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11Y1 - 주류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주류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11Y1
KR200484111Y1 KR2020160007223U KR20160007223U KR200484111Y1 KR 200484111 Y1 KR200484111 Y1 KR 200484111Y1 KR 2020160007223 U KR2020160007223 U KR 2020160007223U KR 20160007223 U KR20160007223 U KR 20160007223U KR 200484111 Y1 KR200484111 Y1 KR 200484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soju
outlet
mixing
bottle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화성
Original Assignee
강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화성 filed Critical 강화성
Priority to KR2020160007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65D39/0011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from natural or synthetic cork, e.g. for win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65D39/0023Plastic cap-shaped hollow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9/00Articles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without the use of pack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주와 맥주를 혼합 섭취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용기에 소주와 맥주를 각각 구분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섭취를 위해 배출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주와 맥주의 혼합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항시 섭취자의 요구에 맞게 일정한 비율의 혼합 섭취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소주와 맥주를 하나의 용기로 유통 및 휴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구비에 따른 보관과 휴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주류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류 혼합 용기{Liquor mixed container}
본 고안은 소주와 맥주를 혼합 섭취하기 위한 주류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와 맥주를 각각 구분하여 수용 가능하게 하며, 잔에 배출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소주와 맥주의 혼합주를 즐겨 섭취하는 이들로 하여금 그 휴대와 섭취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주류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는, 곡류나 감자류 등을 원료로 하여 주정발효를 거쳐 숙성된 술덧을 증류하여 만들거나 무수주정을 물로 희석하고 설탕·포도당·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또한 맥주는, 보리를 싹 틔운 맥아(麥芽)와 홉을 물로 추출하여 맥아즙을 만들고 여기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다음 숙성, 여과 과정을 거쳐 제조되며, 요즈음은 주원료인 맥아를 녹말이나 당류(糖類)로 일부 대체하는 경우도 많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발효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주와 맥주는, 대중적인 알코올 음료로 섭취되고 있는 실정으로, 소주의 경우 알코올의 농도가 약 20%에 해당하고, 맥주의 경우 알코올 농도는 소주에 비해 상당히 약한 약 4%에 해당하는 것으로, 섭취자는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섭취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 들어 소주와 맥주의 향과 맛을 동시에 음미하며 섭취가 가능하도록 그 소주와 맥주를 혼합한 혼합주를 섭취하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소주와 맥주의 혼합은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적당량 혼합하여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주와 맥주의 혼합은 각각의 소주잔과 맥주잔을 구비 및 적당량 개량하여 혼합 섭취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소주와 맥주를 혼합하여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혼합 방식은 그 소주와 맥주의 혼합량의 개량이 일정하지 않은 것인바, 섭취시마다 그 맛과 향이 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가지 음료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 섭취가 가능한 혼합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혼합용 컵은, 구획된 공간을 이루는 것인바 내부에서 완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혼합주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맥주와 소주를 각각 구비하여 하는 등 이러한 각각의 구비는 보관시나 휴대시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103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용기에 소주와 맥주를 각각 구분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섭취를 위해 배출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주와 맥주의 혼합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항시 섭취자의 요구에 맞게 일정한 비율의 혼합 섭취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주 및 맥주의 주류 혼합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소주와 맥주를 하나의 용기로 유통 및 휴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구비에 따른 보관과 휴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소주 및 맥주의 주류 혼합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수용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부 개방형 혼합 배출구가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병목부로 된 본체; 및
병목부의 혼합 배출구를 마감 및 개방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병마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수용공간은,
상단에 소주 배출구가 형성된 소주 수용공간과, 상단에 맥주 배출구가 형성된 맥주 수용공간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 형성되게 구성하되,
소주 배출구와 맥주 배출구는, 병목부의 혼합 배출구와 연통되게 구성하여, 소주와 맥주가 각각의 소주 배출구와 맥주 배출구로 배출시 혼합 배출구에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수용공간은,
소주 수용공간과 맥주 수용공간이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하여, 소주와 맥주가 3~4:6~7의 용량으로 수용되게 구성하며,
소주 배출구와 맥주 배출구의 면적은 소주 수용공간과 맥주 수용공간과 비례하게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하며,
병마개는,
하부로 개방되고, 내주면에 병목부의 수나사부와 나삽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외부마개; 및
외부마개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혼합 배출구에 삽입 마감되어 밀폐력을 부여하며, 외둘레와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는 병목 삽입홈을 이루게 하는 내부마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병목 삽입홈에는 병목부의 둘레가 삽입되고, 내부마개의 하단은 혼합 배출구를 마감 및 소주 배출구와 맥주 배출구를 동시에 마감하여 수용된 소주와 맥주가 내부에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소주 및 맥주 혼합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소수 수용공간과 맥주 수용공간이 구획 형성되고, 각각의 수용공간은 하나의 배출구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섭취를 위해 배출시 자동으로 혼합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혼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소주와 맥주의 일정량의 혼합이 가능하여 섭취자의 기호에 맞는 소주와 맥주 혼합주의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주와 맥주를 하나의 용기로 유통이 가능하여, 그 구매가 매우 편리하고, 특히 그 보관상의 편리함과 휴대상의 편리함 및 공간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주와 맥주의 비율을 3~4:6~7의 비율로 적절한 혼합이 가능하여 그 맛과 향을 얻는 한편 적당량의 알코올의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배출구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수용부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배출구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병마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를 이용한 소주 및 맥주 수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분리 배출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소주 및 맥주 혼합 용기의 혼합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소주 및 맥주 배출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의 배출구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주류 혼합 용기(1)는, 본체(100)와, 병마개(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PET 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먼저 소주 및 맥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110)가 구성된 것으로, 수용부(110)는 그 내부에 공간 형태의 수용공간(111)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병목부(120)가 구성된다.
이때 병목부(120)는, 그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혼합 배출구(121)를 이루게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의 수용공간(111)은, 그 내부가 격벽(114)을 사이에 두고 구획 형성되어 소주의 수용이 가능한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의 수용이 가능한 맥주 수용공간(113)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의 상단은 격벽(1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혼합 배출구(121)와 연통되는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가 구획 구성된다.
즉,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에 분리 수용된 소주 및 맥주는,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통해 각각 배출 및 혼합 배출구(121)에서 서로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111)을 구성함에 있어,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은, 서로 다른 용량의 내용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통상 소주와 맥주가 혼합된 혼합주의 경우 맥주의 비율이 소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게 혼합되는 것인바,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은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수용공간(111)에 총 수용되는 내용물의 용량이 1.8L로 가정시 소주 수용공간(112)은 0.6.L의 소주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맥주 수용공간(113)은 1.2.L의 맥주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주와 맥주의 3~4:6~7 비율은 그 맛과 향 및 알콜 섭취량에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의 비율에 비례하여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의 면적 또한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동일한 배출력을 부여시 소주에 비해 맥주의 배출량이 약 2배에 해당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100)에는, 수용부(110)의 상부에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이 세로를 이룬 상태에서 소주 및 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배출 유도표시(13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유도표시(13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홈 구조 또는 돌기 구조, 또는 색 구조 등 다양하게 표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소주 배출구(112a) 및 맥주 배출구(113a)가 각각 외력을 가할 시 훼손이 가능한 금박 또는 은박 형태로 된 소주박지(112b) 및 맥주박지(113b)로 마감되게 구성하여, 사용시 개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소주 배출구(112a) 및 맥주 배출구(113a)가 소주박지(112b) 및 맥주박지(113b)로 마감시에는, 사용시 그 소주박지(112b) 및 맥주박지(113b)를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하거나, 각각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소주의 배출량과 맥주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수용부(110)와 병목부(120)의 연결부가 소정 각도(α°)로 절곡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수용부(110)와 병목부(120)의 사이에 맥주 배출구(113a) 측으로 절곡 되는 절곡부(140)가 더 포함되어 된다.
이때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의 상단이 절곡부(140) 내로 진입 및 절곡부(140)와 동일한 절곡도를 이루게 절곡 형성된 것으로, 그 절곡부(140)의 내부에서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가 구획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곡되는 절곡부(140)의 각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의 적용 가능한 것이며, 약 45° 절곡도를 이루게 구성함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로 돌아가 상기 병마개(200)는, 상기 본체(100)의 병목부(120) 즉 혼합 배출구(121)의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먼저 병마개(200)는, 먼저 외부마개(2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외부마개(210)는 하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병목부(120)의 수나사부(122)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211)가 구성되어 병목부(120)의 외측을 감싸 마감하게 구성된다.
또한 병마개(200)에는, 내부마개(22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내부마개(220)는 상기 외부마개(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마개(210)의 내측 상단에 형성 및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혼합 배출구(121)에 삽입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외부마개(210)의 내주면과 내부마개(220)의 외둘레 사이는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병목부(120)의 둘레가 삽입되는 병목 삽입홈(221)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병마개(200)는, 외부마개(210)를 병목부(120)의 수나사부(12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병목부(120)의 둘레가 병목 삽입홈(221)에 삽입되는 한편 내부마개(220)가 혼합 배출구(121)에 삽입되어 혼합 배출구(121)를 마감하는 한편 그 단부가 혼합 배출구(121)와 연결된 소주 배출구(112a) 및 맥주 배출구(113a)를 마감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마개(22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소정의 신축력이 부여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마개(220)를 도 8의 (a)와 같이 코르크(Cork)(220a)로 구성하거나, 도 8의 (b)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튜브(220b)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내부마개(220)를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함은, 내부마개(220)가 혼합 배출구(121)와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마감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밀착력이 증대 및 밀폐력이 증대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소주 및 맥주 혼합 용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보 고안 소주 및 맥주의 주류 혼합 용기(1)는, 사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유통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소주 및 맥주가 수용된 상태로 유통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혼합 용기(1)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수용부(110)의 수용공간(111)에 소주와 맥주가 각각 분리 수용되되, 이는 소주 수용공간(112)에는 소주가 수용되고, 맥주 수용공간(113)에는 맥주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수용된 소주 및 맥주는 병마개(200)로 마감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병마개(200)는 그 외부마개(210)를 통해 병목부(120)를 감싸 마감되는 한편, 내부마개(220)가 혼합 배출구(121)에 삽입 및 그 단부가 소주 배출구(112a) 및 맥주 배출구(113a)를 마감하여 수용된 소주와 맥주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는 등 안전한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수용되는 소주 및 맥주는, 그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이 3~4:6~7의 비율의 용량으로 수용되는 것인바, 맥주가 소주에 비해 2배의 용량으로 수용되어 유통되게 된다.
이에, 수요자는 소주와 맥주의 혼합주를 섭취하기 위해 별도로 각각의 소주 및 맥주를 구매할 필요 없이 본 고안 혼합 용기(1)에 수용된 소주 및 맥주를 구매함으로 각각의 구매에 따른 불편함과 구매된 제품의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취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혼합 용기(1)에 수용된 소주와 맥주를 이용한 혼합주를 섭취시에는, 통상의 소주 또는 맥주의 섭취와 같이 잔 등에 따라 섭취하면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병마개(200)를 개방하되, 개방시에는 외부마개(210)를 회전시킴으로 그 외부마개(210)의 암나사부(211)와 병목부(120)의 수나사부(122)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되며, 이때 혼합 배출구(121)에 삽입된 내부마개(220)는 자연적으로 밀폐력이 해제되게 된다.
이에, 수용된 소주 및 맥주를 배출시키는 한편 혼합하여 혼합주를 제조하되, 이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이 세로를 상태에서 본체(100)를 기울여 배출하면 된다.
즉,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의 면적이 3~4:6~7의 비율로 구성된 것인바, 배출시 각각의 비율에 해당하는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각각의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통해 배출되는 소주와 맥주는 혼합 배출구(121)로 이동되게 되는 것으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혼합 배출구(121)에서는 그 배출되는 소주와 맥주가 서로 혼합시키게 되며, 이렇게 혼합된 소주와 맥주는 혼합주를 이루어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소주 및 맥주 혼합 용기(1)는, 소주와 맥주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수용이 가능한 한편,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일정한 비율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섭취자는 항시 소주와 맥주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주의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주 및 맥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이 세로를 이룬 상태에서 배출함으로 그 일정한 비율의 배출이 가능한 것인바,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본체(100)에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이 세로를 이룬 상태에서 소주 및 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배출 유도표시(130)를 구성시에는 소주와 맥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본체(100)의 위치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소주박지(112b)와 맥주박지(113b)를 이용하여 마감시에는, 섭취자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3~4:6~7의 비율이 아닌 다양한 비율로의 배출 및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 소주의 비율을 높게 혼합하고자 할 시에는 소주박지(112b)를 완전히 제거하여 원래 배출량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고, 맥주박지(113b)에는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개방함으로, 소주 배출구(112a) 전체와 맥주 배출구(113a)의 개방부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소주와 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배출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서는 맥주의 개방 조절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맥주박지(113b)를 완전히 제거하고 소주박지(112b)의 개방을 조절시에는 또 다른 비율을 이루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소주박지(112b)의 개방 정도와 맥주박지(113b)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 그 소주 및 맥주의 배출 비율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혼합주의 제조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도 13의 도시와 같이 본체(100)의 병목부(120)가 절곡부(140)를 통해 절곡되는 상태를 이룰 시에는 소주 및 맥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 방향성이 확보되어 매우 용이한 것으로, 각각의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통해 배출되는 소주 및 맥주는 혼합 배출구(121)에서 혼합 및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배출을 위해 기울이는 과정에서 맥주 배출구(113a)가 하부에 위치되고, 소주 배출구(112a)가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인바, 하부에 위치되는 맥주 배출구(113a)를 통해 먼저 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고, 이후 상부에 위치되는 소주 배출구(112a)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맥주의 배출량 대비 소주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혼합량의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소주 및 맥주의 주류 혼합 용기는 별도로 소주 및 맥주의 구매 및 보관, 휴대 없이 간편하게 취급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소주와 맥주를 배출시 항시 일정한 비율로 배출 및 일정한 혼합주의 섭취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필요에 따라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비율로의 조절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수용부
111 : 수용공간 112 : 소주 수용공간
112a : 소주 배출구 112b : 소주박지
113 : 맥주 수용공간 113a : 맥주 배출구
113b : 맥주박지 114 : 격벽
120 : 병목부 121 : 혼합 배출구
122 : 수나사부 130 : 배출 유도표시
140 : 절곡부
200 : 병마개 210 : 외부마개
211 : 암나사부 220 : 내부마개
220a : 코르크 220b : 튜브
221 : 병목 삽입홈

Claims (7)

  1. 상단에 소주 배출구(112a)가 형성된 소주 수용공간(112)과 상단에 맥주 배출구(113a)가 형성된 맥주 수용공간(113)이 하단부가 소주 수용공간(112)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격벽(114)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수용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수용공간(111)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부 개방형 혼합 배출구(121)가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된 병목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는 병목부(120)의 혼합 배출구(121)와 연통되게 구성하여 소주와 맥주가 각각의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로 배출시 혼합 배출구(121)에서 혼합 배출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병목부(120) 혼합 배출구(121)를 마감 및 개방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하부로 개방되고, 내주면에 병목부(120)의 수나사부(122)와 나삽되는 암나사부(211)가 형성된 외부마개(21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마개(210)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혼합 배출구(121)에 삽입 마감되어 밀폐력을 부여하며, 외둘레와 외부마개(210)의 내주면 사이에는 병목부(120)의 둘레가 삽입되는 병목 삽입홈(221)이 형성된 내부마개(220)가 구비되어 내부마개(220)의 하단이 혼합 배출구(121)를 마감 및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동시에 마감하여 수용된 소주와 맥주가 내부에서 혼합되는 것이 방지하는 병마개(2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10) 상단과 병목부(120)의 연결부에 맥주 배출구(113a) 측으로 절곡되어 병목부(120)가 맥주 배출구(113a)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절곡부(140)를 구비하고,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을 구획하는 격벽(114)의 상단이 절곡부(140) 내로 진입 및 절곡부(140)와 동일한 절곡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를 구획 형성하게 구성되어 소주 및 맥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 방향성이 확보되며, 수용공간(111)은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이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하여 소주와 맥주가 3~4:6~7의 용량으로 수용되게 구성하며, 소주 배출구(112a)와 맥주 배출구(113a)의 면적은 소주 수용공간(112)과 맥주 수용공간(113)과 비례하게 3~4:6~7의 비율을 이루게 구성하여 소주와 맥주가 각각 다른 용량으로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혼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60007223U 2016-12-12 2016-12-12 주류 혼합 용기 KR200484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23U KR200484111Y1 (ko) 2016-12-12 2016-12-12 주류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23U KR200484111Y1 (ko) 2016-12-12 2016-12-12 주류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11Y1 true KR200484111Y1 (ko) 2017-08-01

Family

ID=6062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23U KR200484111Y1 (ko) 2016-12-12 2016-12-12 주류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36A (ko) 2020-10-29 2022-05-09 오장근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0850A (ja) * 1993-03-14 1997-01-28 競錚 鍾 比例混合式の二重区画容器
KR200203751Y1 (ko) * 2000-05-17 2000-11-15 이영순
KR200309347Y1 (ko) * 2003-01-17 2003-04-03 주식회사 국순당 주류 선택 및 혼합용 보관용기
KR20130001034U (ko) 2011-08-04 2013-02-14 장인익 두 가지 음료의 혼합컵
KR20150144675A (ko) * 2014-06-17 2015-12-28 임명순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0850A (ja) * 1993-03-14 1997-01-28 競錚 鍾 比例混合式の二重区画容器
KR200203751Y1 (ko) * 2000-05-17 2000-11-15 이영순
KR200309347Y1 (ko) * 2003-01-17 2003-04-03 주식회사 국순당 주류 선택 및 혼합용 보관용기
KR20130001034U (ko) 2011-08-04 2013-02-14 장인익 두 가지 음료의 혼합컵
KR20150144675A (ko) * 2014-06-17 2015-12-28 임명순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36A (ko) 2020-10-29 2022-05-09 오장근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8713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20090311389A1 (en) Packages for dispensing liquid and dry food
US20140083057A1 (en) Methods of transporting decarbonated beer base liquid
US20080277310A1 (en) Segregated Container Packaging for Liquids
US20150101942A1 (en)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ultiple materials
US9604747B2 (en) Compartmented beverage bottle
US20190133353A1 (en) Multi-chambered shot container
WO2013138490A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20150360804A1 (en) Dual compartment bottle with dual delivery systems
JP6339301B1 (ja) 多用途ふたを有する多用途水筒
KR200484111Y1 (ko) 주류 혼합 용기
US20210198006A1 (en) Beverage container formed of stackable interlocking single-serving container segments
US20090120892A1 (en) Bottl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20110266247A1 (en) Mixed drink system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US20120145717A1 (en) Integral Storage Apparatus for multiple distinct fluids
US20150090712A1 (en) Fractionally proportioned, nesting container bottles, with joining and carrying means
CN207157891U (zh) 盖体及多种冲泡方式的容器
KR102517910B1 (ko) 소맥용 이종 주류 용기
KR200459776Y1 (ko) 균일 혼합용 막걸리 병
CN215206291U (zh) 一种双螺口同盖大小双瓶现喝现配自助式饮料套瓶
KR200452054Y1 (ko) 2종 액체 개별 수납 및 혼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