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971A -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971A
KR20220054971A KR1020200138965A KR20200138965A KR20220054971A KR 20220054971 A KR20220054971 A KR 20220054971A KR 1020200138965 A KR1020200138965 A KR 1020200138965A KR 20200138965 A KR20200138965 A KR 20200138965A KR 20220054971 A KR20220054971 A KR 2022005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injection
plated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4971A/ko
Publication of KR2022005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35Composition of the substrate
    • C23C18/1639Substrates other than metallic, e.g. inorganic or organic or non-conductive
    • C23C18/1641Organic substrates, e.g. resin,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81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befor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 중에서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복합부품을 단일의 금형만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은 도금성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 공정,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된 도금성 소재를 설계 사양의 형상으로 프리포밍하는 프리포밍 공정, 상기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인서트 사출금형의 내부에 인서트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사출성형 공정, 및 상기 사출성형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도금성 소재는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상기 인서트 사출금형의 도금적용 부품부에 인서트하여 장착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처리 공정은 사출성형된 성형품에서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tegrated composite parts for interior materials of automobiles with partial plating treatm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 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을 일체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재 중에서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일체형 복합 부품에 대한 제조는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사출금형에 인서트하여 성형함으로써 도금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자동차의 내장재 중에서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일체형 복합 부품에 대한 제조를 위해서는 도금 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이 각각 별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성형 및 제조된 다음, 이를 단일화된 부품으로 조립되는 추가의 공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금 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을 각각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에 대한 제조에 있어서는 도금 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을 각각 제작하기 위한 소재(ABS, PP 등의 비도금 소재)가 상이함에 따라 각 부품에 적합한 사출성형기가 필요하였으며, 각 부품을 일체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공정 및 부자재가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의 내장재 중에서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복합부품을 단일의 금형만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금성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 공정,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된 도금성 소재를 설계 사양의 형상으로 프리포밍하는 프리포밍 공정, 상기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인서트 사출금형의 내부에 인서트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사출성형 공정, 및 상기 사출성형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도금성 소재는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상기 인서트 사출금형의 도금적용 부품부에 인서트하여 장착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처리 공정은 사출성형된 성형품에서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도금성 소재는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가 층상으로 합지된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합지된 필름에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는 ABS이고,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하는 P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에 대해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사출성형된 성형품을 형성하기 이전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의 가장자리 부위를 다듬어 주는 트리밍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합지된 필름에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는 레이저 에칭을 통해 특정 형상으로 컷팅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가 외부로 부분 도출되도록 하는 표면처리 공정을 거친 다음 트리밍 공정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은 상기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인서트 사출금형의 내부에 위치한 도금적용 부품부에 안착시킨 다음, 프리포밍된 성형품의 배면에 대해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성형품을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의 구조적 강성은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금성 소재의 구조적 강성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의 두께는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금성 소재의 두께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사출성형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는 도금처리 공정은 습식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복합부품의 제조에 있어, 기존에는 금형이 최소 2벌 이상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1벌의 금형만으로 복합부품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제작에 소요되는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복합부품의 제조가 1벌의 금형만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소재별 사출 성형기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셋째, 도금 표면처리 부위와 비표면처리 부위를 함께 가지는 복합부품의 제조에 있어, 기존 대비 조립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립에 필요한 각종 부자재의 소요를 배제함과 동시에 작업에 필요한 공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가 층상으로 합지된 필름을 이용하여 복합부품의 제작을 위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도금성 소재에 대해 원하는 색상의 칼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복합부품의 색상 디자인을 보다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소재준비 공정과 프리포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트리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사출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도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도금 공정을 거친 성형품에서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를 일체형 복합 부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사출금형에 인서트하여 성형함으로써 도금표면처리 부품과 비표면처리 부품을 일체화하여 제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은 소재준비 공정, 프리포밍 공정, 트리밍 공정, 사출성형 공정, 및 도금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소재준비 공정과 프리포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소재준비 공정은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10)를 시트 형태로 압착시킨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준비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한다. 이 경우, 도금 처리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도금성 소재(10)는 ABS 등의 소재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소재준비 공정은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소재로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를 층상으로 배치하여 단일의 시트 형태로 접합시킨 적층소재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적층소재는 서로 다른 이종의 소재를 단일의 시트 형태로 접합시킨 것으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인 상지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인 하지를 각각 층상으로 적층하여 접합시킨 합지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금성 소재인 상지는 표면에 도금 처리를 할 수 있는 소재로서, 예컨대 도금 처리가 가능한 ABS 등의 소재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도금성 소재인 하지는 표면에 도금 처리를 할 수 없는 소재로서, 예컨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PC(Polycarbonate) 등의 소재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적층소재의 합지된 필름에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를 레이저 에칭을 통해 특정 형상으로 컷팅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를 외부로 부분 도출되게 하는 표면처리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프리포밍 공정은 앞선 표면처리 공정에서 준비된 도금성 소재(10)인 필름 형태의 원재료를 원하는 제품의 형상, 즉 특정 설계 사양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한다.
즉, 프리포밍 공정은 도금성 소재(10)인 필름 형태의 원재료를 프리포밍 금형(20)의 상형(21)과 하형(22) 사이의 공간으로 인서트한 다음, 상형(21)에 대해 적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필름 형태의 도금성 소재(10)를 원하는 제품의 특정 형상으로 프리포밍된 성형품(30)으로 제작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트리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트리밍 공정은 앞선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 금형(20)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의 원재료인 도금성 소재(10)에 대해 적정의 압력을 가해 특정 형상으로 프리포밍된 성형품(30)을 제작한 다음, 성형품(30)의 가장자리 부위를 다듬어 주는 일종의 후가공 처리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트리밍 공정은 프리포밍된 성형품(30)에서 버어의 발생 등으로 불균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는 부위를 원하는 설계 사양의 깨끗한 상태로 제거하는 작업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사출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사출성형 공정은 앞선 프리포밍 공정과 트리밍 공정을 거쳐 제작된 성형품(30)을 인서트 사출금형(40)의 내부에 인서트한 다음,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사출하여 완제품 형태의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을 일체로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30)을 인서트 사출금형(40)의 내부에서 특정한 위치에 안착시킨 다음 프리포밍된 성형품(30)의 배면에 대해 별도의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을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바, 즉 인서트 사출금형(40)의 내부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30)이 안착되는 특정한 위치는 완제품에서 도금 처리가 필요한 부위에 해당하는 도금적용 부품부로 설정된다.
또한,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 및 트리밍된 성형품(30)의 배면에 대해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사출하여 완제품 형태의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을 일체로 형성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서트 사출금형(40)의 내부로 사출되는 비도금용 사출소재는 PP 등의 소재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부연하자면,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 및 트리밍된 성형품(30)을 인서트 사출금형(40)의 내부에 위치한 도금적용 부품부에 정확하게 안착시킨 다음, 성형품(30)의 배면에 대해 별도의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금형의 주입구(41)를 통해 내부로 사출함으로써 프리포밍된 성형품(30)과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을 일체화된 구조로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42는 사출성형 공정에서 인서트 사출금형(40)의 캐비티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빼기 위해 진공압이 작용하는 에어빼기 통로인 것이다.
이 경우, 사출성형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30)의 배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은 그 구조적 강성이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필름 형태의 도금성 소재(10) 또는 적층소재의 합지된 필름의 구조적 강성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50)은 자동차 내장재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코어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의 구조적 강성은 필름 형태의 도금성 소재(10) 또는 적층소재의 합지된 필름이 가지는 구조적 강성 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에 대한 구조적 강성은 적정의 수준으로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50)의 두께는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필름 형태의 도금성 소재(10) 또는 적층소재의 합지된 필름의 두께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도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도금 공정은 앞선 사출성형 공정에서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이용하여 프리포밍된 성형품(30)에 대해 일체로 사출된 성형품(50)의 표면에 대해 도금 처리하여 소정의 도금층(60)을 형성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의미한다.
이 경우, 도금층(60)은 사출성형된 성형품(50)에서 비표면처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금 처리공정은 완제품을 구성하도록 일체화된 프리포밍된 성형품(30)과 사출성형된 성형품(50) 중에서 표면처리 부품에 해당하는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의 표면에 한정하여 도금이 실시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도금 공정은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의 표면에 대해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는 것으로, 예컨대 습식도금 공정을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 도금 공정을 거친 성형품에서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도금처리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프리포밍된 성형품(30)과 사출성형된 성형품(50)의 일체형 완제품은 비표면처리 부위를 제외한 표면처리 부위만이 도금 처리되어 도금층(60)을 형성함에 따라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외관미를 향상시켜 일체형 복합부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도금성 소재 20-프리포밍 금형
21-상형 22-하형
30-프리포밍된 성형품 40-인서트 사출금형
41-주입구 42-에어빼기 통로
50-사출성형된 성형품 60-도금층

Claims (9)

  1. 도금성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 공정;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된 도금성 소재를 설계 사양의 형상으로 프리포밍하는 프리포밍 공정;
    상기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인서트 사출금형의 내부에 인서트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사출성형 공정; 및
    상기 사출성형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도금성 소재는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사출성형 공정은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상기 인서트 사출금형의 도금적용 부품부에 인서트하여 장착한 다음,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처리 공정은 사출성형된 성형품에서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도금성 소재는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와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가 층상으로 합지된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합지된 필름에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는 ABS이고,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하는 P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에 대해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사출성형된 성형품을 형성하기 이전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의 가장자리 부위를 다듬어 주는 트리밍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합지된 필름에서 도금 처리가 가능한 도금성 소재는 레이저 에칭을 통해 특정 형상으로 컷팅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도금 처리가 불가능한 비도금성 소재가 외부로 부분 도출되도록 하는 표면처리 공정을 거친 다음 트리밍 공정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은 상기 프리포밍 공정에서 프리포밍된 성형품을 인서트 사출금형의 내부에 위치한 도금적용 부품부에 안착시킨 다음, 프리포밍된 성형품의 배면에 대해 비도금용 사출소재를 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성형품을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의 구조적 강성은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금성 소재의 구조적 강성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공정에서 형성되는 성형품의 두께는 상기 소재준비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금성 소재의 두께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을 위한 표면처리 부위만을 도금 처리하는 도금처리 공정은 습식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200138965A 2020-10-26 2020-10-26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KR20220054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5A KR20220054971A (ko) 2020-10-26 2020-10-26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5A KR20220054971A (ko) 2020-10-26 2020-10-26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71A true KR20220054971A (ko) 2022-05-03

Family

ID=8159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65A KR20220054971A (ko) 2020-10-26 2020-10-26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49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3771B (zh) 用于生产模制件的方法和装置
KR20180061599A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40147203A1 (en) Multi-panel molded brassiere cup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CN105473303B (zh) 制造模塑件的方法以及这种模塑件
US20050140167A1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component assembly and in-mol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20054971A (ko)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일체형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JP3360121B2 (ja) 自動車用トリムパネルの製法
DE102012014082B4 (de) Dekorform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S596229B2 (ja)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CN111319570B (zh) 装饰模制部件
US6805928B2 (en) Decorative component for use as a piece of trim of a vehicle
US7762606B2 (en) One piece instrument panel exhibiting a two grain, two part appearance with surface defined separation groove and associated method for creating a master model for in turn making a production mold for producing multiple instrument panels according to a slush mold process
JP2015098141A (ja) 樹脂製表皮材の製造方法
KR102406376B1 (ko) 면발광 무드 조명용 부분 도금 처리된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 방법
KR20110018000A (ko) 자동차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7160685A (ja) 成形パネル及び成形型
JP4824200B2 (ja) 加飾部材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ライニング部品及びそれを一体成形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60180267A1 (en) Zero gap decoration integration by negative vacuum forming
JPH02227236A (ja) 内装材の製造方法
JP2977147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S63212521A (ja) 積層成形品
US202203882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nished part
CN112313059B (zh) 用于制造具有装饰性覆盖层的装饰元件组件的方法
JPH07110504B2 (ja) 自動車内装材の製造法
CN220052671U (zh) 汽车b柱内饰板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