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358A -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358A
KR20220055358A KR1020200139741A KR20200139741A KR20220055358A KR 20220055358 A KR20220055358 A KR 20220055358A KR 1020200139741 A KR1020200139741 A KR 1020200139741A KR 20200139741 A KR20200139741 A KR 20200139741A KR 20220055358 A KR20220055358 A KR 20220055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book
unit
loading box
cassett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368B1 (ko
Inventor
최원규
민정기
배성식
남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기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기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기그룹
Priority to KR102020013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통장카세트부;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통로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통장카세트부 중 선택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되는 상기 통장이 인출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의 겉지를 넘기는 겉지넘김부; 및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된 상기 통장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장카세트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이 하나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OPERATION SYSTEM OF PASSBOOK ISSUING MACHINE}
본 발명은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장카세트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이 하나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시중 은행에는 자동 입출금장치나 통장 정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인 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업무효율의 향상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은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은행의 업무가 은행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루트를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내용 또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ATM(automated teller machine)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중에서 통장류를 취급하는 기기는 통장의 거래데이터를 인자하는 기능을 갖고 있을 뿐 모든 통장의 페이지의 인자가 종료되어 통장이월이 발생한 경우에 구통장을 정리하고 신통장을 자동 발행한 후, 구통장과 신통장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없었다.
특히, 통장과 같이 책 형상의 피인쇄물에 인쇄가 실시될 경우, 종래의 속지만을 인쇄 및 이월시키는 기술만으로 는 겉표지를 인쇄 및 이월시킬 수 없고, 또한 파기한 구통장과 신규 발행한 신통장을 함께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통장의 반송통로와 신통장의 반송통로가 요구되며, 이처럼 구통장용 반송통로와 신통장용 반송통로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금융자동화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337873호(발명의 명칭: 통장 발행장치 및 방법, 등록일자: 2013년 12월 02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2581호(발명의 명칭: 통장 발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공개일자: 2014년 05월 07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통장카세트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이 하나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은,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 키오스크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통장카세트부;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통로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통장카세트부 중 선택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되는 상기 통장이 인출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의 겉지를 넘기는 겉지넘김부; 및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된 상기 통장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부로부터 통장의 인출신호가 전송되면 해당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에서 상기 통장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장카세트부는,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고, 상기 복수매의 통장 중 낱장의 통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통장적재함과,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매의 통장을 눌러주는 밀판과,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장적재함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 중 상기 낱장의 통장을 상기 배출공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와, 상기 통장적재함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과 상기 밀판을 연결시키는 연결고리가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에 구비되고, 상기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통장카세트부의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의 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판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일단부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에 반대로 구비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부에 정렬가이드편과 정렬가이드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정렬가이드편은 장입된 상기 복수매의 통장을 정렬시키며, 상기 정렬가이드돌기는 상기 정렬가이드편이 정렬하지 못하는 상기 통장적재함의 하부에 있는 상기 통장을 상기 통장적재함의 안쪽으로 밀어서 정렬시키고, 상기 통장적재함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판에 상기 배출롤러에 이웃하게 정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가이드돌기의 걸림 부위에 공간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차단부 중 상기 배출부 인근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차단부는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는 낱장의 상기 통장이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이동차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이 인출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통장카세트부 안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음 발행되는 통장과 충돌로 인한 통장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통장적재함의 바닥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바닥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통장을 상기 배출공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통장카세트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이 하나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구성요소인 덮개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복수의 통장적재함과 인출부의 구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밀판의 저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에 배출방지판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구성요소인 덮개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복수의 통장적재함과 인출부의 구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밀판의 저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에 배출방지판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장카세트부(110), 인출부(120), 겉지넘김부(130), 감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장카세트부(110)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로,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때 그리고 매체를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은행 업무효율의 향상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금융자동화기기는 비대면(Untact) 방식으로 이루어져 요즘과 같이 팬데믹(Pandemic,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 상황하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의 감염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은행업무를 볼 수 있다.
통장카세트부(110)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충분히 저장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일 또는 2개 이상의 통장카세트부(110)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통장카세트부(1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찌그러지는 등의 피해를 최소화시킨다.
통장카세트부(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덮개(114)는 승인된 운영자만이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록킹(Locking) 구조를 갖는 것으로, 록킹(Locking) 구조를 통해 복수매의 통장(P/B)이 통장카세트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통장카세트부(110)는 도면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3개가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설치되는 장소나 위치에 따라서 단일(1개), 2개가 설치될 수 있거나 4개, 5개 등 제약없이 설치될 수 있다.
통장카세트부(110)는 통장적재함(111), 밀판(112), 배출롤러(113), 연결고리(115)로 구성된다.
통장적재함(111)은 복수매의 통장(P/B)이 충분히 저장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되, 면적은 통장(P/B)의 면적보다 살짝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장적재함(111)은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되고, 복수매의 통장(P/B) 중 낱장의 통장(P/B)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11a)이 형성된다.
배출공(111a)은 도면을 기준으로 통장적재함(111)의 좌측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낱장의 통장(P/B)이 경사를 통해 손쉽게 통장적재함(111)으로부터 배출된다.
통장카세트부(110)는 배출방지판(116)이 더 구성되는 것으로, 배출방지판(116)은 통장적재함(111)의 배출공(111a)에 구비되고, 통장적재함(111)의 배출공(111a)을 통해 통장카세트부(110)의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P/B)의 배출을 방지한다.
배출공(111a)은 배출되는 통장(P/B)의 두께에 따라 높이조절이 수동이나 자동으로 가능한 것으로, 이는 배출방지판(116)의 조절로 인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밀판(112)은 통장적재함(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매의 통장(P/B)을 눌러 낱장의 통장(P/B)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돕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밀판(112)은 넓은 판재 형상으로 복수매의 통장(P/B)을 눌러줄 수 있을 정도의 중량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밀판(112)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배출롤러(113)에 대응되는 하면에 홈(112b)이 형성되되, 배출롤러(113)의 회전에도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밀판(112)은 일단부에 돌기(112a)가 돌출 형성되어 통장적재함(111)의 내부에 반대로 구비되는 것을 차단한다.
통장적재함(111)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P/B)이 모두 배출되어 밀판(112)이 통장적재함(111)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면 오동작으로 인한 배출롤러(113)의 회전시 밀판(112)의 하면에 형성된 홈(112a)으로 인해 배출롤러(113)의 손상이 방지된다.
배출롤러(113)는 통장적재함(111)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장적재함(111)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P/B) 중 낱장의 통장(P/B)을 배출공(111a)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롤러(113)는 도면을 기준으로 통장적재함(111)의 내부 하부의 중심에서 배출공(111a)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게 되며, 종방향으로 3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공(111a) 방향으로 회전하여 낱장의 통장(P/B)을 배출시킨다.
통장적재함(111)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롤러(113)는 통장적재함(111)의 바닥판(1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바닥판(117)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복수매의 통장((P/B)을 배출공(111a)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배출롤러(113)는 배출공(111a)을 통해 배출시키는 낱장의 통장(P/B)의 겉지에 밀착되어 배출시키는 부분으로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마찰 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덮개(114)는 통장적재함(111)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덮개(114)의 내부에 정렬가이드편(114a)과 정렬가이드돌기(114b)가 각각 구비되고,
정렬가이드편(114a)은 장입된 복수매의 통장(P/B)을 정렬시키고, 정렬가이드돌기(114b)는 정렬가이드편(114a)이 정렬하지 못하는 통장적재함(111)의 하부에 있는 통장(P/B)을 통장적재함(111)의 안쪽으로 밀어서 정렬시키고, 통장적재함(111)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판(117)에 배출롤러(113)에 이웃하게 정렬가이드홈(117a)이 형성되어 정렬가이드돌기(114b)의 걸림 부위에 공간을 확보하여 덮개(114)를 원활하게 덮는다.
연결고리(115)는 통장적재함(111)과 밀판(112)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고리(115)는 고리 형상으로 일단부는 통장적재함(111)의 고정되고, 타단부는 밀판(112)의 중심에 고정되어 밀판을 통장적재함(111)으로부터 분실의 우려를 최소화시킨다.
통장카세트부(110)는 배출방지판(116)이 더 구성되는 것으로, 배출방지판(116)은 통장적재함(111)의 배출공(111a)에 구비되고, 통장적재함(111)의 배출공(111a)을 통해 통장카세트부(110)의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P/B)의 배출을 방지한다.
배출방지판(116)은 얇은 판으로, 유연성이나 복원력이 뛰어난 필름, SUS판이나 플라스틱판,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배출방지판(116)은 통장카세트부(110)에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P/B) 중 낱장 즉, 1매만 배출되도록 하면서 다른 통장(P/B)의 배출을 방지하여 고장이나 오작동을 차단한다.
인출부(120)는 통장카세트부(110)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통로로 이루어져 복수의 통장카세트부(110) 중 선택되는 통장카세트부(110)에 저장되는 통장(P/B)이 인출된다.
기존의 인출부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된 통장카세트부(110)의 갯수와 동일하게 별도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대형화로 인해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인출부(120)는 통장카세트부(110)의 갯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통로로만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해 인출부(120)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인출부(120)는 2개 이상의 통장카세트부(110)를 기준으로 통장카세트부(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도 3을 참고하면, 3개의 통장카세트부(110) 중 제일 좌측의 통장카세트부의 하부에 인출부(120)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3개의 통장카세트부(110)에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은 인출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다.
통장카세트부(110)에 구비되는 감지부(140)는 3개의 통장카세트부(110)에서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부방향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뒤엉키는 것을 감지하여 통장발행기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통장(P/B)의 손상이나 기기의 파손 등을 방지한다.
인출부(120)에 이웃하게 배출부(121)가 구비되어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통장(P/B)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이동차단부(122)는 통장카세트부(110)에 이웃하게 구비되되, 배출공(111a) 인근 등에 구비되어 통장카세트부(110)로부터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통장카세트부(110) 안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음 발행되는 통장(P/B)과 충돌로 인한 통장(P/B) 손상을 방지한다.
통장카세트부(110)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차단부(122) 중 배출부(121) 인근에 구비되는 이동차단부(122a)는 인출부(120)로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이 역방향으로 이동시 배출부(121)방향으로 유도한다.
겉지넘김부(130)는 인출부(120)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통장(P/B)의 겉지를 넘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겉지넘김부(130)는 인출부(120)의 하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넘긴다.
감지부(140)는 통장카세트부(110)에 구비되어 통장카세트부(110)에 저장된 통장(P/B)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40)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부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계되어 통장카세트부(110)에 저장된 통장(P/B)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감지부(140)가 감지하는 통장카세트부(110)의 저장된 통장(P/B)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는 미리 설정된 값을 기준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장발행기는 통장프린터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통장발행기로부터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의 겉지 및 속지가 통장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110 : 통장카세트부
111 : 통장적재함
111a : 배출공
112 : 밀판
112a : 돌기
112b : 홈
113 : 배출롤러
114 : 덮개
114a : 정렬가이드편
114b : 정렬가이드돌기
115 : 연결고리
116 : 배출방지판
117 : 바닥판
117a : 정렬가이드홈
120 : 인출부
121 : 배출부
122 : 이동차단부
130 : 겉지넘김부
140 : 감지부
P/B : 통장

Claims (11)

  1.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 키오스크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통장카세트부;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통로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통장카세트부 중 선택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되는 상기 통장이 인출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의 겉지를 넘기는 겉지넘김부; 및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저장된 상기 통장의 저장여부, 저장매수, 오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부로부터 통장의 인출신호가 전송되면 해당되는 상기 통장카세트부에서 상기 통장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카세트부는,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고, 상기 복수매의 통장 중 낱장의 통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통장적재함과,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매의 통장을 눌러주는 밀판과,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장적재함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 중 상기 낱장의 통장을 상기 배출공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와,
    상기 통장적재함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과 상기 밀판을 연결시키는 연결고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에 구비되고, 상기 통장적재함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통장카세트부의 저장된 복수매의 통장의 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일단부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에 반대로 구비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부에 정렬가이드편과 정렬가이드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정렬가이드편은 장입된 상기 복수매의 통장을 정렬시키며, 상기 정렬가이드돌기는 상기 정렬가이드편이 정렬하지 못하는 상기 통장적재함의 하부에 있는 상기 통장을 상기 통장적재함의 안쪽으로 밀어서 정렬시키고, 상기 통장적재함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판에 상기 배출롤러에 이웃하게 정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가이드돌기의 걸림 부위에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는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차단부 중 상기 배출부 인근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차단부는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는 낱장의 상기 통장이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카세트부에 이웃하게 이동차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이 인출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통장카세트부 안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음 발행되는 통장과 충돌로 인한 통장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적재함의 내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통장적재함의 바닥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바닥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통장을 상기 배출공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KR1020200139741A 2020-10-26 2020-10-26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KR10244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41A KR102443368B1 (ko) 2020-10-26 2020-10-26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41A KR102443368B1 (ko) 2020-10-26 2020-10-26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58A true KR20220055358A (ko) 2022-05-03
KR102443368B1 KR102443368B1 (ko) 2022-09-15

Family

ID=8159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741A KR102443368B1 (ko) 2020-10-26 2020-10-26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3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56B2 (ja) * 1993-06-14 1997-10-29 富士通株式会社 通帳記帳装置
JP2006082946A (ja) * 2004-09-17 2006-03-30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カセット
KR20080107169A (ko) * 2007-06-05 2008-12-10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KR101921421B1 (ko) * 2017-06-21 2018-11-22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의 복수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카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56B2 (ja) * 1993-06-14 1997-10-29 富士通株式会社 通帳記帳装置
JP2006082946A (ja) * 2004-09-17 2006-03-30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カセット
KR20080107169A (ko) * 2007-06-05 2008-12-10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KR101921421B1 (ko) * 2017-06-21 2018-11-22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의 복수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368B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9038B1 (en) Media storage and recycling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KR100323491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일시보관고
KR101665613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3053098B2 (ja) 金融機関店舗システム及び紙葉類搬送装置
KR20110023715A (ko) 지엽 취급 장치
JP2013025342A (ja) 紙幣取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幣入金方法
KR102312908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JP4945424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5647798B2 (ja) 紙葉取扱装置
KR102443368B1 (ko)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JP2009048664A (ja) 自動取引装置
KR100516871B1 (ko) 용지류 집적 장치 및 용지류 취급 장치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EP2511885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0411492Y1 (ko) 잼 방지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JP2009199619A (ja) 自動取引装置
JP6239789B2 (ja) 現金処理装置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75039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JP2006209274A (ja) 紙幣入出金機
JP6466765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2433647B1 (ko)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KR1024543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268138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