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419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419A
KR20220053419A KR1020200137869A KR20200137869A KR20220053419A KR 20220053419 A KR20220053419 A KR 20220053419A KR 1020200137869 A KR1020200137869 A KR 1020200137869A KR 20200137869 A KR20200137869 A KR 20200137869A KR 20220053419 A KR20220053419 A KR 2022005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ozzle
plate member
shel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재
김정곤
김정인
강기중
백인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419A/ko
Priority to US17/508,461 priority patent/US20220126308A1/en
Priority to EP21204154.5A priority patent/EP3988001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 아래에 건조장치가 배치되고, 터브 바닥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터브 내부로 건조 공기를 유입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노즐 상부에는 분배 캡이 설치된다. 상기 분배 캡은 어퍼캡과 로워캡을 포함한다. 로워캡은 판부재 및 판부재에 마련된 끼움관을 포함한다. 끼움관은 노즐의 상부와 결합한다. 끼움관의 상부에는 상기 노즐의 상부에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 커버가 연장 형성된다. 유동 커버는 반구형 형상을 가진다. 유동 커버와 끼움관의 절취 라인은 토출홀을 규정한다. 유동 커버와 토출홀은 노즐에서 공급된 건조 공기를 측방으로 전환한다. 상기 건조 공기는 분배 캡의 방향전환단부에 다다른 후 방향이 전환되어 토출단부로 흐른다. 어퍼캡의 상부쉘은 방향전환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판부재는 토출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아래에 건조장치가 배치되고, 터브 바닥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터브 내부로 건조 공기를 유입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설치되어 식기세척기를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와, 식기를 거치하는 랙을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비교적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와,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구비한다.
터브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는 세척수를 모아 재순환시키기 위한 섬프와, 다 사용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건조장치 역시 터브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DE 10 2015 212 880 A1에는, 건조장치는 터브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건조장치에서 가열된 건조 공기가 터브의 바닥을 관통하는 노즐을 통해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노즐의 토출 단부가 세척 공간에 노출될 경우, 식기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가 상기 노즐의 토출 단부를 통해 건조 장치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캡을 설치하여 상기 노즐의 토출 단부를 상기 세척 공간으로부터 숨기는 방안이 개시된다. 상기 캡이 노즐의 토출 단부에서 건조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캡은 상기 노즐의 토출 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 단부의 주변을 에워싼다.
그러나 이러한 캡을 설치하더라도, 종국에는 노즐을 통해 공급된 건조 공기를 터브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해야 하므로, 상기 캡 역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개구를 구비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캡의 토출 개구를 통해서도 세척수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문헌에서는, 노즐의 토출 단부의 영역에서 상기 캡의 토출 개구와 가까운 영역을 차폐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문헌처럼 노즐의 토출 단부 자체에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구조를 적용하면, 노즐의 둘레방향으로 방향성이 부여될 수밖에 없다. 가령 노즐은 원형의 관 형상일 수 있는데, 노즐의 토출 단부가 차폐 구조를 가지면, 노즐을 터브에 설치할 때 상기 차폐 구조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터브보다 아래에 마련된 공간으로부터 터브의 바닥을 관통하여 노즐의 토출 단부를 상방으로 삽입하여 노즐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노즐의 토출 단부의 차폐 구조가 노즐의 관 형상의 면적보다 더 크면 노즐을 터브에 삽입할 수 없게 되어, 노즐의 설치가 어렵다. 이에, 상기 노출 단부의 차폐 구조는 노즐의 관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발생한다. 이처럼 노출 단부의 차폐 구조가 노즐의 관 형상보다 작아야 하는 제약은, 노즐 단부의 유동 단면적을 감소시켜 유동 손실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문헌의 노즐 차폐 구조는 노즐의 토출 단부 일부를 막는 형상에 불과하여, 노즐의 공기 토출 방향이 상방을 향하는 바, 형상 자체로도 유동 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
한편, 상기 캡의 내부 공간은 노즐에서 토출된 공기를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내보내는 경로가 되는데, 노즐에서 토출된 건조 공기는 상기 캡 내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캡의 토출 개구로 토출된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개시한 캡의 구조는 상기 유동의 방향 전환부에서 캡의 상판과 캡의 측벽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기 때문에, 유동의 방향 전환 과정에서 유동 손실이 크다.
아울러, 캡의 바닥이 단턱(step)이 마련된 다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유동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 세척수가 노즐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노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의 분배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의 토출 면적을 확대하여 유동 저항을 최소화한 분배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의 토출 방향을 전환시켜 유동 손실을 최소화한 분배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에서 토출된 건조 공기의 유동 방향 전환과 토출 과정에서 유동 저항을 최소화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분배 캡이 노즐에 설치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 공간이 마련된 터브를 구비하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바닥에는 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간과 상기 터브보다 아래의 공간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유출구를 관통하며 상기 터브의 바닥에 고정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의 상단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보다 상부에 마련된다.
건조장치는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상단부에는, 상기 세척 공간으로부터 상기 노즐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노즐에서 토출된 건조 공기의 유동을 상기 세척 공간으로 안내하는 분배 캡이 설치된다.
상기 분배 캡은 로워캡과 어퍼캡과 토출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로워캡과 어퍼캡은 각각 제작된 후 결합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로워캡과 어퍼캡은 합성 수지 및/또는 금속 시트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워캡과 어퍼캡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규정할 수 있고, 상기 노즐의 상단부는 상기 소정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로워캡은 상기 노즐에 상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어퍼캡은 상기 로워캡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는 이격 배치된다.
상기 로워캡은 판부재, 끼움관 및 유동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판부재는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끼움관은 그 하단부가 상기 노즐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결합의 일 예로서, 상기 끼움관은 노즐의 상단부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끼움관은 상기 판부재의 중앙부 또는 그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상기 끼움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는, 상기 끼움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끼움관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유동 커버는 상기 끼움관에 의해 규정되는 유동 단면의 상부 일부를 덮고, 상기 끼움관에 의해 규정되는 건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한다.
상기 어퍼캡은 상기 노즐의 상단부를 덮어 노즐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지붕의 역할을 하는 상부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의 상부쉘은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판부재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은 상기 노즐의 둘레를 가려주어 노즐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벽의 역할을 하는 측벽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의 측벽쉘은 상기 상부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판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은, 상기 상부쉘, 측벽쉘 및 판부재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어퍼캡은 판부재와 함께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은, 상기 끼움관과 유동 커버를 덮도록 상기 판부재와 결합된다.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 건조 공기를 터브의 세척 공간으로 토출하는 통로가 된다. 즉 건조 공기는,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세척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측벽쉘이 상기 로워캡과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극을 가지는 부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측벽쉘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처마 부위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처마는 상기 토출 개구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상기 끼움관은 상기 분배 캡이 상기 노즐에 결합되는 부위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는,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노즐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이를 막아줄 수 있다.
상기 끼움관과 유동 커버는,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유입 방향(상방)을 측방으로 전환시켜줄 수 있다.
상기 끼움관과 유동 커버에 의해 전환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은 측방향을 향하는 수평 성분이 상방을 향하는 수직 성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는 상기 끼움관의 유동 단면 영역 중에서 상기 토출 개구와 더 가까운 영역의 상부를 덮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는 실질적으로 반구형 곡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의 단부를 차폐하면서도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동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노즐에서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으로 건조 공기가 공급되는 토출홀은, 상기 분배 캡의 유동 커버와 끼움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홀은, 상기 유동 커버와 끼움관을 걸쳐, 상기 유동 커버의 일부와 상기 끼움관의 일부를 절취한 절취 라인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절취 라인은, 상기 유동 커버를 절취한 부위인 상부 라인과, 상기 끼움관을 절취한 부위인 하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인은 상기 반구형 곡면의 상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절취한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의 반구형 곡면과 상부 라인은 유동의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해주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라인은 상기 판부재까지 연장되고 상기 판부재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홀의 하단부는 상기 판부재 부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에는, 상기 노즐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끼움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홀은 상기 끼움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홀은 상기 유동 커버에 의해 덮이는 폐쇄단부와 상기 절취 라인에 의해 개방된 개방단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하부 라인은 상기 상부 라인의 하단부와 상기 개방단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끼움관의 하부 라인은 상기 토출홀이 측방으로 개방된 것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한다. 즉 상기 끼움관의 일부를 절취한 상기 하부 라인에 의해, 상기 끼움관은, 상기 토출홀을 통해 건조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절취 라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토출 단면의 법선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하되,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끼움관과 유동 커버에 의해 상기 노즐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가 상기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방향은 측방향을 향하는 수평 성분이 상방을 향하는 수직 성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실질적으로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의 상부쉘 역시 상기 판부재와 대응하는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쉘은, 이등변에 해당하는 빗면쉘과, 둔각의 꼭지점과 대향하는 변에 해당하는 토출면쉘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출홀을 통해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유동 방향의 수평 성분은, 이웃하는 두 빗면쉘 사이에 배치된 둔각의 꼭지점 부분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둔각의 꼭지점 부분에 해당하는 측벽쉘 부분은, 상기 토출홀을 통해 상기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 건조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단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캡의 토출 개구는 상기 끼움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향전환단부의 반대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토출면쉘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토출면쉘은 토출단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쉘은, 상기 토출 개구가 마련된 토출단부와, 상기 끼움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 개구와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된 방향전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과 토출홀을 거쳐 방향전환단부 쪽으로 토출된 건조 공기는, 상기 방향전환단부에서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빗면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단부 쪽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터브의 세척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캡의 상부쉘은 상기 토출단부에서 방향전환단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쉘은 수평면과 소정의 각을 이루며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로워캡에 의해 규정되는 노즐의 토출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을 토출 단면이라 할 때, 상기 토출 단면의 법선과 상기 상부쉘이 이루는 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 단면에서 상기 상부쉘로 쪽으로 유동한 건조 공기는 상기 상부쉘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단부 쪽으로 유동이 안내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단부 쪽 측벽쉘과 상기 상부쉘이 이루는 각은 90도를 넘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방향전환단부 쪽 측벽쉘과 상기 상부쉘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서 건조 공기의 유동이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는 경사진 형태로 상기 끼움관에 연결될 수 있다. 가령 끼움관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기 판부재는 수평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둔각의 꼭지점 부분이 상기 판부재의 높은 쪽 단부를 이루고, 둔각과 마주하는 밑변 부분이 상기 판부재의 낮은 쪽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벽쉘의 방향전환단부의 하단부와 상기 판부재의 높은 쪽 단부가 이루는 각은 90도를 넘을 수 있다. 따라서 측벽쉘의 방향전환단부를 따라 하향하는 건조 공기는 상기 판부재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의 낮은 쪽 단부에는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캡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홀은 한 쌍 구비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홀의 위치는 상기 판부재의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두 밑각 부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캡홀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판부재와 상기 어퍼캡 사이에 마련된 간극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간극은, 상기 토출면쉘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면쉘과 연결되는 상기 측벽쉘의 하단부 일부 구간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 캡은, 상기 노즐에서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 건조 공기를,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넓게 퍼뜨리며 세척 공간 내부에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를 보호하는 상기 처마 부위는, 간극이 형성된 구간, 즉 상기 토출면쉘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면쉘과 연결되는 상기 빗면쉘의 하단부 일부 구간에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마의 선단부의 높이는 상기 판부재의 꼭지점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벽쉘에서 상기 토출 개구가 시작되는 위치는, 상기 로워캡의 토출홀이 시작되는 위치보다 상기 토출단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개구가 분배 캡에서 지나치게 하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분배 캡에서 세척 공간으로 건조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노즐에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노즐의 상단부의 개구를 차폐하는 구조가 노즐 자체에 마련되어 있지 않고 분배 캡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이 방향성을 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노즐의 설치가 용이하고, 노즐의 개구를 차폐하는 구조의 형상과 크기에 제약이 없다. 그러면, 노즐에서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형상을 구현하기 용이하고, 노즐의 토출 단부에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는 설계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상기 분배 캡의 로워캡에 구현한 끼움관과 유동 커버의 형태는, 세척수 유입 방지를 위한 노즐의 차폐 기능뿐만 아니라,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노즐에서 분배 캡의 내부로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함께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어퍼캡과 판부재의 형상에 의해, 분배 캡 내부로 공급된 건조 공기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건조 공기를 분배 캡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에는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캐비닛과 터브와 베이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세척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터브에 건조와 관련된 구성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어와 세척장치를 생략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터브의 바닥 부재 상에 공기토출부가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터브의 바닥 부재 밑에 배치되는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공기토출부와 건조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공기토출부와 커넥터와 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공기토출부와 커넥터와 건조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X 단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를 생략한 상태에서 노즐과 건조덕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바닥 부재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개구의 유동단면과 건조덕트의 덕트출구의 유동단면을 중첩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각각 커넥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분배 캡의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의 분배 캡의 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의 분배 캡의 로워캡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의 분배 캡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의 분배 캡의 후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의 분배 캡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의 분배 캡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식기세척기의 사용을 위해 식기세척기를 바닥(floor)에 놓은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식기세척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식기세척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식기세척기의 도어 앞에서 식기세척기를 바라볼 때 식기세척이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조]
도 1에는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의 캐비닛(10)과 터브(20)와 베이스(15)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세척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식기세척기(1)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터브(20)에 건조와 관련된 구성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어(30)와 세척장치(500)를 생략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식기세척기(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기세척기(1)는 캐비닛(10), 터브(20), 도어(30), 베이스(15), 세척장치(500) 및 건조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식기세척기(1)의 상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일 수 있다. 캐비닛(1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캐비닛(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식기세척기(1)의 저면을 규정한다. 식기세척기(1)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면, 상기 베이스(15)가 바닥(floor)에 놓인다. 상기 베이스(15)는, 가령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터브(20)는 전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태이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터브(20)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은 세척공간(22S)을 이룬다.
상기 세척공간(22S)은 터브(2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30)는 하부에 마련된 수평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개폐되는 풀 다운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공간(22S)에는 식기를 거치할 수 있는 랙(40)이 수용된다. 실시예에서는 2단, 즉 상부 랙(41)과 하부 랙(42)이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랙(40)은, 전후 방향 인출과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휠을 구비한다.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500)는, 급수장치(54), 분사장치(50), 및 배수장치(57)를 구비한다.
급수장치(54)는, 급수 유로(542)와, 상기 급수 유로(542)에 마련된 급수 밸브(541)와,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섬프(543)를 포함한다. 급수 유로(542)는 수전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장치(54)는, 식기세척기(1) 내부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급수 밸브(541)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급수 밸브(541)와 급수 유로(54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섬프(543)에 저장될 수 있다. 섬프(543)는 터브(20) 밑에 설치된다.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에는 섬프홀(23)이 마련되고, 상기 섬프(543)는 상기 섬프홀(23)에 설치된다. 섬프홀(23)은 바닥 부재(22B)의 앞부분 중앙부에 위치한다.
분사장치(50)는 세척펌프(53)와 연결 유로(52)와 분사 암(51)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펌프(53)는 상기 급수장치(54)를 통해 섬프(543)에 공급된 물을 분사 암(51)에 공급한다. 상기 연결 유로(52)는 상기 세척펌프(53)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 암(51)으로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세척펌프(53)의 흡입부는 섬프(543)에 연결되어 섬프(543)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고, 세척펌프(53)의 토출부는 상기 연결 유로(52)에 연결되어 연결 유로(52)에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분사 암(51)은, 터브(20)의 세척공간(22S)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 암(51)은, 하부 랙(42) 밑에 마련된 로워 분사 암(511), 상부 랙(41) 밑에 마련된 어퍼 분사 암(512), 터브(20)의 천정(22T)에 마련된 탑 분사 암(513)을 포함한다. 어퍼 분사 암(512)은 상부 랙(4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암(51)은 세척수를 분사하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암(51)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들을 세척한 후, 다시 터브(20)의 바닥에 설치된 섬프(543)로 모여든다. 섬프(543)에는 필터(544)가 설치되어 있어서,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준다. 섬프(543)로 모인 세척수는 재차 세척펌프(53)에 의해 분사 암(51)에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 과정을 반복하면, 식기의 세척과 헹굼이 가능하다.
배수장치(57)는 상기 섬프(543)에 연결된 배수펌프(573)를 포함한다. 배수펌프(573)는 섬프(54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건조장치>
도 5는 터브(20)의 바닥 부재(22B) 상에 공기토출부(700)가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터브(20)의 바닥 부재(22B) 밑에 배치되는 건조장치(60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공기토출부(700)와 건조장치(600)를 연결하는 커넥터(8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공기토출부(700)와 커넥터(80)와 건조장치(6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공기토출부(700)와 커넥터(80)와 건조장치(60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X 단면도이다.
도 3,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의 건조장치(600)는 건조덕트(610)를 포함한다. 건조장치(600)의 건조덕트(610)는, 상부부재(6101)와 하부부재(6102)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건조덕트(610)는 터브(20) 밑에 배치된다. 건조덕트(6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40)는, 건조덕트(610)의 내부에서 고정구(642)를 통해 고정된다. 히터(640)의 열에 의해 덕트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건조덕트(6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가령 상기 건조덕트(610)는 금속을 다이 캐스팅하여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상기 건조덕트(610)는 내열성이 좋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건조덕트(610)는 덕트입구(610B)와 덕트출구(610A)를 구비한다. 건조덕트(610)의 덕트출구(610A)는 건조덕트(6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건조덕트(610)의 덕트입구(610B)는 건조덕트(6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건조덕트의 유동 단면은 측방향으로 넓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와 베이스(15)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건조덕트(610)의 유동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형상이다. 건조덕트(610)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덕트출구(61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건조덕트(610)의 덕트출구(610A)에 의해 규정되는 유동 단면은 장축과 단축을 가지는 트랙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덕트(610)의 유동 단면의 폭 방향과,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장축 방향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건조덕트(610)를 유동하는 공기가 덕트출구(610A)로 유동을 진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에는 유출구(H2)가 마련된다. 상기 유출구(H2)는 바닥 부재(22B)의 뒷부분 우측(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유출구(H2)에는 후술할 노즐(71)이 관통 설치되고, 터브(20)의 바닥 부재(22B) 위로 노출되는 노즐(71) 부위에 후술할 분배 캡(72)이 씌워진다. 그리고 터브(20)의 바닥 부재(22B) 밑으로 노출되는 노즐(71) 부위는 커넥터(80)를 통해 건조덕트(610)의 하류단에 마련된 덕트출구(610A)에 연결된다.
덕트출구(610A)가 트랙 형상을 가지면, 덕트출구(610A)의 외주면을 따라 각이 진 코너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80)의 덕트측 연결단부(82)가 덕트출구(610A)의 외주면을 감싸며 억지 끼움 결합될 때, 커넥터(80)의 덕트측 연결단부(82)가 둘레방향으로 고르게 변형되어 어느 한 부위가 지나치게 변형될 우려가 없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한 재질, 가령 고무 재질인 커넥터(80)의 덕트측 연결단부(82)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팬(630)의 토출부(631)는 상기 건조덕트(610)의 상류단에 마련된 덕트입구(610B)에 연결된다. 즉 팬(630)은 히터(640)보다 건조덕트(610)의 상류에 배치되어, 건조덕트(610)의 하류단을 향해 히터(640) 쪽으로 공기 유동을 일으킨다. 그러면 히터(640)의 열이 팬(6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히터(6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커넥터(80)를 통해 노즐(71)에 공급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노즐(71)과 분배 캡(72)을 통해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즉 상기 노즐(71)과 분배 캡(72)은 건조 공기를 터브(20) 내부에 공급하는 상기 공기토출부(700)를 이룬다.
위와 같이 건조장치(600)가 건조덕트(610), 히터(640), 팬(630), 커넥터(80), 노즐(71) 및 분배 캡(72)을 구비할 경우, 건조장치(600)는, 팬(630)의 흡입부(632)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히터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가열한 후 터브(20) 내부에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시키고, 식기를 건조시킨 공기는 자연 배기되는 오픈 패스웨이(open pathway)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건조장치(600)는 폐순환(closed circulation)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건조장치(600)는,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다시 건조덕트(610) 쪽으로 회귀시키는 응축덕트(612)를 더 포함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터브(20)의 우측 벽을 규정하는 일측벽(22R)의 후방 상부에는 유입구(H1)가 마련된다. 유입구(H1)는, 터브(20)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공간이 통하도록 일측벽(22R)을 관통하여 마련된다. 상기 일측벽(22R)의 외면에는 응축덕트(612)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덕트(612)의 상류단(612U)은 상기 유입구(H1)에 연결되고, 상기 응축덕트(612)의 하류단(612D)은 상기 팬(630)의 흡입부(632)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건조덕트(610)의 상류단(612U)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는 응축덕트(612)가 제1응축덕트(6122), 제2응축덕트(6124) 및 제3응축덕트(6126)로 분할 형성된 구조가 예시된다. 가령 제1응축덕트(6122)는 터브(20)의 일측벽(22R)과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되고, 제3응축덕트(6126)는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와 베이스(15)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응축덕트(6124)는 상기 제1응축덕트(6122)와 상기 제3응축덕트(6126)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한다.
터브(20)의 일측벽(22R)과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된 응축덕트(612)는, 캐비닛(10)을 통해 실온의 외부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터브(20)에서 식기를 건조시킨 고온의 습한 공기는 상기 응축덕트(612)에서 응축되며 수증기를 다시 응결시킨다. 응결된 응축수는, 가령 섬프(543)로 이동되고, 배수펌프(5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의 폐순환 방식의 건조장치(600)는, 응축덕트(612)를 유동하는 습공기의 결로를 도모하기 위해, 냉기공급부(6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부(620)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냉각덕트(621)를 포함한다. 냉각덕트(621)의 흡입단부(622)는, 가령 터브(20) 밑에 마련된 공간에서 앞쪽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위치에는 냉각팬(625)이 설치되어, 식기세척기(1)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덕트(621)로 공급할 수 있다.
냉각덕트(621)는 열교환기(62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기(624)에서 냉각덕트(621)와 응축덕트(612)는 서로 접한다. 상기 열교환기(624)는, 냉각덕트(621)를 흐르는 실온의 공기와 응축덕트(612)를 흐르는 고온의 습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격리하면서도, 냉각덕트(621)와 응축덕트(612)의 직접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냉각덕트(621)의 공기와 응축덕트(612)의 공기 간의 열 교환을 도모한다.
열교환기(624)를 거친 냉각덕트(621)의 공기는 토출단부(62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624) 자체에 토출단부(623)가 구비된 형태가 예시된다.
<노즐>
도 5,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의 후방 일측에는 원형의 유출구(H2)가 뚫려 있다. 노즐(71)은 상하로 연장되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노즐(71)의 상부(71U)의 외경은 노즐(71)의 하부(71L)의 외경보다 더 작다. 즉 노즐(71)의 높이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에 외경이 변화되는 단턱(71S)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71)의 상부(71U)의 외경은 상기 유출구(H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노즐(71)의 하부(71L)의 외경은 상기 유출구(H2)의 내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터브(20)의 밑에서 상기 유출구(H2)를 통해 노즐(71)의 상부를 터브(20) 내부로 끼울 수 있다.
유출구(H2)를 통해 노즐(71)의 상부(71U)가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71)의 외주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 부재(22B)의 위로 노출된 나사산(713)에 파스너(73)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파스너(73)의 외경은 유출구(H2)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부재(22B) 상부에서 파스너(73)를 노즐(71)의 외주에 나사 결합하면, 바닥 부재(22B)는 파스너(73)의 저면과 노즐(71)의 단턱(71S)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압착되고, 이에 따라 노즐(71)은 터브(20)의 바닥 부재(22B)에 고정된다. 파스너(73)와 바닥 부재(22B) 사이에는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터브(20)의 바닥 부재(22B)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노즐(71)은,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노즐(71)은, 단턱(71S)을 기준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부(71U)와, 큰 직경을 가지는 하부(71L)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1)의 상부(71U)는 상방으로 개방된 제2개구(712)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71)의 하부(71L)는 하방으로 개방된 제1개구(711)를 구비한다. 제1개구(711)와 제2개구(712)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개구(711)와 제2개구(712)는 모두 원형의 단면을 가짐이 예시된다.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 중심축(711C)와 제2개구(712)의 유동 단면 중심축(712C)는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71)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개구(711)의 내경은 제2개구(712)의 내경보다 더 크다. 노즐(71)을 유동하는 공기는 제1개구(711)에서 제2개구(712)로 진행함에 따라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어, 이에 따라 유속이 증가한다. 상부(71U)와 하부(71L)의 연결부위, 즉 단턱(71S) 부위의 내주면은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어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노즐(71)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노즐(71)은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71)이 바닥 부재(22B)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71)의 상단에 분배 캡(72)이 설치된다.
<커넥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커넥터(80)는 플렉시블하면서도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고무는 내열성이 좋고, 열 전도율이 낮다.
커넥터(80)는, 상기 덕트출구(610A)와 결합되는 덕트측 연결단부(82)를 구비한다. 덕트측 연결단부(82)는 덕트출구(610A)의 외주면을 덮으며 덕트출구(610A)와 결합된다. 덕트출구(610A)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외주돌기(611)가 마련되어, 덕트측 연결단부(82)의 내주면과 덕트출구(610A)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커넥터(80)는, 상기 노즐(71)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노즐측 연결단부(81)를 구비한다. 노즐(71)의 하부(71L)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주돌기(710)이 마련되어, 노즐측 연결단부(81)의 내주면과 노즐(71)의 하부(71L)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도 11은 커넥터를 생략한 상태에서 노즐(71)과 건조덕트(6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바닥 부재(22B)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개구(711)의 유동단면과 건조덕트(610)의 덕트출구(610A)의 유동단면을 중첩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커넥터(8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덕트출구(610A)의 상단은 노즐(71)의 하단보다 더 낮게 배치된다. 이는 덕트출구(610A)에서 노즐(71)에 이르는 공기 유동 경로의 방향 전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가령 덕트출구(610A)의 상단이 노즐(71)의 하단보다 더 높다면, 덕트출구(610A)에서 노즐(71)에 이르는 공기 유동은, 공기가 다시 하강하여야 하는 방향 전환이 불가피하고, 이는 유동 저항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실시예와 같이 덕트출구(610A)의 상단을 노즐(71)의 하단보다 더 낮게 배치하면, 덕트출구(610A)에서 노즐(71)에 이르는 공기 유동이 다시 하강할 필요 없이 상승하는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610)의 덕트출구(610A)와 상기 노즐(71)의 제1개구(711)는 상하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들은 커넥터(80)에 의해 연결된다.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출구(610A)에 의해 규정되는 유동 단면의 중심축(610C)은, 상기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 중심축(711C)과 평행할 수 있다. 이는 덕트출구(610A)에서 상승하던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제1개구(711)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덕트출구(610A)의 중심축(610C)은 제1개구(711)의 중심축(711C)과 어긋나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개구(711)의 중심축(711C)은 상기 덕트출구(610A)의 장축 방향으로도 어긋나 배치되고 상기 덕트출구(610A)의 단축 방향으로도 어긋나 배치된다.
이렇게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가 그 중심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면, 식기세척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외력으로 인해 덕트출구(610A)가 제1개구(7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를 연결하는 커넥터(80)의 변형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가령, 덕트출구(610A)가 원형이고, 제1개구(711)가 이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이며, 덕트출구(610A)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면, 커넥터(80)는 단순한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런 경우, 비록 커넥터(80)가 고무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이라 하더라도, 제1개구(711)에 대한 덕트출구(610A)의 상대적인 이동은 커넥터(80)를 통해 제1개구(711)에 상당히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80)가 플렉시블한 재질이라 하더라도 노즐(71)에 충격이 전달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에, 커넥터(80)가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하는 주름관 형태를 채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름관 형상은, 유동 저항이 상당히 커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불리한 면이 있다.
반면, 덕트출구(610A)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면, 이들을 연결하는 커넥터(80)를 매끈한 관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덕트출구(610A)가 제1개구(711)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덕트출구(610A)가 제1개구(711)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이동할 때,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를 연결하는 커넥터(80)의 변형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즉 커넥터(80)는 상하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강성이 확보되어 있지만, 측방으로는 상당히 유연하기 때문에, 제1개구(711)에 대한 덕트출구(610A)의 상대적인 이동이 있더라도 커넥터(80)가 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과 상기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과 상기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서로 어느 한 점에서 만난다 하더라도, 상기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과 상기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이 커넥터(80)의 원활한 변형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덕트출구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과 상기 제1개구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두 연장선이 서로 평행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두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이 커넥터(80)의 원활한 변형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덕트출구(610A)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한다 하더라도,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의 형상이 서로 다르다면, 이들을 연결하는 커넥터(80)를 매끈한 관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80)의 단면 형상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측방으로 어느 정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개구(711)에 대한 덕트출구(610A)의 상대적인 이동이 있더라도 커넥터(80)가 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덕트출구(610A)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고 그들의 형상이 대응하더라도,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의 크기가 서로 다르면, 이들을 연결하는 커넥터(80)를 매끈한 관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80)의 단면적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덕트출구(610A)가 큰 원이고, 제1개구(711)가 작은 원이라면, 커넥터(80)는 원뿔대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원기둥 형상과 달리, 측방으로 어느 정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개구(711)에 대한 덕트출구(610A)의 상대적인 이동이 있더라도 커넥터(80)가 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덕트출구(610A)의 형상과 제1개구(711)의 형상이 다르고,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과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면, 이들을 연결하는 커넥터(80)를 매끈한 관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커넥터(80)의 탄성 변형이 더욱 수월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상술한 덕트출구(610A)와 제1개구(711)의 형상, 위치, 및/또는 크기의 조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내벽을 매끈하게, 평평하거나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도, 커넥터(80)의 탄성 변형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적이 상기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유동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유동 단면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80)는 관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80)의 관 형상의 상단부는, 상기 노즐(71)의 하부(71L)의 둘레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노즐(71)에 연결되는 노즐측 연결단부(81)를 이룬다.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형상은 원형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의 관 형상의 하단부는, 상기 건조덕트(610)의 덕트출구(610A)의 둘레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건조덕트(610)에 연결되는 덕트측 연결단부(82)를 이룬다.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형상은 트랙형 관 형상일 수 있다.
앞서, 상기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형상과 상기 제1개구(711)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과 대응하도록,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단면 형상과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단면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덕트출구(610A)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과 제1개구(711)의 유동 단면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는 않는 것과 대응하도록,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중심축(81C)과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중심축(82C)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하방향(제3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내부와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내부는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80A)을 구비한다. 이러한 중첩 영역(80A)이 존재하면, 커넥터(8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킴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내부는, 상기 중첩 영역(80A)과, 상기 중첩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노즐측 고유 영역(81A)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내부는, 상기 중첩 영역(80A)과, 상기 중첩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덕트측 고유 영역(8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에서,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와 덕트측 연결단부(82) 사이에는 유동안내부(83)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안내부(83)는, 덕트측 연결단부(82)의 중심축과 노즐측 연결단부(81)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요구되는 공기 유동 방향의 전환을 유도한다.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중첩 영역(80A)에서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노즐측 고유 영역(81A)에 이르는 유동안내부(83) 부위에는 제1경사안내면(8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831)에 의해, 커넥터(80)의 유동 단면은 트랙 형상에서 원형으로 그 단면이 확대된다.
또한 상기 덕트측 연결단부(82)의 덕트측 고유 영역(82A)에서 상기 노즐측 연결단부(81)의 중첩 영역(80A)에 이르는 유동안내부(83) 부위에는 제2경사안내면(8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안내면(832)에 의해, 커넥터(80)의 유동 단면은 트랙 형상에서 원형으로 그 단면이 축소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831)에 의해 확대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2경사안내면(832)에 의해 축소되는 단면의 면적보다 더 크다. 따라서, 공기 유동 방향을 전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는 플렉시블하면서도 내열성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 가령 고무 재질이어서, 건조덕트(610)를 흐르며 가열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커넥터(8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건조덕트(610)의 열이 상기 노즐(71)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령 건조덕트(610)가 노즐(71)과 직접 연결되면, 건조덕트(610)의 열이 노즐(71)에 직접 전도된다.
상기 커넥터(80)와 이에 의해 연결되는 노즐(71) 및 건조덕트(610)의 배치에 따르면, 건조장치(600)가 터브(20)의 밑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브와 건조장치의 연결부위인 커넥터(80)가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0)는 건조덕트(610)의 열이 노즐(7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터브(20)의 바닥 부재(22B)를 얇게 제작하고, 건조장치(600)의 무게가 상당하더라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터브(20)와 건조장치(60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장치 내부의 고온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터브(20)와 건조장치(600)의 연결부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분배 캡>
도 16은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전방 분해사시도, 도 17은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후방 분해사시도, 도 18은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로워캡(721)의 사시도, 도 19는 로워캡(721)의 측면 단면도, 도 20은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후면도, 도 21은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측면도, 그리고 도 22는 실시예의 분배 캡(72)의 측면 단면도이다.
분배 캡(72)은 노즐(71)의 상부에 마련된 제2개구(712)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노즐(7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배 캡(72)은 상기 노즐(71)에서 토출된 건조 공기가 터브(20) 내부의 세척공간(22S)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건조 공기를 확산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배 캡(72)은 상기 노즐(7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구비되고, 노즐(71)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고르게 분배하는 형상이나 가이드가 구비되고, 아울러 이렇게 분산시킨 건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 개구(74)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71)의 상부(71U)의 제2개구(712)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분배 캡(72)은 식기세척기의 세척 과정에서 상기 제2개구(712)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개구(712)로부터 건조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건조 공기를 터브(20)의 세척 공간 내에 고르게 분산 배출한다.
분배 캡(72)은, 가령 도 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캡(721)과 어퍼캡(722)으로 분할 제작된 후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로워캡(721)과 어퍼캡(722)은 합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하거나, 금속 시트를 절곡 또는 프레스 가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다.
로워캡(721)과 어퍼캡(722)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은 상기 노즐(71)로부터 공급된 건조 공기가 상기 터브(20)의 세척공간으로 토출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분배 캡(72)은 상기 노즐(71)에 결합된다.
상기 분배 캡(72)의 로워캡(721)은 상기 노즐(71)의 상부(71U)에 결합될 수 있다. 로워캡(721)은 상기 노즐(71)의 상부(71U)의 외주를 둘러싸며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노즐(71)의 제2개구(712)는 상기 분배 캡(72)의 내부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어퍼캡(722)은 상기 노즐(71)의 상부 공간을 덮어서, 세척수가 제2개구(712)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어퍼캡(722)은 상부쉘(7221)과 측벽쉘(7227)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쉘(7227)의 하단부는 상기 로워캡(7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캡(722)은 상기 노즐(71)과는 이격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로워캡(721)은 상기 분배 캡(72)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의 하단부를 규정하는 판부재(7212), 상기 노즐(71)과 결합되는 끼움관(7213), 및 상기 끼움관(72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동 커버(7214)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 커버(7214)는 상기 노즐(71)의 제2개구(712)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고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상기 판부재(7212)는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71)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판부재(7212)는 실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실질적인 이등변 삼각형이라 함은, 전체적이 외형이 이등변 삼각형을 떠올릴 정도라는 의미이지, 엄밀하게 이등변 삼각형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판부재(7212)는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연상시킨다. 둔각을 이루는 꼭지점(7212P) 부분은 두 빗변(7212S)의 사잇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둔각의 꼭지점(7212P)과 마주하는 밑변(7212B)은 약간 삼각형의 내측으로 함몰된 곡선 형태이다. 아울러 세 꼭지점 부분은 상당한 반경의 곡선으로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판부재(7212)는 전체적으로 둔각 이등변 삼각형을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판부재(7212)에서 예각을 이루는 두 밑각 부근에는 각각 캡홀(7211)이 마련된다. 이는 분배 캡(72)의 토출 개구(74)를 통해 분배 캡(7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다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분배 캡(7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결국 판부재(7212) 상에 떨어지는바, 상기 판부재(7212)를 상기 캡홀(7211)이 마련된 쪽으로 기울여 배치하여, 상기 캡홀(7211)이 판부재(7212)의 경사면 아랫쪽에 배치되도록 하면, 유입된 세척수의 배수를 촉진할 수 있다.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둔각의 꼭지점(7212P)은 노즐(71)로부터 공급된 건조 공기를 양쪽으로 분배하기에 적합한 형상이며, 크게 벌어져 있는 빗변(7212S)은 양쪽으로 분배된 건조 공기를 확산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이다.
또한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7212B)은 세 변 중 가장 넓은 변의 길이를 가지므로, 밑변(72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 개구(74)를 길게 형성하면 그만큼 건조 공기를 넓게 분산시키며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가 먼저 상기 꼭지점(7212P) 쪽으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꼭지점(7212P)에서 분배되어 두 이등변의 안내를 받아 밑변(7212B) 쪽으로 유동한 뒤 터브(20)의 세척공간(22S)으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건조 공기를 세척공간 내에 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71)의 제2개구(712)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노즐(71) 자체의 형상은 건조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지 않고 건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노즐(71)에서 상방으로 공급되는 건조 공기는 로워캡(721)의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에 의해 그 방향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71) 자체의 형상에 의해 건조 공기의 방향이 결정되면, 노즐(71)과 분배 캡(72)을 결합할 때, 노즐(71)과 분배 캡(72) 간의 방향을 정확히 정렬하여 결합해야 한다. 이는 조립 과정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러나 실시예와 같이 로워캡(721)이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면, 노즐(71)과 분배 캡(72) 간의 방향을 정확히 맞출 필요 없다. 즉 노즐(71)을 설치할 때 노즐(71)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 없고, 노즐(71) 상에 분배 캡(72)을 설치할 때 노즐(71)과 분배 캡(72) 간의 방향을 정확히 정렬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는, 노즐(71)의 상부에 분배 캡(72)을 설치할 때, 분배 캡(72)이 터브(20)의 세척 공간 내에서 바라보아야 할 방향만 설정하면 족하다.
또한 로워캡(721)의 판부재(7212)가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이므로,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형상이 판부재(7212) 자체에 구비되도록 하면,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을 매우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판부재(7212)의 대략 중앙부에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한다.
상기 끼움관(7213)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끼움관(7213)의 연장 방향은 상기 노즐(71)의 연장 방향과 일치할 수 있고, 상기 끼움관(7213)의 중심은 상기 노즐(71)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끼움관(7213)의 내경은 상기 노즐(71) 상단의 외경과 대응한다. 이에 따라 끼움관(7213)이 상기 노즐(71)의 외측 둘레로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끼움관(7213)의 외주면이 노즐(71)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관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끼움관(7213)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에 대해, 상기 판부재(7212)는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판부재(7212)의 꼭지점(7212P)이 경사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판부재(7212)의 밑변(7212B)이 경사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관(7213)의 상부에는 유동 커버(7214)가 연장 형성된다. 유동 커버(7214)는 노즐(71)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측방은, 상기 노즐(71)의 중심축(712C)의 둘레 중 상기 꼭지점(7212P)을 바라보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동 커버(7214)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처리된다.
이처럼 판부재(7212)와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노즐(71)에서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방향은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에서 둔각 쪽으로 정확하게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판부재(7212)는 상기 끼움관(7213)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형상이며,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부재(7212) 역시 저항을 최소화하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고, 아울러 판부재(7212) 상에 있을 수 있는 세척수가 경사면을 타고 잘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평평한 상기 판부재(7212)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관(7213)에 의해 소정의 끼움홀(7212H)이 마련된다. 상기 평평한 판부재(7212)의 평면 내에서, 끼움홀(7212H)은 원에 가까운 타원일 수 있다. 상기 타원의 장축(LA)은 상기 판부재(7212)가 기울어진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타원의 장축을 기준으로 상기 끼움홀(7212H)이 상기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둔각의 꼭지점(7212P)과 가장 가까운 단부는 개방단부(HB), 상기 끼움홀(7212H)이 상기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7212B)과 가장 가까운 단부는 폐쇄단부(HA)일 수 있다.
상기 끼움관(7213) 상부에 연장 형성된 유동 커버(7214)는, 상기 끼움홀(7212H)의 폐쇄단부(HA) 쪽 상부를 막는다. 이에 따라 상기 둔각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7212B) 쪽에 마련된 상기 분배 캡(72)의 토출 개구(74)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71)에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반면 상기 끼움관(7213) 상부에 연장 형성된 유동 커버(7214)는, 상기 끼움홀(7212H)의 개방단부(HB) 쪽 상부를 막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71)에서 토출되는 건조 공기는 상기 둔각의 꼭지점(7212P) 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커버(7214)는 상부로 볼록한 실질적인 반구 형상에서, 상기 개방단부(HB) 쪽의 반을 절취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유동 커버(7214)는 끼움관(7213)의 상부에서 상기 끼움관(7213)의 폐쇄단부(HA) 쪽 1/2을 덮는 사분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끼움관(7213)은 상기 판부재(72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끼움관(7213)이 판부재(7212) 상부로만 연장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더하여 끼움관(7213)이 판부재(7212)의 하부로도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판부재(72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끼움관(7213) 부분 역시, 상기 유동 커버(7214)와 마찬가지로, 상기 개방단부(HB) 쪽이 절취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형태는, 상기 유동 커버(7214)의 절취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끼움홀(7212H)의 개방단부(HB)까지 절취한 부드러운 곡면 형태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커버(7214)와 끼움관(7213)을 절취한 절취 라인(7215)은, 상기 유동 커버(7214) 쪽을 절취한 상부 라인(7215Y)과, 상기 끼움관(7213) 쪽을 절취한 하부 라인(7215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인(7215Y)은 반구의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라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라인(7215R)은, 상부 라인(7215Y)의 하단부와 개방단부(HB)를 연결하는 부드러운 곡면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부 라인(7215R)은 약 90도의 각을 가지는 호 형상일 수 있다.
도 19 상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한 상기 하부 라인(7215R)은 반드시 끼움관(7213) 쪽에만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커버(7214)까지도 일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 상 수직 형상으로 절개한 상부 라인(7215Y)이 끼움관(7213)까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노즐(71)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7212)의 끼움홀(7212H)에 삽입된다. 상기 노즐(71)이 끼움홀(7212H)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재(7212)는 노즐(71)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개방단부(HB)는 상기 폐쇄단부(HA)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노즐(71)의 상부(71U)는 상기 개방단부(HB)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기 끼움관(7213)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취 라인(7215)에 의해 형성되는 로워캡(721)의 토출홀(7216)이 노즐(71)의 둘레면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노즐(71)은 상기 토출홀(7216)을 가리지 않을 정도까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즐(71)은 하부 라인(7215R)을 가리지 않을 정도까지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의 직경이, 판부재(7212)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거의 일정한 형상인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의 직경은, 판부재(7212)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더 커지는 구간이 존재해도 좋다. 실시예의 분배 캡(72)은, 터브(20)의 바닥(22B) 위로 노출된 노즐(71)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의 직경이 노즐(71)의 직경보다 더 커도 무방하다. 이는 공기 유동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노즐(7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분배 캡(72)의 내부 공간에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토출홀(7216)은 상기 끼움관(7213)과 유동 커버(7214)에 마련된 절취 라인(7215)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토출홀(7216)을 통해 토출되는 건조 공기의 속도 벡터는, 수평성분(7216x)이 수직성분(7216y)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상부를 향하는 수직성분(7216y)보다, 둔각의 꼭지점(7212P)을 향하는 수평성분(7216x)이 더 클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로워캡(721)에 의해 규정되는 토출홀(7216)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을 토출 단면(7216P)이라 할 때, 토출 단면 법선(7216V)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b; 도 22 참조)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어퍼캡(722)은 로워캡(721)의 상부에서 로워캡(721)의 상부를 커버한다.
어퍼캡(722)은, 상기 판부재(7212)를 마주보며 상기 판부재(7212)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쉘(7221)과, 상기 상부쉘(7221)의 가장자리와 상기 판부재(7212)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벽쉘(7227)을 포함한다.
상부쉘(7221)은 상기 유동 커버(7214)에 대해서도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상부쉘(7221)과 측벽쉘(7227)은 상기 노즐(71)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로워캡(721)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쉘(7221)은 상기 판부재(7212)의 둔각 이등변삼각형과 대응하고, 이와 정렬된 형태의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등변 삼각형 형태라는 것은 그 형상이 연상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쉘(7227)은,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과 대응하는 빗면쉘(7222) 및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과 대응하는 토출면쉘(72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쉘(7221), 빗면쉘(7222) 및 토출면쉘(7223)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기 위해, 상기 라운드 처리된 호의 반경은 상당할 수 있다.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둔각의 꼭지점 및 이에 인접하는 빗면쉘(7222)의 하단부 구간은 판부재(7212)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고정된다. 반면 토출면쉘(7223)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면쉘(7223)과 인접하는 빗면쉘(7222)의 하단부 구간은 판부재(7212)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소정의 간극을 이룬다. 이러한 간극은, 상기 분배 캡(72)의 토출 개구(74)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둔각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상부쉘(7221)과 측벽쉘(7227) 부분은 노즐(71)에서 토출홀(7216)을 통해 토출된 공기를 분배하고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단부(7225)가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편, 즉 토출면쉘(7223) 쪽은 상기 방향전환단부(7225)에서 방향이 전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단부(7226)가 된다.
상기 상부쉘(7221)은 상기 토출단부(7226)에서 방향전환단부(7225)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쉘(7221)은 평평한 형상이고,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d)를 이루며 경사질 수 있다. 상부쉘(7221)이 경사져 있으면, 세척 과정에서 상부쉘(7221)의 표면에 세척수가 떨어지더라도, 세척수가 쉽게 흘러내리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 단면 법선(7216V)은 수평면에 대해 45도 이하의 각(b)을 이룬다. 상기 토출 단면 법선(7216V)과 상부쉘(7221)이 이루는 각(d)은 두 각(c, d)의 합이 된다. 이러한 각(d) 역시 45도 이하일 수 있다. 그러면, 토출홀(7216)을 통해 토출된 건조 공기는 상부쉘(7221)에 의해 자연스럽게 방향전환단부(7225)로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부쉘(7221)은 방향전환단부(7225)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단부(7225) 쪽의 측벽쉘(7227)은,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쉘(7221)과 방향전환단부(7225) 쪽의 측벽쉘(7227)이 이루는 각(f)은 둔각일 수 있다. 아울러 상부쉘(7221)과 측벽쉘(7227)은 크게 라운드 처리되며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쉘(7221)에 의해 방향전환단부(7225)로 안내된 건조 공기는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이 시작될 수 있다.
아울러 판부재(7212)는 토출단부(7226) 쪽으로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져 있으므로, 방향전환단부(7225) 쪽의 측벽쉘(7227)과 판부재(7212)가 이루는 각(e) 역시 둔각일 수 있다. 이 역시 자연스러운 방향 전환을 유도한다.
상기 토출홀(721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공기와, 비스듬히 상향 이동하는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스듬히 상향 이동하는 공기는 위와 같이 상부쉘(7221), 측벽쉘(7227) 및 판부재(7212)의 순으로 이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토출단부(7226)로 유동하게 된다.
수평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측벽쉘(7227)의 방향전환단부(7225), 빗면쉘(7222) 및 토출면쉘(7223)의 순으로 이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토출단부(7226)로 유동하게 된다. 토출면쉘(7223)은 방향전환단부(7225)와 달리 토출 개구(74) 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따라서 토출면쉘(7223)에 의해 가이드 되는 건조 공기는 하향 유동하며 토출 개구(74)를 통해 터브(20)의 세척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74)를 규정하는 측벽쉘(7227)의 하단부는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처마(724)를 이룬다. 상기 처마(724)는 식기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가 토출 개구(74)를 통해 분배 캡(7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처마(724)는 상기 측벽쉘(7227)에서 멀어짐에 따라 하향하는 형태일 수 있다.
판부재(7212)는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져 있는 반면, 처마(724)의 절곡 부위의 높이는 수평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토출 개구(74)의 상하 방향 간극 역시 빗면쉘(7222) 부분에서는 토출면쉘(7223)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토출면쉘(7223) 부분에서는 일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처마 돌출길이(724L)는, 상기 빗면쉘(7222) 부분에서는 토출면쉘(7223)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토출면쉘(7223) 부분에서는 일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 개구(74)의 수평방향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분배 캡(72)이 노즐(71)에서 토출되는 건조 공기를 별다른 유동 저항 없이 토출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노즐(71)에서 공급받은 건조 공기를 터브(20) 내부로 넓게 퍼뜨리며 토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마(724)의 선단부(724D)의 높이는 상기 판부재의 꼭지점(7212P)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개구(74)의 상하 방향 간극이 지나치게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 개구(74)가 지나치게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1과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 개구 시작위치(74P)는 상부 라인(7215Y)의 위치보다 방향전환단부(7225)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끼움관(7213)을 절취한 하부 라인(7215R)은 개방단부(HB)로 연결되는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므로, 절취되지 않은 끼움관(7213)이 토출 개구 시작위치(74P) 부근에서 토출 개구(74)를 통해 유입될 우려가 있는 세척수가 노즐(71)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개구(74)의 개방 길이를 더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홀(7211)은 세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척수의 배출 경로일 뿐만 아니라,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가 배출되는 추가적인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캐비닛
15: 베이스
20: 터브
22B: 바닥, 바닥 부재
H2: 유출구
22T: 천정
22R: 일측벽
H1: 유입구
22S: 세척공간
23: 섬프홀
30: 도어
40: 랙
41: 상부 랙
42: 하부 랙
500: 세척장치
50: 분사장치
51: 분사 암
511: 로워 분사 암
512: 어퍼 분사 암
513: 탑 분사 암
52: 연결 유로
53: 세척펌프
54: 급수장치
541: 급수 밸브
542: 급수 유로
543: 섬프
544: 필터
57: 배수장치
573: 배수펌프
600: 건조장치
610: 건조덕트
6101: 상부부재
6102: 하부부재
610A: 덕트출구
611: 외주돌기
610C: 유동 단면 중심축
610B: 덕트입구
612: 응축덕트
612U: 상류단
612D: 하류단
6122: 제1응축덕트
6124: 제2응축덕트
6126: 제3응축덕트
620: 냉기공급부
621: 냉각덕트
622: 흡입단부
623: 토출단부
624: 열교환기
625: 냉각팬
630: 팬
631: 토출부
632: 흡입부
640: 히터
642: 고정구
700: 공기토출부
71: 노즐
71L: 하부
710: 외주돌기
711: 제1개구
711C: 유동 단면 중심축
71U: 상부
712: 제2개구
712C: 유동 단면 중심축
713: 나사산
71S: 단턱
72: 분배 캡
721: 로워캡
7211: 캡홀
7212: 판부재
7212P: 꼭지점
7212S: 빗변
7212B: 밑변
7212H: 끼움홀
HA: 폐쇄단부
HB: 개방단부
LA: 장축
a: 경사각
7213: 끼움관
7214: 유동 커버
7215: 절취 라인
7215Y: 상부 라인
7215R: 하부 라인
7216: 토출홀
7216P: 토출 단면
7216V: 토출 단면 법선
7216x: 수평성분
7216y: 수직성분
722: 어퍼캡
7221: 상부쉘
7227: 측벽쉘
7222: 빗면쉘
7223: 토출면쉘
7225: 방향전환단부
7226: 토출단부
724: 처마
724L: 처마 돌출길이
724D: 선단부
73: 파스너
74: 토출 개구(간극)
74P: 토출 개구 시작위치
80 : 커넥터
81: 노즐측 연결단부
81C: 중심축
82: 덕트측 연결단부
82C: 중심축
80A: 중첩 영역
81A: 노즐측 고유 영역
82A: 덕트측 고유 영역
83: 유동안내부
831: 제1경사안내면
832: 제2경사안내면

Claims (22)

  1. 식기세척기의 터브 내부로 노출되어 터브 내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에 결합되는 분배 캡으로서,
    상기 분배 캡은:
    상기 노즐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로워캡;
    상기 노즐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노즐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로워캡에 결합된 어퍼캡;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 건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캡은:
    하단부가 상기 노즐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끼움관;
    상기 끼움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판부재; 및
    상기 끼움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끼움관에 의해 규정되는 유동 단면의 상부 일부를 덮는 유동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캡은, 상기 끼움관과 유동 커버를 덮도록 상기 판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판부재와 함께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분배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상기 끼움관에 연결되는, 분배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a)를 이루는 평평한 형상인, 분배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낮은 쪽 단부에는 상기 토출 개구를 통해 분배 캡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캡홀이 관통 형성된, 분배 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홀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판부재와 상기 어퍼캡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토출 개구를 규정하는, 분배 캡.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실질적으로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상기 끼움관은 상기 판부재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상기 판부재는, 둔각의 꼭지점(7212P) 부분이 상기 판부재의 높은 쪽 단부를 이루고, 둔각과 마주하는 밑변(7212B) 부분이 상기 판부재의 낮은 쪽 단부를 이루는, 분배 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 커버는 상기 끼움관의 유동 단면 영역 중에서 상기 토출 개구와 더 가까운 영역의 상부를 덮고,
    상기 유동 커버는 실질적으로 반구형 곡면을 구비하는, 분배 캡.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상기 분배 캡의 내부 공간으로 건조 공기가 공급되는 토출홀은, 상기 유동 커버와 끼움관을 걸쳐, 상기 유동 커버의 일부와 상기 끼움관의 일부를 절취한 절취 라인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절취 라인은:
    상기 유동 커버를 절취한 부위인 상부 라인(7215Y); 및
    상기 끼움관을 절취한 부위인 하부 라인(7215R);을 포함하는, 분배 캡.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인은 상기 반구형 곡면의 상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절취한 라인을 포함하는, 분배 캡.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라인은 상기 판부재까지 연결되는, 분배 캡.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끼움관에 의해 상기 판부재에 형성되는 끼움홀은 상기 유동 커버에 의해 덮이는 폐쇄단부(HA)와 상기 절취 라인에 의해 개방된 개방단부(HB)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라인은 상기 상부 라인의 하단부와 상기 개방단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상인, 분배 캡.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절취 라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토출 단면(7216P)의 법선(7216V)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하되,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각(b)이 45도 이하인, 분배 캡.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캡은: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판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상부쉘; 및
    상기 상부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판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부재와 연결되는 측벽쉘을 포함하는,
    분배 캡.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구는 상기 측벽쉘이 상기 로워캡과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극을 가지는 부위에 의해 규정되는, 분배 캡.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쉘은 상기 토출 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진, 분배 캡.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부쉘은 수평면과 소정의 각(c)을 이루며 경사지고,
    상기 로워캡에 의해 규정되는 토출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토출 단면(7216P)의 법선(7216V)과 상기 상부쉘이 이루는 각(d)은 45도 이하인, 분배 캡.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벽쉘은, 상기 토출 개구가 마련된 토출단부와, 상기 끼움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 개구와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된 방향전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단부 쪽 측벽쉘과 상기 상부쉘이 이루는 각(f)은 90도를 넘고, 상기 방향전환단부 쪽 측벽쉘과 상기 판부재가 이루는 각(e)은 90도를 넘는, 분배 캡.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상부쉘은 실질적으로 둔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상기 측벽쉘은, 이등변에 해당하는 빗면쉘과, 둔각의 꼭지점(7212P)과 대향하는 변에 해당하는 토출면쉘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쉘의 둔각의 꼭지점(7212P) 부분과 연결되는 측벽쉘 부분이 상기 방향전환단부를 이루는, 분배 캡.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쉘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면쉘과 연결되는 상기 측벽쉘의 하단부 일부 구간은 상기 판부재와 소정의 간극을 이루고,
    상기 간극이 상기 토출 개구를 규정하는, 분배 캡.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토출면쉘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면쉘과 연결되는 상기 측벽쉘의 하단부 일부 구간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처마 부위에 의해 규정되는, 분배 캡.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처마의 선단부의 높이는 상기 판부재의 꼭지점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분배 캡.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측벽쉘에서 상기 토출 개구가 시작되는 위치(74P)는, 상기 로워캡의 토출홀이 시작되는 위치(7215Y)보다 상기 토출단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분배 캡.
KR1020200137869A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KR20220053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69A KR20220053419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US17/508,461 US20220126308A1 (en) 2020-10-22 2021-10-22 Dish washer
EP21204154.5A EP3988001A1 (en) 2020-10-22 2021-10-22 Dish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69A KR20220053419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19A true KR20220053419A (ko) 2022-04-29

Family

ID=7837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69A KR20220053419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26308A1 (ko)
EP (1) EP3988001A1 (ko)
KR (1) KR202200534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3306A1 (en) * 2021-11-18 2023-05-2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EP4183307A1 (en) * 2021-11-18 2023-05-2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730A (ko) * 2009-04-14 201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3000377B1 (en) * 2011-09-20 2017-08-02 Whirlpool EMEA S.p.A Dishwashing machine with drying system
DE102014215933A1 (de) * 2014-08-12 2016-03-03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Durchführung in einen Bearbeitungsbehälter
DE102015212863A1 (de) 2015-07-09 2017-01-12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Sorptionstrocknungseinrichtung
DE102015212869A1 (de) * 2015-07-09 2017-01-12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Sorptionstrocknungseinrichtung
DE102015212880A1 (de) 2015-07-09 2017-01-12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Ausblasvorrichtung
KR102582692B1 (ko) * 2016-08-04 202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8001A1 (en) 2022-04-27
US20220126308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3419A (ko) 식기세척기
US9872598B2 (en) Drying system for a dishwasher
CN106592184B (zh) 烘干系统及烘干系统的制造方法
CN115928365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05962869B (zh) 洗碗机的抽风装置及洗碗机
US6349731B1 (en) Water inlet system for dishwasher
RU2397691C1 (ru) Насадк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CN105962863B (zh) 洗碗机的抽风装置及洗碗机
CN105832271B (zh) 洗碗机
US11297998B2 (en) Dishwasher
KR20220053418A (ko) 식기세척기
KR20220053421A (ko) 식기세척기
CN108618732B (zh) 出风组件和洗碗机
CN212913131U (zh) 热风干燥装置以及洗碗机
CN108056725B (zh) 水槽式清洗装置
CN210121115U (zh) 清洗装置
CN217659751U (zh) 一种清洗机
CN220024983U (zh) 一种清洗机
CN219147501U (zh) 一种新型干燥装置及其洗碗机
CN210946192U (zh) 挂烫机主机及挂烫机
CN219557195U (zh) 一种洗碗机
CN215605528U (zh) 一种干燥装置及洗碗机
KR0119441Y1 (ko) 침수차단 구조를 가진 식기 건조기용 히터 케이스
CN112503588B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216777027U (zh) 一种用于清洗机的导流结构及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