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276A -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276A
KR20220052276A KR1020210136101A KR20210136101A KR20220052276A KR 20220052276 A KR20220052276 A KR 20220052276A KR 1020210136101 A KR1020210136101 A KR 1020210136101A KR 20210136101 A KR20210136101 A KR 20210136101A KR 20220052276 A KR20220052276 A KR 2022005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s
points
stiffness
moisturizing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가 무라카미
마사키 무라이
고지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기제로, 이 기제를 배합한 화장료 사용 직후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에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용 기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화장료용 기재는, 식 (1)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Z-[O-(EO)a-{(EO)b/(PO)c}-H]x … (1)
(Z 는 탄소수 1 ∼ 7 개 또한 1 ∼ 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이다. x 는, 1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EO 는 옥시에틸렌기이다. PO 는 옥시프로필렌기이다. a, b 및 c 는 각각 EO, PO 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 ≤ a ≤ 60, 1 ≤ b ≤ 40, 1 ≤ c ≤ 60 이고, (b/c) 는 1/10 ∼ 5/1 이고, {a/(b+c)} 는 1/10 ∼ 5/1 이고, {(EO)b/(PO)c} 내의 b 몰의 EO 와 c 몰의 PO 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COSMETIC BASES AND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을 할 때, 화장수나 유액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로 보습한 후, 화장 하지 (下地) 나 파운데이션 등으로 베이스 메이크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화장 하지나 파운데이션 전에 사용되는, 화장수나 유액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는, 감촉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습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다가 알코올이 범용되고 있다. 수용성 다가 알코올로는,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지만, 소량이라면 보습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또 보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량을 늘리면 끈적거리는 등, 불쾌한 감촉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높은 보습 효과를 가지면서, 피부에 대한 끈적거림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과 특정한 다가 알코올을 조합한 화장료 (특허문헌 1) 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다가 알코올을 조합한 수성 화장료 (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두 끈적거림은 억제되기는 하지만, 감촉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최근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에 대한 다양한 악영향을 신경 쓰는 여성이 늘어나, 스킨 케어와 베이스 메이크업 사이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바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메이크업에 시간을 들일 수 없는 경우도 많아, 스킨 케어 화장료를 도포 직후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가 피부 위에서 뻑뻑함 (squeaky feeling) 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이 뻑뻑함은, 특히 상기와 같은 보습 효과가 높은 스킨 케어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에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41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14317호
이 때문에,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기제로, 이 기제를 배합한 화장료 사용 직후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기제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기제로, 이 기제를 배합한 화장료 사용 직후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용 기제 및 이것을 배합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화장료 기제로서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다.
(1) 하기의 식 (1)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기제.
Z-[O-(EO)a-{(EO)b/(PO)c}-H]x … (1)
(식 (1) 중,
Z 는 탄소수 1 ∼ 7 개 또한 1 ∼ 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상기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이다.
x 는, 1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EO 는 옥시에틸렌기이다.
PO 는 옥시프로필렌기이다.
a 및 b 는 각각 상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 ≤ a ≤ 60, 1 ≤ b ≤ 40 이고,
c 는 상기 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 ≤ c ≤ 60 이고,
(b/c) 는 1/10 ∼ 5/1 이고,
{a/(b+c)} 는 1/10 ∼ 5/1 이고,
{(EO)b/(PO)c} 내의 b 몰의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와 c 몰의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
(2) (1) 의 화장료용 기제를 0.1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본 발명은,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기제로, 이 기제를 배합한 화장료 사용 직후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느끼기 쉬운 뻑뻑함을 억제 가능하고,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양호한 성능을 발현하는 기제, 및 그것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이다.
식 (1)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있어서, Z 는 탄소수 1 ∼ 7 개 또한 1 ∼ 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Z(OH)x) 로부터 모든 (x 개의)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이며, x 는 화합물 (Z(OH)x) 의 수산기의 수로서 1 ∼ 4 이다.
탄소수 1 ∼ 7 개 또한 1 ∼ 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x = 1 이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x = 2 이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x = 3 이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x = 4 이면, 메틸글루코시드,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탄, 디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x ≤ 3 이다. x 가 5 이상이면, 감촉이 무거워지거나 끈적거림이 발생해 버려,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화합물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1 ∼ 4 가 보다 바람직하다.
EO 는 옥시에틸렌기, PO 는 옥시프로필렌기, a, b, c 는 EO, PO 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a 는, 1 ≤ a ≤ 60, 바람직하게는 2 ≤ a ≤ 3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a ≤ 15 이다. a 가 0 이면,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뻑뻑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a 가 60 을 넘으면, 보습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b 는, 1 ≤ b ≤ 40, 바람직하게는 2 ≤ b ≤ 2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b ≤ 10 이다. b 가 0 이면, 끈적거림이 발생해 버리고, 40 을 초과하면, 도포 중의 감촉이 무거워져 버린다.
c 는, 1 ≤ c ≤ 60, 바람직하게는 2 ≤ c ≤ 4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c ≤ 30 이다. c 가 0 이면, 보습 효과가 저하되어 버리고, 60 을 초과하면 감촉이 무겁고, 끈적거림이 발생되어 버린다.
b 와 c 의 몰비 (b/c) 는 1/10 ∼ 5/1 이고, 바람직하게는 1/8 ∼ 3/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3/2 이다. 1/10 보다 작으면, 끈적거림이 발생해 버리고, 5/1 보다 크면, 보습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a 와 (b+c) 의 몰비 (a/(b+c)) 는 1/10 ∼ 5/1 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2/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4 이다. 몰비 (a/ (b+c)) 가 1/10 보다 작으면, 끈적거림이 발생하거나,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뻑뻑함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몰비 (a/(b+c)) 가 5/1 보다 크면, 보습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식 (I) 에 있어서의 EO 및 PO 의 결합 부분은 「-(EO)b/(PO)c-」 로 기재하고 있지만, 이 기재는, EO 및 PO 가, 블록상이 아니라, 랜덤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식 (I)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 4 개의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한 후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용 기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성 화장료,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의 유화 화장료, 유성 화장료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보디 화장료, 클렌징 오일 등의 클렌징료, 바디 샴푸, 핸드 소프 등의 피부 화장료, 헤어 리퀴드, 헤어 오일, 헤어 토닉, 육모제 등의 모발 화장료 등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에 대한 화장료용 기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0.1 ∼ 30 중량% 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의약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습제, 탄화수소,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및 이들의 트리글리세리드, 에스테르유, 동식물 유지, 실리콘, 비타민류, 자외선 흡수제, 수용성 고분자, 산화 방지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에탄올, 증점제, 방부제, 색소, 안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화합물 1 의 합성)
부탄올 100 g 과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2 g 을 오토클레이브 안에 투입하고, 오토클레이브 안의 공기를 건조 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40 ℃ 에서 촉매를 완전히 용해하였다. 다음으로 적하 장치에 의해 에틸렌옥사이드 297 g 을 적하하고, 3 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120 ℃ 에서, 에틸렌옥사이드 297 g, 프로필렌옥사이드 549 g 의 혼합물을 적하하고, 7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 조성물을 꺼내고, 염산으로 중화하여 pH 6 ∼ 7 로 하고, 함유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감압 -0.095 ㎫ (게이지압), 100 ℃ 에서 1 시간 처리하였다. 또한 후처리 후 생성된 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과를 실시하고, 식 (1) 의 화합물 1 (성분 (A)) 을 얻었다.
또, JIS K1557-1 에 준한 수산기가 측정에 의해 얻은 값으로부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구하고, a, b, c 의 값을 특정하였다.
(화합물 2 ∼ 10 의 합성)
출발 원료의 종류, 그리고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량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화합물 2 ∼ 화합물 10) 를 합성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9 ∼ 14>
표 2 (실시예 1 ∼ 8) 및 표 3 (비교예 9 ∼ 14) 에 나타내는 각 배합 비율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성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단, 실시예 1 ∼ 8 에서는 식 (1) 의 화합물 1 ∼ 6 (성분 (A)) 을 함유시키고 있다. 한편, 비교예 9 ∼ 12 에서는 화합물 7 ∼ 10 (성분 (A')) 을 함유시키고 있다. 비교예 13 ∼ 14 에서는 추가로 표 3 에 기재된 각 화합물을 성분 (A) 대신에 함유시키고 있다.
얻어진 수성 화장료를 사용하여, 하기 5 항목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표 3 에 나타낸다.
<감촉의 가벼움>
10 명의 남녀 (25 세 ∼ 48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각 1.0 g 을 오른팔 전완 내측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의 가벼움에 대해서,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감촉이 가볍다
2 점 : 감촉이 약간 가볍다
1 점 : 감촉이 무겁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끈적거림이 없음>
10 명의 남녀 (25 세 ∼ 48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각 1.0 g 을 오른팔 전완 내측에 도포했을 때의 끈적거림에 대해,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는다
2 점 : 끈적거림을 약간 느낀다
1 점 : 끈적거림을 느낀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뻑뻑함이 없음>
10 명의 남녀 (25 세 ∼ 48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각 1.0 g 을 오른팔 전완 내측에 도포했을 때의 뻑뻑함에 대해서,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뻑뻑함이 없다
2 점 : 뻑뻑함이 약간 있다
1 점 : 뻑뻑함이 있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보습 효과>
10 명의 남녀 (25 세 ∼ 48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각 1.0 g 을 오른팔 전완 내측에 도포하고, 도포 전 및 도포 1 시간 후의 각질층 수분량을 표피 각질층 수분량 측정 장치 (SKICON-200EX, 아이·비·에스 (주) 제조) 를 사용하여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도포 전의 값을 1 로 한 상대값을 산출하고,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상대값이 3 이상
2 점 : 상대값이 2 이상, 3 미만
1 점 : 상대값이 2 미만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도포 후의 뻑뻑함이 없음>
10 명의 남녀 (25 세 ∼ 48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각 1.0 g 을 오른팔 전완 내측에 도포하고 1 분간 배어들게 한 후, 동 (同) 지점에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의 뻑뻑함에 대해서,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이번에 사용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는, 표 4 에 나타낸다. 유상을 80 ℃ 까지 가열 후, 교반하면서 수상을 첨가, 실온까지 방랭함으로써 조제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뻑뻑함이 없다
2 점 : 뻑뻑함이 약간 있다
1 점 : 뻑뻑함이 있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미만
△ : 20 점 미만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 1 : FLZ-03 : 산화아연,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이소스테아르산, 폴리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산화아연. <테이카사 제조>
※ 2FLT-08 : 산화티탄,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산화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 말산디이소스테아릴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산화티탄. <테이카사 제조>
※ 3 : PEG-10 디메티콘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실시예 1 ∼ 8 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기제는, 감촉의 가벼움, 끈적거림이 없음, 뻑뻑함이 없음, 보습 효과,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도포 후의 뻑뻑함이 없음의 어느 평가 항목에 있어서도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9 ∼ 14 는, 이들 5 종류의 평가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없었다.
즉, 비교예 9 에서는, 식 (1) 에 있어서 옥시에틸렌기 EO 의 몰수 a 가 0 이지만,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도포 후의 뻑뻑함이 있었다.
비교예 10 에서는, b/c 가 0.1 미만이지만, 끈적거림이나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도포 후의 뻑뻑함이 있었다.
비교예 11 에서는, b/c 가 5 를 초과하였지만, 보습 효과가 낮고,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도포 후의 뻑뻑함이 있었다.
비교예 12 에서는, x 가 5 를 초과하였고, a/(b+c)가 5 를 초과하였지만, 보습 효과가 낮고, 감촉이 무거워지고, 끈적거림이 발생했다.
비교예 13 ∼ 14 에서는, 식 (1) 과는 상이한 타입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모두 실시예에 비해 특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15 : 화장수의 처방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5 에 나타내는 비율로, 실온 (25 ℃) 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높고,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느끼기 쉬운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수가 얻어졌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16 : 유액의 처방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6 에 나타내는 비율로, A 상과 B 상을 각각 별개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75 ∼ 80 ℃ 에서 A 상과 B 상을 혼합한 후에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이 혼합물에 대하여 C 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유액을 조제하였다.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높고,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느끼기 쉬운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유액이 얻어졌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17 : 크림의 처방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7 에 나타내는 비율로, A 상과 B 상을 각각 별개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75 ∼ 80 ℃ 에서 A 상과 B 상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이 혼합물에 C 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크림을 조제하였다.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높고,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느끼기 쉬운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크림이 얻어졌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18 : 미용액의 처방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8 에 나타내는 비율로, 예비 혼합한 B 상을 A 상에 첨가하고, 실온 (25 ℃) 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미용액을 조제하였다.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높고,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사용했을 때에 느끼기 쉬운 뻑뻑함을 억제할 수 있는 미용액이 얻어졌다.
Figure pat00008

Claims (2)

  1. 하기의 식 (1)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기제.
    Z-[O-(EO)a-{(EO)b/(PO)c}-H]x … (1)
    (식 (1) 중,
    Z 는 탄소수 1 ∼ 7 개 또한 1 ∼ 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상기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이다.
    x 는, 1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EO 는 옥시에틸렌기이다.
    PO 는 옥시프로필렌기이다.
    a 및 b 는 각각 상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 ≤ a ≤ 60, 1 ≤ b ≤ 40 이고,
    c 는 상기 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 ≤ c ≤ 60 이고,
    (b/c) 는 1/10 ∼ 5/1 이고,
    {a/(b+c)} 는 1/10 ∼ 5/1 이고,
    {(EO)b/(PO)c} 내의 b 몰의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와 c 몰의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2. 제 1 항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를 0.1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210136101A 2020-10-20 2021-10-13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 KR20220052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6088 2020-10-20
JPJP-P-2020-176088 2020-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276A true KR20220052276A (ko) 2022-04-27

Family

ID=8119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101A KR20220052276A (ko) 2020-10-20 2021-10-13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67636A (ko)
KR (1) KR20220052276A (ko)
CN (1) CN1143769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4120A (ja)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化粧料
JP2017214317A (ja) 2016-05-31 2017-12-07 花王株式会社 水性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4120A (ja)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化粧料
JP2017214317A (ja) 2016-05-31 2017-12-07 花王株式会社 水性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76943A (zh) 2022-04-22
JP2022067636A (ja)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933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JP5442937B2 (ja) 外用剤
JP2008115091A (ja) 非イオン界面活性剤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5535832B2 (ja) 整髪用化粧料
JP5949233B2 (ja) 化粧料組成物
JP4760489B2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17222605A (ja) 化粧料組成物
JP512945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220052276A (ko) 화장료용 기제 및 화장료
JP2007297300A (ja) 整髪用乳化組成物
JPH09255534A (ja) 頭髪用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050744A (zh) 毛发化妆料
JP2012136489A (ja) 皮膚化粧料
JP3462416B2 (ja) 毛髪化粧料
JP2002161020A (ja) 泡沫状化粧料
JP6734562B2 (ja) 香料組成物
JP4680799B2 (ja) 油性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4400215B2 (ja) 新規な高分子界面活性剤を含む化粧料及び毛髪用化粧料
JP7265712B2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507321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4045885B2 (ja) 新規な化粧材料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
JPH08119826A (ja) 化粧料
JP4713385B2 (ja) 液状皮膚外用剤
JPH11152214A (ja) 毛髪化粧料
JP4700319B2 (ja) ワックス状脂肪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