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336A -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 Google Patents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336A
KR20220057336A KR1020200142488A KR20200142488A KR20220057336A KR 20220057336 A KR20220057336 A KR 20220057336A KR 1020200142488 A KR1020200142488 A KR 1020200142488A KR 20200142488 A KR20200142488 A KR 20200142488A KR 20220057336 A KR20220057336 A KR 2022005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leneck
liquor
beer
soj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910B1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오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장근 filed Critical 오장근
Priority to KR102020014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65D77/049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and retained at a distan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er container, e.g. within a bottl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이 개시된다. 개시된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는 내부에 제1주류가 수용되는 제2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외측 병목이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투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1주류와 다른 종류의 제2주류가 수용되는 제2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외측 병목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제2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측 병목이 형성된 내용기; 상기 외측 병목과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병목 및 상기 내측 병목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뚜껑;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외용기의 외경 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내용기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측 병목을 통해 상기 외용기의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container having different alcoholic liquors for mixed drink of soju and beer}
본 발명은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주류를 수용하는 외용기와, 이 외용기에 내부에 투입되며 제1주류와는 다른 종류의 제2주류를 수용하는 내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병구조로 이루어진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는, 곡류나 감자류 등을 원료로 하여 주정발효를 거쳐 숙성된 술덧을 증류하여 만들거나 무수주정을 물로 희석하고 설탕·포도당·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또한 맥주는, 보리를 싹 틔운 맥아(麥芽)와 홉을 물로 추출하여 맥아즙을 만들고 여기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다음 숙성, 여과 과정을 거쳐 제조되며, 요즈음은 주원료인 맥아를 녹말이나 당류(糖類)로 일부 대체하는 경우도 많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발효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주와 맥주는, 대중적인 알코올 음료로 섭취되고 있는 실정으로, 소주의 경우 알코올의 농도가 약 20%에 해당하고, 맥주의 경우 알코올 농도는 소주에 비해 상당히 약한 약 4%에 해당하는 것으로, 섭취자는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섭취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 들어 소주와 맥주의 향과 맛을 동시에 음미하며 섭취가 가능하도록 그 소주와 맥주를 혼합한 혼합주를 섭취하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소주와 맥주의 혼합은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적당량 혼합하여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주와 맥주의 혼합은 각각의 소주잔과 맥주잔을 구비 및 적당량 개량하여 혼합 섭취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소주와 맥주를 혼합하여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나의 용기에 소주와 맥주와 같은 이종의 주류를 각각 구분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섭취를 위해 배출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이종 주류 용기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이종 주류 용기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484111호, 등록실용신안 20-0203751호, 등록실용신안 20-0309347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등록실용신안 20-0484111호, 등록실용신안 20-0203751호에는 종래의 주류용기는 병용기 내부에 칸막이를 부설하여 병용기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분할공간을 형성하여, 이 분할공간에 이종 주류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병용기 내부에 칸막이를 부설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특히 통상적인 병용기는 블로잉(blowing)사출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나, 칸막이로 인해 블로워 사출을 적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병용기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제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병용기 내부에 칸막이를 구성하여 분할공간을 형성한 경우, 칸막이과 병용기의 이음부분의 모서리에 이물질의 퇴적이 쉽게 이루어져, 수거된 병용기의 세척이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309347호에는 이종 주류를 각각 저장하는 제1,2저장부재는 원형의 용기가 수직으로 절단되고, 그절단면이 격벽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제1,2저장부재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1,2저장부재 각각의 격벽이 각각 맞대어 밀착되며, 외주연에 각설된 홈에 결합띠가 결합되게 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용기는 결합띠에 의해 양측의 제1,2저장부재가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통, 보관과정에서 결합띠의 손상에 의해 제1,2저장부재가 쉽게 분리되면서 주류, 음료가 쏟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고, 블로잉(blowing)사출이 가능하기는 하나, 제1,2저장부재를 각각 블로잉사출해야 하고, 사출시 터짐발생으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 경제성이 낮고 현실화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84111호 등록실용신안 20-0203751호 등록실용신안 20-03093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제1주류를 수용하는 외용기와, 이 외용기에 내부에 투입되며 제1주류와는 다른 종류의 제2주류를 수용하는 내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병구조로 이루어져, 하나의 용기에 이종 주류의 독립적인 수용이 가능하면서도 외용기에 투입된 내용기의 위치고정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는 내부에 제1주류가 수용되는 제1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외측 병목이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투입되고, 내부에 제2주류가 수용되는 제2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외측 병목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제2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측 병목이 형성된 내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외용기의 외경 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내용기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측 병목을 통해 상기 외용기의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하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하부 위치고정수단; 상기 내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용기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용기의 상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상부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외용기의 하단중심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와, 상기 내용기의 하단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위치고정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내용기의 상단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를 상기 외용기에 투입시 상기 외용기의 상단 내주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면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가 상기 외용기의 상단부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간격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고정블록들 사이에는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1주류 배출구가 구성되고, 상기 내측 병목의 내측에는 제2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2주류 배출구가 구성되며, 상기 제1주류 배출구와 상기 제2주류 배출구의 면적비는 8:2 내지 5:5의 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제1주류 수용공간과 상기 제2주류 수용공간의 용량비는 상기 면적비에 동일하게 8:2 내지 5:5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측병목이 중심에서 편심되게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용기를 상기 외용기에 투입하여 상기 내용기의 하단 중심이 상기 외용기의 하단 중심에 위치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병목이 상기 외측병목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기의 하단 중심 및 상기 외용기의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하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하부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병목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병목의 외주면에 전방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병목의 내주면 전방측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전방 간격고정블록과, 상기 내측 병목의 외주면에 후방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병목의 내주면 후방측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후방 간격고정블록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가 상기 외용기의 상단부에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방 간격고정블록과 상기 후방 간격고정블록 사이로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1주류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상부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병목과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병목 및 상기 내측 병목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뚜껑; 상기 뚜껑과 상기 외측 병목 및 상기 내측 병목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측병목 및 상기 내측 병목을 통해 제1주류 및 제2주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원형 외측 테두리가 상기 외측병목의 개방부를 막도록 구성된 외측 실링부와,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역콘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측 병목의 개방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내측병목의 개방부를 막는 내측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제1주류가 담기는 외용기 내부에 제2주류가 담기는 내용기가 투입설치되어 외용기와 내용기가 이중병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제1주류와 제2주류의 수용이 가능하여, 기존에 별도로 맥주병과 소주병으로 취급되던 주류의 유통 및 보관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뿐 아니라, 외용기와 내용기의 조립성이 매우 간단하여, 외용기 내에 내용기를 쉽게 설치하여 용이한 용기제작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원가가 절감되어 제품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외용기에 내용기를 투입함과 동시에 내용기의 하단과 상단이 외용기의 하단과 상단에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외용기와 내용기의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며 더욱 더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용기에서 내용기를 빼내 분리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종 주류 용기의 사용후 회수한 후, 외용기와 내용기를 분리하여 완벽한 세척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기존의 칸막이 분할형 이종 주류 용기가 불가능했던 용기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빈 용기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재활용을 통해 주류 용기의 재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외측 병목과 내측 병목에 형성되는 제1주류 및 제2주류 배출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주류 배출구에 배출량 조절부재가 결합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하단 위치고정수단의 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상단 위치고정수단에 대한 다양한 사이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는 외용기(10), 내용기(20), 하부 위치고정수단(30), 상부 위치고정수단(40), 뚜껑(50), 실링부재(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외용기(10) 및 내용기(20)를 포함하고, 외용기(10)의 내부에 내용기(20)가 투입가능하여, 외용기(10)의 내부 중심에 내용기(20)가 설치된 이중 병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외용기(10 및 내용기(20)에 맥주와 소주가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외용기(10)에는 제1주류로서 맥주가 수용되는 맥주수용공간(w1)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외측 병목(12)이 일체로 구성되며, 내용기(20)에는 맥주와는 다른 제2주류로서 소주가 수용되는 소주수용공간(w2)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소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측 병목(22)이 일체로 구성된다.
외측병목(12)의 외용기(10)의 몸통 직경에 비해 잘록하게 모여진 병목으로 이루어져, 외측병목(12)의 직경(d2)은 외용기(10)의 직경(d1) 즉 외용기(10)의 몸통 직경에 비해 작도록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내용기(20)도 마찬가지로, 내용기(20)의 직경에 상단부에 잘록하게 모여진 병목으로 이루어진 내측병목(22)이 일체로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내용기(20)가 외용기(10)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외측병목(12)의 내경(d2)이 내용기(20)의 외경(d3) 즉 내용기(20)의 몸통 외경 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맥주수용공간(w1)을 구비하여 맥주가 담기는 외용기(10) 내에 소주를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소주수용공간(w2)을 갖는 내용기(10)가 별개로 구성되어, 내용기(20)가 외용기(10) 내부에 투입되어 동심축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품의 유통 보관시, 기존과 같이 맥주병과 소주병을 별도로 각각 유통시키고 보관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소맥 섭취를 위해 각각의 맥주병 및 소주병을 통해 맥주 및 소주를 각각 잔에 부어 소맥을 제조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이종 주류 용기를 이용하면, 한꺼번에 맥주 및 소주를 따라서 손쉽게 소맥 혼합주를 제조하여 마실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은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쉽고 외용기(10)에서 내용기(20)의 분리 후 각각 개별적으로 세척이 가능하여 재활용이 매우 용이해 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용기(10)가 내용기(20)를 별도록 구성하고, 내용기(20)를 외용기(10)에 투입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용기(10) 및 내용기(20)는 블로워(blower) 사출공법으로 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외용기(10) 및 내용기(20) 각각은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블로워 사출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용기(10 및 내용기(20) 각각은 기존의 소주병 및 맥주병과 같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제작이 더욱 용이하도록 외용기(10) 및 내용기(20)의 하단에 형성되어 내용기(10)의 하단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부 위치고정수단(30)과, 외용기(10)의 상단과 내용기(20)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내용기(10)의 상단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상부 위치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하부 위치고정수단(30)은 외용기(10)의 하단 저면 중심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32)와, 내용기(20)의 하단 하면 중심에 형성되어 위치고정돌기(32)가 삽입 안착되는 위치고정홈(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치고정돌기(32) 및 위치고정홈(34)은 외용기(10)와 내용기(20) 각각을 블로워 사출성형할 경우, 성형과 함께 외용기(10) 및 내용기(20)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내용기(20)를 외용기(10)의 투입하게 되면, 위치고정돌기(32)가 위치고정홈(34)에 삽입되면서, 내용기(20)의 하단 중심이 외용기(10)의 하단 중심에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부 위치고정수단(40)은 내측 병목(22)의 상단 외주면에 소정간격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고정블록(41)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종 주류 용기는 내용기(20)를 외측병목(12)을 통해 외용기(10)에 투입하여, 위치고정돌기(32)가 위치고정홈(34)에 삽입되면서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하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간격고정블록(41)들이 외측 병목(12)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상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져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용기(20)를 외용기(10)의 외측병목(12)을 통해 투입하기만 하더라도, 하부 위치고정수단(30)을 통해 내용기(20)의 하단중심과 외용기(10)의 하단중심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단고정수단(40)에 의해 외용기(10)의 상단 중심에 내용기(20)의 상단 중심이 위치고정되어 조립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므로, 이중병 구조의 용기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뚜껑(50)은 하부가 개방된 캡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암나사산(52)이 형성되어 외측병목(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2a)과 나사체결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져, 외측병목(12) 및 내측병목(22)의 상단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뚜껑(50)의 하면에는 실링부재(60)가 구성되어, 뚜껑(50)을 외측병목(12)에 결합시, 외측병목(12) 및 내측병목(22)의 상단개방부를 통한 맥주 및 소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6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역콘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60)는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외측병목(12)과 내측병목(22) 사이공간을 완전히 밀폐시켜, 이 사이공간으로부터 맥주가 누설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외측실링부(62)와,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역콘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내측병목(22)의 내부로 억지끼움형태로 삽입되어 내측병목(22)을 통해 소주가 누설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내측실링부(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은 외측병목(12)과 내측병목(22) 사이에 간격고정블록(41)이 균등간격으로 구성되어, 이 간격고정블록(41)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맥주 배출구(s1)가 형성되고, 내측병목(22)의 내측으로는 온전히 소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소주배출구(s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맥주 배출구(s1)와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8:2 내지 5:5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맥주배출구(s1)와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에 따라 맥주 및 소주가 함께 배출되면서 소맥이 제조될 수 있다.
맥주수용공간(w1)과 소주수용공간(w2)의 용량비가 맥주배출구(s1)와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와 동일한 비율로 구성함으로써, 컵에 부어서 소맥을 제조하여 섭취시, 소주나 맥주 중 특정의 하나만 남지 않고 함께 소주나 맥주가 완전 소진될 수 있어, 별도로 소주나 맥주를 주문하지 않고도 딱 맞게 소주와 맥주를 소비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맥주 배출구(s1)와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8:2로 구성되는 경우, 컵에 부어서 섭취시, 맥주 8 소주 2의 비율로 소맥혼합주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맥주수용공간(w1)과 소주수용공간(w2)에 수용된 맥주와 소주의 용량비율로 8:2로 제품화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를 개봉하여 소맥 혼합주를 먹을 때, 병에 남은 맥주와 소주를 마지막에 부울 때에도 맥주와 소주 중 어느 하나만 남지 않고 완전히 함께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전체용량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일 예로서, 맥주수용공간(w1)의 맥주용량과 소주수용공간(w2)의 소주용량의 총 용량이 1000cc가 되도록 하여, 총용량 1000cc를 기준으로 맥주수용공간(w1)과 소주수용공간(w2)의 용량비가 8:2 내지 5:5의 비율 내에서 설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 맥주수용공간(w1)과 소주수용공간(w2)의 용량비와 동일하게 맥주 배출구(s1)와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이종 주류 용기는 맥주와 소주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서로 다른 이종의 주류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주류수용공간(w1)과 제2주류수용공간(w2)에는 각각 맥주와 소주를 수용되는 형태가 아니라, 여타의 다른 이종의 주류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주류수용공간(w1)에는 소주가 담기고, 제2주류수용공간(w2)에는 맥주가 담기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제1주류수용공간(w1)과 제2주류수용공간(w2)의 용량비가 8:2 내지 5: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주류수용공간(w1)과 제2주류수용공간(w2)의 용량비가 2:8 내지 5: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주류 배출구(s1)와 제2주류 배출구(s2)의 면적비가 주류수용공간(w1)과 제2주류수용공간(w2)의 용량비와 동일하도록 2:8 내지 5:5로 구성되어 제1주류와 제2주류를 부어 혼합주를 섭취할 때, 마지막에 어느 한 주류만이 남지 않고 완전 소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개로 분할 구성된 맥주배출구(s1)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를 통해 배출되는 맥주와 소주의 비율을 가변시켜 소맥혼합주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조절부재(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량조절부재(70)는 이웃하는 두 간격고정블록(41) 사이에 끼움결합하여, 소정의 맥주배출구(s1)를 막아 맥주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4개의 맥주배출구(s1) 중 1개에만 배출량조절부재(70)를 끼움결합하여, 3개의 맥주배출구(s1)를 통해 맥주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4개의 맥주배출구(s1)중 2개에 배출량조절부재(70)를 각각 끼움결합하여, 2개의 맥주배출구(s1)를 통해 맥주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맥주배출과 소주배출의 배출비율을 조절하여 맥주와 소주의 비율이 조정된 소맥혼합주를 섭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서, 내용기(20)의 하단 중심은 외용기(10)의 하단 중심에 위치고정되고, 내용기(20)의 내측병목(22) 중심은 외용기(10)의 외측병목(12) 중심에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었으나, 이 경우, 용기를 기울여 맥주와 소주를 함께 배출되게 하여 소맥 혼합주가 제조할 때, 외측병목(12)과 내측병목(22)의 사이 공간 전체를 통해 맥주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원하는 소맥비율로의 맥주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 2 실시 예에서는 내측병목(22)이 내용기(2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성형되어, 내용기(20)의 하단중심은 외용기(10)의 하단 중심에 하단 위치고정되고, 내측병목(22)은 외측병목(12)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상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여, 이종 주류 용기를 기울여 맥주와 소주를 부었을 때, 배출 배출구(s1)를 통한 맥주의 배출이 원활하게 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는 내측병목(22)이 내용기(20)의 중심에 편심되게 성형이 이루어진다.
내용기(20)의 내측병목(22) 하단 중심에는 위치고정홈(32)이 구성되고, 외측병목(12)의 하단 중심에는 위치고정돌기(34)가 구성되어, 내용기(20)를 외용기(10)의 외측병목(12)을 통해 투입하여 위치고정돌기(34)가 위치고정홈(32)에 삽입되어 하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병목(22)의 외주면에는 상단 위치고정수단(40)으로서 전방측으로 전방 간격고정블록(43)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측으로는 후방 간격고정블록(4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내용기(20)를 외용기(10)에 투입시, 전방 간격고정블록(43)과 후방 간격고정블록(44)이 외용기(10)의 외측병목(12)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면서 내용기(20)와 외용기(10)의 상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며, 이때, 내측병목(22)의 중심이 외측병목(12)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외측병목(12)과 내측병목(22)의 사이에는 전방 간격고정블록(43)과 후방간격고정블록(44)의 사이로 맥주배출구(s1)가 형성되고, 내측병목(22) 내측으로 소주배출구(s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위치고정홈(34)에 원주상으로 링형의 결합홈(35)이 구성되고, 위치고정돌기(32)에는 원주상으로 링형의 결합돌기(33)가 구성되어, 위치고정홈(34)에 위치고정돌기(32)가 삽입되어, 결합돌기(33)가 결합홈(35)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채워진 맥주로 인한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용기(20)가 외용기(10)의 상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간격고정블록(43)과 후방 간격고정블록(44)의 사이즈 조정 설계를 통해 도 7의 (a)와 같은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 8:2의 설계로 제작하여 맥주8: 소주2의 비율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전방 간격고정블록(43)의 사이즈를 크게 조절하여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 7:3의 설계로 제작하여 맥주7: 소주3의 비율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의 (c)와 같이 후방 간격고정블록(44)의 사이즈를 크게 조절하여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 6:4의 설계로 제작하여 맥주6: 소주4의 비율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맥 혼합주의 맥주,소주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8:2로 제작된 이종 주류 용기,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7:3로 제작된 이종 주류 용기,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6:4로 제작된 이종 주류 용기, 맥주배출구(s1)과 소주배출구(s2)의 면적비가 5:5 제작된 이종 주류 용기를 각각 제작 출시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소맥 비율에 맞는 이종 주류 용기 제품을 구매하여 소맥혼합주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용기(10)의 직경(d1)와 상하길이는 기존에 생상되는 맥주PET병 등의 기존 주류용기 사이즈와 동일하도로 구성되어, 물류 포장박스 등의 신규 투자 없이 기존의 물류 포장박스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외용기
12...외측병목
20...내용기
22...내측병목
30...하부위치고정수단
32...위치고정돌기
34...위치고정홈
40...상부위치고정수단
41...간격고정블록
50...뚜껑
60...실링부재
62...외측실링부
64...내측실링부
d1...외용기 직경
d2...외측병목 내경
d3...내용기 외경
w1...맥주수용공간
w2...소주수용공간

Claims (4)

  1. 내부에 제1주류가 수용되는 제1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외측 병목이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투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1주류와 다른 종류의 제2주류가 수용되는 제2주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외측 병목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제2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측 병목이 형성된 내용기;
    상기 외측 병목과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병목 및 상기 내측 병목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뚜껑;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외용기의 외경 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병목의 내경은 상기 내용기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측 병목을 통해 상기 외용기의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하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하부 위치고정수단;
    상기 내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용기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용기의 상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상부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내용기의 상단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를 상기 외용기에 투입시 상기 외용기의 상단 내주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면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가 상기 외용기의 상단부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간격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간격고정블록들 사이에는 제1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1주류배출구가 구성되고, 상기 내측 병목의 내측에는 제2주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2배출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측병목이 중심에서 편심되게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용기를 상기 외용기에 투입하여 상기 내용기의 하단 중심이 상기 외용기의 하단 중심에 위치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병목이 상기 외측병목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KR1020200142488A 2020-10-29 2020-10-29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KR10251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488A KR102517910B1 (ko) 2020-10-29 2020-10-29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488A KR102517910B1 (ko) 2020-10-29 2020-10-29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336A true KR20220057336A (ko) 2022-05-09
KR102517910B1 KR102517910B1 (ko) 2023-04-03

Family

ID=8158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488A KR102517910B1 (ko) 2020-10-29 2020-10-29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3839A1 (en) * 2023-03-03 2024-09-12 Wohlmann Jiri A cap and bottle assembly for the simultaneous storage of two different fillings, a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assembly and a method of adjusting ratio of storage volumes of the assembl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7948A1 (en) * 1983-02-07 1984-09-12 Neville Reuben Bould Container for beverages
WO1992002434A1 (en) * 1990-08-04 1992-02-20 Cameron Price Ernest James Beverage packages
KR200203751Y1 (ko) 2000-05-17 2000-11-15 이영순
CN2535370Y (zh) * 2002-02-22 2003-02-12 王芳 复合酒瓶
KR200309347Y1 (ko) 2003-01-17 2003-04-03 주식회사 국순당 주류 선택 및 혼합용 보관용기
KR20050063251A (ko) * 2003-12-22 2005-06-28 (주)옥야 이중용기 및 이중용기 제조방법
US9114910B1 (en) * 2014-04-29 2015-08-25 Joel Schommer Mixing container
KR200484111Y1 (ko) 2016-12-12 2017-08-01 강화성 주류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7948A1 (en) * 1983-02-07 1984-09-12 Neville Reuben Bould Container for beverages
WO1992002434A1 (en) * 1990-08-04 1992-02-20 Cameron Price Ernest James Beverage packages
KR200203751Y1 (ko) 2000-05-17 2000-11-15 이영순
CN2535370Y (zh) * 2002-02-22 2003-02-12 王芳 复合酒瓶
KR200309347Y1 (ko) 2003-01-17 2003-04-03 주식회사 국순당 주류 선택 및 혼합용 보관용기
KR20050063251A (ko) * 2003-12-22 2005-06-28 (주)옥야 이중용기 및 이중용기 제조방법
US9114910B1 (en) * 2014-04-29 2015-08-25 Joel Schommer Mixing container
KR200484111Y1 (ko) 2016-12-12 2017-08-01 강화성 주류 혼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3839A1 (en) * 2023-03-03 2024-09-12 Wohlmann Jiri A cap and bottle assembly for the simultaneous storage of two different fillings, a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assembly and a method of adjusting ratio of storage volumes of th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10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644B2 (en) Combination glass and bottle package
WO2015153953A1 (en) Stackable drinkware
US20130075356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vessel with a resealable lid
US20030066839A1 (en) Restricting flow in drinking containers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KR20220057336A (ko)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US20130277326A1 (en) Drinks bottle
US7165697B1 (en) Concentric two-compartment drinking vessel
EP0117948A1 (en) Container for beverages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8714417B1 (en) Injection molded jar with pour feature
KR101227279B1 (ko) 이중용기
US20230159257A1 (en) Cup system for simultaneous delivery of contents from separated cups to a mouth of a user
KR101314904B1 (ko)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KR200484111Y1 (ko) 주류 혼합 용기
CA3021791A1 (en) Carbonated soft drink finish modification
CN217625081U (zh) 一种可存贮速溶粉末或浓缩液的水瓶盖子
JPH10167276A (ja) 清涼飲料水用連結ボトル
KR20170003935U (ko) 피처 용기용 거품 배출 방지 캡
TWI699315B (zh) 冰飲料器構造
RU210339U1 (ru) Емкость с укупорочной крышко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питков алкогольных и безалкогольных
EP2643228B1 (en) Beverage container and stopper for such container
KR101208187B1 (ko) 탁주병용 합성수지마개
US20220177199A1 (en) Multiple asymmetric anchor container closure
KR20190001224A (ko) 흘러내림 방지용 토출구를 가지는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