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21A -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21A
KR20220056921A KR1020200141272A KR20200141272A KR20220056921A KR 20220056921 A KR20220056921 A KR 20220056921A KR 1020200141272 A KR1020200141272 A KR 1020200141272A KR 20200141272 A KR20200141272 A KR 20200141272A KR 20220056921 A KR20220056921 A KR 20220056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op
rotation speed
driving state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봉욱
손성민
조세환
이경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921A/ko
Publication of KR2022005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모드를 EV모드로부터 HEV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면, 컨트롤러가 엔진클러치를 체결시키기 위한 기본 제어 듀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에 산출되는 EOP 회전수보다 EOP의 토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EOP를 구동하고,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라 산출된 EOP 회전수로 상기 EOP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ELECTRIC OIL PUMP CONTROL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방식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TMED 방식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모터가 변속기에 직결되어 구성되며, 엔진의 동력을 엔진클러치를 통해 변속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엔진클러치의 작동 및 모터와 변속기의 냉각과 윤활 및 작동 제어 등을 위해 유압이 사용되며, 상기 유압은 전동식 오일펌프에 의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상시 구동되던 기계식 오일펌프를 배제하고, 전동식 오일펌프만 구비하여, 필요한 유량에 따라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070077 A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황에 따라 보다 적합하고 정확한 유량의 오일을 엔진클러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클러치의 제어 정확도 및 제어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원활하고 안정된 작동을 보장하고,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은,
차량의 운전모드를 EV모드로부터 HEV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면, 컨트롤러가 엔진클러치를 체결시키기 위한 기본 제어 듀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에 산출되는 EOP 회전수보다 EOP의 토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EOP를 구동하고,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라 산출된 EOP 회전수로 상기 EOP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 경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APS신호의 기울기, APS신호의 크기, 및 엔진회전수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APS신호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보다 크고, APS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APS크기 보다 크며, 엔진회전수가 소정의 기준엔진회전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2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EOP 회전수 맵은, 동일한 듀티에 대해 보다 높은 EOP회전수가 지정되도록,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의 모든 EOP회전수 값을 듀티 축을 따라 일률적으로 이동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에서,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쉬프트량 만큼 듀티 축을 따라 이동한 위치의 EOP 회전수 값을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소정의 유지시간 동안만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여 EOP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황에 따라 보다 적합하고 정확한 유량의 오일을 엔진클러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클러치의 제어 정확도 및 제어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원활하고 안정된 작동을 보장하고,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보상 플래그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과, 제2EOP 회전수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TMED 방식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예시한 것으로서, 엔진(E)의 동력은 엔진클러치(EC)를 통해 변속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모터(M)는 변속기(TM)의 입력축에 직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TM)를 통과한 동력을 디퍼렌셜(DF)을 통해 구동륜(W)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전동식 오일펌프(EOP)는 상기 엔진클러치(EC)와 모터(M) 및 변속기(TM)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EOP)는 컨트롤러(CLR)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차량의 운전모드를 EV(Electric Vehicle)모드로부터 HEV(Hybrid Electric Vehicle)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면, 컨트롤러(CLR)가 엔진클러치(EC)를 체결시키기 위한 기본 제어 듀티를 산출하는 단계(S10); 상기 컨트롤러(CLR)가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CLR)가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는 단계(S30);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CLR)가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에 산출되는 EOP 회전수보다 EOP의 토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S40);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EOP를 구동하고,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라 산출된 EOP 회전수로 상기 EOP를 구동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EV모드로부터 HEV모드로 전환시키는 상황에서, 엔진클러치(EC)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의 유량을 확보할 때,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 아닌지에 따라 EOP 회전수를 달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클러치(EC)의 제어를 운전 상황에 보다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엔진클러치(EC)의 제어 정확도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워트레인의 원활하고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만 추가로 EOP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EOP 회전수 상승을 방지함에 의해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연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는,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 경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LR)는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신호의 기울기, APS신호의 크기, 및 엔진회전수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CLR)는 APS신호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보다 크고, APS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APS크기 보다 크며, 엔진회전수가 소정의 기준엔진회전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기울기, 기준APS크기 및 기준엔진회전수는 차량의 급가속 상황으로서, 엔진클러치(EC)에 추가의 유량 공급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가름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바, 다수의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APS신호가 급격하게 크게 증가하고, 그에 따라 엔진회전수가 크게 상승하는 상태에서는 변속기(TM)에서는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 EOP로서는 엔진클러치(EC)의 체결에 필요한 유량은 물론, 변속기(TM)의 변속 조작에 필요한 유량을 동시에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EOP 회전수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EOP를 기본 제어 듀티에 따라 산출된 EOP회전수로 구동할 지, 보상된 EOP 회전수로 구동할 지는, 도 2에서 보상 플래그가 온되었는지 오프되었는지에 따라 최종EOP 회전수를 각각 다르게 결정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된 최종EOP 회전수를 이용하여 EOP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상기 보상 플래그는 도 3에 표현된 예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온되거나 오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도 3의 과정은 차량의 운행 중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면서, 상기 보상 플래그를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도 2와 같은 제어 수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과, 제2EOP 회전수 맵을 함께 예시한 것으로서, 우선 기본적으로 상기 제1EOP 회전수 맵과 제2EOP 회전수 맵은 오일의 유온과, 듀티에 따라 직접 EOP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EOP회전수를 구하는 과정의 중간에 유량이나 다른 물리량을 통해 EOP회전수를 결정하도록 하지 않고, 유온과 듀티에 따라 바로 필요한 EOP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EOP 회전수의 산출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듀티는 엔진클러치(EC)로 공급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제어 듀티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상 플래그가 온되어,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2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본 제어 듀티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기본 제어 듀티에 대해, 제1EOP 회전수 맵이 아니라 상기 제2EOP 회전수 맵을 통해 EOP 회전수를 산출하여, 이를 사용하여 EOP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기본 제어 듀티에 대해, 보다 높은 EOP회전수로 EOP를 구동하도록 하여, 차량의 급가속 등의 경우에도 엔진클러치(EC)에서 필요로 하는 유량을 EOP가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EOP 회전수 맵은, 동일한 듀티에 대해 보다 높은 EOP회전수가 지정되도록,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의 모든 EOP회전수 값을 듀티 축을 따라 일률적으로 이동시켜서 형성된 것이다.
도 4에서,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제2EOP 회전수 맵으로 향하도록 표시된 화살표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듀티 축을 따라 제1EOP 회전수 맵의 모든 EOP회전수 값을 일률적으로 이동시킨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EOP 회전수 맵이 구성되면, 동일한 기본 제어 듀티에 대해서,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결정되는 EOP 회전수보다, 상기 제2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결정되는 EOP 회전수가 더 커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에서,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쉬프트량 만큼 듀티 축을 따라 이동한 위치의 EOP 회전수 값을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제1EOP 회전수 맵과 별도로 제2EOP 회전수 맵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EOP 회전수 맵만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보상 플래그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에서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쉬프트량 만큼 듀티 축을 따라 이동한 위치의 EOP 회전수 값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의 제1EOP 회전수 맵만 존재하고, 제2EOP 회전수 맵은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보상 플래그가 온된 경우, 상기 기본 제어 듀티가 듀티 축의 1번째 행에 해당하고, 상기 쉬프트량이 1이면,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의 2번짹 행의 해당 유온에 대응되는 EOP 회전수를 보상된 EOP 회전수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맵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고, 상기 쉬프트량을 조절함에 의해, EOP 회전수의 보상량을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CLR)는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소정의 유지시간 동안만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여 EOP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지시간을 800ms 등으로 설정하여, 상기 보상 플래그가 ON되면, 그 상태를 상기 유지시간 동안만 유지하고, 다시 상기 APS신호 기울기 등을 판단하여, 상기 보상 플래그를 계속해서 ON상태로 유지할지, OFF 상태로 전환할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보상 플래그가 지나치게 급격하게 변화하여 제어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EOP 회전수를 추가로 보상하지는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유지시간은 이와 같은 취지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E; 엔진
EC; 엔진클러치
M; 모터
TM; 변속기
DF; 디퍼렌셜
W; 구동륜
EOP; 오일펌프
CLR; 컨트롤러

Claims (8)

  1. 차량의 운전모드를 EV모드로부터 HEV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면, 컨트롤러가 엔진클러치를 체결시키기 위한 기본 제어 듀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1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에 산출되는 EOP 회전수보다 EOP의 토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EOP를 구동하고,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라 산출된 EOP 회전수로 상기 EOP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 경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APS신호의 기울기, APS신호의 크기, 및 엔진회전수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APS신호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보다 크고, APS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APS크기 보다 크며, 엔진회전수가 소정의 기준엔진회전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차량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듀티와 유온에 따른 제2EOP 회전수 맵으로부터,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따른 EOP회전수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EOP 회전수 맵은, 동일한 듀티에 대해 보다 높은 EOP회전수가 지정되도록,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의 모든 EOP회전수 값을 듀티 축을 따라 일률적으로 이동시켜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EOP 회전수 맵에서, 상기 기본 제어 듀티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쉬프트량 만큼 듀티 축을 따라 이동한 위치의 EOP 회전수 값을 상기 보상된 EOP 회전수로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가 급변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소정의 유지시간 동안만 상기 EOP 회전수를 보상하여 EOP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KR1020200141272A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KR20220056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72A KR20220056921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72A KR20220056921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21A true KR20220056921A (ko) 2022-05-09

Family

ID=8158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272A KR20220056921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9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77A (ko)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op를 활용한 유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77A (ko)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op를 활용한 유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1884B (zh) 电动泵的控制装置
JP2001263474A (ja)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EP2119943B1 (en)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driving vehicle
US9212732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its hydraulic pressure control method
CN110914577B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US10711884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9074668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WO2015097900A1 (ja) フォークリフト及び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方法
KR20160007860A (ko)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제어 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JP5709489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1354051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10144281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KR20220056921A (ko)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방법
CN108622098B (zh) 发动机和变速器的综合控制方法
JP2014173617A (ja) クラッチの制御装置
US10871224B2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157087B2 (ja) 無段変速機搭載車の暖房性能補償装置
US20190203834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165258B2 (ja) 油圧ポンプの吐出圧マップ書換方法
JP2007232160A (ja) 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KR2022012074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냉각 시스템
JP4146840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KR20190097425A (ko)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JP4699970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KR20220120785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eop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