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215A -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215A
KR20220054215A KR1020210141610A KR20210141610A KR20220054215A KR 20220054215 A KR20220054215 A KR 20220054215A KR 1020210141610 A KR1020210141610 A KR 1020210141610A KR 20210141610 A KR20210141610 A KR 20210141610A KR 20220054215 A KR20220054215 A KR 2022005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terilization
unit
cover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008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ublication of KR2022005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Abstract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는, 카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카드가 통과 가능하도록 투입부와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카드에 살균제를 제공하는 살균부와,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서 상기 살균부를 통과한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드에서 상기 살균제를 제거하는 살균 제거부와,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제1후면 커버 및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 제거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후면 커버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살균 제거부와 상기 살균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는 제2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NO POWER CARD STERILIZING APPARATUS}
이하의 설명은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현금보다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를 통한 거래가 더 주를 이루고 있다. 2016년 기준 한국의 하루 평균 신용카드 사용률은 55%, 체크/직불카드 16%, 현금 13%, 계좌이체 15% 정도이며 전자화폐는 0.2% 정도에 그치고 있다 (BOK. 2019). 그러나, 밀접 접촉자 간에 전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관해서,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를 통한 거래는 현금 거래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 거래의 위험성을 입증하는 학술지의 연구결과를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종이보다 플라스틱 표면에 더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판지에서는 24시간이 경과하면 소멸되지만, 플라스틱 표면에서는 72시간이 경과하여도 독자 생존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Aerosol and Surface Stability of SARS-COv-2 as Compared with SARS-CoV-1,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APIL.16.2020). 따라서, 플라스틱 소재의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서식하는 기간이 현금 지폐보다 길며,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의 사용으로 인한 바이러스 교차 오염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신용카드 및 체크/직불카드를 살균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는, 카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카드가 통과 가능하도록 투입부와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카드에 살균제를 제공하는 살균부,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서 상기 살균부를 통과한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드에서 상기 살균제를 제거하는 살균 제거부,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제1후면 커버 및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 제거부를 덮고, 상기 제1후면 커버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살균 제거부와 상기 살균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는 제2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제가 함침된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재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살균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투입부 및 상기 인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카드가 통과하도록 각각 제1슬릿과 제2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살균부재는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과 대응되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살균부재를 관통하도록 살균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살균 제거부는 폼 또는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카드가 상기 살균 제거부를 관통하도록 제거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는 상기 살균부가 구비되는 살균 영역과, 상기 살균 제거부가 구비되는 제거 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와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투입부가 형성되는 제1단부가 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인출부가 형성되는 제2단부를 향해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후면 커버와 상기 제2후면 커버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후면 커버를 가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후면 커버와 상기 투입부가 형성되는 제1단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단부에 결합되는 면에 상기 투입부에 대응되어 상기 카드가 통과하는 제3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가 결합된 상기 전면 커버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설치면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는 살균부의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수용 가능한 살균제의 양이 늘어나 카드에 충분한 양의 살균제를 제공할 수 있고, 제품 수명과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후면 커버의 차단부를 통해 살균부 교체 중 발생하는 살균 제거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구비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와 거치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60)를 구비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와 거치부(160)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는 전면 커버(100), 살균부(110), 살균 제거부(120) 제1후면 커버(130), 제2후면 커버(140),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커버(100)는 카드(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카드(20)가 통과 가능하도록 투입부(101)와 인출부(102)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면(103)으로 형성된다. 전면 커버(100)는 크기에 따라 카드(20)를 수용하는 면적이 다르다. 전면 커버(100)는, 투입부(101)와 인출부(102) 사이 거리가 카드(2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 카드(20)를 일부만 수용할 수 있고, 카드(2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카드(20)를 전부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100)는, 서로 분리 결합되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100) 내부에는 살균부(110)가 구비되는 살균 영역(100a)과, 살균 제거부(120)가 구비되는 제거 영역(100b)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104)가 구비된다. 분리부재(104)는 전면 커버(100)의 개방면(103)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 사용 중 살균부(110)가 제거 영역(100b)에 진입하거나, 살균 제거부(120)가 살균 영역(100a)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커버(100)는, 투입부(101)가 형성되는 제1단부(105)가 곡면 형상을 갖고, 인출부(102)가 형성되는 제2단부(106)를 향해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투입부(101)는 제1단부(105)에서 개방면(103) 방향 말단부에 형성되고, 폭이 적어도 카드(20)의 폭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2단부(106)는 제1단부(10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살균부(110)는 전면 커버(100) 내부에 구비되며, 카드(20)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카드(20)에 살균제(111)를 제공한다. 살균제(111)는 알코올, 요오드, 석탄산, 산화칼슘, 크레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살균부(110)는 살균제(111)가 함침된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재(112)를 포함하고, 살균부재(112)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13)를 포함한다. 케이스(113)는 살균 영역(100a)과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고, 살균부재(112)를 수용함으로써, 살균부재(112)에서 살균제(111)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살균부(1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살균제(111)가 장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3)는 투입부(101) 및 인출부(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드(20)가 통과하도록 각각 제1슬릿(114)과 제2슬릿(115)이 형성된다. 제1슬릿(114)은 케이스(113)의 곡면에 형성되어서 투입부(101)를 통과한 카드(20)가 투입된다. 제2슬릿(115)은 케이스(113)의 곡면과 반대쪽 면에 형성되어 제1슬릿(114)을 통과한 카드(20)가 통과할 수 있다.
케이스(113)는 서로 분리 가능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어서, 살균 수명이 지난 살균부재(11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릿(114)과 제2슬릿(115)은 두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살균부재(112)는 제1슬릿(114) 및 제2슬릿(115)과 대응되어서 카드(20)가 살균부재(112)를 관통하도록 살균슬롯(112a)이 형성된다. 살균슬롯(112a)은 카드(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살균부재(112)와 카드(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카드(20)에 살균제(111) 제공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살균슬롯(112a)은 두 개의 살균부재(1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살균슬롯(112a)은 카드(20)의 두께보다 작은 갭으로 형성된다.
살균 제거부(120)는 전면 커버(100) 내부에서 살균부(110)를 통과한 카드(20)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카드(20)에서 잔여 살균제(111)를 제거한다.
살균 제거부(120)는 폼 또는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살균 제거부(120)는 카드(20)가 살균 제거부(120)를 관통하도록 제거슬롯(121)이 형성되고, 제거슬롯(121)을 통과하는 카드(20)의 표면에서 잔여 살균제(111)를 흡수한다. 살균 제거부(120)는 제거 영역(100b)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살균제(111)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후면 커버(130)는 개방면(103) 중 살균부(110)를 덮도록 결합된다.
한편, 제1후면 커버(130)는 투입부(10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투입부(101)와의 사이를 카드(20)가 통과하도록 갭을 형성하는 투입슬릿(131)이 형성될 수 있다. 투입슬릿(131)은 제1후면 커버(130)에서 투입부(101)와 대향되게 형성되어서 제1후면 커버(130)가 살균부(110)를 덮으면 투입부(101)와 함께 카드(20)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후면 커버(140)는 개방면(103) 중 살균 제거부(120)를 덮고, 제1후면 커버(1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살균 제거부(120)와 살균부(110)의 접촉을 차단하는 차단부(141)가 형성된다.
차단부(141)는 분리부재(10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면 커버(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분리부재(104)의 단부와의 갭이 형성된다. 차단부(141)와 분리부재(104)의 단부 사이의 갭은 카드(20)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지만, 차단부(141)와 분리부재(104)가 살균 제거부(120)와 접촉하는 면이 노출되는 크기를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차단부(141)는 사용자가 살균부(110)를 교체하기 위해 제1후면 커버(130)를 전면 커버(100)로부터 분리할 때, 살균 제거부(120)가 외부 노출되며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단부(141)와 분리부재(104)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차단부(141)와 분리부재(104)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재(104)는 전면커버(10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재(104)는 제2슬릿(115)과 대응되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되고, 차단부(141)의 역할을 동시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1 및 제2 후면 커버(130, 140)와 투입부(101)가 형성되는 제1단부(105)를 덮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50)는 전면 커버(100), 제1후면 커버(130), 살균부(110)와 겹쳐지며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제1후면 커버(130)와 제2후면 커버(1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부(110)와 살균 제거부(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1단부(105)에 결합되는 면에 투입부(101)에 대응되어 카드(20)가 통과하는 제3슬릿(151)이 형성된다. 제3슬릿(151)은 투입부(101)에 대응되어 카드(20)가 통과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1단부(105)가 고정부(150)에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고정부(150)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갖고 내구성이 높은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휴대 중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커버(100, 130, 14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 사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는 거치부(160)와 탈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60)는 고정부(150)가 안착되는 안착부(161)와, 고정부(150)에서 연장 형성되고 설치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62)가 형성된다. 안착부(161)는 설치면에 대해서 경사 또는 수직되게 형성되거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부(162)에 힌지축(미도시)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62)는 설치 장소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162)는 스탠드 형상을 갖고, 하면이 책상이나 바닥에 설치 가능하도록 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162)는 벽에 부착 가능하도록 브라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탈착부(170)는 고정부(150)가 안착부(161)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탈착부(170)는 고정부(150)에 구비되거나,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고정부(150)와 안착부(16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착부(170)는 안착부(161)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브라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탈착부(170)는 자석 등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는 카드(20)가 전면 커버(100)를 양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설명에 불과하며, 카드(20)가 전면 커버(100)를 일방향으로만 통과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단부(141)는 분리부재(104)와 갭을 형성하지 않고, 개방면(103) 방향의 회전만 허용되게 제2후면 커버(140)에 힌지축(미도시)으로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141)는 제2슬릿(115)을 통과한 카드(20)가 제거슬롯(121)으로 진입할 때 카드(20)가 미는 힘에 의해 개방면(103)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며 카드(20)의 진입로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차단부(141)는 제거슬롯(121)을 통과한 카드(20)가 제2슬릿(115)으로 진입할 때는 회전하지 않아서 카드(20)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부(141)는 카드(20)의 타방향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살균되지 않은 카드(20)로 인해 살균 제거부(1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는 제1후면 커버(130)와 제2후면 커버(140)가 전면 커버(100)에 결합되며 개방면(103)을 폐쇄하는 구성이지만, 제1후면 커버(130)와 제2후면 커버(140)는 각각 일측이 힌지축(미도시)으로 전면 커버(100)에 제1단부(105)와 제2단부(106)에 결합되어, 힌지 회전하며 개방면(103)을 개폐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카드(20)는 사용자가 직접 카드(20)의 일측을 미는 힘과, 타측을 당기는 힘에 의해 전면 커버(100)를 통과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카드(20)의 이동을 조작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살균부(110)와 살균 제거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롤러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부(110)의 롤러는 투입부 및 투입슬릿(101, 131)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고, 표면에 살균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살균 제거부(120)의 롤러는 살균부(110)의 롤러와 동일한 구성에서 살균부재(112) 대신 폼 또는 합성 섬유가 구비된다. 롤러는 전면 커버(100) 외부에 부착된 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가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는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부의 조작만으로 카드(20)를 살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10)는 살균부(110)가 수용 가능한 살균 부재(112)의 체적과 함께 살균제(111)의 양이 늘어나 카드(20)에 충분한 양의 살균제(111)를 제공할 수 있고, 제품 수명과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후면 커버(140)의 차단부(141)를 통해 살균부(110) 교체 중 발생하는 살균 제거부(12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20: 카드
100: 전면 커버
100a: 살균 영역
100b: 제거 영역
101: 투입부
102: 인출부
103: 개방면
104: 분리부재
105: 제1단부
106: 제2단부
110: 살균부
111: 살균제
112: 살균부재
112a: 살균슬롯
113: 케이스
114: 제1슬릿
115: 제2슬릿
120: 살균 제거부
121: 제거슬롯
130: 제1후면 커버
131: 투입슬릿
140: 제2후면 커버
141: 차단부
150: 고정부
151: 제3슬릿
160: 거치부
161: 안착부
162: 지지부
170: 탈착부

Claims (14)

  1. 카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카드가 통과 가능하도록 투입부와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카드에 살균제를 제공하는 살균부;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서 상기 살균부를 통과한 상기 카드가 접촉되며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드에서 상기 살균제를 제거하는 살균 제거부;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제1후면 커버; 및
    상기 개방면 중 상기 살균 제거부를 덮고, 상기 제1후면 커버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살균 제거부와 상기 살균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는 제2후면 커버;
    를 포함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제가 함침된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투입부 및 상기 인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카드가 통과하도록 각각 제1슬릿과 제2슬릿이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과 대응되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살균부재를 관통하도록 살균슬롯이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제거부는 폼 또는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제거부는 상기 카드가 상기 살균 제거부를 관통하도록 제거슬롯이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는, 상기 살균부가 구비되는 살균 영역과, 상기 살균 제거부가 구비되는 제거 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와의 갭이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투입부가 형성되는 제1단부가 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카드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인출부가 형성되는 제2단부를 향해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면 커버와 상기 제2후면 커버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후면 커버를 가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후면 커버와 상기 투입부가 형성되는 제1단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단부에 결합되는 면에 상기 투입부에 대응되어 상기 카드가 통과하는 제3슬릿이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결합된 상기 전면 커버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설치면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KR1020210141610A 2020-10-23 2021-10-22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KR10254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8322 2020-10-23
KR1020200138322 2020-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215A true KR20220054215A (ko) 2022-05-02
KR102548008B1 KR102548008B1 (ko) 2023-06-27

Family

ID=8159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610A KR102548008B1 (ko) 2020-10-23 2021-10-22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00A (ja) * 1997-06-30 1999-01-26 Yukihisa Hino 香り付け器
KR101185153B1 (ko) * 2011-11-01 2012-09-24 (주) 젬스제로 카드 살균기
KR20140005693A (ko) * 2012-07-06 2014-01-15 정우정 카드 살균기
KR101367256B1 (ko) * 2013-06-13 2014-02-27 대륙 주식회사 핸드폰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00A (ja) * 1997-06-30 1999-01-26 Yukihisa Hino 香り付け器
KR101185153B1 (ko) * 2011-11-01 2012-09-24 (주) 젬스제로 카드 살균기
KR20140005693A (ko) * 2012-07-06 2014-01-15 정우정 카드 살균기
KR101367256B1 (ko) * 2013-06-13 2014-02-27 대륙 주식회사 핸드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008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684183T3 (en) Field of application for a dispenser
TW466180B (en) A printer and printer paper tray
KR101158046B1 (ko) 현금인출기용 살균 장치
RU2683968C1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лонов
CA2615407A1 (en) Dispenser containing side by side rolls and provided with lower sliding closing means
EA200801192A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бумаги
KR20220054215A (ko) 무전원 카드 살균 장치
ES2190727A1 (es) Dispositivo para formar y/o aumentar el numero relativo de celulas indiferenciadas en una poblacion celular y procedimientos correspondientes.
EP2302752B1 (en) AC adapter unit, storage tray for an AC adapter, and electronic device unit
CN103018843A (zh) 光纤连接器插头
US20070291455A1 (en) Apparatus for tool-less removal of pcb assembly
BR9912054A (pt) Caixa para proteção de disco e unidade para recebimento da mesma
US7191948B1 (en) Terminal for treating forms
CN102307772B (zh) 具有放大镜的购物推车
BR9903727A (pt) Terminal de auto-serviço
CN219418221U (zh) 多功能自助柜员机
CN216353092U (zh) 智能充电宝广告一体机
JP2013054687A (ja) ドロワ装置
ATE447218T1 (de) Vertriebsbehälter für zeitungen
KR200207354Y1 (ko) 모니터 수납보관함
KR20120124299A (ko)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JPH08243055A (ja) ペーパータオルアダプター
CN216854531U (zh) 一种纸巾容纳装置
JP3410327B2 (ja) ドロワ装置
US11642900B1 (en) Printer adapters for holding fanfolds of medi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