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14A - 중송 방지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중송 방지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14A
KR20220057214A KR1020200142252A KR20200142252A KR20220057214A KR 20220057214 A KR20220057214 A KR 20220057214A KR 1020200142252 A KR1020200142252 A KR 1020200142252A KR 20200142252 A KR20200142252 A KR 20200142252A KR 20220057214 A KR20220057214 A KR 2022005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atic electricity
pressing plate
papers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633B1 (ko
Inventor
최호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름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름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름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20014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6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송 방지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복수의 용지가 수납된 프린터의 트레이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송 방지 급지 장치{Prevention of double feeding she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일정한 낱장의 급지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부피가 작아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나아가 여러 종류의 프린터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중송 방지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급지 장치는 용지가 얹혀지는 픽업 플레이트와,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선단 상측에 위치되어 용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픽업 마찰 패드와, 픽업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와, 픽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용지를 픽업 롤러에 압착시키는 압력 스프링과, 픽업된 용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픽업된 용지를 한 장씩 급지하는 급지 롤러와, 상기 급지 롤러의 하측에 위치되고 스프링 탄성을 이용하여 용지의 다매 급지를 방지하는 급지 마찰 패드와, 용지를 급지 롤러 측으로 공급한 후 상기 픽업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작동 캠과, 급지 롤러에 의해 급지된 용지를 주장치로 공급하는 레지스터 롤러와, 상기한 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구동력이 작동 캠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일방향 스프링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급지 장치는 급지 마찰 패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다매 급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급지 장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6180호 '다매 급지 방지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급지 장치의 경우, 급지 마찰 패드 대신에 탄성력을 갖고 역회전이 가능한 보조롤러를 사용하고 보조 롤러에 일정한 마찰력이 가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직경이 크고 탄성력을 가진 급지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용지의 다매 이송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전 급지 장치들에 비해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급지 장치의 경우, 여전히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정 프린터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정한 낱장의 급지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부피가 작아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프린터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중송 방지 급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복수의 용지가 수납된 프린터의 트레이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용지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교류펄스출력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교류펄스출력부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용지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하는 정전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류펄스의 주기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측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용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을 통해 상기 용지를 압착하는 보호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용지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용지를 압착하고, 회전하면서 상기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일측에 축결합되는 압착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판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용지의 하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누름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부는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누름판부재; 상기 하부누름판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누름판부재 방향으로 누름가압되면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상부누름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 내에 동일 전극의 전하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외면에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립방지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의 장수를 세는 카운팅센서;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운팅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로 상기 감지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정전기 발생부가 프린터의 용지이송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의 하부에 위치한 용지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함으로써, 프린터의 용지이송롤러에 의해 복수의 용지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복수의 용지를 압착한 상태로 복수의 용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를 통해 복수의 용지를 낱장씩 보다 용이하게 급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플레이트, 중송 방지 급지 롤러 및 압착판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나아가 여러 종류의 프린터의 트레이에 구비되어 여러 종류의 프린터로 복수의 용지를 낱장씩 급지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프린터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정전기 발생부를 통해 복수의 용지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인가함으로써, 대전된 복수의 용지들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어 복수의 용지들이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프린터의 용지이송롤러를 통해 용지가 낱장씩 용이하게 급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가 복수의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가 복수의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정전기 발생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에서 누름판부에 의해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에서 누름판부에 의해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압착판부에 형성된 스탬플러침 리무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0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에서 스탬플러침 리무버를 이용하여 스탬플러침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가 복수의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교류펄스출력부로부터 전달되는 교류펄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
도 1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본체(60) 및 정전기 발생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0)는 복수의 용지(3)가 수납된 프린터(9)의 트레이 상부(91)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용지(3)는 A3용지, A4 용지 등의 새로운 용지 또는 어느 한면이 인쇄된 상태인 이면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기 발생부(50)는 본체(60)에 설치되고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전기 발생부(50)는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발생부(50)는 전원공급부(51), 교류펄스출력부(54) 및 정전기 필름(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는 본체(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는 배터리로 마련되거나, 전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1)는 교류펄스출력부(5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교류펄스출력부(54)는 본체(6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교류펄스를 전달하여, 정전기 필름(53)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18의 (a)를 참고하면, 교류펄스출력부(54)가 정전기 필름(53)에 전달하는 교류펄스의 주기(T)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변경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주기(T)가 짧은 교류펄스를 일정 시간동안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정전기 필름(53)에는 정전기가 발생되고, 정전기 필름(53)에서 발산되는 정전기력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도18의 (b)를 참고하면,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주기(T)가 긴 교류펄스를 전달함으로써, 정전기 필름(53)에서 발산되는 정전기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정전기 필름(53)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지(3)의 상부에 안착되며, 교류펄스출력부(54)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60)는 보호판(61)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61)은 본체(60)의 일측부에 축결합되고 용지(3)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을 통해 용지(3)를 압착할 수 있다.
그리고, 중송 방지 급지 장치 미사용시, 보호판(61)은 회전되어 정전기 필름(53)을 덮어, 정전기 필름(53)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판(61)과 정전기 필름(53) 및 본체(60)가 겹쳐지게 되므로,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체의 일측 모퉁이부에는 복수의 용지(3)를 묶는 스탬플러침(5)을 제거하기 위한 리무버(4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발생부(50)는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3)의 하부에 위치한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함으로써,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에 의해 복수의 용지(3)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
도 5 내지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본체(60), 정전기 발생부(50),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압착판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0)는 복수의 용지(3)가 수납된 프린터(9)의 트레이 상부(91)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발생부(50)는 본체(60)에 설치되고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전기 발생부(50)는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발생부(50)는 전원공급부(51), 교류펄스출력부(54) 및 정전기 필름(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는 본체(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는 배터리로 마련되거나, 전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1)는 교류펄스출력부(5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교류펄스출력부(54)는 본체(6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교류펄스를 전달하여, 정전기 필름(53)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18의 (a)를 참고하면, 교류펄스출력부(54)가 정전기 필름(53)에 전달하는 교류펄스의 주기(T)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변경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주기(T)가 짧은 교류펄스를 일정 시간동안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정전기 필름(53)에는 정전기가 발생되고, 정전기 필름(53)에서 발산되는 정전기력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도18의 (b)를 참고하면, 교류펄스출력부(54)는 정전기 필름(53)에 주기(T)가 긴 교류펄스를 전달함으로써, 정전기 필름(53)에서 발산되는 정전기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정전기 필름(53)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지(3)의 상부에 안착되며, 교류펄스출력부(54)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발생부(50)는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3)의 하부에 위치한 용지(3)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함으로써,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에 의해 복수의 용지(3)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필름(53)는 발산면(53a) 및 탄소섬유패턴부(P)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산면(53a)은 전원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하가 흐르고 접촉된 용지(3)측으로 정전기를 발산할 수 있다.
탄소섬유패턴부(P)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산면(53a)에 고정되어 발산면(53a)에 흐르는 전하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탄소섬유패턴부(P)은 발산면(53a)을 분할함으로써, 정전기 필름(53)가 정전기를 통해 복수의 용지(3)에 가하는 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용지(3)는 A3용지, A4 용지 등의 새로운 용지 또는 어느 한면이 인쇄된 상태인 이면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는 정전기 발생부(50)의 상부에 안착된 복수의 용지(3)를 정전기 발생부(50)의 하부방향으로 압착한 상태로 복수의 용지(3)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복수의 용지를 플레이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낱장씩 급지하게 된다.
압착판부(30)는 정전기 발생부(50)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축결합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탄성력을 통해 복수의 용지(3)에 압착할 수 있다.
압착판부(30)의 타측에는 1개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및 압착판부(30)는 탄성력을 지닌 플랙시블 재질 또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력을 지는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압착판부(30)의 타측에 축결합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복수의 용지의 상부에 압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카운팅센서(90), 무선통신부(10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팅센서(90), 무선통신부(100) 및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카운팅센서(90)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3)의 장수를 셀 수 있다. 그리고, 카운팅센서(90)는 IR기반의 포토인터럽트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는 외부 서버(7) 또는 단말기(7)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카운팅센서(9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무선통신부(100)를 통해 외부 서버(7) 또는 단말기(7)로 감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7) 또는 단말기(7)에는 감지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버(7) 또는 단말기(7)에 접속하여 감지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용지(3)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3. 제3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
도 9 내지 도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플레이트(10),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압착판부(30), 본체(60) 및 정전기 발생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용지(3)가 상하적층된 상태로 수평안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0)는 프린터(9)의 트레이(91)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용지(3)는 A3용지, A4 용지 등의 새로운 용지 또는 어느 한면이 인쇄된 상태인 이면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는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안착된 복수의 용지(3)를 플레이트(10)의 하부방향으로 압착한 상태로 복수의 용지(3)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복수의 용지를 플레이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낱장씩 급지하게 된다.
압착판부(30)는 프린터(9)의 트레이(91) 상부에 위치하고, 압착판부(30)의 일측은 플레이트(10)의 일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상태로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압착판부(30)의 타측은 플레이트(10)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압착판부(30)의 타측에 축결합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용지(3)의 상부에 압착하게 된다.
압착판부(30)의 타측에는 1개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0),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및 압착판부(30)는 탄성력을 지닌 플랙시블 재질 또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력을 지는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압착판부(30)의 타측에 축결합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복수의 용지의 상부에 압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누름판부에 의해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상부와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사이에 상하적층된 상태인 복수의 용지(3)의 일측을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일예로, 압착판부(30)의 일측 상부 외면에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누름판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누름판부(310)는 플레이트(10),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및 압착판부(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판부(310)는 압착판부(3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름판부(310)를 누름판부(31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압착판부(30)의 타측과 함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가 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압착판부(30)의 일측 상부 외면에 1개의 누름판부(310)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승시키기 위해, 다른예로서, 압착판부(30)의 일측 외면에 2개의 누름판부(3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2개의 누름판부(31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누름판부재(311)와 상부누름판부재(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누름판부재(311)는 압착판부(30)의 일측 상부 외면에서 압착판부(3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부누름판부재(312)는 하부누름판부재(3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압착판부(30)의 일측 상부 외면에서 압착판부(3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부누름판부재(311)를 검지손가락으로 받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상부누름판부재(312)를 하부누름판부재(311) 방향으로 누름가압하여 압착판부(30)의 타측과 함께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와 복수의 용지(3)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 내지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외면에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면형상이 호형상,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슬립방지돌기(2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립방지돌기(210)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를 따라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착판부(30)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용지(3)의 상부에 압착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압착력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방향으로 호형상,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플레이트(10),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및 압착판부(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0)는 플레이트(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
도 14는 압착판부에 형성된 스탬플러침 리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판부(30)에는 복수의 용지(3)를 묶는 스탬플러침(5)을 제거하기 위한 스탬플러침 리무버(4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탬플러침 리무버(40)는 압착판부(30)의 전측과 후측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되거나 압착판부(3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전후대칭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탬플러침 리무버(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압착판부(3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홈(30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탬플러침 리무버(40)의 전후폭은 압착판부(30)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압착판부(3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도 16는 스탬플러침 리무버를 이용하여 스탬플러침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복수의 용지(3)를 묶는 스탬플러침(5)을 제거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용지(3)를 묶는 스탬플러침(5)의 일단부 내측과 타단부 내측에 스탬플러침 리무버(40)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스탬플러침 리무버(40)를 복수의 용지(3)의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본체(60)는 복수의 용지(3)가 수납된 프린터(9)의 트레이 상부(91)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60)는 압착판부(30)와 플레이트(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발생부(50)는 압착판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정전기 발생부(50)는 본체(60)에 설치되고, 전원공급부(51)와 정전기모듈(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는 배터리로 마련되거나, 전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1)는 정전기모듈(5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전기모듈(52)는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트레이(91) 내에 동일 전극의 전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정전기모듈(52)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트레이(91) 내에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기모듈(52)은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복수의 용지(3)에 인가하여 용지(3)를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모듈(52)은 복수의 용지(3)들이 척력에 의해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에 의해 복수의 용지(3)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송 방지 급지 장치는 카운팅센서(90), 무선통신부(10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팅센서(90), 무선통신부(100) 및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카운팅센서(90)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3)의 장수를 셀 수 있다. 그리고, 카운팅센서(90)는 IR기반의 포토인터럽트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는 외부 서버(7) 또는 단말기(7)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카운팅센서(9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무선통신부(100)를 통해 외부 서버(7) 또는 단말기(7)로 감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7) 또는 단말기(7)에는 감지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버(7) 또는 단말기(7)에 접속하여 감지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용지(3)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프린트 내부에 위치한 중송 방지 급지 장치의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복수의 용지를 1매씩 급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는 다양한 종류의 프린터(9)의 트레이(91)의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가 회전함에 따라 프린터(9)의 내측으로 복수의 용지(3)가 급지될 수 있다.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의 회전시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복수의 용지(3)를 압착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와 용지(3) 사이의 마찰력을 통해 프린터(9)의 내측으로 복수의 용지(3)가 1매씩 급지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발생부(50)를 통해 복수의 용지(3)에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인가하여 복수의 용지(3)들이 척력에 의해 서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프린터(9)의 용지이송롤러(92)를 통해 프린터(9)의 내측으로 복수의 용지(3)가 낱장씩 급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의 용지(3)를 압착한 상태로 복수의 용지(3)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20) 및 정전기 발생부(50)를 통해 복수의 용지(3)를 1매씩 보다 용이하게 급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트(10), 다매급지방지롤러(20) 및 압착판부(30)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나아가 여러 종류의 프린터(9)의 트레이(91)에 구비되어 여러 종류의 프린터(9)로 복수의 용지(3)를 1매씩 보다 용이하게 급지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프린터(9)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플레이트 20 : 중송 방지 급지 롤러
30 : 압착판부 50 : 정전기 발생부
51 : 전원공급부 52 : 정전기모듈
53 : 정전기 필름 54 : 교류펄스출력부
60 : 본체

Claims (12)

  1. 복수의 용지가 수납된 프린터의 트레이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 발생부를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용지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교류펄스출력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교류펄스출력부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용지를 정전기력으로 부착하는 정전기 필름을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펄스의 주기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변경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용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을 통해 상기 용지를 압착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용지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용지를 압착하고, 회전하면서 상기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중송 방지 급지 롤러가 일측에 축결합되는 압착판부를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용지의 하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누름판부가 구비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부는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누름판부재;
    상기 하부누름판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압착판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누름판부재 방향으로 누름가압되면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상부누름판부재를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 내에 동일 전극의 전하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모듈을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외면에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립방지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송 방지 급지 롤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의 장수를 세는 카운팅센서;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운팅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로 상기 감지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송 방지 급지 장치.
KR1020200142252A 2020-10-29 2020-10-29 중송 방지 급지 장치 KR10248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52A KR102480633B1 (ko) 2020-10-29 2020-10-29 중송 방지 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52A KR102480633B1 (ko) 2020-10-29 2020-10-29 중송 방지 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14A true KR20220057214A (ko) 2022-05-09
KR102480633B1 KR102480633B1 (ko) 2022-12-23

Family

ID=8158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252A KR102480633B1 (ko) 2020-10-29 2020-10-29 중송 방지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6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675A (ja) * 1993-08-27 1995-03-07 Tokin Corp 静電吸着ハンド
JPH11327377A (ja) * 1998-05-15 1999-1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40107832A (ko) * 2003-06-13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기기의 용지카세트
JP2009023813A (ja) * 2007-07-23 2009-02-05 Ricoh Co Ltd シート材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80015418A (ko) * 2016-08-03 2018-02-13 최호림 다매 급지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675A (ja) * 1993-08-27 1995-03-07 Tokin Corp 静電吸着ハンド
JPH11327377A (ja) * 1998-05-15 1999-1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40107832A (ko) * 2003-06-13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기기의 용지카세트
JP2009023813A (ja) * 2007-07-23 2009-02-05 Ricoh Co Ltd シート材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80015418A (ko) * 2016-08-03 2018-02-13 최호림 다매 급지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633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504A (ko) 지폐류 추출장치
KR20000023217A (ko) 지폐분리배출장치
KR20030062009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940012071A (ko) 수동급지대의 분리급지장치
KR20220057214A (ko) 중송 방지 급지 장치
KR100692573B1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JP4707163B2 (ja) パッケージ材およびパッケージされた用紙
GB2228473A (en) Document feed
KR101838390B1 (ko) 다매 급지방지장치
US20040124577A1 (en) Media handling mechanism
JP3680412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5691461B2 (ja) シート分離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423464B1 (ko) 인쇄기용 급지카세트의 용지정렬장치
JPH03272941A (ja) 給紙装置
JP2713159B2 (ja) 用紙給紙装置
JP2610977B2 (ja) イメ−ジ読み取り装置
JPS61263530A (ja) 自動給紙装置
US8833766B2 (en) Paper pressing apparatus for printing apparatus
KR970005139B1 (ko) 원고 배출장치
JP2012001298A (ja) シート給送装置
CN208101412U (zh) 单面标贴专用打印机
JPH0867360A (ja) 給紙装置
JP3691325B2 (ja) 複写装置又は印刷装置の排紙台
JP2015083520A (ja) シート分離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S63435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