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13A -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 Google Patents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513A
KR20220056513A KR1020200141175A KR20200141175A KR20220056513A KR 20220056513 A KR20220056513 A KR 20220056513A KR 1020200141175 A KR1020200141175 A KR 1020200141175A KR 20200141175 A KR20200141175 A KR 20200141175A KR 20220056513 A KR20220056513 A KR 2022005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rame
microspeaker
top plate
venti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847B1 (ko
Inventor
김천명
김지훈
정인호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0014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아우터 마그넷을 눌러주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아우터 마그넷이 충격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크; 요크 중앙에 부착되는 이너 마그넷;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이너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는 이너 탑 플레이트;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이너 마그넷과 아우터 마그넷 사이의 에어 갭에 하단이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요크의 외주에 결합되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적어도 일 면에 통풍홀을 구비하고, 통풍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우터 마그넷은 프레임과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프레임은 통풍홀이 구비된 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아우터 마그넷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MICROSPEAKER WITH A STRUCTRE FOR PREVENTING MAGNET SEPARATION}
본 발명은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아우터 마그넷을 눌러주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아우터 마그넷이 충격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 경향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는 부품들에도 두께가 슬림화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폴더블 폰의 등장으로 슬림화가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실장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역시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개발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의 마이크로스피커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프레임(10) 내에 요크(21), 이너 마그넷(22), 4개의 아우터 마그넷(23a, 23b), 이너 탑 플레이트(24), 아우터 탑 플레이트(25)가 설치되며, 이너 마그넷(22)과 아우터 마그넷(23) 사이의 에어 갭에 보이스 코일(30)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은 진동판(41, 42)의 하면에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30)의 진동 시에 진동판(41, 42)이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케 된다. 진동판(41, 42)은 중앙이 천공된 링 형상이며, 단면이 돔 형태인 사이드 진동판(41)과, 사이드 진동판(41)의 중앙에 부착되는 센터 진동판(42)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본다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장변과 단변을 가진다. 따라서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22)의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짧은 아우터 마그넷(23a) 2개와 이너 마그넷(22)의 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긴 아우터 마그넷(23) 2개를 구비한다.
한편, 보이스 코일(30)과 진동판(41, 42)의 편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30)의 진동을 안내하고 지지해주기 위해, 보이스 코일(30)의 일단에 서스펜션(50)이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스피커의 전고를 줄이기 위해, 사이드 진동판(41)의 돔이 하방으로 돌출된 역돔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역돔 형태일 경우 사이드 진동판(41)과 보이스 코일(30) 사이에 서스펜션(50)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서스펜션(50)은 사이드 진동판(41)이 역돔형일 때, 보이스 코일(30)의 하단에 부착된다. 한편 서스펜션(50)은 연성회로기판으로 제조되어 프레임(10)에 결합된 터미널을 통해 유입된 전기적인 신호를 보이스 코일(30)로 전달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때, 서스펜션(50)은 보이스 코일(30)과 프레임(10)에 배치된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부품과의 간섭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서스펜션(50)은 아우터 마그넷(23)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가 구비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우터 탑 플레이트(25)는 4개로 분할된 아우터 마그넷과 달리 모든 아우터 마그넷을 덮는 링 형상을 가진다. 이때, 모서리에는 서스펜션을 위한 도피부(25b)가 마련되어야 하며, 적어도 일 면에는 프레임 측면으로 통풍을 하기 위한 통풍홈(25a)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통풍홈(25a) 주위와 도피부(25b) 주위에서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25)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고, 설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프레임(10)에 통풍홀(12)이 형성된 일측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우터 마그넷(23a)은 프레임(10)의 통풍홀(12)과 간격을 두고 더 내측에 위치한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의 통풍홈(25a)과 프레임(10)의 통풍홀(12)이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서리에는 서스펜션을 위한 도피부(25b)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아우터 탑 플레이트(25)는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즉, 도피부(25b)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10)의 통풍홀(12) 양 측에는 도피부(25b)를 지지하는 지지부(13)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지지부(13)에 의해 통풍홀(12)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며, 통풍홀(12)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풍홀(12)은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변 측에 형성되나, 장변 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를 원 바디로 형성하는 것보다 차라리 분리되어 각 탑 플레이트에 별개로 부착되는 형태가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우터 탑 플레이트(25)를 분리 형성할 경우, 아우터 탑 플레이트가 프레임에 인서트되지 않는 구조의 경우, 통풍홀(12)이 형성된 면에서는 프레임(10)과 아우터 탑 플레이트(25)가 아예 분리되어 있어 요크와 아우터 마그넷(23a) 사이의 접착제 외에 아우터 마그넷(23a)을 고정시켜주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취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 아우터 탑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14297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커의 슬림화에 유리하도록 아우터 탑 플레이트를 분리형으로 하면서, 아우터 마그넷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요크; 요크 중앙에 부착되는 이너 마그넷;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이너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는 이너 탑 플레이트;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이너 마그넷과 아우터 마그넷 사이의 에어 갭에 하단이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요크의 외주에 결합되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적어도 일 면에 통풍홀을 구비하고, 통풍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우터 마그넷은 프레임과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프레임은 통풍홀이 구비된 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아우터 마그넷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프레임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구비하며, 프레임이 아우터 마그넷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에 폭이 넓어지는 이탈방지형상을 구비하며,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이탈방지형상에 대응하는 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통풍홀은 돌출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되며, 통풍홀 사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살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통풍홀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되는 아우터 플레이트는,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부착면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며 프레임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인서트부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 또는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통풍홀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아우터 마그넷을 요크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돌출부는 마그넷을 요크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를 각 아우터 마그넷에 별개로 부착되도록 분리하면서, 아우터 탑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이 아우터 마그넷을 가압해줄 수 있도록 하여 마그넷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아우터 마그넷에 별개로 부착되도록 분리함으로써 통풍홀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의 마이크로스피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가 구비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5 마그넷 구조 마이크로스피커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자기 회로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와 프레임 돌출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통풍홀을 도시한 부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과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중 일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과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중 일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외곽이 사각형인 링 형상의 프레임(100)의 하면에 자기 회로의 일부인 요크(210)가 결합되며, 요크(210) 상면에는 이너 마그넷(220), 4 개의 아우터 마그넷(232, 234), 이너 마그넷(220) 상면에 부착되는 이너 탑 플레이트(240), 각 아우터 마그넷(232, 234) 상면에 부착되는 4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254)가 설치된다. 이너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2, 234) 사이의 에어 갭에 보이스 코일(300)의 하단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0)은 진동판(410, 420)의 하면에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 시에 진동판(410, 420)이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케 된다. 진동판(410, 420)은, 중앙이 천공된 링 형상이며 단면이 돔 형태인 사이드 진동판(410)과, 사이드 진동판(410)의 중앙에 부착되는 센터 진동판(420)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보다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장변과 단변을 가진다. 따라서 아우터 마그넷(232, 234)은 이너 마그넷(220)의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짧은 아우터 마그넷(232) 2개와 이너 마그넷(220)의 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긴 아우터 마그넷(234) 2개를 구비한다. 또한 짧은 아우터 마그넷(232)은 프레임(100)의 단변과 평행하고, 긴 아우터 마그넷(234)은 프레임(100)의 장변과 평행하기도 하다.
한편, 보이스 코일(300)과 진동판(410, 420)의 편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을 안내하고 지지해주기 위해, 보이스 코일(300)의 일단에 서스펜션(500)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전고를 줄이기 위해, 사이드 진동판(410)의 돔이 하방으로 돌출된 역돔 형태를 채용하였으며, 사이드 진동판(410)과 서스펜션(50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스펜션(500)은 보이스 코일(300)의 하단에 부착된다. 한편 서스펜션(500)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제조되어 프레임(100)에 결합된 터미널을 통해 유입된 전기적인 신호를 보이스 코일(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겸한다. 따라서, 서스펜션(500)은 보이스 코일(300)과 프레임(100)에 배치된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부품과의 간섭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서스펜션(500)은 보이스 코일(300)과의 랜딩부가 아우터 마그넷(232, 234)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254)가 4개로 분할 형성되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254)가 프레임(100)에 인서트 사출되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254)가 아우터 마그넷(232, 234)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해주던 종래 기술에 비해 아우터 마그넷(232, 234)이 충격에 의해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254)에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자기 회로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와 프레임 돌출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프레임(100)의 단변에 통풍홀(120)이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100)의 통풍홀(120) 외곽을 이루는 측벽(122)과 짧은 아우터 마그넷(232)과 짧은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 사이에는 간격(140)이 형성되며, 이 간격(140)을 구비함으로써 짧은 아우터 마그넷(232)과 짧은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가 통풍홀(120)을 막지 않아 공기가 통풍홀(120)로 드나들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간격(140)에 서스펜션(500)의 일부 구간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서스펜션(50)과 프레임(100)의 터미널(미도시) 간의 통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30)은, 통풍홀(120) 외곽을 이루는 측벽(122)으로부터 내측, 즉 아우터 마그넷(232)의 상부로 돌출한 돌출부(130)를 구비한다. 돌출부(130)는 아우터 마그넷(232)을 요크(2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아우터 마그넷(232)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는 아우터 마그넷(232) 상부에 부착된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를 함께 가압할 수도 있으나,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가 돌출부(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130)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는 홈(252a)을 구비함으로써, 돌출부(130)가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를 제외한 아우터 마그넷(232)을 직접 가압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130)가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를 제외한 아우터 마그넷(232)을 직접 가압할 경우 아우터 마그넷(232)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프레임(100)의 장변에 배치되는 긴 아우터 마그넷(234)은 외면이 프레임(100)에 가리거나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자기 회로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0)은 아우터 마그넷(234)에 대응하는 홈(110)을 구비한다. 즉, 긴 아우터 마그넷(234)과 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4)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이다. 이때, 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4)에도 복수 개의 홈(254a)을 형성하고, 프레임(100)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프레임(100)이 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4)도 직접 가압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4)는 긴 아우터 마그넷(234)보다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아우터 마그넷(234)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함으로써 긴 아우터 탑 플레이트(254)와 프레임(100) 간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에 폭이 넓어지는 이탈방지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는 이탈방지형상에 대응하는 홈(252a)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을 적용하으로써, 아우터 탑 플레이트(252)가 아우터 마그넷(232)으로 탈락하더라도, 이너 마그넷(2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통풍홀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변에 통풍홀(120)을 형성한다. 통풍홀(120)은 돌출부(130)를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되며, 통풍홀(120) 사이에는 돌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살(124)이 존재한다. 프레임 살(124)은 돌출부(130)를 형성하면서 돌출부(130)가 아우터 마그넷(232)을 지지하는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레임 살(124)의 양측에 통풍홀(120)을 2개 형성함으로써 통풍홀(120)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과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중 일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과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중 일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장변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와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따른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통풍홀이 형성되지 않은 측, 즉 장변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256)가 프레임(100a)에 인서트 사출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변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256)는 아우터 마그넷(234a)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된 인서트부(256b)를 구비한다. 인서트부(256b)는 프레임(100a)의 사출 성형시 사출물 내에 인서트된다. 이때, 인서트부(256b)에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구조(256a)를 구비한다. 분리방지구조(256a)는 예를 들어 단차 또는 후크 형상으로, 아우터 탑 플레이트(256)와 프레임(100a)의 결합 형상이 평면이 아닌 형태로 하여, 결합 형상 자체에 의해 분리가 방지된다.

Claims (9)

  1. 요크;
    요크 중앙에 부착되는 이너 마그넷;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이너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는 이너 탑 플레이트;
    복수 개의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아우터 탑 플레이트;
    이너 마그넷과 아우터 마그넷 사이의 에어 갭에 하단이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요크의 외주에 결합되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적어도 일 면에 통풍홀을 구비하고,
    통풍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우터 마그넷은 프레임과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프레임은 통풍홀이 구비된 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아우터 마그넷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프레임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구비하며, 프레임이 아우터 마그넷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에 폭이 넓어지는 이탈방지형상을 구비하며,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이탈방지형상에 대응하는 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통풍홀은 돌출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되며, 통풍홀 사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살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통풍홀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되는 아우터 플레이트는,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부착면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며 프레임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7. 제5항에 있어서,
    인서트부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 또는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8. 제5항에 있어서,
    통풍홀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는 아우터 탑 플레이트는, 아우터 마그넷을 요크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마그넷을 요크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20200141175A 2020-10-28 2020-10-28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249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75A KR102491847B1 (ko) 2020-10-28 2020-10-28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75A KR102491847B1 (ko) 2020-10-28 2020-10-28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13A true KR20220056513A (ko) 2022-05-06
KR102491847B1 KR102491847B1 (ko) 2023-01-26

Family

ID=8158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75A KR102491847B1 (ko) 2020-10-28 2020-10-28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8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396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엔 분할된 마그넷 구조를 갖는 스피커 장치
KR20130139607A (ko) * 2012-06-13 2013-12-23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KR2020005902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이엠텍 액추에이터
KR20200114297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이엠텍 프레임 분리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396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엔 분할된 마그넷 구조를 갖는 스피커 장치
KR20130139607A (ko) * 2012-06-13 2013-12-23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KR2020005902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이엠텍 액추에이터
KR20200114297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이엠텍 프레임 분리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847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914B1 (ko) 내륜 자석형 마이크로스피커
CN105704625A (zh) 纤薄微型扬声器
CN108401215B (zh) 具有改进的线圈结构的高压防水微型扬声器
EP1296535A2 (en) Compound speak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167436B1 (ko) 코일 구조가 개선된 고압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626865B1 (ko) 보이스 코일 부착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605703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US20130287244A1 (en) Loudspeaker with reinforced frame
KR101622155B1 (ko) 센터 진동판 형상을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552224B1 (ko) 측면 방사형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인클로져스피커
WO2009093777A1 (en) Flate speaker
JP2005277874A (ja) 同軸スピーカー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1847B1 (ko)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2085840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481649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2442959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1760428B1 (ko) 초소형 스피커 및 그 조립방법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101468630B1 (ko) 진동판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20220117067A (ko) 선택 가능한 통풍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JP2006166151A (ja) ステレオ用スピーカ
JP2005277866A (ja) 樹脂フレーム、スピーカー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ー装置
KR102647551B1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진동판
KR101481650B1 (ko) 진동 모듈을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670589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