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647B1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Google Patents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3647B1 KR102433647B1 KR1020210046288A KR20210046288A KR102433647B1 KR 102433647 B1 KR102433647 B1 KR 102433647B1 KR 1020210046288 A KR1020210046288 A KR 1020210046288A KR 20210046288 A KR20210046288 A KR 20210046288A KR 102433647 B1 KR102433647 B1 KR 102433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book
- shaft
- bankbook
- unit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B42D9/08—Leaf turners having radial arms, one per leaf, operated successive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는 통장카세트와 상기 통장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인출시키는 인출부로 이루어진 블록부; 상기 블록부의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인쇄시키는 통장프린터로 안내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축 샤프트;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축 샤프트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 두께에 따라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보조 샤프트; 상기 축 샤프트나 상기 보조 샤프트에 이웃하게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와 속지를 넘기는 턴 롤러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상기 보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조절용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통장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부품의 노후화나 변형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통장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통장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여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넘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장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부품의 노후화나 변형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통장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통장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여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선택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시중 은행에는 자동 입출금장치나 통장 정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업무효율의 향상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은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은행의 업무가 은행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루트를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내용 또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영업점 단말장치, 자동예금 입출금기(ATM), 통장 기장기 및 통장 발행기 등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페이지 넘김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이지 넘김 기구는 통장마다 낱장의 강성, 두께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낱장을 확실하게 넘기는 것이 더욱 곤란하다. 낱장을 넘길 수 없는 상황이란, 예를 들면 낱장을 넘길 수 없거나 낱장을 지나치게 넘겼거나(2장씩 넘김 등)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재시도하면 해결할 수 있으나, 어중간하게 넘겨버린 경우에는 2장씩 넘긴 경우의 통장과 넘김 롤러의 모식도와 같이, 최악의 경우 넘겨졌다고 해도 반송시에 낱장이 반송로에 걸려 접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569039호(발명의 명칭: 지면 넘김 장치, 등록일자: 2006년 04월 03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946712호(발명의 명칭: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등록일자: 2019년 01월 3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통장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부품의 노후화나 변형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통장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통장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여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선택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는,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는 통장카세트와 상기 통장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장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인출시키는 인출부로 이루어진 블록부; 상기 블록부의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인쇄시키는 통장프린터로 안내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축 샤프트;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축 샤프트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 두께에 따라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보조 샤프트; 상기 축 샤프트나 상기 보조 샤프트에 이웃하게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와 속지를 넘기는 턴 롤러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상기 보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조절용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바닥 플레이트와 한쌍의 측벽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는 상기 축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이웃하게 상기 보조 샤프트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턴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구가 상기 끼움구에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모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상기 관통구에 이웃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중심으로 상기 축 샤프트와 상기 보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용 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압력 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용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조절홀을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샤프트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끼움구는 상기 보조 샤프트가 움직일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는 낱장의 상기 통장이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안내시키는 안내부가 상기 인출부의 인근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 롤러부의 일단에 캠이 구비되고, 상기 캠은 상기 낱장의 통장으로 인해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 롤러부의 하부에 상기 통장이 이송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축 샤프트에 연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조절용 스프링의 텐션을 전달하여 상/하 운동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통장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부품의 노후화나 변형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통장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통장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이 통장에 가해지도록 하여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선택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의 일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조절용 스프링가 복수의 압력 조절홀에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보조 샤프트가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안내부가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조절용 스프링가 복수의 압력 조절홀에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보조 샤프트가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안내부가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하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조절용 스프링가 복수의 압력 조절홀에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보조 샤프트가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통장발행기의 안내부가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100)의 블록부(110)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되는 통장카세트(111)와 통장카세트(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장카세트(111)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을 인출시키는 인출부(112)로 이루어진다.
통장카세트(111)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이용자가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로,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때 그리고 매체를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은행 업무효율의 향상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금융자동화기기는 비대면(Untact) 방식으로 이루어져 요즘과 같이 팬데믹(Pandemic,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 상황하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의 감염에 대한 우려 없이 이용자가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은행업무를 볼 수 있다.
통장카세트(111)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충분히 저장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일 또는 2개 이상의 통장카세트(111)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통장카세트(1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찌그러지는 등의파손을 최소화시킨다.
통장카세트(111)의 전면에 구비되는 덮개는 승인된 운영자만이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록킹(Locking) 구조를 갖는 것으로, 록킹(Locking) 구조를 통해 복수매의 통장(P/B)이 통장카세트(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인출부(112)는 통장카세트(111)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통로로 이루어져 복수의 통장카세트(111) 중 선택되는 통장(P/B)만 인출된다.
기존의 인출부는 복수매의 통장(P/B)이 저장된 통장카세트(111)의 갯수와 동일하게 통장카세트(111)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대형화로 인해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출부(112)는 통장카세트(111)의 갯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통로로만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해 인출부(112)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전체크기가 소형화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 등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제약없이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출부(112)는 2개 이상의 통장카세트(111)를 기준으로 통장카세트(111)의 하부에 구비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3개의 통장카세트(111) 중 제일 좌측의 통장카세트부의 하부에 인출부(112)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3개의 통장카세트(111)에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은 인출부(112)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출부(112)를 통해 인출된다.
인출부(112)에 이웃하게 배출부(113)가 구비되어 인출부(112)를 통해 인출되는 통장(P/B)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인출부(112)의 인근에 구비되는 안내부(114)는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인출부(112)로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이 배출부(113)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낱장의 통장(P/B)이 예기치 않게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통장카세트(111) 안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음으로 인출되는 통장(P/B)과 충돌을 방지한다.
안내부(114)는 얇은 판으로, 유연성이나 복원력이 뛰어난 필름, SUS판이나 플라스틱판, 금속판 등으로 형성된다.
안내부(114)는 수동으로(자연적으로) 열림과 닫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통장카세트(111)로부터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되지 않을 경우에 인출부(112)를 닫으며, 반대로 통장카세트(111)로부터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될 경우에 낱장의 통장(P/B)의 밀림으로 인해 안내부(114)가 열리게 된다.
안내부(114)는 안내부(114)가 열리게 되면서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부(112)방향으로 인출된 후 수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 낱장의 통장(P/B)이 인출되는 동안에는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플레이트부(120)는 블록부(110)의 인출부(112)로부터 인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을 인쇄시키는 통장프린터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레이트부(120)는 바닥 플레이트(121)와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122)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 플레이트(121)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낱장의 통장(P/B)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낱장의 통장(P/B)이 용이하게 통장프린터방향으로 안내되고,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122)는 바닥 플레이트(121)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되, 도면을 기준으로 3개의 통장카세트(111)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결합된다.
측벽 플레이트(122)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구멍 중 축 샤프트(130)가 관통하는 관통구(122a)가 형성되고, 관통구(122a)에 이웃하게 보조 샤프트(140)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구(122b)가 형성되며, 턴 롤러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구(122c)가 끼움구(122b)에 이웃하게 형성되고, 구동부(160)의 모터가 삽입되는 삽입구(122d)가 관통구(122a)에 이웃하게 형성된다.
측벽 플레이트(122)에 형성되는 관통구(122a)를 중심으로 축 샤프트(130)와 보조 샤프트(140)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용 스프링(170)은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압력 조절홀(122e)이 형성되고, 조절용 스프링(170)의 일단부는 복수의 압력 조절홀(122e)을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보조 샤프트(140) 즉, 보조 샤프트(140)가 측벽 플레이트부(122)의 측면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끼움구(122b)는 보조 샤프트(14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타원형 형상의 끼움구(122b)에 끼워지는 보조 샤프트(140)는 이송되는 낱장 통장(P/B)의 두께에 따라 끼움구(122b) 내에서 움직이다가 낱장의 통장(P/B)이 이송되면 조절용 스프링(170)으로 인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축 샤프트(130)는 플레이트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구(122a)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보조 샤프트(140)는 플레이트부(120)의 측면에 결합되는 축 샤프트(130)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낱장의 통장(P/B) 두께에 따라 축 샤프트(130)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조 샤프트(140)는 보조 샤프트(140)가 플레이트부(120) 중 측벽 플레이트(122)의 형성되는 끼움구(122b)에 끼움결합되되, 축 샤프트(130)와 턴 롤러부(150)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보조 샤프트(140)는 이송되는 낱장의 통장(P/B) 두께에 따라 타원형 형상의 끼움구(122b) 내에서 움직이는데, 보조 샤프트(140)에 연결되는 조절용 스프링(170)의 탄력(텐션)으로 인해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구조이다.
보조 샤프트(140)는 낱장의 통장(P/B) 두께에 대응하여 끼움구(122b) 내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턴 롤러부(150)가 회전을 통해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넘기는 과정에서 턴 롤러부(150)가 낱장의 통장(P/B)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낱장의 통장(P/B) 두께가 얇으면 움직이지 않거나 조금 움직이며, 낱장의 통장(P/B) 두께가 두꺼우면 많이 움직이는 것이다.
턴 롤러부(150)는 축 샤프트(130)나 보조 샤프트(140)에 이웃하게 플레이트부(1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넘긴다.
턴 롤러부(15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축에 낱장의 통장(P/B) 겉지에 밀착되어 넘기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갖고 마찰 계수가 큰 소재가 이루어진다.
턴 롤러부(150)는 마찰 계수가 큰 소재로 인해 부풀려 휘어지는 낱장의 통장(P/B) 겉지와 내지 중 겉지만 분리시켜 용이하게 넘긴다.
턴 롤러부(150)는 턴 롤러부(150)의 일단에 캠(CAM, 151)이 구비되고, 캠(151)은 낱장의 통장(P/B)으로 인해 게이트(131)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캠(151)은 부풀려 휘어지는 통장(P/B)으로 인해 열리게 되는 게이트(131)가 부풀려 휘어지는 통장(P/B)과는 상관없이 통장(P/B)이 부풀려 휘어지기 전에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131)는 축 샤프트(130)와 턴 롤러부(150)의 사이에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측벽 플레이트(122)에 턴 롤러부(150)의 롤러 사이를 덮도록 구비되어 통장(P/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캠(161)은 턴 롤러부(150)의 일단에 구비되되, 게이트(131)와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구동부(160)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턴 롤러부(150)가 일방향으로 회전에 연동되어 소정 기간 동안 게이트(131)의 열림을 방지한다.
게이트(131)는 통장(P/B)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휘어지는 통장(P/B)이 닿는 일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통장(P/B)두께에 따라 턴 롤러부(150)가 낱장의 통장(P/B)을 누를 때 밑에서 받침부(180)가 받침역할을 하며, 압력 유지 및 조절용 스프링(170)에 연계된 보조 샤프트(140), 보조 샤프트(140)에 연계된 받침부(180)가 낱장의 통장(P/B)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구동부(160)는 플레이트부(120)의 측면에 구비되어 턴 롤러부(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160)는 벨트(161), 제1기어(162), 제2기어(163) 및 제3기어(164)로 구성되어 이송되는 낱장의 통장(P/B)이 게이트(131)방향으로 부풀려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조절용 스프링(17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축 샤프트(130)에 연결되며, 축 샤프트(130)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보조 샤프트(140)에 연결되어 축 샤프트(130)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보조 샤프트(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절용 스프링(170)은 탄력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넘기는 과정에서 축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보조 샤프트(14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낱장의 통장(P/B) 겉지가 넘겨지면 조절용 스프링(170)의 탄력으로 인해 보조 샤프트(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조절용 스프링(170)은 낱장의 통장(P/B) 두께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낱장의 통장(P/B) 두께가 얇으면 움직이지 않거나 조금만 움직이는데 반면, 낱장의 통장(P/B) 두께가 두꺼우면 많이 움직인다.
조절용 스프링(170)은 낱장의 통장(P/B) 두께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미세 압력을 조절시킬 수 있다.
받침부(180)는 턴 롤러부(150)의 하부에 낱장의 통장(P/B)이 이송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되되, 축 샤프트(130)에 연계되도록 배치되고, 축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축 샤프트(130)에 연결되는 조절용 스프링(170)의 텐션을 전달하여 상/하 운동을 한다.
받침부(180)는 바닥 플레이트(121)와 같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낱장의 통장(P/B)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낱장의 통장(P/B)이 용이하게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받침부(180)는 금속,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져 턴 롤러부(150)가 가압을 하더라도 처짐 등의 변형이 없어 용이하게 낱장의 통장(P/B)을 받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110 : 블록부
111 : 통장카세트
112 : 인출부
113 : 배출부
114 : 안내부
120 : 플레이트부
121 : 바닥 플레이트
122 : 측벽 플레이트
122a : 관통구
122b : 끼움구
122c : 회전구
122d : 삽입구
122e : 압력 조절홀
130 : 축 샤프트
131 : 게이트
140 : 보조 샤프트
150 : 턴 롤러부
151 : 캠
160 : 구동부
161 : 벨트
162 : 제1기어
163 : 제2기어
164 : 제3기어
170 : 조절용 스프링
180 : 받침부
P/B : 통장
110 : 블록부
111 : 통장카세트
112 : 인출부
113 : 배출부
114 : 안내부
120 : 플레이트부
121 : 바닥 플레이트
122 : 측벽 플레이트
122a : 관통구
122b : 끼움구
122c : 회전구
122d : 삽입구
122e : 압력 조절홀
130 : 축 샤프트
131 : 게이트
140 : 보조 샤프트
150 : 턴 롤러부
151 : 캠
160 : 구동부
161 : 벨트
162 : 제1기어
163 : 제2기어
164 : 제3기어
170 : 조절용 스프링
180 : 받침부
P/B : 통장
Claims (8)
-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되는 통장카세트와 상기 통장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장카세트에 저장되는 복수매의 통장 중 상기 통장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을 인출시키는 인출부로 이루어진 블록부;
상기 블록부의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인쇄시키는 통장프린터로 안내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축 샤프트;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축 샤프트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 두께에 따라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보조 샤프트;
상기 축 샤프트나 상기 보조 샤프트에 이웃하게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와 속지를 넘기는 턴 롤러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상기 보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축 샤프트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조절용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바닥 플레이트와 한쌍의 측벽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는 상기 축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이웃하게 상기 보조 샤프트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턴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구가 상기 끼움구에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모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상기 관통구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중심으로 상기 축 샤프트와 상기 보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용 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압력 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용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조절홀을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샤프트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의 측면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끼움구는 상기 보조 샤프트가 움직일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 이웃하게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통장을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는 낱장의 상기 통장이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안내시키는 안내부가 상기 인출부의 인근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롤러부의 일단에 캠이 구비되고, 상기 캠은 상기 낱장의 통장으로 인해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롤러부의 하부에 상기 통장이 이송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축 샤프트에 연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조절용 스프링의 텐션을 전달하여 상/하 운동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288A KR102433647B1 (ko) | 2021-04-09 | 2021-04-09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288A KR102433647B1 (ko) | 2021-04-09 | 2021-04-09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3647B1 true KR102433647B1 (ko) | 2022-08-18 |
Family
ID=8311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6288A KR102433647B1 (ko) | 2021-04-09 | 2021-04-09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364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66740A (ja) * | 1994-04-01 | 1995-10-17 | Oki Electric Ind Co Ltd | 通帳処理装置 |
JP2002347368A (ja) * | 2001-05-22 | 2002-12-04 | Nec Computertechno Ltd | 頁めく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現金自動預け払い機 |
KR20180138461A (ko) * | 2017-06-21 | 2018-12-31 | 주식회사 신기그룹 | 통장발행기와 통장프린터의 운영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04-09 KR KR1020210046288A patent/KR1024336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66740A (ja) * | 1994-04-01 | 1995-10-17 | Oki Electric Ind Co Ltd | 通帳処理装置 |
JP2002347368A (ja) * | 2001-05-22 | 2002-12-04 | Nec Computertechno Ltd | 頁めく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現金自動預け払い機 |
KR20180138461A (ko) * | 2017-06-21 | 2018-12-31 | 주식회사 신기그룹 | 통장발행기와 통장프린터의 운영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80762B1 (en) |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irculating cash box mechanism thereof | |
EP1149038B1 (en) | Media storage and recycling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 |
EP0751907B1 (en) | Statement presenter mechanis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US9595154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US6386445B2 (en) | Medium issuing apparatus using paper roll medium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using the apparatus | |
US6398108B1 (en) | Machine for dispensing media | |
KR102433647B1 (ko) | 통장두께에 따른 압력 조절이 가능한 통장 넘김장치 | |
KR200392317Y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
JP4394189B2 (ja) | シート送り装置 | |
CN211283015U (zh) | 一种薄片类介质输送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 |
KR20190000021A (ko) |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 |
JP2002211801A (ja) | 通帳処理装置 | |
KR102376401B1 (ko) | 통장의 게이트 온/오프 장치 | |
KR102443368B1 (ko) | 통장발행기의 운용시스템 | |
KR101919700B1 (ko) | 통장 순환구조를 구비한 통장 발행장치 | |
KR20070052048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
JPH10255109A (ja) | 冊子体処理装置、これを備えた自動取引装置、および冊子体処理方法 | |
JP2001097565A (ja) | 紙葉類繰り出し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取り扱い装置 | |
KR20240106517A (ko) | 매체 입출금 장치 | |
JP3342270B2 (ja) | 紙幣処理機における紙幣繰出装置 | |
JP4192788B2 (ja) | シート状媒体取扱装置 | |
JPS6145848A (ja) | 用紙セツト部の構造 | |
EP1752404B1 (en) | Media storage and recycling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 |
KR100850782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
JP2023125241A (ja) | 紙葉類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