjustable support system
US5129115A (en) Method of prefilling and supporting person on fluid filled body support system
EP2922507B1 (en) Adjustable support system
US932690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upport to a body
US20070061976A1 (en) Dynamically inflatable therapeutic suppo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20347027A1 (en) Devices and Methods to Help Prevent Decubitus Ulcers
KR102406794B1 (ko) 욕창 방지 매트
EP0306881A1 (en) Inflatable cushion
US20030135929A1 (en) Buttocksrest pad
EP3697362B1 (en) Two-in-one mattress with air mattress and memory foam for patient care
US20220040018A1 (en) Smart Bed or Mattress for Reducing Pressure Ulcers Which Uses Adjustable Orthogonal Straps to Create Low-Pressure Areas
US11628110B2 (e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with shear relief
US20230000261A1 (en) Pressurized Vertical Cylinder Air Chamber Mattress
CA3089189A1 (e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with shear reli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