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009A -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009A
KR20220055009A KR1020200139060A KR20200139060A KR20220055009A KR 20220055009 A KR20220055009 A KR 20220055009A KR 1020200139060 A KR1020200139060 A KR 1020200139060A KR 20200139060 A KR20200139060 A KR 20200139060A KR 20220055009 A KR20220055009 A KR 2022005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late
conveyor
guide plate
convey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근
Original Assignee
김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근 filed Critical 김철근
Priority to KR102020013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009A/ko
Publication of KR2022005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584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resting on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300)은 상기 이송부(600)가 올려질 경우에 롤러 기능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CONVEYOR DEVICE FOR MASS TRANSPORTING}
본 발명은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이송부와 함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면을 지지하고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석탄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모터(도면 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 석탄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연결하는 벨트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구동롤러를 구동시켜 벨트 상에 공급되는 석탄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적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도 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벨트(B) 상에 공급된 석탄(M)의 양이 불균일하거나 석탄(M)이 벨트(B)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경우, 또는 롤러(R)와 벨트(B)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벨트(B)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치우져 진행, 즉 사행(斜行)하게 된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 3개의 롤러를 설치하지만, 벨트의 사행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벨트가 사행하게 되면, 벨트의 손상은 물론, 구조물의 변형, 적재물의 낙하 등으로 인한 비용의 손실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석탄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하지 못하게 되고, 석탄의 이송 도중에 석탄이 벨트로부터 낙하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의 일 예가 개발되었다.
즉, 등록특허 10-1078337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1), 석탄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도면 미도시), 구동롤러(11)와 종동롤러를 연결하는 벨트(14), 구동롤러(11)와 종동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14)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아이들러(13) 및 아이들러(13)의 양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14)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장치(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장치는 공장 내에서 가공 및 생산되는 물품이나 부품 및 재료를 자동적으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물품이나 부품 및 재료가 일정한 거리를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운반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이동 작업대로 사용되면서 공장에서 대량생산 방식의 기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판 위에는 많은 양의 물건을 올려두기 힘들고, 대량의 물건 이송 시에는 이송 중에 물건이 떨어져 파손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이어 작업을 할 경우에는 매듭의 사이사이 공간이 형성되어 물건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이송부와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면을 지지하고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물건의 추락 및 파손 없이 대량 이송이 가능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에 의하여 측면에서 이송가능하게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체인 대신에 긴 수평플레이트(655)에 등간격으로 원통형 돌기(655a)가 형성되어 이의 틈 사이로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하여 측면에서 이송가능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측에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컨베이어 체인(200);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스프로킷(400);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 다수개의 결합홀(712)을 구비하는 ‘ㅡ’자형의 긴 플레이트로, 상기 이송부(6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양단부와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각 하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900);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와 유니버셜 조인트(900)를 연결하는 연결축(91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의 결합홀(712)과 구동부(500)가 끼움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 컨베이어 장치(10d)는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 컨베이어 장치(10e)가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컨베이어 장치(10d)에 구비된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0)과 유니버셜 조인트(900),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진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며,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본 발명은 양측에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컨베이어 체인(200);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스프로킷(400);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다수개의 결합홀(712)을 구비하는 ‘ㅡ’자형의 긴 플레이트로, 상기 이송부(6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부와 상기 회전축(300)의 각 하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900);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와 유니버셜 조인트(900)를 연결하는 연결축(91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의 결합홀(712)과 구동부(500)가 끼움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 컨베이어 장치(10d)는 좌우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측부의 컨베이어 장치(10d)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 컨베이어 장치(10e)가 하부에 위치하며, 컨베이어 장치(10d)에 구비된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0)과 유니버셜 조인트(900),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진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며,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좌우의 회전축(300)과 연동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에 의하여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측에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컨베이어 체인(200);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스프로킷(400);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회전축결합부(300a) 또는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져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e)는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거나,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600)의 일측에는 칸막이(630)(640)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에 삼각형상의 중앙칸막이(630a)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에 삼각형상의 측면칸막이(630a)(630c)가 형성되어 이송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 대신에 긴 수평플레이트(655)에 등간격으로 원통형 돌기(655a)가 형성되어 이의 틈 사이로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 상기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이송부(600)가 올려질 경우에 롤러 기능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대량 이송을 가능하게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이송부를 구비하여 이송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컨베이어 벨트 위 이송부에 많은 양의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면을 지지하고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여, 대량의 물건 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물건의 추락 및 파손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에 의하여 측면에서 이송가능하게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체인 대신에 긴 수평플레이트(655)에 등간격으로 원통형 돌기(655a)가 형성되어 이의 틈 사이로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하여 측면에서 이송가능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적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탄 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행방지장치가 적용된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요부확대 결합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삼각형상의 칸막이 설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삼각형상의 칸막이를 펼친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각형상의 칸막이 설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각형상의 칸막이를 펼친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치차형 기어의 원통형 돌기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보강수단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보강수단의 설치상태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링크 플레이트(100)와 컨베이어 체인(200), 회전축(300), 스프로킷(400), 구동부(500), 이송부(6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100)는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와 외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12)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2)을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다.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핀(220)은 일반적으로 끼움 결합 용도의 고정핀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도시된 체인의 형태일 수 있고, 고무벨트체인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300)은 긴 봉 또는 파이프로, 양단에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한다.
상기 스프로킷(400)은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상기 회전축(300)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00)과 스프로킷(400)은 저소음 및 걸림 방지를 위하여 윤활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며 컨베이어 장치(10)를 구동시킨다.
상기 이송부(600)는 물건 등을 올리는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된 'ㄷ'자 형태로써, 물건 등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 위에 올려져 사용된다.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결합 및 구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의 결합홀(112)과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의 결합홀(122)이 끼움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스프로킷(400)의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고,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의 결합홀(11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의 결합홀(122)이 겹쳐진다.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은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a)는 총 3개가 구비되어,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한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부면에 각각 위치한다.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는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600)의 상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600)의 양 옆에 위치한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상부에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덮개를 형성하여 석탄이 외부로 떨어지거나 먼지 등이 날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 체인(200)과 회전축(300), 스프로킷(400), 구동부(500), 이송부(600), 링크 플레이트(700), 베벨기어(8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다.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핀(220)은 일반적으로 끼움 결합 용도의 고정핀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도시된 체인의 형태일 수 있고, 고무벨트체인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300)은 긴 봉 또는 파이프로, 양단에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한다.
상기 스프로킷(400)은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상기 회전축(300)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00)과 스프로킷(400)은 저소음 및 걸림 방지를 위하여 윤활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각 컨베이어 장치(10)의 회전축(300)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시켜 컨베이어 장치(10)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을 통한 회전운동은 상기 회전축(300)을 지나 베벨기어(800)로 이동되고, 상기 베벨기어(800)를 통해 이송부(600)의 아래에 위치한 회전축(3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송부(600)는 물건 등을 올리는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된 'ㄷ'자 형태로써, 물건 등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 위에 올려져 사용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7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와 상기 이송부(6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는 ‘ㅡ’자형의 긴 플레이트로, 다수개의 결합홀(712)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는 ‘ㄱ’자형의 긴 플레이트로, 다수개의 결합홀(722)을 구비한다.
상기 베벨기어(8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양단부와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각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ㄱ’자 형상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 운동을 상기 회전축(300)에서 다른 회전축(300)으로 전한다.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결합 및 구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의 결합홀(712)과 구동부(500)가 끼움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에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결합홀(722)과 베벨기어(8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한 컨베이어 장치(10b)가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각각 위치한다.
또 다른 컨베이어 장치인 컨베이어 장치(10c)는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결합홀(722)과 상기 베벨기어(8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움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c)는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는 컨베이어 장치(10b)에 구비된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0)과 베벨기어(800),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진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며, 상기 이송부(600)의 상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600)의 양 옆에 위치한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상부에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덮개를 형성하여 석탄이 외부로 떨어지거나 먼지 등이 날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 체인(200)과 회전축(300), 스프로킷(400), 구동부(500), 이송부(600),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 유니버셜 조인트(900)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다.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핀(220)은 일반적으로 끼움 결합 용도의 고정핀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도시된 체인의 형태일 수 있고, 고무벨트체인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300)은 긴 봉 또는 파이프로, 양단에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110)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한다.
상기 스프로킷(400)은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상기 회전축(300)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00)과 스프로킷(400)은 저소음 및 걸림 방지를 위하여 윤활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각 컨베이어 장치(10)의 회전축(300)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시켜 컨베이어 장치(10)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을 통한 회전운동은 상기 회전축(300)을 통해 유니버셜 조인트(900)로 이동되고,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를 통해 이송부(600)의 아래에 위치한 회전축(3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송부(600)는 물건 등을 올리는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된 'ㄷ'자 형태로써, 물건 등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 위에 올려져 사용된다.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는 다수개의 결합홀(712)을 구비하는 ‘ㅡ’자형의 긴 플레이트로, 상기 이송부(6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양단부와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위치하는 회전축(300)의 각 하단부에 연결되고, 각 유니버셜 조인트(900)는 연결축(910)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결합 및 구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측면 링크 플레이트(710)의 결합홀(712)과 구동부(500)가 끼움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한 컨베이어 장치(10d)가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외면에 각각 위치한다.
또 다른 컨베이어 장치인 컨베이어 장치(10e)는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90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e)는 상기 이송부(600)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는 컨베이어 장치(10d)에 구비된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0)과 유니버셜 조인트(900),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진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며, 상기 이송부(600)의 상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600)의 양 옆에 위치한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상부에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덮개를 형성하여 석탄이 외부로 떨어지거나 먼지 등이 날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로서, 체인기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요부확대 결합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삼각형상의 칸막이 설치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삼각형상의 칸막이를 펼친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각형상의 칸막이 설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각형상의 칸막이를 펼친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치차형 기어의 원통형 돌기의 결합 상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로서, 체인기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제1 내지 3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에 대하여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양측에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에는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200)은 도시된 체인의 형태일 수 있고, 고무벨트체인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0)의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스프로킷(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가 있으며,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회전축결합부(300a)와는 별도로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의하여 회동되는 원형기어(350)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기어(350)에는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는 치차(3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져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e)는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회전축결합부(300a) 또는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 대신에 긴 수평플레이트(655)에 등간격으로 원통형 돌기(655a)가 형성되어 이의 틈 사이로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이송시에 석탄 등의 이송물이 경사시에 흘러내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600)의 일측에는 칸막이(630)(640)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에 삼각형상의 중앙칸막이(630a)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에 삼각형상의 측면칸막이(630a)(630c)가 형성되어 이송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칸막이(630)(640)의 구조는 2개로 나누어 사각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의 양측으로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에 사각형상의 측면칸막이(640a)(640b)가 형성되어 이송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로서, 체인기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보강수단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인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의 보강수단의 설치상태도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제1 내지 4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에 대하여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하여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이송부(600)가 올려질 경우에 롤러 기능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가 재질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를 수직플레이트(720a)와 수평플레이트(720b)로 나누어 상기 수평플레이트(720b)에 지지대(72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725)에 일정간격으로 롤러(725a)를 형성한 이송부측면벌어짐방지구(700)가 일정하게 세워져 있고, 상기 이송부측면벌어짐방지구(700)는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600)의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를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단위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10a, 10b, 10c, 10d, 10e: 컨베이어 장치
100: 링크 플레이트
110: 내측 링크 플레이트
112: 결합홀
120: 외측 링크 플레이트
122: 결합홀
200: 컨베이어 체인
210: 체인 링크 플레이트
2220: 결합핀
300: 회전축
400: 스프로킷
410: 톱니부
500: 구동부
600: 이송부
610: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
620: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
700: 링크 플레이트
710: 측면 링크 플레이트
712: 결합홀
720: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
722: 결합홀
800: 베벨기어
900: 유니버셜 조인트
910: 연결축

Claims (4)

  1. 양측에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에 결합핀(220)이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컨베이어 체인(200);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
    외부면에 톱니부(410)와 중앙에 관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스프로킷(400);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에 다수개의 스프로킷(400)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 회전축결합부(300a) 또는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10)가 결합핀(220)으로 결합한 컨베이어 체인(200)이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400)의 톱니부(410)에 맞춰 끼워져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10e)는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스프로킷(400)에 장착된 컨베이어 체인(200)이 회전하거나,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600)의 일측에는 칸막이(630)(640)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에 삼각형상의 중앙칸막이(630a)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에 삼각형상의 측면칸막이(630a)(630c)가 형성되어 이송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 대신에 긴 수평플레이트(655)에 등간격으로 원통형 돌기(655a)가 형성되어 이의 틈 사이로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4. 긴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300)들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
    상기 커넥팅링크플레이트(720)에 연결되는 구동부(500);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인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와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6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620)의 측면 하단에는 체인공(652)이 형성된 체인기어(650)가 수평되게 구비된 'ㄷ'자 형태의 이송부(60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이송부(600)가 올려질 경우에 롤러 기능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구동부(500)에 원형기어(35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기어(350)의 치차(352)에 의하여 상기 체인공(652)과 맞물려 돌아가게 되며, 상기 커넥팅 링크 플레이트(720)에 형성된 원형기어(3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KR1020200139060A 2020-10-26 2020-10-26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KR20220055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60A KR20220055009A (ko) 2020-10-26 2020-10-26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60A KR20220055009A (ko) 2020-10-26 2020-10-26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09A true KR20220055009A (ko) 2022-05-03

Family

ID=8159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60A KR20220055009A (ko) 2020-10-26 2020-10-26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0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20140035304A (ko) 다방향성 바퀴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및 모듈
KR20150131739A (ko)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KR20130140944A (ko) 외접식 롤러 콘베이어
CN113734757B (zh) 用于童鞋装配的双层传送带托盘运输的可升降式传送装置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2020019650A (ja)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KR20220055009A (ko)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JP6375347B2 (ja) 搬送装置
KR102167459B1 (ko)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US11186451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KR102122481B1 (ko) 체인 컨베이어
KR20190047170A (ko) 등속과 배속이 공존하는 수평형 컨베이어 시스템
JP2006111394A (ja) バケットコンベヤ
KR20200138975A (ko) 커브 컨베이어
KR102364041B1 (ko) 농산물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JP2003063639A (ja) 搬送装置
JPH02123020A (ja) スパイラル揚重機
EP2090531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JP3379918B2 (ja) コンベア装置
JP3539989B2 (ja) 搬送装置
JPH11278655A (ja) ターンテーブル装置
WO2023276993A1 (ja) 移載装置
KR200302095Y1 (ko) 물품 상하 이송장치
JPH02364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