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038A -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038A
KR20220059038A KR1020200144146A KR20200144146A KR20220059038A KR 20220059038 A KR20220059038 A KR 20220059038A KR 1020200144146 A KR1020200144146 A KR 1020200144146A KR 20200144146 A KR20200144146 A KR 20200144146A KR 20220059038 A KR20220059038 A KR 2022005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mode
pedal mode
gear lev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038A/ko
Priority to DE102021208338.2A priority patent/DE102021208338A1/de
Publication of KR2022005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4Clutch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1On-off signal indicating the engage or disengaged position of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06Engaged transmission ratio
    • F16D2500/30808Detection of transmission in neut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13Clutch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levers
    • F16D2500/31466Gear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8Relating driving conditions
    • F16D2500/50858Selecting a Mode o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DAL MODE CHANGE OF iMT VEHICLE}
본 발명은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동변속기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 간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하여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과, 가속을 위한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페달 등이 구비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2-페달로 칭하고, 상기 클러치 페달과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3-페달로 칭한다.
대개, 운전자에 의한 수동변속기 차량의 기어변속 조작은, 클러치의 접속 해제(엔진과 변속기 간의 동력 차단)를 위하여 클러치 페달를 밟는 과정과, 기어레버 조작을 통한 기어변속 과정과, 클러치의 접속(엔진과 변속기 간의 동력 전달)을 위하여 클러치 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차량의 출발시 또는 주행 중 운전자가 기어변속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거나 복귀시키는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상기 클러치 페달 등은 그대로 유지한 채, 차량 정체 구간 등에서 운전자의 반복적인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지능형 수동변속기(iMT, intelligent Manual Transmission)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은 기존과 같이 기어변속을 위하여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는 3-페달 모드와,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클러치 페달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어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2-페달 모드를 제공한다.
즉, 상기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은 기존과 같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기어레버의 조작으로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3-페달 모드 외에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기어레버의 조작만으로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2-페달 모드를 제공한다.
상기 2-페달 모드와 3-페달 모드 간의 전환은 운전석 주변에 구비된 별도의 모드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2-페달 모드 또는 3-페달 모드로 선택 조작함에 따라, 상기 2-페달 모드와 3-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2-페달 모드가 선택되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electronic clutch)가 활성화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고도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클러치의 접속 또는 해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2-페달 모드는 차량 정체 구간 등에서 운전자의 반복적인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엔진 RPM이 과도하게 낮음에 따른 엔진 스톨(stall)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 출발 및 주행 중 부드러운 변속감 등이 필요한 경우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2-페달 모드와 3-페달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하여 운전자가 직접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운전자가 직접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현재 2-페달 모드인지 또는 3-페달 모드인지 정확하게 모르거나 잊어버릴 수 있으므로, 모드 혼동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 현재 2-페달 모드인지 또는 3-페달 모드인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문구 내지 심볼이 추가될 수 있으나, 이는 디스플레이의 구조및 메뉴 내용 등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차량의 정차 및 주행 중 2-페달 모드와 3-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클러치 페달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 기어레버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차속 검출부와,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와,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 또는 3-페달 모드로 결정하여 전자 클러치에 작동 신호 또는 작동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이 제로(0), 상기 기어레버가 N단,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이 제로(0),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인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기어레버가 N단인 조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크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차속이 제로(0)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차속이 제로(0)이고, 상기 기어레버가 N단이며,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가 다시 3-페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차량의 주행 중 차속이 일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며, 상기 기어레버가 N단이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가 다시 3-페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페달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클러치 페달과 기어레버 조작만으로 3-페달 모드 또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에서의 페달 모드 선택 스위치를 배제함에 따른 부품수 절감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셋째,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로의 전환은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일정 스트로크 이상 밟으면 바로 3-페달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을 도시한 제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정차시 페달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주행 중 페달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을 도시한 제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속 정보와, 클러치 페달 온/오프 정보와, 기어레버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은,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10)와, 클러치 페달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와, 기어레버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와, 상기 차속 검출부(10)와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와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 또는 3-페달 모드로 결정하여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신호 또는 작동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속 검출부(10)는 차량의 정차 또는 주행 중 차속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40)로 출력하는 휠속 센서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는 클러치 페달이 밟혔을 때 온 신호를 상기 제어기(40)로 출력하거나 클러치 페달이 밟히지 않았을 때 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기(40)로 출력하는 온/오프 스위치 형태이면서, 클러치 페달을 밟았을 때의 페달 스크로크를 검출하여 제어기(40)로 출력하도록 스트로크 센서가 복합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는 현재 기어레버의 위치가 N단, 1~6단 중 하나, R단에 놓일 때,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기(40)로 출력하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차속 검출부(10)와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와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2-페달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판정하고,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결정되면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클러치 페달을 밟았을 때의 페달 스트로크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3-페달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해제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페달 모드 전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차량의 정차 중 페달 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40)에서 차속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차속(Vehicle speed)이 제로(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101).
또한, 상기 제어기(40)에서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또한, 상기 제어기(40)에서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한다(S103).
다음으로, 상기 단계 S101에서의 판정 결과 차속(Vehicle speed)이 제로(0)이고, 상기 단계 S102에서의 판정 결과 기어레버가 N단이며, 상기 단계 S103에서의 판정 결과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어기(40)에서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상기 단계 S104에서의 판정 결과,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05).
이와 같이, 상기 차속(Vehicle speed)이 제로(0), 상기 기어레버가 N단, 클러치 페달의 오프 등의 앤드(AND)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40)에서 2-페달 모드로의 전환시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자 클러치에 의하여 1단 또는 R단으로의 변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차량 정체 구간 등에서 운전자의 반복적인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102에서의 판정 결과, 현재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6).
상기 단계 S106에서의 판정 결과,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05).
이와 같이, 상기 차속(Vehicle speed)이 제로(0) 상태이고,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인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엔진 스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일정 스트로크 이상 밟으면, 페달 모드가 다시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40)에서 상기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페달 스트로크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7).
상기 단계 S107에서의 판정 결과,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크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2-페달 모드에서 다시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08).
이에, 상기 제어기(20)에서 3-페달 모드로의 전환시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해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클러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차량의 주행 중 페달 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제어기(40)에서 차속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차속(Vehicle speed)이 일정값(예, 30 km/h)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201).
또한, 상기 제어기(40)에서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한다(S202).
또한, 상기 제어기(40)에서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03).
다음으로, 상기 단계 S201에서의 판정 결과 차속(Vehicle speed)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단계 S202에서의 판정 결과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계 S203에서의 판정 결과 기어레버가 N단이면, 상기 제어기(40)에서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4).
상기 단계 S204에서의 판정 결과,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205).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 중 차속(Vehicle speed)이 일정값 미만,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기어레버가 N단 등의 앤드(AND)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40)에서 2-페달 모드로의 전환시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자 클러치에 의하여 N단으로부터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의 변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차량 정체 구간 등에서 주행 중 제동에 따른 차속이 일정값 미만이 된 후, 다시 재가속 등을 위한 변속을 위하여 운전자가 반복적으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203에서의 판정 결과, 현재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6).
상기 단계 S206에서의 판정 결과,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205).
이와 같이, 상기 차속(Vehicle speed)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이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40)에서 2-페달 모드로의 전환시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자 클러치에 의하여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의 변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일정 스트로크 이상 밟으면, 페달 모드가 다시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40)에서 상기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페달 스트로크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예, 5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07).
상기 단계 S207에서의 판정 결과,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크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기(40)에서 페달 모드를 현재 2-페달 모드에서 다시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208).
이에, 상기 제어기(20)에서 3-페달 모드로의 전환시 전자 클러치(50)에 작동 해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 페달 조작에 따른 클러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가능한 3-페달 모드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이 필요없는 2-페달 모드 간의 전환이 기존의 페달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직관적이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차속 검출부
20 :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
30 :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
40 : 제어기
50 : 전자 클러치

Claims (12)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클러치 페달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
    기어레버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차속 검출부와, 클러치 페달 온/오프 검출부와, 기어레버 위치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 또는 3-페달 모드로 결정하여 전자 클러치에 작동 신호 또는 작동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이 제로(0), 상기 기어레버가 N단,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이 제로(0),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인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기어레버가 N단인 조건 충족된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클러치 페달의 오프 상태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면, 페달 모드를 2-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2-페달 모드로의 전환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크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로의 전환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7. 차속이 제로(0)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차속이 제로(0)이고, 상기 기어레버가 N단이며,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단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단 ~ 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가 다시 3-페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10. 차량의 주행 중 차속이 일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클러치 페달의 오프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차속이 일정값 미만이고, 상기 클러치 페달이 오프 상태이며, 상기 기어레버가 N단이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에서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N단 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기어레버 위치가 1~6단 중 하나 또는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면, 페달 모드를 3-페달 모드에서 2-페달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페달 모드로 전환된 후, 클러치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일정값 이상이면, 페달 모드가 다시 3-페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방법.
KR1020200144146A 2020-11-02 2020-11-02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9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46A KR20220059038A (ko) 2020-11-02 2020-11-02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E102021208338.2A DE102021208338A1 (de) 2020-11-02 2021-08-02 SYSTEM UND VERFAHREN FÜR EINEN PEDAL-MODUS-WECHSEL EINES iMT-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46A KR20220059038A (ko) 2020-11-02 2020-11-02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38A true KR20220059038A (ko) 2022-05-10

Family

ID=8118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46A KR20220059038A (ko) 2020-11-02 2020-11-02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9038A (ko)
DE (1) DE102021208338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08338A1 (de)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4177B2 (en) Shift device of transmission
JPH11141663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WO1999047836A1 (en) Control methods for a shift by wire vehicle transmission
US7311637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EP0837785A1 (en) Operator input system for gear shift assist mechanism
JPH11193864A (ja) 変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14341526B (zh) 用于借助图形用户界面进行手动切换的控制单元和方法
JP4650355B2 (ja) 車両のシフト制御装置
KR100726542B1 (ko) 차량용 전자식 변속 레버 시스템의 쉬프트 락 제어 방법
US20140039746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motor vehicle
KR20220059038A (ko)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EP18014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ed transmission gear control for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gearbox
US11835129B2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nual shift mode
JP2585682Y2 (ja) クラッチ制御装置
JP5211653B2 (ja) 駆動力制御装置
JP2007230271A (ja) 過回転防止装置
KR20230129071A (ko)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US6602162B2 (en) Control device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automatic gearbox of a motor vehicle
US80026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with an automated clutch
KR100900767B1 (ko) 변속기 구동방법
CN110539749B (zh) 车辆、车辆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H0487841A (ja) 半自動変速制御装置
JP2010127419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70050645A (ko) 장애인 차량용 핸들 및 그것을 이용한 제어방법
JP2002323068A (ja)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