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598A -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 Google Patents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598A
KR20220054598A KR1020227006530A KR20227006530A KR20220054598A KR 20220054598 A KR20220054598 A KR 20220054598A KR 1020227006530 A KR1020227006530 A KR 1020227006530A KR 20227006530 A KR20227006530 A KR 20227006530A KR 20220054598 A KR20220054598 A KR 2022005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uteganib
acid
cys
peptide
r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햄파 엘. 카라지오지안
존 와이. 파크
빅켄 에이치. 카라지오지안
Original Assignee
알레그로 파마슈티칼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레그로 파마슈티칼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알레그로 파마슈티칼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5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Abstract

a)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의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b) 색각 이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에서 색각을 개선하고/하거나 기타 질환의 치료를 위한 항-인테그린 펩티드의 용도, 및 관련 방법.

Description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관련 출원
본 특허 출원은 2019년 7월 26일에 출원된 Peptides for Treating Dry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Disorders of the Eye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62/879,28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발명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화학, 생명 과학, 약학 및 의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학 제제 및 안질환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37 CFR 1.71(e)에 따라, 본 특허 문헌은 저작권 보호 대상인 자료를 포함하며 본 특허 문헌의 소유자는 모든 저작권을 보유한다.
본 특허 출원 전체에서, 범위는 "값 1 내지 값 2”로서 명시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 문맥에서 "내지"라는 단어의 사용은 범위를 정의하는 언급된 상한 값 및 하한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값 1 '내지” 값 2로 확장되는 것으로 정의된 범위는 값 1, 값 2 및 그 사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특허 출원 전반에 걸쳐 아미노산은 하기 표에 제시된 명칭, 3 문자 코드 및/또는 단일 문자 코드를 사용하여 상호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출원인은 분자식 C22-H39-N9-O11-S 및 하기 구조식을 갖는 비천연 펩티드인 리수테가닙(Risuteganib)을 개발중이다:
Figure pct00002
리수테가닙 및 리수테가닙을 함유하는 제제는 또한 하기를 비롯한, 기타 명칭, 명명법 및 호칭으로도 지칭되어 왔다: 리수테가닙; 글리실-L-아르기닐글리실-3-술포-L-알라닐-L-트레오닐-L-프롤린; Arg-Gly-NH-CH(CH2-SO3H)COOH; ALG-1001 및 Luminate®(Allegro Ophthalmics, LLC, San Juan Capistrano, CA).
리수테가닙은 산화적 스트레스 경로에서 상류(upstream)에 존재하는 다수의 인테그린을 억제하는 항-인테그린 펩티드이다. 리수테가닙은 저산소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과정을 비롯한, 다수의 혈관신생 및 염증 과정을 하향 조절하는 데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리수테가닙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및 정보는 미국 특허 9,018,352호; 9,872,886호; 9,896,480호 및 10,307,46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2018/0207227호 및 2019/0062371호에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러한 특허 및 특허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명백히 포함된다.
연령 관련 황반변성에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이 존재한다: 비삼출성(non-exudative) 또는 "건성" 및 삼출성(exudative) 또는 "습성". 삼출성 또는 "습성" 형태의 질병과 달리,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이하 "건성 AMD"로 지칭)은 망막의 소혈관으로부터의 혈액 또는 혈청의 누출을 수반하지 않는다. 일부 환자에서는, 건성 AMD가 습성 AMD로 진행될 수 있다. 건성 AMD로 고통받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망막의 중심 부분인 황반(macula)이 얇아지면서 점진적인 시력 상실을 겪는다.
건성 AMD에서, 드루젠(drusen)으로 공지된 무정형 황색 파편의 침착물은 전형적으로 망막 색소 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의 기저막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황반이 얇아지고 건조해지며, 결과적으로 중심 시력이 상실된다. 건성 AMD로 고통받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망막의 중심 부분인 황반이 얇아지면서 점진적인 시력 상실을 겪는다.
과거에는, 건성 AMD에 대하여 공지된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건성 AMD의 치료에는 전형적으로 연령-관련 안과 질환 연구 2(Age-Related Eye Disease Study 2; AREDS2)에서 권장하는 영양 보조제의 사용뿐만 아니라 식단, 체중, 혈압 및 흡연, 및 청색광 및 자외선에의 노출을 조절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치료 방식(treatment modalities)은 건성 AMD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나, 건성 AMD로 인해 이미 발생한 시력 상실을 실제로 역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리수테가닙은 이전에 건성(비삼출성) AMD에서 습성(삼출성) AMD로의 진행의 특징인, 염증을 감소시키고 병적 신생혈관증식(pathological neovascularization)의 발병을 억제함으로써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고 여겨졌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출원인은 습성 AMD로 진행되지 않은 건성 AMD를 앓고 있는 대상체에 대한 리수테가닙 투여가 염증을 감소시키고 병적 신생혈관증식의 잠재적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력 및 눈 구조(optical anatomy)에서 측정가능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시기(date)를 산출하였다.
본 개시내용은 안질환을 치료하고 건성 AMD를 앓고 있는 대상체에서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색각 이상(impaired color vision)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서 색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을 기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a)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의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b) 색각 이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에서 색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항-인테그린 펩티드를 상기 안구에서 최대 교정 시력 및/또는 색각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a)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의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b) 색각 이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에서 색각을 개선하기 위한 항-인테그린 펩티드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의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선형 또는 환형이고 글리시닐-아르기닐-글리시닐-시스테인산-트레오닐-프롤린-COOH 또는 단편, 동질체(congener), 유도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이성질체, 다량체, 환형 형태, 선형 형태, 접합체, 유도체 또는 이들의 기타 개질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리수테가닙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X1―R-G-시스테인산-X
여기에서, X 및 X1은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임: Phe-Val-Ala, -Phe-Leu-Ala, -Phe-Val-Gly, -Phe-Leu-Gly, -Phe-Pro-Gly, -Phe-Pro-Ala, -Phe-Val; 또는 Arg, Gly, 시스테익, Phe, Val, Ala, Leu, Pro, Thr 및 이들의 염, 조합물,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Y - X - Z
여기에서: Y = R, H, K, Cys(산), G 또는 D; X = G, A, Cys(산), R, G, D 또는 E; 및 Z = Cys(산), G, C, R, D, N 또는 E임.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R-G-Cys(산), R-R-Cys, R-Cys산)-G, Cys(산)-R-G, Cys(산)-G-R, R-G-D, R-G-Cys(산). H-G-Cys(산), R-G-N, D-G-R, R-D-G, R-A-E, K-G-D, R-G-Cys(산)-G-G-G-D-G, 사이클로-{R-G-Cys(산)-F-N-Me-V}, R-A-Cys (산), R-G-C, K-G-D, Cys(산)-R-G, Cys(산)-G-R, 사이클로-{R-G-D-D-F-NMe-V}, H - G -Cys(산) 및 이들의 염.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유리체내(intraviterally), 또는 국소 경로 및 전신 경로(예를 들어, 점안제, 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 비강내, 구강(buccal), 경피(transdermal) 등) 또는 적절한 약물 전달 임플란트 물질 또는 장치로부터의 방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기타 효과적인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0.01 mg 리수테가닙 내지 10.0 mg 리수테가닙 범위의 용량; 또는 0.05 mg 리수테가닙 내지 5.0 mg 리수테가닙 범위의 용량; 또는 1.0 mg 리수테가닙 내지 1.5 mg 리수테가닙 범위의 용량으로 유리체내로 투여되는 리수테가닙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단지 1 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복수 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펩티드 투여 사이 1주 내지 20주의 간격; 또는 펩티드 투여 사이 12주 내지 16주의 간격으로 복수 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펩티드는 유리체내로 1 회 이상 투여되는 리수테가닙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각각의 유리체내 투여는 1 mg 내지 1.5mg 리수테가닙의 용량을 전달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항-인테그린 펩티드는 인테그린 αMβ2의 하향 조절을 야기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 중 일부에서, 상기 항-인테그린 펩티드는 보체 3 수용체(complement 3 receptor)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 및 세부사항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를 읽으면 이해될 것이다.
하기 도면들은 본 특허 출원에 포함되며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참조된다. 이들 도면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 또는 구현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건성 AMD를 앓고 있는 인간 대상체의 연구에서 BCVA 방문의 평균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1 mg 리수테가닙의 유리체내 주입 후 건성 AMD 안구가 12주 차에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의 변화에 따른 전체 오점수 휴 스타일(Total Error Score Hue Style)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샴(sham)주입 후 건성 AMD 안구가 12주 차에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의 변화에 따른 전체 오점수 휴 스타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리수테가닙 반응자(32주 차) 대 샴 반응자(12주 차)에 대한 전체 오점수 휴 스타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1 mg 리수테가닙의 유리체내 주입 후 12주 차에 건성 AMD 안구가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의 변화에 따른 평균 망막 민감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샴 주입 후 12주 차에 건성 AMD 안구가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의 변화에 따른 평균 망막 민감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리수테가닙 반응자(32주 차) 대 샴 반응자(12주 차)에 대한 평균 망막 민감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1 mg 리수테가닙의 유리체내 주입 후 12주 차에 건성 AMD 안구가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수 변화에 따른 합산된 좌위(loci)의 수로 측정되는 미세시야검사(microperimetry)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샴 주입 후 12주 차에 건성 AMD 안구가 기준선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수의 변화에 따른 합산된 좌위의 수로 측정되는 미세시야검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리수테가닙 반응자(32주 차) 대 샴 반응자(12주 차)에 대한 합산된 좌위의 수로 측정되는 미세시야검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그룹 1 안구에서 기준선(치료-이전)에서의 지도 모양 위축(Geographic Atrophy; GA)의 위치 및 발생 정도(incidence)를 나타낸다.
도 8b는 그룹 2 안구에서 기준선(치료-이전)에서의 지도 모양 위축(GA)의 위치 및 발생 정도를 나타낸다.
도 9a는 파열(disruption)을 나타내지 않는 중심 1-mm 및 2-mm 서브필드의 외경계막 맵을 나타낸다.
도 9b는 분절간(segmental) 파열을 나타내는 중심 1-mm 및 2-mm 서브필드의 외경계막 맵을 나타낸다.
도 9c는 중심와(fovea)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diffuse) 파열을 나타내는 중심 1-mm 및 2-mm 서브필드의 외경계막 맵을 나타낸다.
도 10a는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서 촬영한 OCT 이미지(회색조)를 나타낸다.
도 10b는 개별 망막 층의 맵핑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서 촬영한 OCT 이미지(회색조)를 나타낸다.
도 10c는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의 ILM-RPE 맵을 나타낸다.
도 10d는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의 EZ-RPE 맵을 나타낸다.
도 10e는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의 RPE-BM 맵을 나타낸다.
도 11a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 촬영한 OCT 이미지(회색조)를 나타낸다.
도 11b는 개별 망막 층의 맵핑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 촬영한 OCT 이미지(회색조)를 나타낸다.
도 11c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의 ILM-RPE 맵을 나타낸다.
도 11d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의 EZ-RPE 맵을 나타낸다.
도 11e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의 RPE-BM 맵을 나타낸다.
도 12a는 미숙아 망막염(retinitis of prematurity; ROP) 마우스에서 ITGAM 및 ITGB2 조건하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리수테가닙 대 대조군의 효과를 비교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2b는 ROP 마우스에서, 보체, 세포 부착 및 백혈구 이동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리수테가닙 대 대조군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3a는 카인산에 노출된 후 망막 뉴런 세포 생존에 대한 리수테가닙 대 대조군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3b는 카인산에 노출된 후 망막 뮐러(Muller) 세포 생존에 대한 리수테가닙 대 대조군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3c는 과산화물에 노출된 후 망막 색소 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세포에 대한 리수테가닙 대 대조군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4는 세포독성 스트레스(cytotoxic stress) 및 리수테가닙 치료 후 마우스 뮐러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5는 세포독성 스트레스 및 리수테가닙 치료 후 마우스 망막 뉴런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6은 세포독성 스트레스 및 리수테가닙 치료 후 마우스 RPE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7은 세 투여량 수준에서의 리수테가닙 치료 후 대 대조군의 인간(MIO-M1) 뮐러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8은 항-VEGF 제제(Lucentis, Avastin 및 Eylea)를 이용한 치료 및 리수테가닙(Luminate) 치료 후 인간(MIO-M1) 뮐러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9 (4-9)는 항-VEGF 제제(Lucentis, Avastin 및 Eylea)를 이용한 치료 및 리수테가닙(Luminate) 치료 후 인간(MIO-M1) 뮐러 세포에서의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수준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0 (4-10)은 항-VEGF 제제(Lucentis, Avastin 및 Eylea)를 이용한 치료 및 리수테가닙(Luminate) 치료 후 인간(MIO-M1) 뮐러 세포에서의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1a는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에 대한 대조군 대 하이드로퀴논 대 하이드로퀴논 + 리수테가닙의 효과를 비교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1b는 RPE 세포에서 활성 산소종(ROS)의 생성에 대한 대조군 대 하이드로퀴논 대 하이드로퀴논 + 리수테가닙의 효과를 비교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1c는 RPE 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대조군 대 하이드로퀴논 대 하이드로퀴논 + 리수테가닙의 효과를 비교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것이 참조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구현예의 전부일 필요는 없으나 일부를 기재하도록 의도된다. 기재된 구현예는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내용은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 또는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 예컨대, 인간, 영장류, 포유동물, 및 척추동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또는 "치료하는"은 상태,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제거, 치유, 억제, 중증도 감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증상 감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유효량" 또는 "~에 유효한 양"이라는 어구는 합리적인 이점/위험 비율로 일부 목적하는 효과를 생성하는 제제의 양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어는 건성 AMD를 치료하거나 건성 AMD를 앓는 대상체에서 이전에 상실된 시력의 회복을 야기하는 데 필요하거나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치료되는 질병 또는 상태, 투여되는 특정 조성물, 또는 질병 또는 상태의 중증도와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과도한 실험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 제제의 유효량을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리수테가닙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 정보 및 치료 용도를 개시한다. 리수테가닙은 하기를 비롯한 수많은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ㆍ VEGF 및 ANG-2를 비롯한 기타 전-혈관신생(proangiogenic) 성장 인자의 생성 하향 조절에 의한 혈관신생의 억제 및 신생혈관증식의 가능한 퇴행; OIR, CNV 및 hVEGF 마우스 모델에서의 망막 혈관신생 억제; 매트릭스-코팅된 표면에 대한 내피 부착(endothelial adhesion) 및 이동 방지 및 내피 세포 증식 억제
ㆍ VEGF 및 염증 매개체의 생성 방지에 의한 혈관 누출 감소;
ㆍ 다수의 인테그린 아단위 표적화에 의한 적어도 부분적인 염증 감소; 보체 3 수용체(인테그린 αMβ2로도 공지됨)의 발현 감소; 백혈구 부착 감소; 경내피(trans-endothelial) 백혈구 이동 감소; 및 인간 면역 세포2에서의 TNF-α 경로 유전자 발현 감소; (예를 들어, 각막 조직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준 저하.
ㆍ (예를 들어, ROP 모델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 감소, 세포 생존 증가에 의한 신경보호/신경재생/신경 기능 상실 또는 손상 회복; 자유 라디칼 산소 생성 감소; 미토콘드리아 건강 증진; 미토콘드리아 세포막으로부터의 누출의 안정화 및 억제; 망막 및/또는 시신경 기능 개선; 시력 개선; 망막 및/또는 시신경 변성 또는 손상(예를 들어, 건성 황반변성, 녹내장(glaucoma), 레베르 선천적 흑암시(Leber congenital amaurosis), 맥락막결손(choroideremia), 스타카르트병(Stargardt's disease), 어셔 증후군(Usher Syndrome) 및 색맹(achromatopsia)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전성 또는 가족성 망막 질환 및/또는 황반 질환으로 인함)으로 고통받는 대상체의 시력 개선 또는 이전에 상실된 시력 회복; 중심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유전성 이영양증(dystrophy); 맥락막(choroid)(예를 들어, 맥락막결손) 또는 망막 색소 상피(RPE)(예를 들어, 베스트병(Best's disease))의 변화를 담당하는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로 인한 망막 및/또는 시신경 변성; 광수용체(photoreceptor) 외부 분절의 변성(예를 들어, 스타카르트병) 치료; 색각 이상 치료; 양극성 및/또는 뮐러 세포의 변성(예를 들어, x-연관 망막층간분리(x-linked retinoschisis)) 치료;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증가; 미토콘드리아 생체에너지 개선; 기계적, 산화적, 저산소, 무산소, 화학적, 화학독성 또는 기타 스트레스 하의 조직에서의(예를 들어, H2O2 및 하이드로퀴논 노출 후 망막 조직에서의)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종(ROS) 감소.
인간 대상체에서 건성 AMD의 리수테가닙 치료
치료가 필요한 중기(intermediate) 비삼출성 AMD로 진단된 적합한 대상체를 등록하고 그룹 1 또는 그룹 2로 무작위화하였다. 25 명의 대상체를 그룹 1에 배정하고 15 명의 대상체를 그룹 2에 배정하였다. 연구 대상 치료(study treatment)가 하기와 같이 그룹 1 및 그룹 2의 대상체에게 시행되었다:
ㆍ 그룹 1에 배정된 각 대상체는 연구 1일 차에 연구 대상 안구(study eye)에서의 샴 주입으로 이루어진 제 1 치료를 받은 후 크로스오버되어(crossed over) 연구 16주 동안 연구 대상인 안구로의 1.0 mg/50 μL 리수테가닙의 유리체내 주입으로 이루어진 제 2 치료를 받았다.
ㆍ 그룹 2에 배정된 각 대상체는 연구 1일 차에 연구 대상 안구로의 1.0 mg/50 μL 리수테가닙(즉, 50 μL의 등장성 식염수(isotonic saline) 용액에 1.0 mg)의 유리체내 주입으로 이루어진 제 1 치료 및 연구 16주 동안 연구 대상인 안구로의 1.0 mg/50 μL의 리수테가닙의 유리체내 주입으로 이루어진 제 2 치료를 받았다.
그룹 1 및 그룹 2의 대상체는 하기 치료를 받았다: 따라서, 그룹 1의 대상체는 연구 대상 안구에 초기 샴 주입을 받은 후 연구 대상 안구에 단일 1 mg 용량의 리수테가닙을 받았다. 그룹 2의 대상체는 연구 대상 안구에 전체 2 회 용량의 리수테가닙(용량당 1 mg)을 받았다.
연구 전반에 걸쳐 다양한 시점에서 수많은 연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평가에는 하기가 포함되었다; 굴절(refractive) 안구 검사, BCVA 및 저휘도(low-luminance) BCVA 결정, Lanthony D-15 색각 시험,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 측정, 간접 검안경 검사(ophthalmoscopy)/확장 안저(dilated fundus) 검사 및 스펙트럼-영역 광 간섭 단층촬영(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또한, 유전 분석을 위해 각 대상체로부터 혈액 및 타액 표본을 수득하였다. 상기에 열거된 연구 평가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시점에서 수행하였다:
표 1
방문 및 평가 일정
Figure pct00003
1차 효능 결과:
본 연구의 경우, 1차 효능 엔드포인트는(endpoint) BCVA에서 적어도 8 문자(1.5 줄) BCVA의 개선을 갖는 모집단의 백분율로 간주하였다. 하기의 표 2는 연구 12주 차에 이러한 1차 효능 결과를 나타낸 그룹 2 대상체의 비율과 연구 28주 차에 이러한 1차 효능 결과를 나타낸 그룹 1 대상체의 비율을 요약한 것이다:
표 2
1차 엔드포인트 주간에서 8 이상의 판독된 BCVA 문자의 획득을 갖는 대상체의 비율
Figure pct00004
약어: CI,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1차 엔드포인트 주간은 샴 그룹의 경우 12주이고 리수테가닙 그룹의 경우 28주였다.
기준선에서,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샴 안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1은 건성 AMD를 앓고 있는 인간 대상체의 연구에서 BCVA 방문의 평균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적어도 8의 판독된 BCVA 문자의 획득을 갖는 대상체의 비율은 12주 차에 그룹 1에서의 7.1%와 비교하여 28주 차에 그룹 2에서 48%였다. 가설 시험은 계획되지 않았으나, 양측 피셔 정확 시험(2-sided Fisher's exact test)을 사용한 사후(post hoc) 분석은 이것이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임을 입증하였다(P = .013).
리수테가닙-치료된 대상체에서 중심와(foveal) 지도 모양 위축(GA)의 존재가 BCVA 개선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인 사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룹 2 대상체들을 하기의 2 개의 하위그룹으로 나누었다: 중심 6-mm 서브필드에서 중심와 지도 모양 위축(GA)이 없는 안구를 갖는 하위그룹("GA가 없는 하위그룹") 및 중심 6-mm 서브필드에서 GA를 갖는 하위그룹("GA 하위그룹”). 적어도 8의 판독된 BCVA 문자의 획득을 갖는 리수테가닙-치료된 대상체의 비율은 GA가 없는 하위그룹이 GA 하위그룹과 비교하여 더 높았다(80% 대 40%).
2차 효능 결과:
2차 효능 결과는 하기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ㆍ 12주 차에 그룹 1과 28주 차에 그룹 2 간의 BCVA에서의 평균 관찰된 변화;
ㆍ 12주 차에 그룹 1과 그룹 2 간의 BCVA에서의 평균 관찰된 변화;
ㆍ 그룹 1과 그룹 2 간의 BCVA에서 최대 관찰된 변화; 및
ㆍ BCVA에서 적어도 8 문자(1.5 줄) BCVA의 개선을 나타낸 모든 대상체의 백분율.
하기의 표 3은 1차 엔드포인트 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한 대상체의 서브세트(subset)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BCVA 변화를 요약한 것이다:
표 3
1차 엔드포인트 주간에서 8 이상의 판독된 BCVA 문자의 획득을 갖는 대상체의 서브세트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BCVA 변화
Figure pct00005
(표 3은 하기 페이지에서 계속됨)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NA; 해당 없음; SD, 표준 편차.
하기의 표 4는 연구의 임의의 주간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BCVA의 변화를 요약한 것이다:
표 4
임의의 주간에서 8 이상의 판독된 BCVA 문자의 획득을 갖는 대상체의 서브세트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BCVA 변화
Figure pct00009
(표 4는 하기 페이지에서 계속됨)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색각 시험
연구 대상체의 색각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요약되어 있다.
표 5
전체 오점수 휴 스타일로 측정된 색각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그룹 1 대상체의 평균 전체 색각 오점수는 50.52였다. 12주 차에, 그룹 1 대상체의 평균 색각 점수는 1.97 증가하였다(색각 악화). 크로스오버 및 단일 용량의 리수테가닙 투여 후, 그룹 1 대상체의 평균 전체 색각 오점수는 32주 차에 1.76 감소(개선)하였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리닝 시 그룹 2 대상체에 대한 색각 시험의 평균 전체 오점수는 43.27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그룹 2 대상체에서 2.41 증가(색각 악화)한 후 32주 차에 4.36 감소하였다(색각 개선).
도 2a 및 도 2b는 12주 차에 기준선으로부터 판독된 BCVA 문자의 변화에 따른 전체 오점수 변화의 산점도(scatter plot) 분석을 나타낸다. 도 2a는 그 초기 리수테가닙 용량 후 12주 차에서 그룹 2 대상체에 대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감소된 색각 점수는 증가된 BCVA와 상관관계가 있음) 도 2b는 그 초기 샴 주입 후 12주 차에서 그룹 1 대상체에 대한 약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반응자 상태(≥8 문자 BCVA 획득을 갖거나 갖지 않는 대상체)에 따른 전체 오점수 변화의 조사는 도 3의 막대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샴 반응자의 경우 12n주 차에 2.98의 증가(악화)와 비교하여 리수테가닙 반응자는 32주 차에 13.03의 색각 감소(개선)를 가졌음을 나타낸다.
시야측정 험프리 시야(Perimetry Humphrey Visual Field) 평가의 개선
하기의 표 6은 대상체 성과를 연령-일치된 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험프리 시야 평가로부터의 평균 편차(mean deviation; MD) 점수를 나타낸다.
표 6
평균 편차로 측정된 험프리 시야
Figure pct00015
약어: CI, 신뢰 구간; dB, 데시벨;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참고: "허용가능한" 특성의 측정값만 포함되었음.
샴 그룹에서, 스크리닝 시 평균 MD 점수는 -4.074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0.561 dB 증가(개선)하였으며; 1 회 리수테가닙 주입으로 크로스오버 후, 이 점수는 32주 차에 0.158 dB 증가하였다. 리수테가닙 그룹에서, 스크리닝 시 평균 MD 점수는 -4.557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0.302 dB 및 32주 차에 0.191 dB 증가하였다.
하기의 표 7은 초점 결함(focal defect)을 식별할 수 있는, 험프리 시야 평가로부터의 패턴 표준 편차(pattern standard deviation; PSD) 점수를 나타낸다.
표 7
패턴 표준 편차로 측정된 험프리 시야
Figure pct00016
약어: CI, 신뢰 구간; dB, 데시벨;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참고: "허용가능한" 특성의 측정값만 포함되었음.
그룹 1 대상체에서, 평균 PSD 점수는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2.401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그룹 1 대상체에서 0.447 dB 증가하였다. 크로스오버 및 단일 리스테가닙 주입 투여 후, 이 점수는 32주 차에 그룹 1 대상체에서 0.469 dB 증가하였다.
그룹 2 대상체에서, 평균 PSD 점수는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3.352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0.340 dB 감소하고 32주 차에 0.115 dB 증가하였다.
망막 민감도
하기의 표 8은 미세시야검사로 측정된 평균 망막 민감도를 나타낸다.
표 8
평균 민감도로 측정된 미세시야측정
Figure pct00017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그룹 1 대상체의 평균 망막 민감도는 12.43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그룹 1 대상체에서 1.49 dB 감소하였다(악화됨). 크로스오버 및 그룹 1 대상체에게 단일 리수테가닙 주입 투여 후, 해당 대상체의 평균 망막 민감도 점수는 32주 차에 2.16 dB 감소하였다.
그룹 2 대상체에서,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평균 망막 민감도는 8.52 dB이었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그룹 2 대상체에서 0.85 dB 감소하였고 32주 차에 0.53 dB 추가 감소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12주 차에 기준선으로부터 판독된 BCVA 문자의 변화에 따른 평균 민감도 변화의 산점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리수테가닙의 그 초기 용량 후 그룹 2 대상체에 대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증가된 평균 민감도는 증가된 BCVA와 상관관계가 있음) 도 4b는 그 초기 샴 주입 후 그룹 1 대상체에 대한 약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반응자 상태에 따른 평균 민감도 변화의 조사는 도 5의 막대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샴 반응자의 경우 12주 차에 1.9 dB의 감소(악화)와 비교하여 리수테가닙 반응자는 32주 차에 2.2 dB의 증가(개선)를 가졌음을 나타냈다.
하기의 표 9는 20-dB 임계값(threshold), 11-dB 임계값을 사용하고, 절대 암점(absolute scotoma)을 측정함으로써 평가에 걸쳐 합산된 망막 민감도가 감소된 좌위의 수를 요약한 것이다.
표 9
합산된 좌위의 수로 측정된 미세시야측정
Figure pct00018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샴 그룹에서, 스크리닝 시 민감도가 감소된 합산 좌위의 평균 수는 65.4였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5.1 증가(악화)하였으며; 1 회 리수테가닙 주입으로 크로스오버 후, 이 점수는 32주 차에 7.9 증가하였다. 리수테가닙 그룹에서, 스크리닝 시 민감도가 감소된 합산 좌위의 평균 수는 81.4였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6.1 및 32주 차에 1.0 증가하였다.
도 6a 및 도 6b는 12주 차에 기준선으로부터 판독된 BCVA 문자의 변화에 따른 망막 민감도가 감소된 좌위 수 변화의 산점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그 초기 리수테가닙 주입 후 그룹 2 대상체에 대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민감도가 감소된 합산 좌위의 감소된 수는 증가된 BCVA와 상관관계가 있음) 도 6b는 그 초기 샴 주입 후 그룹 1 대상체에 대한 약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오류! 참조 소스를 찾을 수 없음.
반응자 상태에 따른 망막 민감도가 감소된 합산 좌위 수의 변화의 조사는 도 7의 막대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샴 반응자의 경우 12주 차에 11.71의 증가(악화)와 비교하여 리수테가닙 반응자는 32주 차에 17.75의 감소(개선)를 가졌음을 나타냈다. (P = 0.014).
저-휘도 시력
하기의 표 10은 연구 대상체의 저발광(low-luminescence) 시력을 요약한 것이다.
표 10
방문에 따른 저휘도 시력 개선
Figure pct00019
약어: CI, 신뢰 구간; max, 최대; min, 최소; SD, 표준 편차.
상기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그룹 1 대상체의 평균 저휘도 시력은 48.1 판독된 문자였다. 이 점수는 12주 차에 그룹 1 대상체에서 0.9 문자 증가(개선)하였다. 크로스오버 및 그룹 1 대상체에게 단일 리수테가닙 주입 투여 후, 이 점수는 32주 차에 추가로 2.6 문자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리닝 시 그룹 2 대상체의 평균 저휘도 시력은 47.4 판독된 문자였다. 이 점수는 그룹 2 대상체에서 12주 차에 1.0 문자 감소(악화)한 후, 32주 차에 2.0 문자 증가하였다.
광 간섭 단층촬영(OCT)에 의한 망막 검사
OCT 스캔은 2 명의 관련되지 않은 전문가에 의해 분석되었다.
OCT 분석 1:
스크리닝 시(치료-이전) 및 그룹 1 대상체의 경우 12주 차에 및 그룹 2 대상체의 경우 32주 차에 망막 서브필드 및 층 분절의 평균 두께 및 평균 부피를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의 결과는 하기의 표 11에 요약되어 있다.
표 11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20
약어: EZ, 타원체 영역(ellipsoid zone); RPEDC, 망막 색소 상피-드루젠 복합체.
기준선에서, 리수테가닙에 반응한 안구는 리수테가닙에 반응하지 않은 안구와 비교하여 외부 망막의 중심 서브필드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 두께를 가졌고(139.600 μm 대 113.917 μm; P=0.001); 반응자 안구는 또한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광수용체 층의 중심 서브필드의 기준선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 두께를 가졌다(49.300 μm 대 45.083 μm; P=0.015; 표 11). 동일한 해부학적 위치는 또한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반응자 안구의 기준선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부피를 가졌다(외부 망막의 중심 서브필드, 0.110 mm3 대 0.090 mm3; P=0.001 및 광수용체 층의 중심 서브필드, 0.039 mm3 대 0.035 mm3; P=0.011). 또한, 반응자 안구의 EZ 결함 면적은 기준선에서 비반응자의 그것보다 유의적으로 작았다(0.111 mm2 대 0.308 mm2; P=0.012).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에서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OCT 이미지의 정량적 분석에 더하여, 기준선(치료-이전)에서의 OCT 이미지의 정성적 평가를 수행하여 망막 내, 중심와 내(1-mm 중심 서브필드), 및 중심와 중심 내 어딘가의 GA를 식별하였다.
도 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선(치료-이전)에서, 그룹 2 대상체의 안구 25 개 중 7 개(28%)가 GA를 가졌고, 그 중 6 개(24%)가 중심와에 영향을 미쳤고, 그 중 2 개(8%)가 중심와 중심을 수반하였다. 또한,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선(치료-이전)에서, 그룹 1 대상체 안구 14 개 중 5 개(36%)가 GA를 가졌고, 그 중 3 개(26%)가 중심와를 수반하였고, 그 중 1 개(7%)가 중심와 중심에 영향을 미쳤다. 기능적 시력 결과와 기준선 GA의 존재 또는 부재 간의 관계는 각각 하기 표 12 및 표 13에서 탐구된다:
표 12
기준선에서 지도 모양 위축을 갖는 연구 대상 안구의 시력 기능성 결과
Figure pct00021
표 13
기준선에서 지도 모양 위축을 갖지 않는 연구 대상 안구의 시력 기능성 결과
Figure pct00022
단지 한 개의 샴-치료된 안구만이 적어도 8-문자의 시력 개선을 가졌기 때문에, 기능성 결과에 대한 GA의 존재 또는 부재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샴 그룹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기의 논의는 리수테가닙 그룹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기준선에서 어떠한 GA도 없는 리수테가닙-치료된 안구(n=18)는 8-문자 개선 임계값을 사용할 때 기준선에서 임의의 GA를 갖는 리수테가닙-치료된 안구(n=7) 중 29%의 반응자 비율과 비교하여 56%의 반응자 비율을 가졌다. 시력 임계값으로 10-문자 개선(각각, 44% 대 29%) 또는 15-문자 개선(각각, 22% 대 14%)을 사용할 때 동일한 패턴이 유지된다.
기준선에서 중심와 내 GA가 없는 리수테가닙-치료된 안구(n=19)는 기준선에서 중심와 내 GA를 갖는 리수테가닙 안구(n=6) 중 17%의 반응자 비율과 비교하여 58%의 반응자 비율(≥8-문자 개선 임계값)을 가졌다. 시력 임계값으로 10-문자 개선(각각, 37% 대 17%) 또는 15-문자 개선(각각, 26% 대 0%)을 사용할 때 동일한 패턴이 유지된다.
기준선에서 중심와 중심 내 GA가 없는 리수테가닙-치료된 안구(n=23)는 기준선에서 중심와 중심 내 GA를 갖는 리수테가닙 안구(n=2) 중 50%의 반응자 비율과 비교하여 48%의 반응자 비율(≥8-문자 개선 임계값)을 가졌다. 그러나, 중심와 중심에 GA를 갖는 안구는 단지 2 개뿐이므로, 상기 안구에서의 50% 반응자 비율은 유익하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GA의 중요성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망막의 어느 곳이나 적어도 중심 1 mm(BCVA를 담당하는 망막의 영역)에서의 GA의 부재가 리수테가닙에 대한 반응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간 경과에 따른 해부학적 측정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OCT 이미지의 정량적 분석 또한 수행하였다. 상기 분석은 하기 표 14에 요약되어 있다.
표 14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Figure pct00023
약어: EZ, 타원체 영역; RPEDC, 망막 색소 상피-드루젠 복합체.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까지,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서 내부 망막의 중심 서브필드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두께(7.450 μm 차이; P=0.042) 및 부피(0.006 mm3 차이; P=0.033)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증가를 나타냈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리수테가닙 안구에 대한 평균 두께의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까지의 평균 변화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까지의 평균 변화와 비교하여 내부 망막의 중심와 중심(15.404 μm 차이; P=0.011), 외부 망막의 중심와 중심 및 중심 서브필드(각각, -14.794 μm 차이; P=0.007 및 -3.812 μm 차이; P=0.042), 및 광수용체 층의 중심 서브필드(-2.545 μm 차이; P=0.007)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하기의 표 15에 요약되어 있다:
표 15
리수테가닙 군의 경우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대 샴 군의 경우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약어: EZ, 타원체 영역; RPEDC, 망막 색소 상피-드루젠 복합체.
상기의 표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수테가닙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까지의 전체 부피의 평균 변화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12주차 까지의 평균 변화와 비교하여 외부 망막의 중심 서브필드(-0.003 mm3 차이; P=0.035), 및 광수용체 층의 중심 및 하부 서브필드(각각, -0.002 mm3 차이; P=0.009 및 -0.002 mm3 차이; P=0.041)에서 또한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리수테가닙 안구는 시간 경과에 따라 두께 또는 부피에서 더 큰 감소를 나타냈으며, 샴 안구는 측정에서 더 작은 감소 또는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샴 안구는 내부 망막의 중심와 중심에서 평균 두께의 더 큰 감소를 나타냈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시간 경과에 따른 리수테가닙 안구와 샴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OCT 분석 2:
분석 #2에서, 연구 대상 안구의 OCT 이미지를 분석하여 샴 안구의 경우 기준선 및 12주 차 및 리수테가닙 안구의 경우 기준선 및 32주 차에서의 다수의 망막 서브필드 및 층 분절의 평균 두께 및 평균 부피를 결정하여, 기준선 측정 또는 해당 측정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를 기반으로 안구 그룹 간의 임의의 유의한 차이를 기록하였다.
리수테가닙 반응자 상태에 따른 기준선에서의 해부학적 측정. 기준선에서, 리수테가닙에 반응한 안구는 리수테가닙에 반응하지 않은 안구와 비교하여 하기의 7 개의 상이한 망막 지표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 두께를 가졌다: 평균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두께(256.11 μm 대 221.13 μm; P=0.011),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중심 2 mm) 두께(294.80 μm 대 265.73 μm; P=0.004), 평균 ONL-RPE 중심와 두께(170.66 μm 대 136.07 μm; P=0.020), 평균 ONL-RPE 중심 서브필드 두께(149.43 μm 대 123.33 μm; P=0.003),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130.07 μm 대 112.01 μm; P=0.023), 평균 ONL-EZ 중심 서브필드 두께(116.17 μm 대 101.31 μm; P=0.021), 및 평균 ONL-EZ 중앙 서브필드 두께(95.43 μm 대 86.15 μm; P=0.032). 이러한 데이터는 하기의 표 16에 요약되어 있다.
표 16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Bruch's ) 막.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서 동일한 7 개의 지표 중 6 개는 또한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기준선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부피를 가졌다: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부피(0.20 mm3 대 0.17 mm3; P=0.010),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부피(0.93 mm3 대 0.83 mm3; P=0.004), ONL-RPE 중심 서브필드 부피(0.12 mm3 대 0.10 mm3; P=0.003),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41 mm3 대 0.35 mm3; P=0.022), ONL-EZ 중심 서브필드 부피(0.09 mm3 대 0.08 mm3; P=0.021), 및 ONL-EZ 중앙 서브필드 부피(0.30 mm3 대 0.27 mm3; P=0.030).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에서 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OCT 이미지의 정량적 분석에 더하여, OCT 분석 #2는 GA, 가성드루젠(pseudodrusen), 및 ELM 및 EZ 층의 파열을 식별하기 위한 OCT 이미지의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였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또한 평가된 정량적 맵핑을 기반으로 ELM 내 다양한 병리의 수준을 보여주며, 도 9a(왼쪽)는 ELM 파열이 없음을 나타내고, 도 9b(중간)는 분절간 파열을 나타내고, 도 9c는 광범위 파열을 나타낸다.
정성적 평가는 EZ 층의 중심 1-mm 사분면의 광범위 파열을 제외하고(P=0.027), 기준선에서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해부학적 특징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밝혀냈다.
도 10a 내지 도 10e 및 도 11a 내지 도 11e는 각각,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 및 비반응자 안구의 기준선에서의 OCT 및 맵 이미지를 나타낸다. 두 ILM-RPE 맵(도 10c 및 도 11c)은 주로 정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러나,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는 도 10d의 EZ-RPE 맵 및 도 10d의 RPE-BM 맵에서 단지 작은 면적의 감쇠(attenuation)/위축을 나타내는 반면 비반응자 안구는 도 11d의 EZ-RPE 맵 및 도 11d의 RPE-BM 맵에서 광범위 감쇠/위축을 나타낸다.
리수테가닙 반응자 상태에 따른 기준선에서의 해부학적 측정. 기준선에서, 적어도 11 문자의 개선으로 리수테가닙에 반응한 8 개의 연구 대상 안구(이하 "수퍼-반응자"로 지칭됨)는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하기의 7 개의 상이한 망막 지표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 두께를 가졌다: 평균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두께(255.74 μm 대 221.13 μm; P=0.046),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두께(293.59 μm 대 265.73 μm; P=0.021), 평균 ONL-RPE 중심와 두께(167.75 μm 대 136.07 μm; P=0.044), 평균 ONL-RPE 중심 서브필드 두께(150.31 μm 대 123.33 μm; P=0.014),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130.85 μm 대 112.01 μm; P=0.040), 평균 ONL-EZ 중심 서브필드 두께(117.93 μm 대 101.31 μm; P=0.023), 및 평균 ONL-EZ 중앙 서브필드 두께(97.92 μm 대 86.15 μm; P=0.010). 이러한 데이터는 하기의 표 17에 요약되어 있다:
표 17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수퍼-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수퍼-반응자 안구에서 동일한 7 개의 지표 중 6 개는 또한 비반응자 안구와 비교하여 기준선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부피를 가졌다: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부피(0.20 mm3 대 0.17 mm3; P=0.045),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부피(0.92 mm3 대 0.83 mm3; P=0.021), ONL-RPE 중심 서브필드 부피(0.12 mm3 대 0.10 mm3; P=0.013),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41 mm3 대 0.35 mm3; P=0.039), ONL-EZ 중심 서브필드 부피(0.09 mm3 대 0.08 mm3; P=0.023), 및 ONL-EZ 중앙 서브필드 부피(0.31 mm3 대 0.27 mm3; P=0.010). 상기 표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피에서의 이러한 주목된 차이를 제외하고, 리수테가닙 수퍼-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기준선에서의 해부학적 특징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맵 커버리지(coverage)를 비롯한,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에서 수퍼-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리수테가닙 하위그룹 대 샴 군(arm)의 기준선에서의 해부학적 측정. 기준선에서,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샴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하기의 표 18에 요약되어 있다:
표 18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샴 안구와 비교하여,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는 기준선에서 전체 망막 중심와 중심의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 두께를 가졌다(204.31 μm 대 167.20 μm; P=0.036). 이는 하기의 표 19에 요약되어 있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에서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와 샴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19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 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치료 군에 따른 기준선에서의 해부학적 측정. 기준선에서,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군과 샴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하기의 표 20에 요약되어 있다.
표 20
리수테가닙 군 대 샴 군에 대한 기준선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하기의 표 21에 요약된 바와 같이, 반응자 안구는 감소를 나타내고 비반응자 안구는 증가를 나타내는 RPE-BM 부피의 변화(-0.049 mm3 대 0.037 mm3; P=0.034)를 제외하고,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에서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21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 대 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하기의 표 22에 요약된 바와 같이,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기준선으로부터 32주차에서의 리수테가닙 수퍼-반응자 안구와 비반응자 안구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22
리수테가닙 비반응 안구 대 수퍼-리수테가닙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리수테가닙 하위그룹 대 샴 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해부학적 측정의 변화. 샴 안구는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3 개의 상이한 망막 지표에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평균 두께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변화를 가졌다: 평균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두께(1.659 μm 대 -5.981 μm; P=0.043),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두께(1.281 μm 대 -4.046 μm; P=0.016), 및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0.778 μm 대 -6.320 μm; P=0.047). 이는 하기의 표 23에 요약되어 있다.
표 23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 및 샴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샴 안구에서 동일한 지표는 또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부피 변화를 가졌다: 전체 망막 중심 서브필드 부피(0.002 mm3 대 -0.004 mm3; P=0.047),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부피(0.005 mm3 대 -0.012 mm3; P=0.020), 및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003 mm3 대 -0.020 mm3; P=0.046). 또한, 전체 망막 부피(-0.464 mm3 대 0.091 mm3; P=0.028) 및 RPE-BM 부피(-0.071 mm3 대 0.037 mm3; P=0.003)에서 샴 안구의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는 비반응자 안구의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더 작았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와 샴 안구 간의 기준선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기의 표 24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어떠한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서의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와 샴 안구에서의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24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대 샴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샴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치료 군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른 해부학적 측정의 변화.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두께(1.281 μm 대 -2.548 μm; P=0.048) 및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0.778 μm 대 -6.441 μm; P=0.036)에서 샴 치료된 안구는 리수테가닙 치료된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 평균 두께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변화를 가졌다. 이는 하기의 표 25에 요약되어 있다.
표 25
리수테가닙 군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해부학적 측정 변화 대 샴 군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리수테가닙 군에서 1 명의 대상체 및 샴 군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샴 안구에서 동일한 지표는 또한 리수테가닙 안구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 유의적으로 더 큰 부피 변화를 가졌다: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부피(0.005 mm3 대 -0.008 mm3; P=0.049) 및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003 mm3 대 -0.020 mm3; P=0.033).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안구에서의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변화와 샴 안구에서의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변화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리수테가닙 반응자 그룹 내 시간 경과에 따른 해부학적 측정의 변화
하기의 표 26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대응 안구(paired-eye) 분석은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는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두께(-4.046 μm; P=0.019) 및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6.320 μm; P=0.041) 및 리수테가닙 반응자 및 수퍼-반응자 안구에서는 평균 ELM-RPE 중심 서브필드 두께(각각, -3.102 μm; P=0.018 및 -3.461 μm; P=0.047)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평균 두께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표 26
리수테가닙 반응자 그룹에 대한 기준선 및 32주 차에서의 정량적 대응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동일한 지표는 또한 동일한 안구 그룹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부피에서의 유의한 감소를 가졌다: 비반응자 안구에서는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부피(-0.012 mm3; P=0.027) 및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020 mm3; P=0.044) 및 반응자와 수퍼-반응자 안구에서는 ELM-RPE 중심 서브필드 부피(각각, -0.002 mm3; P=0.021 및 -0.003 mm3; P=0.048).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맵 커버리지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리수테가닙 비반응자 안구에서는 <20 μm EZ(+1.288%; P=0.027) 및 <10 μm EZ(+1.332%; P=0.044), 반응자 안구에서는 150 μm RPE-BM(3.335%; P=0.003) 및 50 μm RPE-BM(-3.494%; P=0.006), 및 수퍼-반응자는 안구에서 150 μm RPE-BM(+2.943%, P=0.037)에서 관찰되었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임의의 리수테가닙 반응자 안구 그룹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치료 군 내 시간 경과에 따른 해부학적 측정의 변화. 대응 안구 분석은 리수테가닙 군에서 평균 전체 망막 중앙 서브필드 두께(-2.548 μm; P=0.040), 평균 ONL-RPE 중심 서브필드 두께(-7.216 μm; P=0.026), 평균 ONL-RPE 중앙 서브필드 두께(-6.441 μm; P=0.025), 및 평균 ELM-RPE 중심 서브필드 두께(-2.912 μm; P=0.010)에서의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에서의 평균 두께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하기의 표 27에 요약되어 있다:
표 27
리수테가닙 군의 경우 기준선 및 32주 차 및 샴 군의 경우 기준선 및 12주 차에서의 정량적 대응 해부학적 측정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약어: ELM-EZ, 외경계막-타원체 영역; ELM-RPE, 외경계막-망막 색소 상피; EZ, 타원체 영역; EZ-RPE, 타원체 영역-망막 색소 상피; ONL-EZ, 외핵층-타원체 영역; ONL-RPE, 외핵층-망막 색소 상피; RPE-BM, 망막 색소 상피-부르크 막.
참고: 샴 그룹에서 1 명의 대상체는 엔드포인트 이미지가 누락되어 제외되었음.
리수테가닙 군에서는 ONL-RPE 중심 서브필드 부피(-0.005 mm3; P=0.035), ONL-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020 mm3; P=0.025), 및 ELM-RPE 중앙 서브필드 부피(-0.002 mm3; P=0.016)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 및 샴 군에서는 전체 망막 부피(-0.464 mm3; P=0.036) 및 RPE-BM 부피(-0.071 mm3; P=0.016)에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 부피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리수테가닙 군에서는 150 μm RPE-BM(2.739%; P=0.001), 50 μm RPE-BM(-2.644%; P=0.001), 및 0 μm RPE-BM(1.282%; P=0.037)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 및 샴 군에서는 150 μm RPE-BM(3.376%; P=0.037) 및 50 μm RPE-BM(-3.674%; P=0.022)에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 맵 커버리지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측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이러한 변화의 절대값은 매우 작으며 이들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어떠한 기타 해부학적 측정도 리수테가닙 군에서 기준선으로부터 32주 차 또는 샴 군에서 기준선으로부터 12주 차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전향적(prospective)이고 무작위의 양측 눈가림(double-masked) 미국 임상 시험에서, 출원인은 샴과 비교하여 리수테가닙으로 2 회의 유리체내 주입을 받은 후 8 문자 이상을 획득한 대상체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백분율을 입증하였다. 치료제가 건성 AMD에서 시력 상실의 역전을 나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세시야검사 및 색각과 같이 뒷받침하는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BCVA 결과를 확증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2 개의 코호트(cohort)인 0주 차에 리수테가닙을 받은 대상체 및 크로스오버되어 16주 차에 리수테가닙을 받은 샴 그룹의 대상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수테가닙의 단일 주입은 약한 효능을 나타냈다. 리수테가닙의 2 회 주입은 BCVA의 추가 개선과 함께 추가적인 효과를 입증하였다.
약물의 최대(peak) 효과는 치료 12주 후에 명백하며, 16주 차에 치료 효과가 약간 감소한다. 반복 투약(dosing)은 12주 차에 최대에 달하고 16주 후에 치료 효과가 다시 약간 감소하면서, 이전 용량 효과로부터의 추가적인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상(Phase 2) DME 연구에서 리수테가닙을 이용하여 관찰된 12-주 최대 효과와 유사하다.
기준선 망막 해부학적 구조는 반응의 중요한 예측 인자인 것으로 보인다. 중심 6 mm에 GA를 갖지 않고 중심와에 손상되지 않은 외경계막을 갖는 대상체는 2 회의 리수테가닙 주입으로 시력의 유의한 개선을 지속적으로 입증하였다. 따라서, 더 열악한 기준선 해부학적 구조를 갖는 대상체에 Luminate를 2 회 초과 주입했을 때 개선을 나타낼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대상체 모집단은 향후 임상 연구에서 연구될 것이다.
약물은 약물 관련 중대한 유해 사례(serious adverse events; SAE) 없이 잘 용인되었다. 일부 대상체에서 후유증 없이 회복된 비문증(floaters)이 관찰되었다.
OIR 마우스 망막에서의 혈관신생 및 염증성 유전자 수준의 억제
목적: 본 연구는 RNA-seq를 사용하여 리수테가닙 유리체내 주입 후 마우스 망막에서 조절되는 유전자를 식별하였다. 리수테가닙에 의해 조절되는 특정 유전자의 분석을 통해 올리고펩티드에 의해 조정되는 생물학적 과정 및 경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 12a 및 도 12b에 요약되어 있다. 본 연구는 리수테가닙의 항염증 효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테그린 αMβ2의 하향 조절에 의해 매개됨을 나타낸다. 리수테가닙은 백혈구 접착 감소, 백혈구 경내피 이동 감소 및 보체 3 수용체의 발현 감소를 야기한다.
방법: OIR 마우스 새끼(pup)를 5일 동안 과산소(hyperoxia)(75% O2)를 받게 하여 발달 중인 망막 혈관을 제거하였다. 이들이 대기(room air)로 복귀한 후, 산소 공급 및 수요의 불균형으로 인해 망막 신생혈관증식이 발생한다. 대기로 복귀 시, OIR 새끼의 양쪽 안구에 비히클 주입 또는 10 μg/1 μL 농도의 리수테가닙 용액을 단일 유리체내 주입하였다. 대기에서 키운 별도의 새끼 그룹은 대조군 역할을 하였으며 이들에게 OIR 마우스 그룹과 일치하는 비히클 주입 또는 리수테가닙 용액을 주입하였다. 주입 5일 후, OIR 마우스에서 망막 신생혈관증식이 한창일 때, 모든 마우스를 희생시키고(sacrifice), RNA 단리(isolation) 및 RNA-seq를 위해 망막 조직을 추출하였다. 생성된 판독값을 차등 발현 분석 및 배수 변화(fold change) 계산을 위해 정량화된 유전자 발현 및 마우스 참조(reference) 게놈/전사체에 맞춰 정렬시켰다. 그 후 조절된 유전자 목록을 제출하여 OIR 마우스 또는 대조군 마우스에서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리수테가닙 노출 후, 및 둘 다 비히클 주입을 받은 대조군 망막과 비교하여 OIR 망막에서 조절되는 생물학적 과정 및 경로를 식별하였다.
결과/논의: 리수테가닙 노출은 하기의 하향 조절된 6 개의 인테그린 아단위: α5, α6, αM, β1, β2, 및 β5를 비롯한,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OIR 망막에서 약 600 개의 유전자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인테그린은 OIR 망막에서 허혈-활성화(ischemia-activated) 혈관신생 및 염증 동안 세포 통신 및 부착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 세트에 관여한다. 특히, 인테그린 αM 및 β2 아단위는 보체 수용체 3 단백질을 형성하며, 이는 백혈구에서 발현되어 백혈구 부착, 이동, 및 식균작용(phagocytosis)에서 기능한다. 또한, α5β1, α6β1, 및 αvβ5 인테그린은 모두 혈관신생 동안 세포 성장, 생존 및 이동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조절된 유전자의 전체 목록을 고려할 때, 리수테가닙은 혈관신생 및 염증 관련 경로에서 저산소증(hypoxia)-활성화 유전자 발현을 조정하는 것에 일반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리수테가닙에 의해 하향 조절되는 11 개의 생물학적 경로 중 10 개가 OIR 망막에서 상향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경로 중 다수는 PI3K-Akt 신호전달 경로 및 ECM-수용체 상호작용과 같은 혈관신생 및 염증과 관련이 있다. 또한, 보체 및 응고 캐스케이드(coagulation cascade) 및 백혈구 경내피 이동 경로를 비롯한 여러 면역 관련 경로가 리수테가닙에 의해 억제된다. 중요하게는, 특정 조절된 유전자를 고려할 때, OIR 망막에서 활성화된 동일한 유전자 중 다수가 리수테가닙에 의해 억제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편향되지 않은(unbiased) 전사체 분석은 리수테가닙 용액 주입이 OIR 망막에서 활성화된 많은 생물학적 경로 및 유전자를 조정할 수 있었음을 시사하며, 상기 OIR 망막에서 허혈은 DR 및 AMD와 같은 망막 질병과 유사한 혈관신생 및 염증 상태를 생성하였다.
결론: 편향되지 않은 전사체 분석은 리수테가닙 용액 주입이 저산소증-활성화 혈관신생 및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정함을 나타낸다.
1차(primary) 마우스 뮐러 세포에서의 신경보호 효과
목적: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과잉 자극 및 세포사(cell death)를 초래하는 신경흥분성 화합물인 카인산에 노출된 1차 마우스 뮐러(
Figure pct00053
) 세포에서의 리수테가닙의 신경보호 특성을 조사한다. 망막 뮐러 세포는 뉴런의 정상적인 기능을 지원하며 이들의 조절장애(dysregulation)는 항상성 상실 및 뉴런 세포사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면에 요약되어 있다.
방법: CD1 마우스로부터 신규한(fresh) 망막을 수집한 후 멸균 파스퇴르 피펫(Pasteur pipette)을 이용하여 작은 응집체로 기계적으로 해리시켜 35 mm 배양 접시에 접종하였다(seeded). 모든 배양물은 처음 5-6일 동안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두었다가 3-4일마다 보충시켰다. 세포 성장이 약 8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했을 때, 망막 응집체 및 파편을 배지 세척에 의해 제거하여 정제된 세포 단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하기의 실험 조건에 노출시켰다: (1) 미처리 대조군, (2) 1.0 mg/mL 리수테가닙, (3) 500 μM 카인산(kainic acid; KA), 및 (4) 500 μM 카인산 노출 전 24시간 동안 1.0 mg/mL 리수테가닙. 카인산 처리 48시간 후, 혈구계(hemocytometer)에서 트리판 블루 배제 분석(Trypan blue exclusion assay)을 사용하여 죽은 세포 및 생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논의: 리수테가닙 처리 단독으로는 세포 생존율에서 검출가능한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도 14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인산 처리 단독은 뮐러 세포 생존율을 32% 감소시켜 뮐러 세포에 대한 그것의 독성을 입증하였으나, 리수테가닙 전처리는 뮬러 세포 생존율의 손실을 32%에서 10%로 감소시켜 보호 효과를 입증하였다.
결론: 리수테가닙 단독은 세포 생존율을 변경하지 않은 반면, 전처리는 1차 마우스 뮐러 세포에서 카인산 기반의 세포독성에 대한 측정가능한 보호를 입증하였다.
1차 마우스 망막 뉴런 세포에서의 신경보호 효과
목적: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과잉 자극 및 세포사를 초래하는 신경흥분성 화합물인 카인산에 노출된 1차 마우스 망막 뉴런 세포에서의 리수테가닙의 신경보호 특성을 조사한다.
방법: CD1 마우스로부터 신규한 망막을 수집한 후 멸균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해리시켰다. 이어서, 세포 현탁액을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분배하고 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하기의 실험 조건에 노출시켰다: (1) 미처리 대조군, (2) 1.0 mg/mL 리수테가닙, (3) 500 μM 카인산(KA), 및 (4) 500 μM 카인산 노출 전 24시간 동안 1.0 mg/mL 리수테가닙. 카인산 처리 8시간 후, 혈구계에서 트리판 블루 배제 분석을 사용하여 죽은 세포 및 생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논의: 도 15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수테가닙(Luminate) 처리 단독으로는 세포 생존율에서 검출가능한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카인산 단독을 이용한 처리는 세포 생존율을 42% 감소시켜 망막 뉴런 세포에 대한 그것의 독성을 입증하였다. 리수테가닙 전처리는 세포 생존율의 손실을 42%에서 18%로 감소시켜 보호 효과를 입증하였다.
결론: 리수테가닙 단독은 세포 생존율을 변경하지 않은 반면, 전처리는 1차 마우스 망막 뉴런 세포에서 카인산 기반의 세포독성에 대한 측정가능한 보호를 입증하였다.
인간 RPE 세포(ARPE-19)에서의 세포보호 효과
목적: 상승된 수준에서 세포사를 유도할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인 과산화수소에 노출된 인간 RPE 세포(ARPE-19)에서의 리수테가닙의 세포보호 특성을 조사한다.
방법: ARPE-19 세포를 라미닌-코팅된 트랜스-웰(trans-well)에서 2주 동안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하기의 실험 조건에 노출시켰다: (1) 미처리 대조군, (2) 1.0 mg/mL 리수테가닙, (3) 100 μM 과산화수소(H2O2), 및 (4) 100 μM H2O2 노출 전 24시간 동안 1.0 mg/mL 리수테가닙. H2O2 처리 8시간 후, 혈구계에서 트리판 블루 배제 분석을 사용하여 죽은 세포 및 생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논의: 도 16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수테가닙 처리 단독으로는 세포 생존율에서 검출가능한 변화를 유도하지 않은 반면, H2O2 처리는 세포 생존율을 22%만큼 적정하게 감소시켰다. 리수테가닙 전처리는 세포 생존율의 손실을 22%에서 10%로 감소시켜 보호 효과를 입증하였다.
결론: 리수테가닙 단독은 세포 생존율을 변경하지 않은 반면, 전처리는 인간 RPE 세포에서 H2O2 기반의 세포독성에 대한 측정가능한 보호를 입증하였다.
인간(MIO M1) 뮐러 세포에서의 리수테가닙 및 다양한 항-VEGF 제제의 세포보호 효과
목적: 배양된 인간 망막 뮐러 세포(MIO-M1)의 세포 생존율에 대한 리수테가닙 및 항-VEGF 약물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함.
방법: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세포 생물학과로부터 불멸화(immortalized) 인간 망막 뮐러 세포주(MIO-M1)를 입수하였다. 세포를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에서 배양하고 0.5x, 1x 또는 2x 농도의 1 mg/50 μL 리수테가닙, 또는 1x의 라니비주맙(ranibizu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또는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로 처리하기 전 96-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평판 배양(plated)하였다. 투여량은 각 화합물의 임상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은 각각 7-8 개의 재현물(replicate)로 3 회 반복하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후, MTT NAD(P)H-의존적 비색 분석을 사용하여 배양물에 존재하는 생존가능(viable) 세포의 수를 평가하였다. 흡광도 비율은 미처리 대조군을 100%로 정규화되었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논의: 도 17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0.5x 리수테가닙으로 처리된 MIO-M1 세포는 미처리 배양물과 비교하여 증가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111.3 ± 2.189 대 100 ± 0.29, p = 0.0058). 1x(113.5 ± 13.5, p = 0.37) 및 2x(100.3 ± 7.8, p = 0.92) 리수테가닙으로 처리된 MIO-M1 배양물은 미처리 MIO-M1 배양물과 유사한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는 도 18에서 그래프로 요약된 바와 같이 1x 농도의 라니비주맙(Lucentis®), 베바시주맙(Avastin®), 및 애플리버셉트(Eylea®)로 처리된 MIO-M1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 감소를 나타내는 실험과 대조적이다.
결론: 리수테가닙 처리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MIO-M1 세포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변화시키지 않은 반면, 항-VEGF 약물은 세포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인간(MIO-M1) 뮐러 세포에서의 활성 산소종 수준에 대한 리수테가닙 및 다양한 항-VRGF 제제의 효과
목적: 배양된 인간 망막 뮐러 세포(MIO-M1)에서의 활성 산소종(ROS) 수준에 대한 리수테가닙 및 항-VEGF 약물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함. 상승된 ROS 수준은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하여 세포 건강 악화 및 가능한 세포 사로 이어질 수 있다.
방법: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세포 생물학과로부터 불멸화 인간 망막 뮐러 세포주(MIO-M1)를 입수하였다. 세포를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서 배양하고 1x 농도의 1 mg/50 μL ALG-1001,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또는 애플리버셉트로 처리하기 전 24-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평판 배양하였다. 투여량은 각 화합물의 임상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은 각각 6 개의 재현물로 3 회 반복하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후, 형광 염료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ROS 수준을 측정하였다. 482 nm의 EX 필터 및 520 nm의 EM 필터를 갖는 Biotek Synergy HT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판독하였다. 결과는 미처리 대조군을 100%로 정규화되었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논의: 도 19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1x의 리수테가닙으로 처리된 MIO-M1 세포는 미처리 대조군 배양물(-19%, p = 0.016)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된 수준의 ROS를 나타냈다. 이에 비해, 1x의 항-VEGF 약물은 ROS 수준을 37%(Lucentis®), 24%(Avastin®), 및 29%(Eylea®)만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 리수티가닙 처리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MIO-M1 ROS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항-VEGF 약물은 ROS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인간(MIO-M1) 뮐러 세포에서의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ΔΨm)에 대한 리수테가닙 및 다양한 항-VRGF 제제의 효과
목적: 배양된 인간 망막 뮐러 세포(MIO-M1)에서의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ΔΨm)에 대한 리수테가닙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함. ΔΨm의 손실은 조기 세포사의 마커이다.
방법: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세포 생물학과로부터 불멸화 인간 망막 뮐러 세포주(MIO-M1)를 입수하였다. 세포를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서 배양하고 1x 농도의 1 mg/50 μL 리수테가닙,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또는 애플리버셉트로 처리하기 전 24-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평판 배양하였다. 투여량은 각 화합물의 임상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은 각각 6 개의 재현물로 3 회 반복하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후, ΔΨm은 건강한 생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적색으로 형광을 발하는 양이온성 염료인 JC-1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스트레스를 받은(stressed) 세포 또는 사멸 세포(apoptotic cell)에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는 붕괴되고 양이온성 염료는 녹색으로 형광을 발한다. 먼저, 세포를 신규한 배지로 세정한 후 37℃에서 15분 동안 JC-1 시약을 이용하여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염료를 제거하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적색 형광(생존 세포)은 EX 550 nm 및 EM 600 nm에서 판독되었다. 녹색 형광(사멸 세포)은 EX 483 nm 및 EM 535 nm에서 판독되었다. ΔΨm의 변화는 적색 형광 대 녹색 형광의 비율로 계산되었다. 결과는 미처리 대조군을 100%로 정규화되었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논의: 도 20에서 그래프로 요약된 바와 같이, 1x 리수테가닙(109.3 ± 4.91, p = 0.038)으로 처리된 MIO-M1 세포는 미처리 대조군 배양물과 비교하여 상승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나타냈다. 이것은 1x 애플리버셉트(Eylea®, p = 0.0093)로 처리된 MIO-M1 세포에서의 감소된 ΔΨm과 대조적이다. 시험된 다른 항-VEGF 제제는 미처리 대조군 배양물과 비교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유의한 변화를 야기하지 않았다. 상승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는 미토콘드리아의 개선된 세포 기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리수테가닙 처리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MIO-M1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반면, Eylea®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1차 인간 RPE 세포에서의 활성 산소종 수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및 세포 생존율의 조절
목적: 배양된 인간 RPE 세포에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HQ)-매개 세포 손상, 상승된 ROS 수준 및 감소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Δψm)에 대한 리수테가닙의 보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 상승된 ROS 수준은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세포 건강 악화 및 세포 사로 이어진다. ΔΨm의 손실은 조기 세포사의 마커이다.
방법: 1차 인간 RPE 세포를 콜라겐-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8K, 10K 및 17K 세포/웰로 삼중으로(in triplicates) 접종하였다. 세포는 평판 배양 후 24시간 동안 80% 내지 100%의 컨플루언스에 도달하였으며, 컨플루언트(confluent) 세포는 성장이 밀도 중지될(density arrested) 때까지 추가적으로 4일 또는 5일 동안 성장시켰다. 평판 배양 후 6일째에, 37℃에서 30분 동안 플레이트 상반부의 세포에 20 μM CM-H2DCFDA(ROS 수준을 측정함)를 로딩하고 플레이트 하반부에 10 μM JC-1(Δψm을 측정함)을 로딩하였다. 세포를 배지에서 2 회 세척하고 0.4 mM 리수테가닙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3-4시간 동안 125-180 uM의 투여량으로 HQ 처리하였다. ROS 및 Δψm 분석의 경우,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ROS 생성(490-nm 여기, 522-nm 방출), 및 JC-1의 녹색 단량체(490-nm 여기, 522-nm 방출) 및 적색 JC-1 집합체(535-nm 여기, 590-nm 방출)를 각각 정량화하였다. WST-1 분석의 경우, 처리 4시간 또는 5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신규한 배지를 세포에 첨가하고 WST-1 용액을 이용하여 37℃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WST 시약은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440 nm에서 정량화되었고 참조 파장은 690 nm에서의 정량화되었다. 데이터는 미처리 대조군을 100%로 정규화되었고 평균 ± SD로 표시되었다. 스튜던트(Student's) t-검정을 사용하여 처리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였다.
결과/논의: 본 연구의 결과는 도 21a, 도 21b 및 도 21c에 그래프로 요약되어 있다. 미처리 세포와 비교하여, HQ 노출은 Δψm(-53%)(도 21a) 및 세포 생존율(-82%)(도 21c)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ROS 수준(78%)(도 21b)을 증가시켰다. 리수테가닙 병용 치료는 HQ-감소된 Δψm(16% 개선)(도 21a) 및 세포 생존율(16% 개선)(도 21c)을 유의적으로 개선한 반면, HQ-유도된 ROS 생성(61% 감소)(도 21b)을 억제하였다. 3 명의 상이한 기증자로부터의 RPE 세포에서 분석을 반복하였고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결론: 리수테가닙은 하이드로퀴논-유도된 ROS 수준 상승, Δψm 감소를 조정하고, 하이드로퀴논-매개 인간 RPE 세포 손상에 대해 보호하였다.
리수테가닙과 유사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타 펩티드
본 특허 출원에서 언급된 작용의 효과 및 메커니즘은 반드시 리수테가닙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포함된 미국 특허 9,018,352호; 9,872,886호; 9,896,480호 및 10,307,46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2018/0207227호 및 2019/0062371호에 기재된 것들을 비롯한 기타 펩티드는 또한 본원에 기재된 작용의 효과 및/또는 메커니즘을 나타낼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들 효과 또는 메커니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는 기타 펩티드의 특정 예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Y - X - Z
여기에서:
Y = R, H, K, Cys(산), G 또는 D;
X = G, A, Cys(산), R, G, D 또는 E; 및
Z = Cys(산), G, C, R, D, N 또는 E임.
또한, 이러한 펩티드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R-G-Cys(산), R-R-Cys, R-Cys산)-G, Cys(산)-R-G, Cys(산)-G-R, R-G-D, R-G-Cys(산). H-G-Cys(산), R-G-N, D-G-R, R-D-G, R-A-E, K-G-D, R-G-Cys(산)-G-G-G-D-G, 사이클로-{R-G-Cys(산)-F-N-Me-V}, R-A-Cys(산), R-G-C, K-G-D, Cys(산)-R-G, Cys(산)-G-R, 사이클로-{R-G-D-D-F-NMe-V}, H - G -Cys(산) 및 이들의 염. 가능한 염은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rifluoroacetate; TFA) 및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펩티드는 인간 또는 동물 대상체에서 병리학적 또는 비정상적(aberrant)인 혈관 발달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데 적어도 유용하다. 이러한 펩티드의 예는 마우스에서 망막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그 각각의 활성 수준의 표시와 함께, 상기에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공보 2019/0062371호의 표 27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재현된다:
표 27
추가적인 펩티드
Figure pct00054
기타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펩티드의 추가적인 예는 상기에 포함된 미국 특허 9,018,352호; 9,872,886호; 9,896,480호 및 10,307,460호에 리수테가닙(ALG-1001)과 함께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글리시닐-아르기닐-글리시닐-시스테인산-트레오닐-프롤린-COOH를 포함하거나 하기 화학식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X1-Arg-Gly-시스테인산-X
여기에서, X 및 X1은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임: Phe-Val-Ala, -Phe-Leu-Ala, -Phe-Val-Gly, -Phe-Leu-Gly, -Phe-Pro-Gly, -Phe-Pro-Ala, -Phe-Val; 또는 Arg, Gly, 시스테익, Phe, Val, Ala, Leu, Pro, Thr 및 이들의 염, 조합물,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
비록 본 특허 출원이 항-인테그린 펩티드가 유리체내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연구의 특정 예를 포함하나, 국소 및 전신 경로(예를 들어, 점안제, 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 비강내, 구강, 경피 등) 또는 적절한 약물 전달 임플란트 물질 또는 장치로부터의 방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대안의 효과적인 투여 경로가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은 특정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나, 본 개시내용의 의도된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재된 실시예 및 구현예에 다양한 추가, 삭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이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그것의 의도된 용도에 대해 부적합하게 만들지 않는 한, 일 구현예 또는 실시예의 임의의 요소, 단계, 구성요소, 성분, 조성물, 반응물, 일부 또는 부분은 다른 구현예 또는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법 또는 과정의 단계가 특정 순서로 기재되거나 나열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이 방법 또는 과정을 그것의 의도된 목적에 대해 부적합하게 만들지 않는 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발명 또는 실시예의 요소, 단계, 구성요소, 성분, 조성물, 반응물, 일부 또는 부분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기타 요소, 단계, 구성요소, 성분, 조성물, 반응물, 일부 또는 부분의 부재 또는 실질적인 부재하에 선택적으로 존재하거나 이용될 수 있다. 모든 합리적인 추가, 삭제, 수정 및 변경은 기재된 실시예 및 구현예의 등가물로 간주되어야 하며 하기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SEQUENCE LISTING <110> ALLEGRO PHARMACEUTICALS, LLC <120> PEPTIDES FOR TREATING NON-EXUDATIVE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DISORDERS OF THE EYE <130> ALLEG-017PC <140> PCT/US2020/043589 <141> 2020-07-24 <150> 62/879,281 <151> 2019-07-26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 Gly Arg Gly Ala Thr Pro 1 5 <210> 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4)..(4) <223> Cysteic acid <400> 2 Gly Arg Gly Xaa Thr Pro 1 5 <210> 3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3)..(3) <223> Cysteic acid <400> 3 Arg Gly Xaa Gly Gly Gly Asp Gly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3)..(3) <223> Cysteic acid <400> 4 Arg Gly Xaa Phe Asn Val 1 5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5 Arg Gly Asp Asp Phe Asn Val 1 5 <210> 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3) <223> This region may encompass one of the following sequences: Phe-Val-Ala, Phe-Leu-Ala, Phe-Val-Gly, Phe-Leu-Gly, Phe-Pro-Gly, Phe-Pro-Ala or Phe-Val <220> <221> MOD_RES <222> (6)..(6) <223> Cysteic acid <220> <221> MOD_RES <222> (7)..(9) <223> This region may encompass one of the following sequences: Phe-Val-Ala, Phe-Leu-Ala, Phe-Val-Gly, Phe-Leu-Gly, Phe-Pro-Gly, Phe-Pro-Ala or Phe-Val <220> <223> See specification as filed for detailed description of substitutions and preferred embodiments <400> 6 Xaa Xaa Xaa Arg Gly Xaa Xaa Xaa Xaa 1 5

Claims (18)

  1. a)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대상체 안구의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b) 색각 이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에서 색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항-인테그린 펩티드를 상기 안구에서 최대 교정 시력 및/또는 색각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a) 비삼출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의 최대 교정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b) 색각 이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안구에서 색각을 개선하기 위한 항-인테그린 펩티드의 용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선형 또는 환형이고 글리시닐-아르기닐-글리시닐-시스테인산-트레오닐-프롤린-COOH 또는 단편, 동질체, 유도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이성질체, 다량체, 환형 형태, 선형 형태, 접합체, 유도체 또는 이들의 기타 개질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리수테가닙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X1-R-G-시스테인산-X
    여기에서, X 및 X1은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임: Phe-Val-Ala, -Phe-Leu-Ala, -Phe-Val-Gly, -Phe-Leu-Gly, -Phe-Pro-Gly, -Phe-Pro-Ala, -Phe-Val; 또는 Arg, Gly, 시스테익, Phe, Val, Ala, Leu, Pro, Thr 및 이들의 염, 조합물,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하기 일반식을 갖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Y - X - Z
    여기에서:
    Y = R, H, K, Cys(산), G 또는 D;
    X = G, A, Cys(산), R, G, D 또는 E; 및
    Z = Cys(산), G, C, R, D, N 또는 E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것인, 방법 또는 용도: R-G-Cys(산), R-R-Cys, R-Cys산)-G, Cys(산)-R-G, Cys(산)-G-R, R-G-D, R-G-Cys(산). H-G-Cys(산), R-G-N, D-G-R, R-D-G, R-A-E, K-G-D, R-G-Cys(산)-G-G-G-D-G, 사이클로-{R-G-Cys(산)-F-N-Me-V}, R-A-Cys (산), R-G-C, K-G-D, Cys(산)-R-G, Cys(산)-G-R, 사이클로-{R-G-D-D-F-NMe-V}, H-G-Cys(산) 및 이들의 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유리체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리수테가닙을 포함하고 0.01 mg 리수테가닙 내지 10.O mg 리수테가닙 범위의 용량이 유리체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리수테가닙을 포함하고 0.05 mg 리수테가닙 내지 5.0 mg 리수테가닙 범위의 용량이 유리체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리수테가닙을 포함하며 1 mg 내지 1.5 mg의 리수테가닙이 유리체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단지 1 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복수 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투여 사이에 1주 내지 20주의 간격이 존재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투여 사이에 12주 내지 16주의 간격이 존재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리수테가닙을 포함하며 상기 펩티드의 각각의 유리체내 투여가 1 mg 내지 1.5 mg 리수테가닙의 용량을 전달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인테그린 펩티드가 인테그린 αMβ2의 하향 조절을 야기하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인테그린 펩티드가 보체 3 수용체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 또는 용도.
KR1020227006530A 2019-07-26 2020-07-24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KR20220054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9281P 2019-07-26 2019-07-26
US62/879,281 2019-07-26
PCT/US2020/043589 WO2021021668A1 (en) 2019-07-26 2020-07-24 Peptides for treating non-exudative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disorders of the ey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598A true KR20220054598A (ko) 2022-05-03

Family

ID=7422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530A KR20220054598A (ko) 2019-07-26 2020-07-24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031800A1 (ko)
EP (1) EP4003392A4 (ko)
JP (1) JP2022541851A (ko)
KR (1) KR20220054598A (ko)
CN (1) CN114173802A (ko)
CA (1) CA3145870A1 (ko)
IL (1) IL290074A (ko)
MX (1) MX2022001062A (ko)
WO (1) WO2021021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243B1 (ko) * 2009-11-10 2021-04-07 알레그로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Rgd 바인딩 부위에 대한 세포 부착의 저해 또는 진단제 또는 치료제의 유도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N110678193A (zh) * 2017-01-19 2020-01-10 急速制药公司 治疗和神经保护肽
WO2022212354A1 (en) * 2021-03-30 2022-10-06 Allegro Pharmaceuticals, LLC Inhibi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other inflammatory response mediat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16446T3 (es) * 2000-04-29 2009-04-16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Diagnostico y terapeutica para trastornos relacionados con la degeneracion macular.
US20060148699A1 (en) * 2004-10-04 2006-07-06 Avi Tovi Counterion exchange process for peptides
CA2835214C (en) * 2011-05-09 2023-08-01 Allegro Pharmaceuticals, Inc.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and their methods of use
KR102440162B1 (ko) * 2015-07-08 2022-09-02 악세로비젼, 인크. 안구 염증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테그린 알파4 길항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CN110678193A (zh) * 2017-01-19 2020-01-10 急速制药公司 治疗和神经保护肽
SG11201912267SA (en) * 2017-06-19 2020-01-30 Gangadhara Ganapati Nicotinamide riboside derivatives and their uses
CN110945010A (zh) * 2017-06-19 2020-03-31 急速制药有限责任公司 肽组合物和相关方法
EP4114429A2 (en) * 2020-03-06 2023-01-11 Allegro Pharmaceuticals, LLC Treatments for improving or lessening impairment of mitochondria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1668A1 (en) 2021-02-04
IL290074A (en) 2022-03-01
CA3145870A1 (en) 2021-02-04
JP2022541851A (ja) 2022-09-27
EP4003392A1 (en) 2022-06-01
US20220031800A1 (en) 2022-02-03
EP4003392A4 (en) 2023-08-09
CN114173802A (zh) 2022-03-11
MX2022001062A (es)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4598A (ko) 비삼출성 황반변성 및 기타 안질환 치료용 펩티드
US11123412B2 (en)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US20220175876A1 (en) Angio-3 for treatment of retinal angiogenic diseases
Parker et al. Three‐Year Safety Results of SAR422459 (EIAV‐ABCA4) Gene Therapy in Patients With ABCA4‐Associated Stargardt Disease: An Open‐Label Dose‐Escalation Phase I/IIa Clinical Trial, Cohorts 1‐5
AU2020346064A1 (en) Druggable target to treat retinal degeneration
Akaiwa et al. Topical ripasudil suppresses retinal ganglion cell death in a mouse model of normal tension glaucoma
Tan et al. Lentiviral vector-mediated expression of C3 transferase attenuates retinal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in rats
CN108350458A (zh) 用豹蛙酶和/或两栖酶治疗病毒性结膜炎
Yao et al. Involvement of the NLRC4 inflammasome in promoting retinal ganglion cell death in an acute glaucoma mouse model
JP2020518678A (ja) ギャップ結合細胞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モジュレータ及び糖尿病性眼疾患の治療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KR20180028890A (ko) mTOR 저해제를 함유하는 황반변성 치료용 의약조성물
ES2750125T3 (es) ARNip y su uso en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y/o la prevención de afecciones oculares
US20170173111A1 (en) Semaphorin 3c variants,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treating eye diseases
US2022028047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US2021000091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pithelial and barrier integrity
US2022040140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cuing retinal and choroidal structure and function
Liu Dendrimer-based Delivery of Peptides and Antibodies fo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Yan et al. Research progres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related gene polymorphism at high altitude.
WO2018161175A1 (en) Lipoxin and lipoxin analogue mediated neuroprotection and treatments
EP3407846A1 (en) Semaphorin 3c variants,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treating eye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